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164A - 캠을 이용한 트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캠을 이용한 트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164A
KR19980047164A KR1019960065607A KR19960065607A KR19980047164A KR 19980047164 A KR19980047164 A KR 19980047164A KR 1019960065607 A KR1019960065607 A KR 1019960065607A KR 19960065607 A KR19960065607 A KR 19960065607A KR 19980047164 A KR19980047164 A KR 19980047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ntinuously variable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홍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164A/ko
Publication of KR1998004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164A/ko

Links

Landscapes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로이달(toroidal) 무단변속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로이달 무단변속기를 캠(cam)을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정교하고 신속하게 무단변속을 행할수 있도록 한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는 입력디스크(1)의 가압부(4)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입력디스크(1) 및 가압부(4)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캠(10)과, 상기 캠(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장치(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본 발명은 토로이달(toroidal) 무단변속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로이달 무단변속기를 캠(cam)을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정교하고 신속하게 무단변속을 행할수 있도록 한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속도를 무단으로 변속하는 무단변속기중에는 원추곡면을 갖는 입력디스크, 출력디스크, 그리고 롤러로 이루어지는 토로이달 타입의 무단변속기가 있다.
도 1은 이러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의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타입의 무단변속기는 원추곡면을 갖는 입력디스크(1)와 출력디스크(2), 그리고 이들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3)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디스크(1)는 변속시 유압에 의해서 좌우유동을 하고, 롤러(3)는 각도가 제어되여 롤러(3)와 입력디스크(1), 롤러(3)와 출력디스크(2)의 접촉위치를 변경하여 변속을 수행한다.
토로이달 무단변속기는 고토르크를 전달할수 있어서 버스, 트럭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관성이 크고 크기가 크며, 롤러(3)와 디스크(1)(2)의 접촉부의 오일전단력 때문에 특수 오일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토로이달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종래 변속시 입력디스크(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는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디스크(1)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유압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토로이달 무단변속기의 구동장치는 유압작동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서서히 유압이 작용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교한 변속을 시킬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정교하고 신속하게 변속을 실행할수 있도록 된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는 입력디스크의 가압부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입력디스크 및 가압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캠, 그리고 상기 캠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토로이달(toroidal)무단변속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입력디스크 2: 출력디스크
3: 롤러 4: 가압부
10: 캠 20: 유압장치
21: 로드 22: 피스톤
23: 복귀스프링 24: 스플밸브
25: 실린더 25a: 오일유입구
25b: 오일유출구 26: 솔레노이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는 입력디스크(1)의 가압부(4)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입력디스크(1) 및 가압부(4)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캠(10)과, 상기 캠(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
캠(10)은 그 측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캠(10)이 상하로 이동하면 캠(10)과 접촉하고 있는 가압부(4) 및 입력디스크(1)가 좌우로 이동한다. 캠(10)의 측면경사도는 변속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서 변속비의 변화율이 크고 신속한 변속을 요구할 때에는 경사도를 크게 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경사도를 작게 한다.
상기 유압장치(20)는 캠(10)과 일체로 되어 있는 로드(21), 상기 로드(21)와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22), 상기 피스톤(22)에 상향의 힘을 가하는 스프링(23), 캠(10)을 하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오일압이 피스톤(22)에 유압이 걸리도록 하고 캠(10)을 상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오일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스플밸브(spool valve)(24), 상기 스플밸브(24)의 이동에 따라 오일압을 피스톤(22)에 가하고 해제할수 있도록 오일유입구(25a)와 오일유출구(25b)가 형성된 실린더(25), 그리고 상기 스플밸브(24)의 이동을 듀티제어하는 솔레노이드(26)로 구성되어 있다.
그외 토로이달 무단변속기의 구조는 통상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무단변속을 행하기 위해서는 무단변속기의 입력디스크(1)를 좌우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입력디스크(1)와 연동하는 가압부(4)를 좌우로 연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캠(10)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다.
캠(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은 유압장치(20)가 수행한다.
솔레노이드(26)의 전류를 제어하면 스플밸브(24)의 위치를 듀티(duty)제어할수 있다. 스플밸브(24)가 오일유출구(25b)만을 막고 오일유출구(25a)를 개방한다면 오일압이 피스톤(22)에 가해진다. 이 때는 피스톤(22), 로드(21) 및 캠(10)이 오일압에 의해서 하향으로 이동된다.
캠(10)이 하향으로 이동하면 경사진 캠의 측부가 가압부(4)를 우측으로 밀어 가압부(4) 및 입력디스크(1)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플밸브(24)가 오일유출구(25b)를 조금씩 개방되도록 상부로 이동하면 피스톤(22)에 가해지는 오일압이 감소하여 피스톤(22)은 복귀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서 로드(21) 및 캠(10)과 함께 상승한다.
캠(10)이 상승하면 가압부(4) 및 입력디스크(1)는 탄력에 의하여 좌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캠(10)을 상하로 이동시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저감되고 캠(10)의 경사각을 조절하므로써 다향한 변속이 가능하게 되고, 그리고 유압장치(20)의 큰 행정의 상하운동을 캠(10)에 의해서 작은 행정의 좌우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정교한 변속이 가능하고 또한 유압장치(20)의 행정을 빠르게 하여도 무단변속장치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신속한 변속을 할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할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예나 수정예는 첨부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에 있어서,
    입력디스크(1)의 가압부(4)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입력디스크(1) 및 가압부(4)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캠(10)과,
    상기 캠(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장치(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20)는
    캠(10)과 일체로 되어 있는 로드(21),
    상기 로드(21)와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22),
    상기 피스톤(22)에 상향의 힘을 가하는 스프링(23),
    캠(10)을 하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오일압이 피스톤(22)에 유압이 점점 크게 걸리도록 하고 캠(10)을 상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오일압이 점점 작게 걸리도록 하는 스플밸브(24), 그리고
    상기 스플밸브(24)의 이동에 따라 오일압을 피스톤(22)에 가하고 해제할수 있도록 오일유입구(25a)와 오일유출구(25b)가 형성된 실린더(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밸브(24)는 솔레노이드(26)에 의해 듀티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토로이달 무단변속기구동장치.
KR1019960065607A 1996-12-13 1996-12-13 캠을 이용한 트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KR19980047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607A KR19980047164A (ko) 1996-12-13 1996-12-13 캠을 이용한 트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607A KR19980047164A (ko) 1996-12-13 1996-12-13 캠을 이용한 트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164A true KR19980047164A (ko) 1998-09-15

