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389A - 메모리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389A
KR19980042389A KR1019970059789A KR19970059789A KR19980042389A KR 19980042389 A KR19980042389 A KR 19980042389A KR 1019970059789 A KR1019970059789 A KR 1019970059789A KR 19970059789 A KR19970059789 A KR 19970059789A KR 19980042389 A KR19980042389 A KR 1998004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cavity
over
nit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우야다까유끼
Original Assignee
윌리엄비.켐플러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비.켐플러,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비.켐플러
Publication of KR1998004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595Microstructure polycrystal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8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the storage electrode having multiple se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Abstract

저장 커패시터를 가지는 메모리 집적 회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접촉 영역(453)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접촉 영역을 제외한 트랜지스터는 다음으로 제1 재료(462, 466)로 덮힌다. 접촉 영역 및 제1 재료는 제2 재료의 층(470)으로 덮히며, 화학-기계적 폴리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평탄화된다. 제2 재료의 층의 부분은 제1 재료로 된 기부 및 제2 재료로 된 제2 재료를 가지는 캐버티를 형성한다. 캐버티는 또한 접촉 영역을 노출시킨다.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472)의 제1 도전층이 다음으로 캐버티내에 형성되어 기부 및 측면에 합치한다. 제1 도전층은 또한 제1 층(470)의 표면위로 연장한다. 제1 도전층의 이러한 부분은 다음으로 하부층(470)의 평면 성향을 고려할 때 화학-기계적 폴리싱에 의해 캐버티내의 층(472)의 부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진행되어 캐버티내의 제1 도전층위로 유전층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유전층위로 필드 플레이트인 제2 도전층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메모리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동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 집적 회로(DRAM)은 디지탈 정보의 일시적 저장을 제공한다. DRAM의 현저한 특성은 회로내에 저장된 정보는 리플레시되지 않는 경우 신속히 분실된다. 정보 저장이 DRAM내에서 일시적인 이유는 데이타 저장이 충전된 커패시터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셀은 메모리 회로의 중심부이다. 이는 패스 트랜지스터(104) 및 커패시터(106)에 접속된 워드 라인(100) 및 비트 라인(102)을 포함한다. 워드 라인(100) 상의 전압이 상승하는 경우, 패스 트랜지스터(104)는 온이되고, 비트 라인(102)은 저장 커패시터(106)에 접속된다. 셀내에 저장된 정보는 저장 커패시터가 충전인지 또는 방전인지에 일치한다. 불행하게도, 커패시터는 전하를 누설하며, 리플레시되지 않는다면, 충전된 커패시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셀은 이내 방전된 커패시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전하 누설의 문제에 대한 자연 해결책은 단순하게 커패시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DRAM 회로에서 저장 커패시터만으로도 회로 다이 영역의 50 내지 60%를 점유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접근법은 작은 셀 크기에 대한 필요성과 상충된다. 다이 영역 상의 공간은 특히 중요하므로, 셀 설계에서서 저장 커패시터는 기판 표면 상에 형성되지 않고, 기판 표면 위로 연장하는 돌출부상에 형성된다. 그러한 수직-형성 커패시터는 관련 산업에서 적층 커패시터로 공지된다. 적층 셀의 사용은 비싼 반도체 다이 영역을 점유하지 않고 높은 저장 용량이 가능하게 한다.
도 2a는 종래 기술의 평면형 DRAM 셀을 도시하고, 도 2b는 종래 기술의 적층 셀을 도시한다. 도 2a에서, 저장 노드(storage node), 또는 커패시터의 단자는 커패시터 유전체(202) 아래의 반도체 기판(200)에 위치한 트랜지스터에 접속된다. 평면 커패시터의 다른 단자 또는 필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폴리실리콘이며, 소자(204)로 도시된다. 워드 라인(206)은 패스 트랜지스터에 대한 게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며, 게이트 절연체(208) 위 및 소스와 드레인 주입 영역(210) 사이에 위치한다. 비트 라인(212)은 워드 라인 및 저장 커패시터에 수직이고 위에 있다. 도 2b에 도시된 적층 셀에서, 커패시터의 플레이트는 폴리실리콘이다. 저장 노드(250)는 포선형(包旋形)이 되고(convoluted), 기판의 트랜지스터 접촉 영역(260)에만 접촉한다. 워드 라인(256) 및 비트라인(262)은 도 2a의 구조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이다. 커패시터 유전체(252)는 일반적으로 산화물 또는 산화물과 질화물의 화합물이다. 필드 플레이트(254)는 도 2a의 커패시터를 가진 경우보다 큰 표면 영역을 가진 커패시터를 생성하도록 저장 노드(250)의 포선형에 합치한다. 도 2b의 적층 셀에 의해 현저히 감소된 다이 영역은 또한 도 2a의 구조와 비교해서 명백하다.
