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057U -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057U
KR19980047057U KR2019960060213U KR19960060213U KR19980047057U KR 19980047057 U KR19980047057 U KR 19980047057U KR 2019960060213 U KR2019960060213 U KR 2019960060213U KR 19960060213 U KR19960060213 U KR 19960060213U KR 19980047057 U KR19980047057 U KR 199800470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anges
mounting structure
instrument panel
airba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0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057U/ko
Publication of KR19980047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05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aring tabs, legs or the like for holding the lid before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60R2021/216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with energy absorbing or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커버(1)의 플랜지(2, 3)와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플랜지(4a, 4b)를 체결시키는 보울트(5, 5')에 진동흡수부재(6, 6')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의 플랜지(2, 3)에 돌출부(2a, 3a)가 형성되어 지지점이 커버(1)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커버(1)의 상하진동량이 줄게되어 진동시 소음이 줄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를 지지하는 위치가 정면에서 가까워짐으로써 주행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은 운전자용으로써 스티어링휠의 중앙부에 설치되나, 최근 조수석 탑승자의 보호를 위해 조수석 앞쪽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도 에어백을 설치하는 차량이 늘고 있다.
상기 조수석용 에어백의 케이스 전면부를 덮는 커버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커버(1)의 뒷면에 플랜지(2, 3)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2, 3)들의 끝부분이 각각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a, 4a)의 외측에 밀착된 후, 상기 플랜지들(2와 4a, 3과 4b)이 상호 보울트(5, 5')를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4)에 취부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서는 커버(1)의 플랜지(2, 3) 길이가 너무 길고, 보울트(5, 5') 체결지점이 커버(1)의 정면으로 부터 너무 멀기 때문에 이 커버(1)가 주행시 상하로 진동하게 되어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정면과 충돌하게 됨으로써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버의 플랜지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플랜지의 상호 지지점이 커버에 가까워짐과 더불어 진동흡수부재가 구비되어, 커버의 진동을 줄임으로써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된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대응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백커버,2, 3 - 플랜지,
2a, 3a - 돌출부,4 - 인스트루먼트패널,
4a, 4b - 플랜지,5, 5' - 보울트,
6, 6' - 진동흡수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백커버의 플랜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플랜지 단부에 맞닿게 되는 한편, 상기 에어백커버의 플랜지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플랜지들이 보울트로 체결되되, 이 보울트에 진동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에서 인스트루먼트패널로부터 에어백 커버에 전해지는 진동이 줄어듬과 동시에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부분의 위치가 커버에 가까워짐으로써 커버의 진동이 줄게 되어 소음이 저감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의 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커버(1)의 뒷면에 상하 2개의 플랜지(2, 3)이 형성되고, 이 플랜지(2, 3)가 각각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플랜지(4a, 4b)에 보울트(5, 5')를 매개로 체결되되, 상기 커버(1)의 플랜지(2, 3) 중간부분이 굴곡성형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부(2a, 3a)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2a, 3a)가 각각 해당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플랜지(4a, 4b)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커버(1) 플랜지(2, 3)의 보울트접합부분은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플랜지(4a, 4b)로부터 상기 돌출부(2a, 3a)의 길이 만큼 이격되며, 이 이격된 공간에 상기 보울트(5, 5')에 끼워지는 진동흡수부재(6, 6')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흡수부재(6, 6')는 원통형상의 고무로서, 몸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재질상의 특성과 형태상의 특성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시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플랜지(4a, 4b)로부터 커버(1)의 플랜지(2, 3)으로 전해지는 진동이 상기 진동흡수부재(6, 6')에서 흡수되고, 또한 돌출부(2a, 3a)가 인스트루먼트패널(4) 플랜지(4a, 4b)의 끝부분에 맞닿아서 지지점이 커버(1)쪽으로 이동되므로, 결과적으로 커버(1)의 진동량이 감소되어 커버(1)의 진동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진동흡수부재가 구비되어 커버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감소되고, 더불어 돌출부의 형성으로 지지점이 커버에 가까운 쪽으로 이동되므로 커버의 상하 진동이 억제되므로, 커버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에어백 커버(1)의 플랜지(2, 3)에 돌출부(2a, 3a)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a, 3a)가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플랜지(4a, 4b) 단부에 맞닿게 되는 한편, 상기 커버(1)의 플랜지(2, 3)와 인스트루먼트패널(4)의 플랜지(4a, 4b)들이 보울트(5, 5')로 체결되되, 이 보울트(5, 5')에 진동흡수부재(6, 6')가 구비되는 구조로 된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KR2019960060213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KR199800470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213U KR19980047057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213U KR19980047057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57U true KR19980047057U (ko) 1998-09-25

Family

ID=5399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213U KR19980047057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0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7057U (ko) 자동차의 에어백커버 취부구조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KR100324661B1 (ko)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KR100353738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KR0118276Y1 (ko) 자동차 휠하우스의 보강구조
KR100315351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KR200147650Y1 (ko) 자동차용 리어범퍼
KR0119205Y1 (ko) 자동차의 범퍼스테이구조
KR100568705B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파이프의 고정구조
KR100275153B1 (ko) 차량의 범퍼 스테이 구조
KR200216711Y1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구조
KR20050011521A (ko) 자동차용 대시 판넬 보강 구조
KR10032469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체결구조
KR100279574B1 (ko) 자동차필러의내장재구조
KR0126055Y1 (ko) 소음 및 진동저감을 위한 엔진장착 브라켓트
KR100384105B1 (ko) 차량용엔진마운팅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100199621B1 (ko) 충격 흡수용 스티어링 기어 박스 고정 구조
KR100188595B1 (ko) 차량용 차체 전방 상부부재의 보강구조
KR100643991B1 (ko) 자동차용 러버마운팅구조
KR19990032170U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KR970041700A (ko) 자동차의 휠하우스와 대쉬판넬 보강구조(A structure for reforcing a wheel house and a dash panel an automobile)
KR19980049688A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90053282A (ko) 자동차의 티-바 고정용 브라켓구조
KR19990034883A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KR19980042531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