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013A -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13A
KR19980042013A KR1019970057405A KR19970057405A KR19980042013A KR 19980042013 A KR19980042013 A KR 19980042013A KR 1019970057405 A KR1019970057405 A KR 1019970057405A KR 19970057405 A KR19970057405 A KR 19970057405A KR 19980042013 A KR19980042013 A KR 19980042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reel
winding
reel block
gear
magnetic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225B1 (ko
Inventor
이데에이지
고세끼스지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브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215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751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93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43937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브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4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4Drive disengag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4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g. disk drive,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5/0002Special dispositions or recording techniques
    • G11B2005/0005Arrangements, methods or circuits

Abstract

한 쌍의 테이프릴들 주변에 감기는 자기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카세트를 이용한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는 공급측 릴블록과, 감기측 릴블록과, 캡스턴아버와, 구동부와, 그리고 전환부를 포함한다. 공급측 릴블록은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공급측 것과 맞물린다. 공급측 릴블록은 공급측 테이프릴을 회전 구동하고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를 포함한다. 감기측 릴블록은 감기측 테이프릴과 맞물린다. 감기측 릴블록은 감기측 테이프릴을 회전 구동하고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포함한다. 캡스턴아버는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킨다. 구동부는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서로 기어부분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서 차례로 선택적으로 주행시킨다. 구동부는 구동원과 구동원에서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그리고 캡스턴아버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를 포함한다. 중간 기어는 회전축에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배열된다.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기에 적합한 전환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부재를 가진다. 전환부는 초기 위치에서 밀리고 있는 작동부재로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한다. 작동부재는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 중 하나와 캡스턴아버에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축을 따라 중간 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밀리게 된다.

Description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용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히기 위한 부(unit)가 있는 자기테이프용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테이프카세트는 상절반부 및 하절반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한 쌍의 테이프릴(tape reel)들, 즉 각각이 자기테이프를 받치며 카세트 본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수납되는 공급테이프릴(supply tape reel)과 감기테이프릴(take-up tape reel)을 가진다.
종래의 테이프레코더는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릴들을 회전할 수 있게 구동하기 위한 릴구동부(reel driving unit)와,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에서 정보신호들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playback unit)와, 자기테이프에 정보신호들을 녹음하기 위한 녹음부(recording unit)와, 자기테이프를 고속으로 감기위한 고속감기부(fast feed unit)와, 자기테이프를 되감기위한 되감기부(rewind unit)와, 재생과 녹음과 고속감기와 되감기부들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stop unit)와, 그리고 재생 및 녹음부들의 동작을 잠시 취소시키기 위한 잠시멈춤부(pause unit)를 포함한다.
테이프레코더의 재생과 녹음과 고속감기와 되감기부들은 재생동작레버와, 녹음동작레버와, 고속감기동작레버와, 되감기동작레버와, 멈춤동작레버와, 그리고 재생부 및 녹음부의 동작을 잠시 취소시키는 잠시멈춤부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테이프레코더는 되감기측 테이프릴에 의해 자기테이프 감기가 끝날 때 각 부들의 동작을 자동으로 취소시키기 위한 자동멈춤부(automatic stop unit)를 가진다.
밀어줌(thrust) 동작레버들과 릴구동부들의 연결된 작동을 위해서, 테이프레코더는 재생동안의 구동력과 고속감기동안의 구동력과 되감기동안의 구동력의 전달 사이를 전환하기 위한 각 레버들에 대한 기어들과 링크메카니즘(link mechanism)을 가진다.
테이프레코더는 동작레버들에 설치되는 기어들과 링크메카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작레버들과 릴구동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메카니즘은 복잡하고 릴구동부가 동작 신뢰성면에서 부족할 때는 공간확보를 요구한다.
테이프레코더의 자동멈춤메카니즘은 릴구동메카니즘과 연결된 기어들과 링크메카니즘으로 자동멈춤동작하게 하여서, 자동멈춤부는 전체 구조면에서 복잡하고 테이프레코더가 크기면에서 쉽게 감소될 없는 결과로 장착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요구한다.
테이프레코더의 잠시멈춤부는 차례로 감기측 릴을 주행시키도록 디자인된 릴구동메카니즘의 기어들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잠시 취소시키기 위한 전달취소메카니즘을 가진다. 전달취소메카니즘은 전체 구조면에서 복잡하고 테이프레코더가 크기면에서 쉽게 감소될 수 없는 결과로 장착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요구한다.
