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056U -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056U
KR19980048056U KR2019960061214U KR19960061214U KR19980048056U KR 19980048056 U KR19980048056 U KR 19980048056U KR 2019960061214 U KR2019960061214 U KR 2019960061214U KR 19960061214 U KR19960061214 U KR 19960061214U KR 19980048056 U KR19980048056 U KR 19980048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
steering wheel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056U/ko
Publication of KR19980048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05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변경시 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방 양측에 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유무감지센서(10)와, 조향핸들(20)의 일측에 조향핸들(20)이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와, 상기 차량유무감지센서(10) 및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옆차선에 차량이 주행 중인 것을 인식시키는 경고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선변경시 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후방 및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룸 미러(Room Mirror)와 사이드 미러(Side Mirror)가 장착되어 있다. 승용차의 경우에 룸 미러는 통상, 운전자가 손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후방영역을 관찰할 때에 주로 이용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차선을 변경할 때에 차량의 측면 및 후방영역을 관찰하기 위해 주로 이용한다.
통상 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바로 측면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가 사이드미러를 통해 운전자에게 반사되지 않는 지대 즉,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각지대는 교통안전사고의 발생률을 높이는데 매우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주행중 자주 해야 하는 차선변경등에는 바로 측면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의 주행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필요가 있는데,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사이드미러 만을 이용하여 측후방 차량의 유무를 확인한 후 차선변경을 시도하고 있음으로 그 측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사각지대에 있는 상태에서 가속(加速)하고 있는 중이라면 측면충돌사고의 발생확률이 높은 것이 통례이고, 이러한 사고가 고속주행간에 발생될 경우에는 대형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선변경시 옆차선에서 주행중인 자동차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유무감지센서 20 : 조향핸들
30 :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40 : 제어부
50 : 경고수단60 : 경고음부재
70 : 경고램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후방 양측에 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유무감지센서와, 조향핸들의 일측에 조향핸들이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와, 상기 차량유무감지센서 및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옆차선에 차량이 주행 중인 것을 인식시키는 경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고수단이 제어부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부재와, 제어부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점멸되는 경고램프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자동차의 후방 양측에 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유무감지센서(10)가 구비된다. 조향핸들(20)의 일측에 조향핸들(20)이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가 구비된다. 차량유무감지센서(10) 및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옆차선에 차량이 주행 중인 것을 인식시키는 경고수단(50)이 구비된다. 경고수단(50)은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부재(60)와,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점멸되는 경고램프(70)로 구성된다. 이 경고램프(70)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자동차의 후방 양측에 장착된 차량유무감지센서(10)가 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한다. 주행 도중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조향핸들(20)을 회동시키면 조향핸들(20)의 일측에 구비된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유무감지센서(10) 및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40)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차량유무감지센서(10) 및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중 어느 하나의 센서(10),(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경고수단(50)이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옆차선에 차량이 주행 중인 것을 인식시킨다. 즉,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경고수단(50)의 경고음부재(60)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며 동시에 경고램프(70)가 점멸된다.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할 경우 옆차선에서 차량이 주행 중이면 경고수단(50)의 경고음부재(60)에서 경고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경고램프(70)가 점멸됨으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옆차선에서 차량이 주행 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는 차량유무감지센서 및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옆차선에 차량이 주행 중인 것을 인식시키는 경고수단을 구비하여 차선변경시 옆차선에서 주행중인 자동차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후방 양측에 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유무감지센서(10)와,
    조향핸들(20)의 일측에 조향핸들(20)이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와,
    상기 차량유무감지센서(10) 및 조향핸들회동감지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옆차선에 차량이 주행 중인 것을 인식시키는 경고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경고수단(50)이
    상기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부재(6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점멸되는 경고램프(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KR2019960061214U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KR199800480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214U KR19980048056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214U KR19980048056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056U true KR19980048056U (ko) 1998-09-25

Family

ID=5399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214U KR19980048056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0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8056U (ko) 자동차 차선변경시에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KR19990025008A (ko) 차선변경시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KR950011217A (ko) 자동차의 안전 차선 변경 장치
KR20040046193A (ko) 차량의 안전 주행장치
KR0139845B1 (ko) 자동차 코너링시에 상대방 차량 감지장치
KR19990021232U (ko) 차량의 차선변경 경고장치
KR100188786B1 (ko) 차량의 과속경보장치
KR0151672B1 (ko) 자동차 경사로 주행시 상대방 차량 감지장치
KR0133293Y1 (ko) 차량의 측방향 진입차량 경고장치
KR19980047994U (ko) 자동차 코너링 감지장치
KR19980048035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CA2120638A1 (en) Blind spot warning device
JPH04506254A (ja) 自動車の対象物検知装置
KR0164484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96000330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210918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KR19980047988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0133976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물체 경보장치
JPH035252A (ja) 後方レーダによる追突防止装置
KR0134240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950011228A (ko) 자동차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지 방법
KR19990021660A (ko) 보행자 감지장치
KR19980030090A (ko) 자동 위치 설정 사이드 미러 장치
KR19980028789A (ko) 자동차의 선회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