차세대 DRAM의 설계는 저장 커패시터가 도 2b에 도시된 구조보다 적은 다이 영역을 점유하는 것을 요한다. 적층된 셀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종래 공정에 대한 문제는 커패시터의 수직 성향이 커패시터 형성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층(일반적으로 산화물)을 요한다는 것이다. 접촉 영역은 종종 그 용적에서 0.5㎛ 보다 작으므로, 커패시터로부터 패스 트랜지스터까지의 접촉 영역(소스 또는 드레인)까지의 접촉은 두꺼운 층들에 의해 복잡해지고, 차세대 DRAM에서 계속 더 작아질 것이다. 두꺼운 층내에 작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면, 종래 공정은 산화물의 두꺼운 층내에 작은 구멍을 에칭하기에 필요한 선택도를 얻기 위해 약 0.36㎛의 개구부를 가진 폴리실리콘 또는 실리콘 질화물 하드마스크에 의존한다. 그러한 하드마스크를 사용하더라도, 수용될 수 있는 에칭 깊이는 약 50% 또는 그 이상의 깊이가 소망되는 경우 종종 단지 1.0㎛이다. 요구된 깊이를 얻기 위해서, 종래 공정은 일반적으로 다중 마스킹 단계에 의존하는데, 트랜지스터에 접촉하는 커패시터의 하부 부분은 두꺼운 산화물 층이 인가되기 이전에 형성된다. 구멍은 다음으로, 폴리실리콘으로 플러그되고, 커패시터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두꺼운 층이 잇다른다. 종래 공정에서의 커패시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다중 마스크 단계는 그러므로 복잡해지고 경제적으로 매력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적층 커패시터 형성의 단순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 집적 회로내에서 저장 셀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커패시터 제조 공정이 개재된다. 본 공정은 화학-기계적 에칭 기술에 의해 제공된 표면 평탄성 및 하부에 위치한 비유사층으로부터 박층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의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개재된 공정은 기판의 표면에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다음 단계인 표면 및 접촉 영역 위로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층의 표면은 다음으로 예를 들면 화학-기계적 폴리싱을 사용하여 평탄화된다. 다음으로 제1 층의 부분들은 커패시터가 형성될 제1 층내의 캐버티 또는 오목부(recess)를 형성하도록 제거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의 하부 전극층은 제1 층의 표면위 및 캐버티내에 등각적으로 피착된다. 다음으로 화학-기계적 폴리싱은 제1 층의 표면으로부터 하위 전극의 부분들을 제거하도록 사용되며, 캐버티내에 하위 전극층을 남긴다. 다음으로 유전층이 캐버티내에 남은 하위 전극층과 다음으로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으로 된 상부 전극 층의 부분 위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접촉 영역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재된다. 다음으로 접촉 영역을 제외한 트랜지스터는 제1 재료로 덮힌다. 접촉 영역 및 제1 재료는 제2 재료로 덮히고, 다음으로 화학-기계적 폴리싱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평탄화된다. 제2 재료의 층의 부분은 제1 재료로 형성된 기부 및 제2 재료로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캐버티를 형성하도록 제거된다. 또한, 접촉 영역은 캐버티내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인 제1 도전층은 캐버티내에 형성되어 기부 및 측면과 합치한다. 제1 도전층은 또한 제2 재료의 층의 표면위로 연장한다. 이러한 부분은 하부층의 평면 성향을 고려할 때 화학-기계적 폴리싱에 의해 캐버티내의 층의 부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이격될 수 있다. 공정은 진행되어 캐버티내의 제1 도전층 위로 유전층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상기 유전층위로 필드 플레이트인 제2 도전층을 형성한다.
메모리 저장 셀의 크라운(crown) 또는 적층된 부분이 형성되는 층의 평탄화는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층들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기계적 폴리싱을 사용하도록 함에 의해 공정을 단순화한다. 이 공정은 커패시터의 크라운 또는 적층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에칭-백 단계를 따라 스핀-온 글래스 또는 수소 실세스퀴오잔(hydrogen silsesquioxane)의 사용에 대한 간단한 별예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메모리 셀의 개략적 도면.
