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703A -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703A
KR19980045703A KR1019960063913A KR19960063913A KR19980045703A KR 19980045703 A KR19980045703 A KR 19980045703A KR 1019960063913 A KR1019960063913 A KR 1019960063913A KR 19960063913 A KR19960063913 A KR 19960063913A KR 19980045703 A KR19980045703 A KR 1998004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ndshield
plate
vehicle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703A/ko
Publication of KR1998004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703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아암의 소정위치에 그 크기가 조절되는 바람받이부재를 구비하여서 자동차를 고속주행시 와이퍼를 글라스 측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그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기 와이퍼 아암(1)에 고정설치되고 대략 사각형의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람받이부재(10)와, 상기 바람받이부재(10)내에 구비되고 전면을 향해 슬라이드 작동되어 바람받이 면적을 조절토록 하면서도 후면에 기어봉(12)을 가지는 판체형의 조절판(11)과, 상기 조절판(11)의 기어봉(12)에 치합되는 웜기어(14)를 회전축에 구비되면서도 정,역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동모우터(13)를 갖추어서 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WIND SHIELD WIPER)의 뜨임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퍼 아암의 소정위치에 그 크기가 조절되는 바람받이부재를 구비하여서 자동차를 고속주행시 와이퍼를 글라스 측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그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모든 자동차에는 눈,비가 오는 기상조건하에서 운전자의 운전에 따른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윈드 시일드 글라스를 닦아주도록 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가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와이퍼 구조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동모우터부와,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 그리고 글라스를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와이퍼의 종래 구성을 일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1에서도 보는 바와같이 구동모우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퍼 아암(1)의 끝단에 레버(LEVER)(2)가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의 레버(2)의 양측단에는 각각 한쌍의 요크(YKE)(3)(4)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요크(3)(4)에는 와이퍼 플레이트(WIPER PLATE)(5) 및 블레이드(BLADE)(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5) 및 블레이드(6)는 와이퍼 아암(1), 레버(2), 그리고 요크(3)(4)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에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작동되어 지는 것으며, 미도시된 구동모우터의 동력에 의해 와이퍼 아암(1)이 회동작동됨으로써 블레이드(6)가 글라스의 표면을 닦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승용차 등에 적용되고 있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는 각부재들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와이퍼 블레이드(6)가 글라스 표면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외부의 풍향에 따른 기상조건이 좋지 못할 경우에나 또는 자동차를 고속으로 주행시에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가 글라스의 표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었다.
즉, 자동차를 저속으로 운행시에는 전면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공기압력이 약함으로써 문제가 없으나, 고속으로 운행시에는 외부의 공기압력이 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증가하게 됨으로써 와이퍼가 글라스의 표면으로 부터 들뜨는 현상이 심하게 발생되어 지는 것이었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와이퍼가 제기능을 다하지 못함은 물론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를 고속으로 주행시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들뜸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와이퍼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윈드 시일드 와이퍼(WINDSHIELD WIPER)의 뜨임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윈드 시일드 와이퍼에 있어, 와이퍼 아암의 소정위치에 그 크기가 조절되는 바람받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상기 바람받이부재에 구동모우터의 동력에 의해 진퇴작동되는 슬라이드판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차를 저속운행시에는 바람받이부재만으로 와이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고속운행시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동모우터의 동력으로 슬라이드판을 전진작동시켜 바람받이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와이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측면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도1의 평면구성도로서 작동전의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 도1의 평면구성도로서 작동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와이퍼 아암 2:레버
3.4:요크 5:플레이트
6:블레이드 10:바람받이부재
11:조절판 12:기어봉
13:구동모우터 14:웜기어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구성을 일부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와이퍼는 통상에서와 같은 와이퍼로서, 즉, 구동모우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퍼 아암(1)과, 이의 와이퍼 아암(1)에 구비되는 레버(2) 및 한쌍의 요크(3)(4)와, 그리고, 상기 요크(3)(4)에 연결되는 플레이트(5) 및 블레이드(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와이퍼 아암(1)의 소정위치에 바람받이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의 바람받이부재는 부호 10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바람받이부재(10)는 대략 사각형의 함체형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의 전단에는 슬라이드 작동되어 전면으로 입출되는 조절판(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판(11)의 후면에는 기어봉(12)이 후방을 향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람받이부재(10)는 일정크기의 