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718U - 자동차의 방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방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718U
KR19980048718U KR2019960061883U KR19960061883U KR19980048718U KR 19980048718 U KR19980048718 U KR 19980048718U KR 2019960061883 U KR2019960061883 U KR 2019960061883U KR 19960061883 U KR19960061883 U KR 19960061883U KR 19980048718 U KR19980048718 U KR 199800487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system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718U/ko
Publication of KR19980048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71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자의 방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연계설치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원하는 경우 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장치에 있어서, 차체 또는 공기조화시스템(A)의 덕트(D)에 설치되며, 배출포트(12) 및 충전포트(14)가 형성된 방향제저장용기(10); 중심 고정홈(21a)이 형성되며 2개의 개구부(22a,23b)가 형성된 플레이트(21), 상기 플레이트(21)의 개구부(22a)에 연통하며 상기 방향제저장용기(10)의 배출포트(11)에 연결되는 배출관(22), 및 공기조화시스템(A)의 덕트(D)와 연통하며 상기 플레이트(2)의 개구부(23b)에 연통하는 배출관(23)을 구비하는 방향공급수단(20); 상기 방향공급수단(20)의 고정홈(21a)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편(31a)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21)의 각각의 개구부(22a,22b)와 연통가능한 요홈(34a,34b)이 양단부에 형성된 방향통과홈(34)이 형성된 원판(31), 상기 원판(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로드(32), 및 상기 로드(33)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IP)에 노출 설치되는 노브(33)를 구비하는 조절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시에 공급량을 조절하여 방향을 공급받을 수 있어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방향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연계 설치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특히 밀폐된 실내의 공기의 쾌적함을 위해 방향기(芳香器) 또는 공기청정기가 사용된다. 특히 자동차에는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인해 외부공기를 차단할 필요가 있어, 밀폐된 실내의 공기상태를 쾌적하게 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및 방향기를 사용한다. 이중 공기청정기는 대개 시가라이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정화시키며, 방향기들은 대개 액체방향제를 내포하는 방향제통과 각종형상의 본체로 구성되어, 예컨대 각종 꽃향기와 같은 향을 발산한다.
이같은 일반적인 방향기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방향기(1)의 하부면이 인스트루먼트패널(IP)의 제 위치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같은 방향기는 대개 한가지의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만이 방향제통에 내포되어 있다. 이같은 방향제통내의 방향제가 모두 발산되어 소모된 경우에는 그 방향제통을 새것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대개의 경우 방향기 전체를 교환해야 한다. 방향제통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방향기 전체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그 취부흔적이 해당부분에 남게 되어 외관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향기를 사용치 않을 경우 방향제통을 폐쇄하지 않아 방향제통이 개방되어 방향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항상 방향제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불필요한 방향작용은 방향제를 조기에 고갈시킬 뿐 아니라 자동차 실내의 장기간 밀폐시 특히, 여름철의 경우 악취로 변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불쾌함을 주게 된다. 더욱이, 일정크기를 갖는 특정 형상의 방향기가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특정부위에 설치되므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제한할 뿐 아니라 충돌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원하는 경우 방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연계 설치되고 은폐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연계설치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원하는 경우 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장치에 있어서, 차체 또는 공기조화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되며, 배출포트 및 충전포트가 형성된 방향제저장용기; 중심 고정홈이 형성되며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통하며 상기 방향제저장용기의 배출포트에 연결되는 배출관,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덕트와 연통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연통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방향공급수단; 상기 방향공급수단의 고정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각각의 개구부와 연통가능한 요홈이 양단부에 형성된 방향통과홈이 형성된 원판, 상기 원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노출 설치되는 노브를 구비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공급수단의 배출관의 배출구는 오리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향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공급수단의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조절노브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향제저장용기11: 상부면
12: 배출포트13: 고정편
14: 공급포트20: 방향공급수단
21: 플레이트22: 공급관
23: 배출관30: 조절수단
31: 원판32: 로드
33: 노브A: 공조시스템
B: 송풍기D: 덕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방향공급수단의 플레이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조절수단의 플레이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가 공기조화시스템의 덕트에 연계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조절수단의 노브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는 방향제저장용기(10), 방향공급수단(20) 및 조절수단(3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향제저장용기(10)는 원통형용기로서 상부면(11)에는 방향배출포트(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기(10)는 브래킷(13)에 의해 공기조화시스템 또는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면(11)에는 상기 저장용기(10)에 방향제를 충전시킬수 있는 충전포트(14)가 형성된다.