위에서 설명한 테이프레코드에 대해서, 캡스턴아버(capstan arbor)와 섀시(chassis)는 차례로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도록 디자인된 캡스턴에 누적된 정적전하들을 제거하도록 접지시키기 위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캡스턴아버를 받치는 베어링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형성된 섀시에 베어링을 직접 맞추는 동작이 효율면에서 낮은 것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테이프레코더는 전기적으로 도체인 부재(member)를 통해 섀시와 베어링을 서로 연결하는 접지구조를 이용한다. 하지만, 이 접지구조는 구조면에서 복잡한 경향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는 자기테이프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테이프레코더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테이프레코더의 릴구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릴구동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릴구동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테이프레코더의 각 부들의 동작레버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테이프레코더에 설치되는 재생부 및 녹음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테이프레코더에 설치되는 고속감기부와 되감기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테이프레코더에 설치되는 잠시멈춤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테이프레코더에 설치되는 자동멈춤메카니즘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마찬가지로 테이프레코더에 설치되는 자동멈춤메카니즘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재생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재생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고속감기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고속감기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되감기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와 마찬가지로 되감기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자동멈춤부의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테이프레코더 7. 감기측 릴블록
8. 공급측 릴블록 8b. 기어부
10. 릴구동부 20. 구동모터
22. 캠기어 23. 제 1기어트래인
23a. 제 1기어 23b. 제 2기어
24. 아이들러기어 25. 제 2기어트래인
25a. 고속감기기어 25b. 재생기어
31. 재생동작레버 33. 고속감기레버
34. 되감기동작레버
한 쌍의 테이프릴들에 감겨지는 자기테이프를 가지는 테이프카세트를 이용하는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는 공급측 릴블록(reel block)과, 감기측 릴블록과, 캡스턴아버와, 구동부와, 그리고 전환부(switching unit)를 포함한다. 공급측 릴블록은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공급측 것과 맞물린다. 공급측 릴블록은 공급측 테이프릴을 회전할 수 있게 구동하고 공급측 릴블록기어부(reel block gear portion)를 포함한다. 감기측 릴블록은 감기측 테이프릴과 맞물린다. 감기측 릴블록은 감기측 테이프릴을 회전할 수 있게 구동하고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포함한다. 캡스턴아버는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킨다. 구동부는 기어부들을 서로 맞물림으로서 차례로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주행시킨다. 구동부는 구동원과 구동원에서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캡스터아버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를 포함한다. 중간 기어는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배열된다.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기에 적합한 전환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부재를 가진다. 전환부는 초기 위치에서 밀리고 있는 작동부재로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한다. 작동부재는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 기어부에서 캡스턴아버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을 따라 중간 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밀린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테이프 녹음 및/또는 재생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은 자기테이프를 받치는 한 쌍의 테이프릴들을 가지는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에 오디오신호들과 같은 정보신호들을 녹음 또는 재생하기 위해 구성된 테이프레코더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테이프레코더(1)에 이용되는 테이프카세트는 한 쌍의 테이프릴들, 즉 함께 자기테이프를 받치는 감기 테이프릴과 공급 테이프릴을 회전할 수 있게 수납하기 위해 서로 조립되는 상 및 하카세트절반부들로 이루어진 카세트 본체부로 구성되는 소위 콤팩트 카세트일 수도 있다.
테이프레코더(1)는 다음의 순서로 설명될 것이다.
[1] 전체 장치의 구조
[2] 릴구동부의 구조
[3] 재생부의 구조
[4] 녹음부의 구조
[5] 고속감기부의 구조
[6] 되감기부의 구조
[7] 멈춤부의 구조
[8] 잠시멈춤부의 구조
[9] 자동멈춤부의 구조
[10] 릴구동부의 동작
[11] 재생부의 동작
[12] 녹음부의 동작
[13] 고속감기부의 동작
[14] 되감기부의 동작
[15] 멈춤부의 동작
[16] 잠시멈춤부의 동작
[17] 자동멈춤부의 동작
[1] 전체 장치의 구조
도 1을 참조하면, 테이프레코더(1)는 테이프카세트의 감기측 테이프릴과 공급측 테이프릴을 회전할 수 있게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릴구동부(10)와,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에서 정보신호들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11)를 포함한다. 테이프레코더(1)는 또한 자기테이프에 정보신호들을 녹음하기 위한 녹음부(12)와 자기테이프를 고속으로 감기위한 고속감기부(13)를 포함한다. 테이프레코더(1)는 또한 자기테이프를 되감기위한 되감기부(14)와, 재생부(11)와 녹음부(12)와 고속감기부(13)와 되감기부(14)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멈춤부(15)를 포함한다. 테이프레코더(1)는 또한 재생부(11)와 녹음부(12)의 동작을 잠시 해제하기 위한 잠시멈춤부(16)를 포함한다. 테이프레코더(1)는 또한 재생부(11)와 녹음부(12)와 고속감기부(13)와 되감기부(14)의 동작을 자동으로 중지시키기 위한 자동멈춤부(17)를 포함한다. 테이프레코더(1)는 또한 부(11∼17)들이 장착되는 섀시(18)를 더 포함한다.