판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자동차를 운행시 전면에서 가해지는 바람을 받게 될 것이며, 와이퍼 아암(1)에 고정설치되면서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또한, 상기 조절판(11)은 바람받이부재(10)에 지지되어 전면을 향해 입출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판(11)의 기어봉(12)에는 소형 구동모우터(13)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웜기어(14)가 이맞물림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구동모우터(13)는 극히 소형으로써 와이퍼 아암(1)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2는 본 발명이 작동되기전의 상태도로서, 즉, 자동차를 저속으로 주행시 공기저항이 강하지 않은 상태도이며, 이때에는 조절판(11)이 후진작동되어 바람받이부재(10)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면적이 바람받이부재(10)의 면적만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행하게 되면, 자동차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공기압력이 바람받이부재(10)의 전체면에 가해지게 되어 와이퍼가 윈드 시일드 글라스로 밀착되어져 와이퍼의 성능이 향상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면, 자동차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공기압력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어 지는 것이고, 이때에는 운전자가 도면에 미도시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모우터(13)가 작동되면서 웜기어(14)가 회전구동되어 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웜기어(14)와 치합된 기어봉(12)이 작동됨으로써 첨부도면의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판(11)은 전진작동을 하게 되어 바람받이부재(10)의 전면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우터(13)의 회전동력이 웜기어(14)와 기어봉(12)으로 전달되어져 조절판(11)을 슬라이드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조절판(11)은 바람받이부재(10)에 지지된채로 밀려나게 되면서 바람받이부재(10)의 전체적인 면적이 조절판(11)이 밀려난 양만큼 증가되어 짐으로써 와이퍼는 더욱 글라스측으로 밀착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와이퍼가 글라스측으로 부터 들뜨게 되는 것이나, 이에 대응하여 바람받이부재(10)도 조절판(11)에 의해 공기저항을 더욱 많이 받게 됨으로써 와이퍼는 들뜨는 힘에 대응하여 글라스측으로 더욱 밀착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를 고속으로 운행하다가 다시 저속으로 운행시에는 작동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구동모우터(13)가 역회전 작동됨으로써 전술한 역순으로 작동되어 조절판(11)이 다시 바람받이부재(10) 내부로 삽입되어 원위치되어 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이퍼 구조에 있어, 와이퍼 아암에 외부의 공기압력에 의해 그 면적이 조절되는 바람받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와이퍼가 글라스측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들뜸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고 더나아가 와이퍼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외부의 풍향 속도에 따른 기상의 악조건이나 또는 윈드 시일드 글라스의 곡면의 차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밀착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와이퍼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구동모우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어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글라스의 표면을 닦아주도록 하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에 고정설치되고 대략 사각형의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람받이부재(10)와,
    상기 바람받이부재(10)내에 구비되고 전면을 향해 슬라이드 작동되어 바람받이 면적을 조절토록 하면서도 후면에 기어봉(12)을 가지는 판체형의 조절판(11)과,
    상기 조절판(11)의 기어봉(12)에 치합되는 웜기어(14)를 회전축에 구비되면서도 정,역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동모우터(13)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KR1019960063913A 1996-12-10 1996-12-10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KR19980045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13A KR19980045703A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13A KR19980045703A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703A true KR19980045703A (ko) 1998-09-15

Family

ID=6652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913A KR19980045703A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33B1 (ko) * 2005-10-31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33B1 (ko) * 2005-10-31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8504574A1 (es) Perfeccionamientos en un mecanismo de transmision
US20080072392A1 (en) Double-sided windshield wiper
CN210734093U (zh) 汽车侧窗雨刮器
KR19980045703A (ko) 자동차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 구조
KR100439888B1 (ko) 차량의 윈드실드글라스 김서림 제거장치
KR200156239Y1 (ko) 차량윈도우와이퍼
EP0053425A3 (en) Vehicle rear view mirror assemblies
CN215244608U (zh) 一种带有雨刷器的汽车后视镜
KR10029379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46880Y1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 와이퍼의 와이핑 에어리어 변환 장치
KR19980030646U (ko)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뜨임방지구조
KR100372701B1 (ko) 내장용 도르래에 의한 길이 가변형 와이퍼
KR200144419Y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구동장치
KR19980034951U (ko)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제어시스템
KR900008830Y1 (ko) 윈드 시일드 와이퍼 장치
GB2146590A (en) Arrangements of vehicles wiping apparatus
KR200177918Y1 (ko) 자동차의 폭우 방호용 보조창
KR20050036569A (ko) 차량의 와이퍼 구동장치
KR19980058687U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0139028Y1 (ko) 자동차용 윈드시일드 와이퍼 구동장치
KR100345838B1 (ko) 차량용 와이퍼의 가압장치
KR19980055803U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9980048963U (ko)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차량용 와이퍼
KR19980062619A (ko) 자동차의 와이퍼 속도 조절장치
KR19980033437U (ko) 자동차의 단일형 윈드시일드 와이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