방향공급수단(20)은 공급플레이트(21)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플레이트(21)의 배면에는 상기 저장용기(10)의 배출포트(12)에 연결되는 방향공급관(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플레이트(21)의 배면에는 상기 공급관(22)과 유사한 배출관(23)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23)의 단부(23a)는 공기조화시스템(A)의 덕트(D)에 삽설되어 그 내부에 연통하게 되며, 또한 상기 단부(23a)는 오니피스방식으로 방향제를 덕트내로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급수단의 공급관(22) 및 배출관(23)은 상기 공급플레이트(21)의 정면을 향해 개방되는 개구부(22a,23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1)의 중앙에는 수용홈(21a)이 형성되어 있어 상세히 후술되는 조절수단(30)의 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절수단(30)은 상기 공급수단(20)의 플레이트(21)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원판(31)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31)의 중앙에는 상기 플레이트(2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21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31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조절수단(30)의 원판(31)의 배면의 중심에는 로드(32)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로드(32)의 단부에는 로터리식 노브(knob)(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노브(33)는 인스트루먼트패널(IP)에 노출 설치되어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절수단(30)의 원판(31)의 정면에는 방향통과홈(34)이 형성되는 바, 상기 방향통과홈(34)은 반원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지닐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통과홈(34)의 양단부에는 상기 공급수단(20)의 플레이트(21)에 형성된 개구부(22a,23b)에 상응하는 요홈(34a,34b)이 형성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설치방식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방향제 저장용기(10)를 고정편(13)을 이용하여 차체 또는 공기조화시스템(A)의 덕트(D)의 제위치에 설치하고, 또한 공급수단(20)의 배출관(23)의 배출구(23a)를 덕트(D)내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공급관(22)을 상기 저장용기(10)의 배출포트(12)에 연결시킨다. 이후, 조절수단(30)의 원판(31)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핀(31a)을 상기 플레이트(2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21)에 삽입시켜 원판(31)을 플레이트(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노브(33)를 인스트루먼트패널(IP)의 외측으로 노출시켜 방향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같이 설치된 방향장치의 사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실내에 방향을 공급하기 원한다면, 조절수단(30)의 노브(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수단(30)의 원판(31)의 로드(32)에 의해 회전되어 원판(31)에 형성된 방향통과 홈(34)의 요홈(34a,34b)이 방향공급수단(20)의 플레이트(21)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22a,23b)에 각각 일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플레이트(21)의 개구부(22a,23b)와 원판(31)의 방향통과홈(34)의 요홈(34a,34b)이 연통하게 되면, 저장용기(10)에서 발산되는 방향이 배출포트(12), 공급관(12), 개구부(22a), 요홈(34a), 방향통과홈(34), 요홈(34b), 배출관(23)을 통해 상기 배출관(23)의 배출구(23a)로 이송되어 덕트(D)내로 발산되어 덕트(D)를 통해 실내로 방향이 발산된다. 이때, 공기조화시스템의 송풍기(blower)(B)를 작동시키면, 방향은 배출구(23a)에 의해 더욱 신속하게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실내가 적정하고 쾌적한 상태로 유지된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노브(32)를 회전시키면 원판(31)의 요홈(34a,34b)과 플레이트(21)의 각각의 개구부(22a,23b) 상호간의 연통이 차단되어 방향의 공급이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를 자동차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연계시켜 설치하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원하는 경우 방향을 실내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노브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가 은폐식으로 설치되어 자동차의 실내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연계설치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원하는 경우 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장치에 있어서,
    차체 또는 공기조화시스템(A)의 덕트(D)에 설치되며, 배출포트(12) 및 충전포트(14)가 형성된 방향제저장용기(10);
    중심 고정홈(21a)이 형성되며 2개의 개구부(22a,23b)가 형성된 플레이트(21), 상기 플레이트(21)의 개구부(22a)에 연통하며 상기 방향제저장용기(10)의 배출포트(11)에 연결되는 배출관(22), 및 공기조화시스템(A)의 덕트(D)에 연통하는 배출구(23a) 및 상기 플레이트(2)의 개구부(23b)에 연통하는 배출관(23)을 구비하는 방향공급수단(20);
    상기 방향공급수단(20)의 고정홈(21a)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편(31a)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21)의 각각의 개구부(22a,22b)와 연통가능한 요홈(34a,34b)이 양단부에 형성된 방향통과홈(34)이 형성된 원판(31), 상기 원판(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로드(32), 및 상기 로드(33)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IP)에 노출 설치되는 노브(33)를 구비하는 조절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방향장치.
KR2019960061883U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방향장치 KR199800487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83U KR19980048718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방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83U KR19980048718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방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18U true KR19980048718U (ko) 1998-09-25

Family

ID=5400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883U KR19980048718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방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71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8946B1 (en) Dual scent air-freshening dispensing device
US5902181A (en) Diverter valve assembly for an automobile HVAC system
US5350335A (en) Distributor device for a ventilation system in a vehicle
JP2004521816A (ja) ヒンジ式グリルユニットを備える自動車用通風口アセンブリ
KR100196189B1 (ko) 자동차의 방향장치
WO2007018402A1 (en) Anion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s
KR19980048718U (ko) 자동차의 방향장치
CN217649253U (zh) 一种具有香氛装置的havc及车辆
KR100196188B1 (ko) 자동차용 방향장치
JPS57209414A (en) Change-over device for outlets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JP2002079820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5231493A (ja) 車載芳香消臭装置
KR200143863Y1 (ko) 차량용 방향장치
JPH10250359A (ja) 自動車の側部の風向調節装置
JPS59107135A (ja) 消臭剤入り空調グリル
JPH11208264A (ja) スイッチ付き空気吹出装置
KR20000001071U (ko) 자동차용 방향제 공급 장치
KR0115918Y1 (ko) 차량히터의 공기분배구조
JPS5921929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413214Y2 (ko)
KR0125255Y1 (ko) 자동차용 방향장치
KR20020031948A (ko) 차량용 방향장치.
KR100218806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히터 콘트롤 고정구조
KR20040097656A (ko) 방향제 유닛이 부착된 자동차 공조 시스템
JPH068751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