[2] 릴구동부의 구조
도 2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릴구동부(10)는 테이프카세트의 감기측 테이프릴과 공급측 테이프릴을 각각 받치는 테이프릴들이 놓여지고 주행되는 감기측 릴블록(7)과 공급측 릴블록(8)을 포함한다. 릴구동부(10)는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전원에 연결되는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에 의해 차례로 주행되는 플라이휠(flywheel)(21)을 포함한다. 릴구동부(10)는 또한 플라이휠(21)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캠기어(22)와 구동기어(22)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 1기어트래인(gear train)(23)을 포함한다. 릴구동부(10)는 제 1기어트래인(23)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아이들러기어(idler gear)(24)와 감기측 릴블록을 회전시키기 위한 아이들러기어(24)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 2기어트래인(25)을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감기측 릴블록(7)은 그것과 일치하여 회전을 하기 위한 제 2기어트래인(25)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공급측 릴블록(8)은 섀시(18)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베이스(8a)와, 베이스(8a)에 형성되고 제 1기어트래인(23)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부(8b)와, 그리고 베이스(8a)의 바깥 외면에 형성되고 나중에 설명할 되감기부(14)의 되감기동작레버(34)에 의해 이동되는 작동부(8c)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0)는 로터리축(rotary shaft)(20a)에 장착되는 풀리(pulley)(20b)를 가지며 섀시(18)에 설치된다.
플라이휠(21)은 디스크모양의 베이스부(21a)와, 베이스부(21a)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베어링(bearing)(21b)과, 그리고 베어링부(21b)의 바깥 외면에 설치되는 기어부(21c)를 가진다.
베이스부(21a)의 바깥 가장자리부분에는 벨트홈(belt groove)(21d)이 형성된다. 벨트(26)는 이 벨트홈(21d)과 구동모터(20)의 풀리(20b)에 걸쳐져 있다. 베어링(21b)은 섀시(18)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재생부(11)의 캡스턴아버(41)의 기단부(proximal end)에 고정되고 캡스턴아버(41)와 일체로 회전된다 기어(21c)는 나중에 설명할 캠기어(22)가 이동되더라도 기어부(21c)를 캠기어(22)와 맞물리게 유지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캠기어(22)는 플라이휠(21)의 기어부(21c)와 맞물리는 기어부(22a)와, 기어부(22a)의 중심과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축(22b)과, 그리고 캠(22c)의 바깥 가장자리와 일체로 돌출하는 맞물림돌출부(engagement protrusion)(22d)를 가진다.
기어부(22a)는 제 1기어트래인(23) 또는 제 2기어트래인(25)과 맞물린다. 지지축(22b)은 베어링부재(27)를 거쳐 섀시(18)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지지축(22b)의 선단부(distal end)는 코일스프링(28)의 일단이 맞물리는 스프링보유홈(spring retention groove)(22f)로 형성되고, 타단은 베어링부재(27)에 대해 압축한다. 따라서 캠기어(22)는 코일스프링(28)의 탄성하에서 지지축(22b)의 축을 따라 슬라이드(slide)되도록 바이아스(bias)된다.
제 1기어트래인(23)은 캠기어(22)의 회전이 전달되는 제 1기어(23a)와, 제 1기어(23a)의 회전과 일치하는 회전의 중심을 가지는 제 2기어(23b)와, 제 2기어(23b)를 제 1기어(23a)에 대해 미는 코일스프링(23c)와, 코일스프링(23c)을 지지하기 위한 부슁(bushing)(23d)과, 그리고 제 1기어(23a)와 제 2기어(23b) 중 하나가 다른 것에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허용하기 위한 펠트(felt)(23e)를 포함한다.
제 1기어(23a)는 중심에 원통형의 축지지부(23f)를 가진다. 이 축지지부(23f)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진 지지축(29)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제 1기어(23a)의 축지지부(23f)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기어부(23g)가 설치된다.
