KR19980048793U -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793U
KR19980048793U KR2019960061958U KR19960061958U KR19980048793U KR 19980048793 U KR19980048793 U KR 19980048793U KR 2019960061958 U KR2019960061958 U KR 2019960061958U KR 19960061958 U KR19960061958 U KR 19960061958U KR 19980048793 U KR19980048793 U KR 199800487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lange
mounting structure
bush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793U/ko
Publication of KR19980048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79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8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륜구동 승용차의 경우에 트렁크룸 내에 장착되는 연료탱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트렁크룸의 전방에 연료탱크가 장착되도록 연료탱크에 형성된 플랜지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있는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6)와 플랜지(4) 사이에 충격 흡수용 부시(10)를 삽설시키되, 상기 부시(10)는 본체(11)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2)에 길이방향으로 팽창력을 지닌 탄성수단(13)이 제공되고, 아울러 상기 플랜지(4)는 상기 연료탱크(1)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에 형성된 볼트공(3)에는 휠하우스(8)에 고정된 볼트(6)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됨으로써, 후방충돌시 연료탱크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누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달되는 충돌력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후륜구동 승용차의 경우에 트렁크룸 내에 장착되는 연료탱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전륜구동 및 후륜구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륜구동형의 자동차의 경우에 연료탱크는 뒷좌석 하부의 플로어패널 하부에 장착된다. 한편, 후륜구동형 자동차의 경우에는 연료탱크가 상기 전륜구동형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플로어패널의 하부에 장착되는 경우 및 트렁크룸 공간내에 장착하게 되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런데, 연료탱크가 트렁크룸 공간내에 장착되는 경우에 그 고정구조는 연료탱크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가 트렁크룸내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에 고정부착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조는 자동차의 후방 충돌이 발생되었을때에 트렁크룸의 주변 부분이 변형이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료탱크도 충격을 전달 받아 변형되기 쉬운 구조었다.
또한, 연료탱크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 하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및 플랜지를 너무 강하게(그 강도 및 경도 등)하는 경우에는 충돌에너지가 제대로 흡수되지 않아 승객의 상해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후방충돌시 연료탱크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누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달되는 충돌력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 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탱크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부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부시의 압축상태에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료탱크 2: 너트
3: 볼트공 4: 플랜지
6: 볼트 7: 브라켓
8: 휠하우스 9: 브라켓
10: 부시 11: 본체
12: 수용부 13: 탄성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는, 자동차 트렁크룸의 전방에 연료탱크가 장착되도록 연료탱크에 형성된 플랜지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있는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플랜지 사이에 충격 흡수용 부시를 삽설시키되, 상기 부시는 본체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길이방향으로 팽창력을 지닌 탄성수단이 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플랜지는 상기 연료탱크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공에는 휠하우스에 고정된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가 제공되어도 좋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탱크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자동차의 후륜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휠하우스(8)에는 각각 2개의 브라켓(7, 9)이 돌설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브라켓(7, 9)에는 전방을 향하여 볼트(8)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7, 9) 및 볼트(6)는 도시된 우측 뿐만 아니라, 연료탱크(1)에 의하여 가려져 있는 좌측의 휠하우스에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탱크(1)의 양측에는 플랜지(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4)에는 상기 볼트(6)가 관통되는 볼트공(3)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4)와 볼트(6) 사이에는 부시(10)가 제공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는 상기 볼트(6)에 체결되는 너트이다.
상기 부시(10)는 본체 전부가 고무로 이루어져 형성되어도 좋고, 도 3에서와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즉,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부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단 사시도로서, 상기 부시(10)는 본체(11) 내부에 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용부(1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팽창력을 지닌 탄성수단(13)이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수단(13)은 팽창스프링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부시의 압축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즉 외부로부터의 어떤 충격이 연료통 또는 트렁크룸에 가해졌을때에 볼트(6)의 축방향으로 삽입설치되어 있는 부시(10)가 그 충격을 흡수하며 압축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연료탱크(1)의 플랜지(4)와 휠하우스(8)의 브라켓(7)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댑퍼(10)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다라 연료탱크(1)의 변형을 감소시켜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시(10)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수단(13)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이 증대 됨으로써 후방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의 상해치가 감소되었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1)의 양측부에 플랜지(4)가 형성되어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구조였던 상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구조에서 필요하였던 별도의 고정부재인 브라켓 등이 필요치 않게 되어 원가절감 및 공수가 절감되는 잇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 의하면, 후방충돌시 연료탱크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누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달되는 충돌력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 시킬 수 있게 된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 트렁크룸의 전방에 연료탱크가 장착되도록 연료탱크에 형성된 플랜지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있는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6)와 플랜지(4) 사이에 충격 흡수용 부시(10)를 삽설시키되, 상기 부시(10)는 본체(11)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2)에 길이방향으로 팽창력을 지닌 탄성수단(13)이 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는 상기 연료탱크(1)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에 형성된 볼트공(3)에는 휠하우스(8)에 고정된 볼트(6)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KR2019960061958U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KR199800487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958U KR19980048793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958U KR19980048793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93U true KR19980048793U (ko) 1998-10-07

Family

ID=5400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958U KR19980048793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7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8287Y1 (ko) 자동차의 후방측면 충격 흡수장치
JP4293144B2 (ja) 車体構造
KR19980048793U (ko) 자동차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00189559B1 (ko) 자동차의 로어프런트 필라와 사이드 라커의 접합부보강구조
KR100189560B1 (ko) 자동차의 로어프런트 필라와 사이드 라커의 접합부보강구조
KR012572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0143644B1 (ko) 자동차의 차체 전방부 보강브라켓
KR100192217B1 (ko)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
KR0154092B1 (ko) 자동차의 범퍼 구조
KR19980018092U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100262191B1 (ko) 자동차의 카울 박스(cowl box) 구조
KR200201345Y1 (ko) 자동차용 플로어 사이드멤버 취부구조
KR100263650B1 (ko) 자동차의지지바의사이드바디패널결합구조
KR0126281Y1 (ko) 알루미늄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187361B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멤버 설치구조
KR19980037150U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19990011324U (ko) 자동차 센터 플로어 사이드멤버와 프론트 사이드 리어 어퍼멤버연결구조
KR19980051888A (ko) 지지바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차체 결합구조
KR19980013787A (ko) 차량의 전방부 충격보강구조
KR20000004633A (ko) 자동차의 대쉬패널 밀림 방지구조
KR19980051890A (ko) 충돌시 차실로의 진입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t형 버팀대
KR20010027305A (ko) 알루미늄 프레임 자동차용 전방 충돌력 분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