Family

ID=6652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607A KR19980047164A (ko) 1996-12-13 1996-12-13 캠을 이용한 트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1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77B1 (ko) * 2013-08-23 2014-08-20 자동차부품연구원 토로이달 무단 변속 장치
KR20190074424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진영프로토 무단변속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77B1 (ko) * 2013-08-23 2014-08-20 자동차부품연구원 토로이달 무단 변속 장치
KR20190074424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진영프로토 무단변속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7915C (zh) 用于车辆用无级变速器的变速比控制装置
KR100409410B1 (ko) 무단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US4434675A (en) Transmission ratio control arrangement for a precess cam controlled infinitely variable traction roller transmission
US3596528A (en) Infinitely variable cone pulley transmission
NL7907714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regelen van een traploos variabele transmissie.
EP1158215A3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motor vehicle
US6832965B2 (en) Speed change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9980047164A (ko) 캠을 이용한 트로이달 무단변속기 구동장치
JPH05272628A (ja) 無段階調節可能な円錐車伝動装置
NL8104001A (nl) Transmissie, in het bijzonder voor een motorvoertuig.
EP0937913A3 (en) Speed control device of toroid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3743049B2 (ja) 電磁ソレノイド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1182725A (ja)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0551275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피스턴의 리턴장치
NL8700626A (nl) Regelinrichting voor een traploos variabele voertuigtransmissie.
JP2007187291A (ja) 自動変速機用油圧制御装置
JPS6326454A (ja) 無段変速制御装置
BE1010048A3 (nl) Inrichting voor het regelen van een continu variabele transmissie bij motorvoertuigen.
NL8403443A (nl) Drukregelinrichting voor hydraulische vloeistof, voor een continu variabele automobieltransmissie, met een tegengesteld aan een leidingdruk varierende leidingdruk-regeldruk.
KR100334270B1 (ko) 자동변속차량용 클러치 작동구조
JPS5635851A (en) Automatic load controller for work vehicle
KR100867805B1 (ko) 무단 변속기의 변속장치
KR0142451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JP2003254424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H09210168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