제 2기어(23b)는 공급측 릴블록(8)의 기어부(8b) 또는 아이들러기어(24)와 맞물리기 위한 제 1기어(23a)에 설치된다. 이 제 2기어(23b)는 아이들러기어(24)와 맞물리기 위한 톱니(tooth)를 가지며, 제 2기어(23)의 모든 다른 톱니는 방해된다.
그와 같이 방해되는 모든 다른 톱니를 가지는 제 2기어부(23b)로, 공급측 릴블록(8)의 기어부(8b)를 거쳐 지나기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아이들러기어(24)의 위험은 또는 그 역은 공급측 릴블록(8)의 기어부(8b)를 가지는 아이들러기어(24)의 맞물림을 그와 같이 향상시키는 기어부(8b)와 아이들러기어가 맞물릴 때 제거될 수도 있다.
코일스프링(23c)은 제 2기어(23b)에 대해 인접되는 일단을 가지며, 부슁(23d)에 대해 인접되는 타단을 가진다. 부슁(23d)은 코일스프링(23c)를 지지하기 위한 제 1기어(23a)의 축베어링부(23f)의 바깥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23c)은 탄성하에서 제 1기어(23a)에 대해 제 2기어(23b)를 민다.
펠트(23e)는 고리모양이며 제 1기어(23a)와 제 2기어(23b) 사이에 놓여진다. 이 펠트(23e)는 제 1기어(23a)와 제 2기어(23b)에 대한 마찰력에 의한 클럿치(clutch)로서 동작하여 제 1기어(23a)와 제 2기어(23b)가 서로 일치하여 회전되게 한다. 또한, 펠트(23e)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기어(23a, 23b)들 중 하나에 전해질 때 제 1 및 제 2기어(23a, 23b)들 중 하나가 다른 기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펠트(23e)는 제 1기어(23a)가 제 2기어(23b)와 맞물릴 때 제 1기어 및 제 2기어(23a, 23b)들 중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헛되어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아이들러기어(24)는 회전이 제 1기어트래인(23)에서 전달되는 기어부(24a)와, 기어부(24a)의 중심과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축(24b)과, 그리고 아이들러기어(24)가 나중에 설명할 고속감기동작레버(fast feed operating lever)(13)의 고속감기레버(fast feed lever)(33)에 의해 이동되도록 허용하기 위한 이동리브(movement rib)(24c)를 포함한다.
기어부(24a)는 제 1기어어셈블리(assembly)(23)의 제 2기어(23b)와 맞물리는 위치에 설치된다. 지지축(24b)은 섀시(18)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30)에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축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동리브(24c)는 그것과 동축으로 지지축(24b)과 일체로 장착된다.
제 2기어트래인(25)은 감기측 릴블록(7)을 차례로 주행시키기 위한 고속감기기어(25a)와, 재생기어(25b)와, 고속감기기어(25a)에 대해 재생기어(25b)를 밀기 위한 코일스프링(25c)과, 코일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부슁(25d)과, 그리고 고속감기기어(25a)와 재생기어(25b)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펠트(25e)를 포함한다.
지지축(25f)은 고속감기기어(25a)의 중심과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축(25f)의 일단에는 테이프카세트의 감기측 테이프릴이 놓여지는 감기측 릴블록(7)이 고정된다. 이 고속감기기어(25a)는 섀시(1a)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4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지지축(25f)을 가진다.
재생기어(25b)는 고속감기기어(25a)의 직경보다 큰 톱니 직경을 가지며 고속감기기어(25a)의 지지축(25f)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코일스프링(25c)은 재생기어(25b)에 대해 인접되는 일단을 가지며, 부슁(25d)에 대해 인접되는 타단을 가진다. 이 코일스프링(25c)은 그 탄성으로 고속감기기어(25a)에 대해 재생기어(25b)를 민다.
부슁(25d)에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고속감기기어(25a)의 지지축(25f)의 타단이 고정되고 나중에 설명할 자동멈춤부(17)의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125)이 부착되게 된다.
