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031U - 동력전달부재 - Google Patents

동력전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31U
KR19980042031U KR2019960055127U KR19960055127U KR19980042031U KR 19980042031 U KR19980042031 U KR 19980042031U KR 2019960055127 U KR2019960055127 U KR 2019960055127U KR 19960055127 U KR19960055127 U KR 19960055127U KR 19980042031 U KR19980042031 U KR 199800420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mber
joint
side memb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5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2031U/ko
Publication of KR19980042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3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0Couplings with means for varying the angular relationship of two coaxial shafts dur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에 소정의 굴절각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회전 동력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동력전달부재의 죠인트 부분을 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자체에서 신축성을 보유함으로써, 별도의 슬립 죠인트를 구성할 필요가 전혀 없는 동력전달부재를 제공할 목적으로; 원동측과 피동측 사이에서 굴절각을 갖고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원동측 부재와 피동측 부재 사이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죠인트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력전달부재
본 고안은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에 소정의 굴절각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회전 동력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동력전달부재의 죠인트 부분을 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부재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자동차에 있어서는 동력원인 엔진과, 이의 회전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륜 사이에는 동력전달부재가 적용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의 일예로서는 변속기로부터 후륜 디프렌셜까지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라이브 샤프트는 양단부가 구동체와 피동체 사이의 위상각을 고려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100)의 양측단부에 유니버셜 죠인트(102)(104)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에서 유니버셜 죠인트는 2개의 요크를 십자축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그의 굴절각은 대략 15도 내지 25도까지 한정된다.
이에 따라 드라이브 샤프트(100)가 소정의 각 이내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엔진의 회전동력을 피동체까지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0)의 양단부에는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슬립 죠인트가 구성되어 드라이브 샤프트(100)에 신축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에 적용되는 유니버셜 죠인트는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그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니이들 로울러 베어링을 사용함으로서, 고장율이 매우 높으며, 실제로도 니이들 로울러 베어링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그 굴절각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굴절각이 큰 경우에는 이를 사용할 수 없으며, 슬립 죠인트를 반드시 형성하여야만 하는 바, 그 제작비용이 크게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에 소정의 굴절각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회전동력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동력전달부재의 죠인트 부분을 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자체에서 신축성을 보유함으로써, 별도의 슬립 죠인트를 구성할 필요가 전혀 없는 동력전달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동축과 피동축 사이에서 굴절각을 갖고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원동측 부재와 피동측 부재 사이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죠인트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동력전달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동력전달부재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종래 동력전달부재의 일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동력전달부재4:구동측 부재
6:피동측 부재8:죠인트
10:코일 스프링12,14:플랜지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2는 동력전달부재 전체를 지칭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2)는 구동측 부재(4)와, 종동측 부재(6) 그리고 이들 사이로 개재되어 상호 연결하여 주는 죠인트(8)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죠인트(8)는 코일 스프링(10)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코일 스프링(10)의 강성과 길이는 적용차량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토오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말단부에는 플랜지(12)(14)등을 장착하여 구동측 부재(4)와 종동측 부재(6)와 결합하기 좋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부재(2)에 의하면 도 2에서와 같이 굴절각(α)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바, 이들 주위에 설치되는 주변기구들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죠인트(8)는 스프링(10) 부분에서 신축성을 갖게 되는 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슬립 죠인트를 구성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구동측 부재와 종동측 부재 사이에 소정의 굴절각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회전동력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동력전달부재의 죠인트 부분을 유니버셜 죠인트에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원동축과 피동축 사이에서 굴절각을 갖고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원동측 부재(4)와 피동측 부재(6) 사이에 코일 스프링(10)으로 이루어지는 죠인트(8)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죠인트(8)를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10)의 양단에는 장착성을 높히기 위한 소정 형상의 플랜지(12)(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
KR2019960055127U 1996-12-24 1996-12-24 동력전달부재 KR199800420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27U KR19980042031U (ko) 1996-12-24 1996-12-24 동력전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27U KR19980042031U (ko) 1996-12-24 1996-12-24 동력전달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31U true KR19980042031U (ko) 1998-09-25

Family

ID=5399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127U KR19980042031U (ko) 1996-12-24 1996-12-24 동력전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0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06B1 (ko) * 2002-02-26 2004-03-11 채찬복 코일스프링 축회전 동력전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06B1 (ko) * 2002-02-26 2004-03-11 채찬복 코일스프링 축회전 동력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53B1 (ko) 차량의 휠 구조
CN101495769A (zh) 多级扭转联轴器
KR850007043A (ko) 독립된 차륜의 현가장치
GB2040397A (en) Universal joints
KR19980042031U (ko) 동력전달부재
US6146280A (en) Spring biased universal joint
US5358445A (en) Variable angle torque transmitting coupling device
KR100695448B1 (ko) 유격 보상 구조를 구비한 슬립 조인트
CN209687942U (zh) 驱动器及其一体式联轴器
JPS5851452Y2 (ja) 自在継手
EP0367199A3 (en) Drive shaft
KR200178187Y1 (ko) 등속 조인트
KR100305796B1 (ko) 동력단속 기능을 갖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KR20180128265A (ko) 역방향 트라이포드 조인트
KR200192541Y1 (ko) 동력전달용 축이음장치
JPH06337021A (ja) フレキシブル軸継手
JP2546233Y2 (ja) たわみ継手
KR970070645A (ko) 축 변위가 있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
JP2560554Y2 (ja) プロペラシャフト
JP2524469Y2 (ja) スピードスプレーヤ用等の乾式多板クラッチ
KR20020050956A (ko) 유니버셜 조인트 구조
SU1525370A1 (ru) Фрикционна самоподжимающа с передача
JPS6323632Y2 (ko)
CA1175253A (en) Torque limiting transmission apparatus
KR100999604B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베어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