도 2a는 평면 커패시터를 가지는 종래 기술의 메모리 셀의 횡단면도.
도 2b는 적층 셀 커패시터를 가지는 종래 기술의 메모리 셀의 횡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b는 제1 양호한 실시예 공정의 단계들의 횡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제2 양호한 실시예 공정의 단계들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실리콘 기판
353 : 접촉 영역
362 : 질화물 층
366 : 측벽
370 : 크라운 산화물 층
372 : 폴리실리콘층
376 : 유전층
378 : 폴리실리콘층
본 발명의 제1 양호한 실시예가 도 3a 내지 도 3bb에 도시된다. 도 3a에서, 약 13.5nm 두께의 실리콘 이산화물(SiO2)의 층(302)이 p-형 후방 도핑을 한 실리콘 기판(300)위로 형성된다. 약 140nm 두께의 실리콘 질화물(Si3N4)의 층(304)이 다음으로 산화물 층(302) 위로 형성된다. 도 3b에서, 총괄해서 층(306)으로 도시된 포토레지스트 및 반-반사 코팅(anti-reflective coating)이 질화물 층(304) 위로 피착되고 패턴화된다. 도 3b 내지 도 3aa는 DRAM의 횡단면도로서, 메모리 셀은 괄호 및 구성 요소(308)로 표시된 도면의 좌측 부분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3b에서 괄호 및 구성 요소(310)로 표시된 도면의 우측 부분은 집적 회로의 주변 회로를 구성하는 n-mos 및 p-mos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포토레지스터(306)를 패터닝한 이후에, 질화물 층(304)은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레지스트 층(306)에 의해 덮히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건식-에칭된다. 도 3d에서, 필드 산화 영역(312)은 구조물을 증기로 약 1050℃로 약 40분 동안 가열함에 의해 형성된다. 필드 산화 영역(312)은 약 400nm 두께이다. 실리콘의 로컬 산화 이외의 고립 형태가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물은 도 3e의 구조를 생성하는 일련의 주입 단계가 준비된다. 먼저, 깊은 웰(deep well: 320)이 예를 들면 약 6x1012cm-3의 분량 및 약 500keV의 에너지의 인의 주입에 의해 형성된다. 메모리 셀이 형성되는 부분 위의 p-웰(322)의 주입 및 n-mos 주변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부분 위의 p-웰(324)은 보론 주입 공정의 3 단계를 포함한다. 보론의 제1 분량은 약 300keV의 에너지에서 거의 8.0x1012cm-3이고, 제2 분량은 약 180keV에서 약 9.0x1012cm-3이며, 제3 분량은 약 20keV에서 약 2.0x1012cm-3이다. p-mos 주변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부분 위의 n-웰(326)은 예를 들면 약 500keV에서 약 2.0x1013cm-3의 제1 분량 및 약 250keV에서 약 5.0x1012cm-3의 제2 분량의 인을 주입하는 2 단계를 포함한다.
도 3f에서, 구조물은 주입 단계 다음에 세정되고, 게이트 산화물(330)은 증기 상태에서 850℃에서 형성된다. 게이트 산화물의 두께는 약 9nm이다. 게이트 상호 결선은 텅스텐 규소 화합물(WSi2)(334)에 의해 캐핑(cap)된 폴리실리콘층(332)을 포함한다. 폴리실리콘층(332)은 거의 62nm 두께이며, WSi2층(334)은 약 120nm이다. 이러한 층들은 다음으로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 TEOS)의 분해를 통해 형성된 약 10nm 두께의 산화물 층(336) 및 약 200nm 두께의 질화물 층(338)에 의해 케핑된다.
도 3g에서, 포토레지스트 및 반-반사층(구성 요소 340으로 복합적으로 도시됨)은 트랜지스터 게이트의 소망된 위치를 덮도록 피착 및 패턴화된다. 포토레지스트(340)에 의해 덮히지 않은 층(332, 334, 446, 및 338)은 다음으로 제거되어 도 3h의 구조로 남는다. 게이트 구조(342)는 메모리 셀의 워드 라인을 포함하고, 구조(344 및 346)은 각각 예시된 주변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도 3g 및 다음 도면들에 도시된 게이트 또는 워드 라인의 수는 저장 셀 커패시터의 명확한 표면을 촉진하기 위해 선택된 것으로 인식된다. 당업자라면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유사하게 정렬된 워드라인, 트랜지스터, 및 저장 셀 커패시터로 구성된 메모리 어레이는 명백한 것으로 인식된다.