펠트(25e)는 고리모양이며 고속감기기어(25a)와 재생기어(25b) 사이에 놓여진다. 이 펠트(23e)는 고속감기기어(25a)와 재생기어(25g)에 대한 마찰력에 의한 클럿치로서 동작하여서 고속감기기어(25a)와 재생기어(25b)가 서로 일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펠트(25e)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기어(25a, 25b)들 중 하나에 전달될 때 고속감기기어(25a)와 재생기어(25b)들 중 하나가 다른 기어에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3] 재생부의 구조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재생부(11)는 밀릴 때 동작되는 재생동작레버(31)와, 자기테이프를 차례로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아버(41)와, 자기테이프를 그것과 캡스턴아버(41) 사이에 홀딩하기 위한 핀치롤부(pinch roll unit)(42)와, 정보신호들을 자기테이프에서 또는 자기테이프에 녹음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재생/녹음 자기헤드(43)와, 그리고 밀어줌 재생동작레버(31)를 초기 위치로 바이아스하기 위한 토션스프링(44)을 포함한다.
재생동작레버(31)는 밀릴 때 동작되는 베이스부(31a)와, 녹음 및/또는 재생 자기헤드(43)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31a)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지지부(31b)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a)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 녹음 및/또는 재생 자기헤드(43)에는 녹음 중 자기테이프에 기록될 신호로서 오디오신호에서 나오는 녹음신호가 공급된다. 재생 동안에, 자기테이프에서 독출된 신호에 해당하는 신호가 자기헤드(43)에서 도시하지 않은 녹음 및/또는 재생회로로 출력된다.
재생동작레버(31)의 베이스부(31a)의 주면(major surface)에는 이동을 위해 섀시(18)에서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guide rib)(47, 47)들에 의해 관통되는 안내슬릿(guide slit)(46, 46)들이 형성된다. 재생동작레버(31)의 헤드지지부(31b)에는 슬라이드하기 위해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49, 49)들에 의해 관통되는 안내슬롯(guide slot)(48, 48)들이 형성된다. 즉, 재생동작레버(31)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열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섀시(18)에 형성되는 맞물림슬릿들과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리는 복수개의 맞물림폴(engagement pawl)들은 재생동작레버(31)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하기 위해 섀시(18)에 인접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abutment rib)들은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재생동작레버(31)의 주면과 일체로 형성된다.
재생동작레버(31)의 베이스부(31a)의 주면은 밀릴 때 잠그기에 적합한 잠금리브(lock rib)(51)와 일체로 형성된다. 나중에 설명할 녹음부(12)의 녹음동작레버(32)에 인접한 베이스(31a)의 측면에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녹음부(12)의 녹음동작레버(32)는 베이스부(31a)와 일체로 장착된다.
재생동작레버(31)의 헤드지지부(31b)에는 릴구동부(10)의 캠기어(22)의 지지축(22b)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작러그(operating lug)(53)가 돌출하게 형성된다. 재생동작레버(31)가 밀릴 때, 동작러그(53)는 캠기어(22)의 지지축(22b)의 선단부에 대해 압축하여 캠기어(22)가 지지축(22b)의 축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재생동작레버(31)의 베이스부(31a)는 토션코일스프링(44)의 일단을 보유하기 위해 디자인된 스프링 보유리브(spring retention rib)(58)와 일체로 형성된다.
캡스턴아버(41)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섀시(18)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55a, 55b)들을 거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베어링부재(55b)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핀치롤부(42)는 자기테이프를 끼고 캡스턴아버(41)에 대해 인접되는 핀치롤(42a)과, 핀치롤(42a)을 홀딩하기 위한 홀더(42b)와, 그리고 홀더(42b)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홀더(42b)를 바이아스하기 위한 토션스프링(42c)을 포함한다.
핀치롤(42a)은 예를 들어 합성 러버(rubber)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 로터리축(42d)을 가진다. 이 핀치롤(42a)은 로터리축(42d)을 거쳐 로터리축(42d)에 의해 지지된다.
홀더(42b)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지지축(42e)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이 홀더(42b)는 토션스프링(42c)을 장착하에 적합한 스프링장착리브(spring mounting rib)와 일체로 형성된다. 토션스프링(42c)은 그 양 단부를 보유하기에 적합한 돌출한 보유편(retention piece)(42f, 42f)들로 형성된다.
토션스프링(42c)은 홀더(42b)의 장착리브에 장착되고 홀더(42b)의 보유편(42f, 42f)들에 의해 보유되는 양 단을 가진다. 토션코일스프링(42c)은 캡스턴아버(41)에 대해 압축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홀더(42b)에 의해 지지되는 핀치롤(42a)을 바이아스한다.
토션스프링(42c)은 재생동작레버(31)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동작슬릿을 통해 삽입되는 단부를 가진다. 따라서, 재생동작레버(31)가 밀릴 때, 홀더(42b)는 토션스프링(42c)의 단부을 거쳐 스윙된다.
