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854A -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854A
KR19980047854A KR1019960066373A KR19960066373A KR19980047854A KR 19980047854 A KR19980047854 A KR 19980047854A KR 1019960066373 A KR1019960066373 A KR 1019960066373A KR 19960066373 A KR19960066373 A KR 19960066373A KR 19980047854 A KR19980047854 A KR 1998004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eat
load
passenger sea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101996006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854A/ko
Publication of KR1998004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854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 및 조수석에 각각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 있어서, 유아용 안전 시트를 사용하여 유아를 조수석에 앉히되, 유아용 안전 시트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한 경우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해 조수석의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감지 수단과, 조수석 내부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설치되는 하중 감지 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 수단과 상기 하중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에어백 전개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에어백 전개 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전개 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전개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전개 제어부는, 상기 전부 및 후부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의 합이 소정치 이하이고, 상기 전방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이 상기 후방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보다 큰 경우, 충돌 감지 수단에 의해 충돌이 검지되더라도 상기 조수석 에어백 전개 작동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각각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 있어서, 유아용 안전 시트를 사용하여 유아를 조수석에 앉히되, 유아용 안전 시트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한 경우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해 조수석의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그 주요 부품은 에어백과, 차량의 사고를 감지하기 위한 충돌 센서와, 점화 접점, 가스 발생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전개 작동부 및 에어백 전개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백 전개 제어부로 구성되어, 차량 충돌시의 관성에 의해 충돌 감지 센서가 작동되면, 가스 발생기 내의 화약이 폭발하며 생긴 기체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전방의 물체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별도의 보조자 없이 유아와 동승하는 경우, 유아용 안전 시트를 사용하여 유아를 조수석에 앉히게 되는 데, 일반적으로,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수석(20) 위에 유아가 뒤로 향하도록 유아 및 유아용 안전 시트(30)를 올려 놓은 후 안전 벨트(40)를 사용하여 유아용 안전 시트를 고정시킴으로서 차량 주행중 유아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조수석 위에 유아가 뒤로 향하도록 유아용 안전 시트를 고정시키고 운행하던 중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조수석의 에어백이 작동되면, 팽창되는 에어백이 유아용 안전시트의 등받이를 타격하게 되어 오히려 유아에게 해를 끼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 및 조수석에 각각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 있어서, 유아용 안전 시트를 사용하여 유아를 조수석에 앉히되, 유아용 안전 시트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한 경우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해 조수석의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조수석에 유아용 안전 시트를 탑재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 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 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돌 감지 수단 2 : 에어백 전개 제어부
3, 4 : 에어백 전개 작동부 5, 6 : 에어백
20 : 조수석 30 : 유아용 안전 시트
11,12 : 하중 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장치는,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감지 수단과, 조수석 내부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설치되는 하중 감지 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 수단과 상기 하중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에어백 전개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에어백 전개 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전개 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전개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전개 제어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의 합이 소정치 이하이고, 상기 전방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이 상기 후방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보다 큰 경우, 충돌 감지 수단에 의해 충돌이 검지되더라도 상기 조수석 에어백 전개 작동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시트템 작동 제어 방법은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는 에어백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에 배치된 전,후방 하중 감지 센서의 하중 합이 설정 기준치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전, 후방 하중을 비교하여 착석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조수석의 에어백 팽창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에어백 전개 제어부(2)는 충돌 감지 센서(1) 및 조수석 내부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배치되는 하중 감지 센서(11,1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에어백 전개 작동부(3)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시 가스 발생기, 점화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에어백 전개 작동부(3,4)를 작동시켜 에어백(5,6)의 내부로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서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한다.
하중 감지 센서(11,12)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저항치가 가변되거나 발생 전압이 가변되는 압전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하중 감지 센서를 조수석 내부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설치함으로서 조수석 탑승자가 유아인지의 여부와 유아용 안전 시트가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지,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전방 및 후방의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하중의 합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유아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유아용 안전 시트를 후방으로 배치하는 경우, 유아용 안전 시트 내 유아의 머리부 및 몸체가 조수석의 전방에 있게 되므로, 전방 하중 감지 센서(11)에 의해 감지되는 하중이 후방 하중감지 센서(12)에 의해 감지되는 하중보다 크게되므로 이로부터 유아용 안전 시트의 배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충격 감지 수단(1)으로는 차량 충돌에 의한 관성력이 규정치 이상인 경우 관성구의 전진에 의한 스위칭 신호를 에어백 전개 제어부(2)에 인가하는 방식의 통상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장치의 작용을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 중, 에어백 전개 제어부(2)는 조수석에 배치된 하중 감지 센서(11,12)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 받아, 전방 하중 감지 센서(11) 및 후방 하중 감지 센서(12)에 의해 감지된 하중의 합이 일정치 이하(S1)이고, 전방 하중 감지 센서(11)에 의해 감지된 하중이 후방 하중 감지 센서(12)에 의해 감지된 하중보다 큰 경우(S2), 유아용 안전 시트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충돌 감지 센서(1)에 의해 차량의 충돌이 감지(S3)되더라도, 운전석 에어백(5)만 팽창되고, 조수석 에어백(6)은 팽창되지 않도록 에어백 전개 작동부(3,4)를 작동시키고(S4, S5), 상기 이외의 경우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이 동시에 팽창되도록 에어백 전개 작동부를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장치는, 조수석 위에 유아가 뒤로 향하도록 유아용 안전 시트를 고정시키고 운행하던 중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조수석의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팽창되는 에어백이 유아용 안전시트의 등받이를 타격하게 되어 유아에게 이차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감지 수단과, 조수석 내부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설치되는 하중 감지 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 수단과 상기 하중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에어백 전개 작동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에어백 전개 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전개 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전개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전개 제어부는, 상기 전부 및 후부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의 합이 소정치 이하이고, 상기 전방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이 상기 후방 하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보다 큰 경우, 충돌 감지 수단에 의해 충돌이 검지되더라도 상기 조수석 에어백 전개 작동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감지 센서는 하중에 따라 전기 저항치가 가변하는 압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3.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는 에어백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에 배치된 전,후방 하중 감지 센서의 하중 합이 설정 기준치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전, 후방 하중을 비교하여 착석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조수석의 에어백 팽창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유아의 평균 하중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 작동 에어 방법.
KR1019960066373A 1996-12-16 1996-12-16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47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373A KR19980047854A (ko) 1996-12-16 1996-12-16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373A KR19980047854A (ko) 1996-12-16 1996-12-16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854A true KR19980047854A (ko) 1998-09-15

Family

ID=6644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373A KR19980047854A (ko) 1996-12-16 1996-12-16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8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1745B2 (ja) 乗物の搭乗者拘束装置の作動を防止する装置
CA215122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ployment signal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during a side impact crash
JP2858973B2 (ja) 車両搭乗者保護方法及び同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6270115B1 (en) Air bag suppression system
JP2877145B2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
JP2002046571A (ja) 作動可能な乗員保護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104725B1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multiple stage control
KR0154032B1 (ko) 자동차 변형속도에 따른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H11208413A (ja) 衝突規模検知方法、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47854A (ko)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37824B1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20030012360A (ko) 자동차 측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103247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KR19990002364A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WO1999054172A1 (en) A detec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roximity of an object relative to an airbag
KR100369546B1 (ko) 차량상태에따른조수석의에어백제어방법
KR100224246B1 (ko)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9990017534A (ko) 차량용 에어백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80956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0180156B1 (ko)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20010100606A (ko) 에어백 전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0436U (ko)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83912A (ko) 에어백 폭발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