도 3i에서, 폴리실리콘(332) 및 WSi2층(334)은 산화되어 거의 9.5nm 두께 측벽 산화물(348)을 생성한다. 이 단계 다음으로 메모리 셀 게이트(342) 및 n-mos 게이트(346)의 두측 위로 p-mos 트랜지스터(347)의 마스킹 및 초기 n-형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350)의 주입이 계속된다. 메모리 셀은 다음으로 마스크되고, 제2 LDD 주입이 n-mos 트랜지스터(349)에 대해 수행된다. 유사하게,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349)가 게이트(344)측 상에 LDD 패턴(350)을 형성하도록 p-형 도펀트의 주입에 대해 마스크된다.
도 3j에서, 질화물 층(352)이 약 100nm의 두께로 전체 구조물 상에 형성된다. 질화물 층(352)은 다음으로 이방성 에칭되어, 게이트 구조의 측벽을 제외한 구조물의 전 부분으로부터 상기 층을 제거한다. n-mos 및 p-mos 트랜지스터는 다음으로 사전에 LDD 주입을 격는 영역(350)내의 고 도핑 소스 및 드레인 접촉부(개별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는 예를 들면 고농도의 비소 및 보론을 주입하도록 교번으로 노출된다.
소스/드레인 도펀트의 주입 다음으로, 산화물 층(354)은 약 50nm 산화물 층을 생성하도록 먼저 TEOS를 분해하고 다음으로 약 500nm의 두께의 보로포스포실리케이트 글래스(borophosphosilicate glass: BPSG)의 층을 분해함에 의해 구조물위로 형성된다. 산화물 층은 다음으로 도 3k에 도시된 것처럼 약 120nm의 두께로 에칭된다.
도 3l에서, 포토레지스트(356)이 피착되고 패턴화되어,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대한 비트라인 접촉이 수행되는 영역을 노출시킨다. 산화물 층(354)의 노출된 부분이 다음으로 거의 100mTorr의 압력 및 1500Watt의 RF 전력으로, 주 부식제로서 탄소 일산화물(CO)을 사용하여 이방성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으로 제거된다. CO 에칭은 게이트 구조물(342)의 측벽을 코팅하는 질화물(352)을 적절히 제거하지 못한다. 산화물의 에칭 및 포토레지스트 마스킹의 제거는 도 3m에 도시된 구조를 생성한다.
도 3n에서, 산화물(354)의 표면 및 도 3l 및 도 3m을 참조로 설명된 에칭 이후에 남은 디프레션(depression)을 덮도록 소스/드레인 주입 영역(350)으로의 비트 라인 접촉이 거의 62.0nm 두께의 폴리실리콘층(358)을 먼저 피착함에 의해 설치된다. 폴리실리콘층(358)은 약 1.65x1020cm-3의 농도로 예를 들면 인으로 피착되는 동안 동일 장소에서 도핑된다. 폴리실리콘층(358)은 비트라인 상호결선의 전체 저항을 낮추도록 약 120.0nm 두께의 WSi2층(360)으로 덮힌다. WSi2층(360)은 다음으로 거의 200.0nm 질화물 층(362)으로 덮힌다.
도 3o에서, 질화물 층(362), WSi2층(360), 및 폴리실리콘층(358)은 포토레지스트(364)로 덮히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접촉(353)에 접촉하는 저장 셀 커패시터의 위치를 노출시키도록 패턴화된다. 질화물 층(362), WSi2층(360), 및 폴리실리콘층(358)은 이방성 에칭 공정으로 제거된다. 질화물 층(362)은 주 부식제가 예를 들면 SF6인 반응성 이온 에칭 장치를 사용하여 제거되고, WSi2및 폴리실리콘층은 예를 들면 염소 에칭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도 3p를 참조로, 측벽 질화물(366)이 구조의 표면 위로 약 100nm 두께의 실리콘 질화물 층을 구조의 표면위로 피착함에 의해 형성된다. 질화물은 다음으로 주 부식제로 예를 들면 SF6을 사용하여 이방성 에칭되어 산화물 층(354)의 표면 및 질화물 층(36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질화물 측벽(366)만 남긴다.