이 홀더(42b)는 나중에 설명할 잠시멈춤부(16)의 잠시멈춤동작레버(36)에 의해 요동(搖動)는 요동동작레버(42g)와 일체로 형성된다.
녹음/재생 자기헤드(43)는 재생동작레버(31)의 헤드지지부(31a)에 장착되고 재생동작레버(31)와 일체로 이동된다.
토션스프링(44)은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스프링장착리브(57)에 취부(取付)된 코일부를 가지며 재생동작레버(31)의 스프링보유리브(58)에 의해 보유되는 일단을 가진다. 이 토션스프링(44)은 밀어줌 재생동작레버(31)를 탄성으로 초기 위치로 리셋한다.
[4] 녹음부의 구조
녹음부(12)는 밀릴 때 동작되는 녹음동작레버(32)와, 녹음테이프에 있는 정보신호들을 소거하기 위한 소거자기헤드(60)와, 그리고 자기테이프에 녹음된 정보신호들을 무심코 소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주의소거 방지레버(61)를 포함한다.
녹음동작레버(32)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소거자기헤드(60)을 지지하는 헤드지지편(32a)과 일체로 형성된다.
녹음동작레버(32)의 주면은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64, 64)들이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63, 63)들로 형성된다. 즉, 녹음동작레버(32)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착된다.
녹음동작 레버(32)의 주면에는 밀릴 때 잠그기에 적합한 잠금리브(65)가 위로 놓여진다. 이 잠금리브(65)는 섀시(18)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슬릿을 슬라이드할 수 있게 관통한다. 재생동작레버(31)에 인접하는 녹음동작레버(32)의 측면에는 재생동작레버(31)의 동작편(52)을 작동시키기에 적합한 동작편(66)이 돌출하게 형성된다.
녹음동작레버의 주면에는 상기 재생동작부(11)의 토션스프링(44)의 단부를 보유하기에 적합한 보유리브(68)가 위로 일체로 형성된다. 한 번 밀린 녹음동작레버(32)는 토션스프링(44)의 탄성하에서 초기 위치로 리셋될 수 있다. 녹음동작레버(32)의 동작편(66)은 토션스프링(44)의 탄성하에서 재생동작편(31)의 동작편(52)에 대해 빈번히 압축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맞물림폴들이 녹음동작레버(32)와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폴들은 섀시(18)에 형성된 맞물림슬릿들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린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들은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녹음작동레버(32)의 주면에 일체로 위로 장착된다.
소거자기헤드(60)는 자기테이프에 녹음된 정보신호들을 소거하기 위해 자기테이프를 마주보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소거자석을 가진다. 소거자석은 헤드지지편(32a)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부주의소거 방지레버(61)는 녹음동작레버(32)의 단부에 섀시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 부주의소거 방지레버(61)는 녹음동작레버(32)의 단부에 대해 압축해서 녹음동작레버(32)를 미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자기테이프에 정보신호들을 녹음할 때, 이 부주의소거 방지레버(61)는 녹음동작레버(32)의 단부에 대해 인접하지 않는 위치로 회전되어서 녹음동작레버(32)의 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주의소거 방지레버(61)는 녹음동작레버(32)에 대해 인접되는 위치와 부주의소거 검출부의 상태에 따라서 예를 들어 녹음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따라서 녹음동작레버(32)에 대해 인접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회전된다.
[5] 고속감기부의 구조
고속감기부(13)는 도 5와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밀릴 때 동작되는 고속감기동작레버(33)와, 밀어줌 고속감기동작레버(33)를 초기 위치로 바아이스하기 위한 토션스프링(70)을 포함한다.
고속감기동작레버(33)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고속감기동작레버(33)의 주면에는 섀시(18)에 형성된 안내슬릿(73)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리브(72)가 위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속감기동작레버(33)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착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맞물림폴들이 고속감기동작레버(33)에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폴들은 섀시(18)에 형성된 맞물림슬릿들과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린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들은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고속감기동작레버(33)의 주면에 일체로 위로 장착된다.
고속감기동작레버(33)의 주면에는 토션스프링(70)에 의해 바이아스되는 스프링보유리브(76)가 위로 놓여진다.
고속감기동작레버(33)의 주면에는 밀어줌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잠금리브(77)이 위로 놓여진다. 이 잠금리브(77)는 섀시(18)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슬릿을 슬라이드할 수 있게 관통한다.
고속감기동작레버(33)의 주면에는 릴구동부(10)의 아이들러기어(24)를 이동시키기 위해 안내슬릿(74)에 연속해서 기어동작부(78)가 형성된다. 고속감기동작레버(33)가 밀릴 때, 기어동작부(78)는 아이들러기어(24)의 축을 따라 이동리브(24c)를 이동시키기 위한 아이들러기어(24)의 이동리브(24c)에 대해 압축한다.
토션스프링(70)은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스프링장착리브(79)에 취부되는 코일부를 가지며, 고속감기동작레버(33)의 스프링보유리브(76)에 의해 보유되는 단부을 가진다. 따라서, 토션스프링(70)은 한 번 밀린 고속감기동작레버(33)를 탄성으로 초기 위치로 리셋한다.
[6] 되감기부의 구조
되감기부(14)는 도 5와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밀릴 때 동작되는 되감기동작레버(34)를 포함한다.
되감기동작레버(34)의 주면에는 섀시(18)에 되감기동작레버(34)를 슬라이드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섀시(18)에 형성되는 안내슬릿(82)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리브(81)가 위로 형성된다.
되감기동작레버(34)의 주면에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84)가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83)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되감기동작레버(34)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착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맞물림폴들이 되감기동작레버(34)에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폴들은 섀시(18)에 형성된 맞물림슬릿들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린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들은 되감기동작레버(34)의 주면에 일체로 위로 장착되거나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한다.
되감기동작레버(34)의 주면에는 상기 토션스프링(70)의 타단부를 보유하는 스프링보유리브(86)가 위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번 밀린 되감기동작레버(34)는 토션스프링(70)의 탄성하에서 초기 위치로 리셋된다.
되감기동작레버(34)의 주면에는 밀어줌 위치를 홀딩하기 위한 잠금리브(87)가 위로 형성된다. 이 잠금리브(87)는 섀시(18)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슬릿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된다.
되감기동작레버(34)의 일단에는 나중에 설명할 잠시멈춤부(16)의 릴잠금슬라이더(reel lock slider)(98)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러그(regulation lug)(88)가 형성된다.
공급측 릴블록(8)을 이동시키기 위한 릴작동폴(reel actuating pawl)(89)은 공급측 릴블록(8)의 동작부(8c)에 인접하는 되감기동작레버(34)의 측면과 일체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공급측 릴블록(8)의 반대 면에는 공급측 릴블록(8)을 이동시키기 위한 릴작동편(90)이 돌출하게 형성된다.
[7] 멈춤부의 구조
멈춤부(15)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밀릴 때 작동되는 멈춤작동레버(35)와, 그리고 밀릴 때 작동되는 멈춤작동레버(35)를 초기 위치로 바이아스하기 위한 토션스프링(91)을 포함한다.
멈춤작동레버(35)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멈춤작동레버(35)의 주면에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93, 93)들이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92, 92)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멈춤동작레버(35)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착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맞물림폴들이 멈춤동작레버(34)에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폴들은 섀시(18)에 형성된 맞물림슬릿들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린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들은 멈춤동작레버(34)의 주면에 일체로 위로 장착되거나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한다.
토션코일스프링(91)의 일단을 보유하기 위한 스프링보유리브(94)는 멈춤작동레버(35)에 일체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멈춤작동레버(35)의 주면에는 나중에 설명할 자동멈춤부(17)의 레버잠금슬라이더(38)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리브(95)가 위로 놓여진다. 작동리브(95)는 섀시(18)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슬릿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된다.
비록 잠금부재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멈춤작동레버(35)는 카세트홀더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거의 L모양의 동작기(operator)와 일체로 형성된다.
토션코일스프링(91)은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스프링장착리브(99)에 장착되고 멈춤작동레버(35)의 스프링보유리브(94)에 의해 보유되는 일단을 가진다. 따라서, 토션코일스프링(91)은 밀어줌 멈춤작동레버(35)를 탄성하에서 초기 위치에 리셋한다.
[8] 잠시멈춤부의 구조
잠시멈춤부(16)는 도 5와 도8에 나타낸 것처럼 밀릴 때 작동되는 잠시멈춤작동레버(36)와, 밀어줌 잠시멈춤작동레버(36)를 잠그기 위한 잠금판(lock plate)(97)과, 그리고 테이프카세트용 공급측 테이프릴을 회전시키기 위해 적용된 공급측 릴블록(8)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릴잠금슬라이더(98)를 포함한다.
잠시멈춤레버(36)의 주면에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101, 101)들이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100, 100)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잠시멈춤레버(36)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열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맞물림폴들은 잠시멈춤동작레버(36)에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폴들은 섀시(18)에 형성된 맞물림슬릿들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린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들은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잠시멈춤레버(36)의 주면에 일체로 위로 장착된다.