도 3q에서, 약 25nm 두께를 가지는 에칭 정지 질화물 층(368)이 구조의 표면위로 피착된다. 크라운 산화물 층(370)은 다음으로 질화물 에칭 정지 층(nitride etch stop layer)위의 TEOS를 분해함에 의해 약 500nm 두께로 피착된다. 도 3r에서, 포토레지스트층(371)은 저장 셀 커패시터의 소망된 위치위로 크라운 산화물 층(370)의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피착되고 패턴화된다. 도 3s를 참조로, 크라운 산화물 층(370)의 노출된 부분은 주 부식제로 탄소 1산화물을 사용하는 이방성 에칭 공정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의 이방성 성향 및 산화물 대 질화물 층의 제거 시의 탄소 일산화물 부식제의 선택으로 인하여 크라운 산화물 층(370) 및 산화물 층(354)의 제거는 질화물 측벽(352 및 366)의 수직 부분을 상대적으로 작게 제거한다. 그러나 질화물 층(362) 및 측벽(366 및 352)의 수평 표면은 일반적으로 에칭의 방향에 수직이고, 그러므로 도 3s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적으로 큰 부분의 질화물 영역이 에칭 동안 제거된다. 그 결과의 구조물은 측벽 질화물(352), 산화물 층(354), 및 질화물 측벽(366)에 의해 한정된 하부 부분을 가진 캐버티를 포함한다.
도 3r에 도시된 단계에서 포토레지스트층(371)의 패턴화된 개구부는 도 3s에 형성된 캐버티의 하부 부분보다 훨씬 넓다. 도 3r의 포토레지스트(371)내의 개구부는 충분히 넓어서(일반적으로 0.7과 1.0㎛사이), 크라운 산화물 층(370)과 산화물 층(354) 모두의 제거는 단일 에칭 단계에서 성취될 수 있다. 질화물 측벽(366 및 352)은 에칭이 노출된 접촉 영역(353)(일반적으로 약 0.36㎛)과 일관되게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진 캐버티의 하부 부분에 국한되는 것을 보장하며, 포토레지스트(371)은 크라운 산화물 층(370)의 부분들의 제거에 의해 필수적으로 형성된 캐버티의 상부 영역의 면적을 한정한다. 캐버티의 상부 부분 즉, 크라운 산화물 층(370)의 측면 및 질화물 영역(362 및 366)의 기부를 가지는 부분은 하부 부분 폭의 약 2배이며, 그 폭은 질화물 측벽(366 및 352)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한 단일 에칭 단계로부터의 캐버티는 상대적으로 큰 표면 영역을 가지고, 그 안에서 크라운 또는 적층된 셀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산화물 층(354)의 제거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접촉(353)이 노출된다. 도 3t에서, 트랜지스터와의 전기적 접촉은 다음으로 저장 셀 커패시터의 기부 전극의 역할을 하는 폴리실리콘층(372)을 피착함에 의해 설치된다. 폴리실리콘층(372)은 두께가 약 62nm이고, 약 1.65x1020cm-3의 농도의 인으로 도핑된다. 도 3u에서, 글래스층(374)은 폴리실리콘층을 덮도록 스핀 온(spin on) 된다. 글래스층(374)은 양호하게는 약 400nm 두께로 스핀 온된 수소 실세스퀴오잔(HSQ)이다. 도 3v에서, 글래스층(374)은 폴리실리콘층(372)을 노출시키도록 에칭 백(etch back)된다. 글래스층(374)의 부분은 저장 셀 커패시터의 소망된 위치와 일치하는 구조물내의 디프레션에 남는다. 그 층의 노출된 부분이 도 3w에 도시된 것처럼 염소-기준 에칭으로 제거되는 경우, 이러한 층(374)의 남아 있는 부분은 폴리실리콘층(372)을 보호한다.
도 3x에서, 크라운 산화물 층(370) 및 스핀-온 글래스층(374)의 나머지 부분은 예를 들면 불화 수소산 용액을 사용하여 제거되어, 도시된 것처럼 기판 위로 연장하는 층(372)의 수직 부분을 남긴다. 층(372)은 각각의 저장 셀 커패시터의 하부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커패시터 유전체(376)는 양호하게는 도 3y에 도시된 전체 구조위로 피착된 약 6nm의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며, 다음으로 질화물 막의 결함 농도를 감소하고자 약 850℃의 증기에서 약 18분 동안 산화시킨다. 예를 들면 탄탈륨 펜트옥사이드(tantalum pentoxide), 바륨 스트론티움 티타네이트(barium strontium titanate), 납 지르코네이트 티타네이트(lead zirconate titanate), 및 스트론티움 비스무쓰 티타네이트(strontium bismuth titanate)도 적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도 3z에서, 거의 85nm 두께의 폴리실리콘층(378)이 커패시터 유전체(376) 위로 피착된다. 폴리실리콘층(378)은 예를 들면 인으로 그 자리에서 도핑되어 그 농도는 약 4,5x1020cm-3이다.
도 3aa에서, 폴리실리콘층(378)은 예를 들면 염소와 SF6의 화합물로 에칭되어 저장 셀 커패시터의 필드 또는 공통 플레이트 전극의 범위를 한정한다. 산화물 층(380)은 다음으로 거의 100nm 산화물 층을 생성하도록 TEOS를 분해하고 다음으로 약 800nm 두께의 보로포스포실리케이트 글래스(borophosilicate glass: BPSG)의 피착에 의해 구조물위로 형성된다. 산화물 층은 다음으로 약 640nm 두께로 에치 백된다.
도 3bb는 회로를 패키징하기 전의 구조를 도시한다. 산화물 층(380)위로 비아(386)을 통해 주변 트랜지스터(384)에 억세스하는 제1 금속층(382)이 피착된다. 제1 금속층(382)은 포토레지스트로 패턴화되고, 소망된 집적 회로의 연결 부분으로 도시된 것처럼 에칭된다. 산화물 층(380) 및 제1 금속층(382)은 다음으로 산화물 층(388)에 의해 덮힌다. 제2 금속층(390)은 포토레지스트로 패턴화되고 소망된 집적 회로의 부분들을 연결하도록 도시된 것처럼 에칭된다. 산화물 층(388) 및 제2 금속층(390)은 산화물 층(394)에 의해 덮힌다. 장벽 금속층(396)은 다음으로 산화물 층(394)위로 피착되며, 비아(398)을 통해 제2 금속층(390)에 억세스한다. 제3 금속층(400)은 장벽 금속층(396)위로 피착되고, 포토레지스트로 패턴화되며, 소망된 것처럼 집적 회로의 부분을 연결하도록 도시된 것처럼 에칭된다. 장벽 금속층(396) 및 제3 금속층(400)은 다음으로 산화물 층(402)로 덮힌다. 산화물 층(402)은 차례로 폴리이미드층(406)으로 덮힌 질화물 층(404)로 덮힌다.
제2의 양호한 실시예 공정에서, 저장 커패시터 셀의 크라운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양호한 실시예 공정의 단계는 공정을 단순히 하고자 개조된다. 특히, 도 3q 내지 3w에 도시된 단계들은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것으로 대치될 수 있다. 제2 양호한 실시예 공정의 특징은 저장 커패시터 셀의 크라운 부분의 형성 이전에 구조의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화학-기계적 폴리싱(chemical-mechanical polishing: CMP)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CMP는 반도체 영역외에도 유전체를 평평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화학적 및 기계적 마모를 포함한다. 화학적 마모는 평탄화될 표면을 화학적으로 약화시키도록 현탁액(slurry)를 사용하여 수용된다. 폴리싱 현탁액은 일반적으로 염기성 또는 산성 용액의 혼합물로서, 알루미나(alumina) 또는 실리카(silica) 입자의 혼합된 현탁액의 화학적 혼합물을 포함한다. 기계적 마모는 웨이퍼 또는 층 표면이 눌려지는 폴리싱 패드를 사용하여 수용된다. 폴리싱 패드 및 웨이퍼는 회전되어 표면 재료를 제거하게 된다. 제거된 재료는 다음으로 부가 현탁액을 추가함에 의해 폴리싱 패드의 모서리 위로 및 드레인내로 세정된다. CMP 평탄화 공정은 다음 장치 공정을 위해 매끄럽고 손상이 없는 표면을 생성한다. 이는 피착/에치백 평탄화보다 작은 단계를 필요로 하고 양호한 제거 선택도 및 비 제어를 가진다.
CMP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 양호한 실시예 공정에 채택된다. 도면에서, 크라운 산화물 층(470)의 표면은 화학적 혼합물로서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KOH)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가진 CMP를 사용하여 평탄화된다.
도 4b에서, 포토레지스트층(471)은 피착되고 패턴화되어 저장 셀 커패시터의 소망된 위치위로 크라운 산화물 층(470)의 부분을 노출시킨다. 도 4c를 참조로, 크라운 산화물 층(470)의 노출된 부분은 주 부식제로서 산소 일산화물로 이방성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제거된다. 산화물 대 질화물 층을 제거하는데 있어서의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의 이방성 및 탄소 일산화물 부식제의 선택성으로 인해, 크라운 산화물 층(470) 및 산화물 층(454)의 제거는 질화물 측벽(452, 466) 및 비트라인 위에 형성된 질화물 층(462)을 상대적으로 작게 제거하여 수행된다. 층(470 및 454)의 제거로 트랜지스터 접촉 영역(453)을 노출시킨다.
도 4d에서, 도 3t에 도시된 것처럼, 폴리실리콘층(472)은 산화물 층(470) 위로 등각적으로(conformally) 피착된다. 도 3u 및 3v에 도시된 스핀-온 글래스 및 에치-백 단계와 대조적으로, 도 4d에서 평탄화된 산화물 층(470)은 평면 폴리실리콘층(472)이 된다. 그러므로, 커패시터의 저장 노드 전극을 한정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층(472)의 부분은 화학 약품으로 KOH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포함하는 다른 CMP 단계로 용이하게 제거된다. CMP에의한 층(472)의 부분의 제거는 도 4e에 도시된 구조를 생성한다. 공정의 나머지 단계는 제1 양호한 실시예 공정을 참조로 도 3x 내지 도 3b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CMP으로 산화물 층(470)을 평탄화하는 것은 저장 셀 커패시터의 폴리실리콘 크라운을 형성하는 관련 에치-백 단계를 이용한 스핀-온 글래스(예를 들면 HSQ)의 적용물로 대치될 수 있다. 크라운 폴리실리콘(472)의 피착 이전의 산화물 층(470)의 평탄화 동작은 평탄화된 표면상에 피착된 폴리실리콘층(472)(도 4d 참조)의 이러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이 개략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이해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외에도 개략적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및 병합물은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할때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가 그러한 변형 및 실시예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 3s에 도시된 캐버티가 반도체 기판 표면의 접촉 영역(353)을 근거로 좁은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당업자에게는 기판의 표면이 아닌 순차적으로 인가된 층 또는 영역의 표면에 위치한 접촉 영역을 근거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예로는 상부-레벨 폴리실리콘 상호결선층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적층 커패시터가 종래 2 에칭 단계보다는 단일 에칭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20)

  1. 기판 위로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층내에 캐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상기 표면 위와 상기 캐버티내에 하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전극층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부 전극층을 화학-기계적으로 폴리싱하는 단계;
    상기 캐버티내의 상기 하부 전극층의 나머지 부분위로 유전층(dielectric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층위로 상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산화물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표면을 평탄화하는 상기 단계는 화학-기계적 폴리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전극 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기계적으로 폴리싱하는 상기 단계는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를 포함하는 현탁액(slurry)으로 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유전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질화물 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질화물을 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8. 기판의 표면에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 및 상기 접촉 영역 위로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층내에 캐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접촉 영역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층의 상기 표면 위와 상기 캐버티내에 하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층을 제거하도록 상기 하부 전극층을 화학-기계적으로 폴리싱하는 단계;
    상기 캐버티내의 상기 하부 전극층의 나머지 부분위로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층위로 상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산화물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표면을 평탄화하는 상기 단계는 화학-기계적 폴리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하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화학-기계적으로 폴리싱하는 상기 단계는 수산화 칼륨을 포함하는 현탁액으로 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유전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질화물 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질화물을 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5.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접촉 영역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촉 영역을 제외한 상기 트랜지스터를 제1 재료로 덮는 단계;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접촉 영역을 제2 재료의 층으로 덮는 단계;
    제2 재료의 상기 층을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접촉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제2 재료의 상기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제2 재료의 상기 층의 상기 일부의 상기 제거로 상기 제1 재료의 기부(bottom) 및 상기 제2 재료의 측면(side)을 특징으로 하는 캐버티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접촉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기부 및 측면에 합치하도록 캐버티내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도전층은 또한 제2 재료의 상기 층의 상기 평탄화된 층 상에 형성되는 단계;
    제2 재료의 상기 층의 상기 평탄화된 표면으로부터 상기 층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 도전층을 화학-기계적으로 폴리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층위로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층위로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재료로 상기 트랜지스터를 덮는 상기 단계는 비트라인위로 질화물 층을 피착하고 상기 비트라인 상에 질화물 측벽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 및 접촉 영역을 제2 재료의 층으로 덮는 상기 단계는 산화물 층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제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제2 재료의 상기 층을 평탄화하는 상기 단계는 화학-기계적 폴리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화학-기계적 폴리싱하는 상기 단계는 수산화 칼륨을 포함하는 현탁액으로 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제조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버티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피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제조 방법.
KR1019970059789A 1996-11-14 1997-11-13 메모리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KR19980042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87996P 1996-11-14 1996-11-14
US60/030,879 1996-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389A true KR19980042389A (ko) 1998-08-17

Family

ID=2185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789A KR19980042389A (ko) 1996-11-14 1997-11-13 메모리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43359A3 (ko)
JP (1) JPH10150168A (ko)
KR (1) KR19980042389A (ko)
TW (1) TW37944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6504B2 (en) 2000-10-23 2006-0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C me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terminating connection thereof
US7736527B2 (en) 2007-01-16 2010-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oxan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capacito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6741B1 (en) 1997-11-20 2002-02-12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Compositions and structures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of FeRAM capacitors and method of fabricating FeRAM capacitors using same
KR100312027B1 (ko) * 1998-06-26 2002-01-17 박종섭 반도체메모리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KR100543201B1 (ko) * 1998-10-13 2007-04-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533376B1 (ko) * 1998-12-30 2006-04-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크라운형 커패시터 제조 방법
US6538274B2 (en) * 2000-12-20 2003-03-25 Micron Technology, Inc. Reduction of damage in semiconductor container capacitors
US9091214B2 (en) 2007-06-28 2015-07-2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ed gearbox size by separate electrically powered engine oi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1511A (en) * 1992-02-19 1995-02-21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processing method of producing an isolated polysilicon lined cavity and a method of forming a capacitor
US5563089A (en) * 1994-07-20 1996-10-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bit line over capacitor array of memory cells and an array of bit line over capacitor array of memory cells
US5545585A (en) * 1996-01-29 1996-08-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a dram circuit with fin-shaped stacked capacit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6504B2 (en) 2000-10-23 2006-0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C me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terminating connection thereof
US7736527B2 (en) 2007-01-16 2010-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oxan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capacit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3359A3 (en) 2000-01-26
TW379442B (en) 2000-01-11
JPH10150168A (ja) 1998-06-02
EP0843359A2 (en)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7724B2 (en)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mprising a stabilizing member
US715102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self-aligned contacts
US5686337A (en) Method for fabricating stacked capacitors in a DRAM cell
US5858829A (en) Method for fabricat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cells with minimum active cell areas using sidewall-spacer bit lines
US6080620A (en) Method for fabricating interconnection and capacitors of a DRAM using a simple geometry active area, self-aligned etching, and polysilicon plugs
KR19980079696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458692B1 (en) Method of forming contact plug of semiconductor device
US6037211A (en) Method of fabricating contact holes in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s using polysilicon landing plug and self-aligned etching processes
KR100327123B1 (ko) 디램셀캐패시터의제조방법
US5811331A (en) Formation of a stacked cylindrical capacitor module in the DRAM technology
US6403431B1 (en) Method of forming in an insulating layer a trench that exceeds the photolithographic resolution limits
KR100863780B1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집적회로장치
JPH105096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570204B1 (en) Integrated circuitry and DRAM circuitry
JPH107949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42389A (ko) 메모리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US5913129A (en) Method of fabricating a capacitor structure for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684422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orage electrode of capacitor
KR20010076421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78654B1 (ko) 디램소자의셀커패시터형성방법
KR100506101B1 (ko) 메모리 셀 어레이 제조방법 및 메모리 셀 어레이
KR100596845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US6107155A (en) Method for making a more reliable storage capacitor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US5989954A (en) Method for forming a cylinder capacitor in the dram process
US6946701B2 (en) Method for forming a memory integrated circuit with bitlines over gates and capacitors over bit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