잠시멈춤레버(36)의 주면에는 토션스프링(91)의 일단에 의해 맞물리는 스프링보유기(spring retainer)(103)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밀어줌 잠시멈춤작동레버(36)는 탄성하에서 초기 위치로 리셋된다.
잠시멈춤동작레버(36)에는 밀어줌 위치를 홀딩하기 위해 휘어서 이동할 수 있게 잠금편(104)이 장착된다. 이 잠금편(104) 주변에 잠금편(104)의 상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멍(105)이 형성된다. 잠금편(104)의 선단부에는 상기 재생동작부(11)의 핀치롤부(42)를 구성하는 홀더(42b)의 요동작동암(oscillation actuating arm)(42d)을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리브(106)가 위로 놓여진다.
잠시멈춤동작레버(36)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재생부(11)의 핀치롤부(42)를 구성하는 홀더(42b)의 요동작동암(42d)을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리브(106)이 위로 놓여진다.
잠시멈춤작동레버(36)는 릴잠금슬라이더(98)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러그(107)과 일체로 형성된다.
잠시멈춤레버(36)의 측면 단부에는 나중에 설명할 자동멈춤부(17)의 셔트오프(shut-off)레버(37)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암(110)이 휘어져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잠금판(97)이 거의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되고 주면에 거의 고리모양의 캠홈(97a)을 가진다. 캠홈(97a)의 안쪽 주변벽에는 잠시멈춤작동레버(36)의 잠금편(104)의 맞물림핀(104a)에 의해 맞물리는 제 1맞물림부(108)가 형성되는 반면, 중간부분에는 밀어줌 잠시멈춤작동레버(36)의 잠금편(104)의 맞물림핀(104a)에 의해 맞물리는 제 2맞물림부(109)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맞물림부(108, 109)들은 잠시멈춤작동레버(36)의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뻗어있는 직선들에 형성된다.
릴잠금슬라이더(98)는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릴잠금슬라이더(98)의 주면에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112, 112)들이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111, 111)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릴잠금슬라이더(98)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들은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섀시(18)와 접할 때 슬라이드되도록 릴잠금슬라이더(98)에 일체로 위로 장착된다.
릴잠금슬라이더(98)는 감기측 릴블록(7)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제 2기어트래인(25)의 고속감기기어(25a)와 맞물리는 잠금편(113)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잠금편(113)은 제 2기어트래인(25)의 고속감기기어(25a)를 마주하는 잠금폴(113a)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잠금폴(113a)은 감기측 릴블록(7)의 회전을 막기 위해 고속감기기어(25a)와 맞물린다.
릴잠금슬라이더(98)는 토션스프링(116)과 취부되는 스프링장착리브(115)와 일체로 형성된다.
릴잠금슬라이더(98)의 주면에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스프링보유리브(118)가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구멍(117)이 형성된다. 이 스프링보유리브(118)는 토션스프링(116)의 일단을 홀딩한다.
릴잠금슬라이더(98)에는 토션스프링(116)의 일단에서 중간 부분을 보유하기에 적합한 스프링보유편(119)이 스프링보유리브(118)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잠금편(113)은 토션스프링(116)의 타단부의 중간 부분을 홀딩하기에 적합한 스프링보유기(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토션스프링(116)은 스프링보유리브(118, 119)들에 의해 보유되는 일단을 가진다. 토션스프링(116)은 또한 스프링보유기(120)에 의해 보유되고 밀어줌 잠시멈춤작동레버(36)의 작동러그(107)에 대해 압축하기 위해 잠시멈춤레버(36)의 작동러그(107)를 마주보는 위치로 돌출되는 타단부을 가진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16)은 릴잠금슬라이더(98)의 잠금편(113)의 잠금폴(113a)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제 2기어트래인(25)의 고속감기기어(25a)를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으로 릴잠금슬라이더(98)를 바이아스한다. 제 2기어트래인은 감기측 릴블록(7)을 회전시기키 위해 구성된다.
멈춤작동레버(35)를 마주하는 릴잠금슬라이더(98)의 일단에는 거의 L모양의 교차부를 가지는 인접부(1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인접부(121)는 고속감기작동레버(33)에 대해 압축하는 제 1인접벽부(abutting wall section)(122)와 되감기작동레버(34)에 대해 압축하는 제 2인접벽부(123)로 형성된다.
밀린 고속감기작동레버(33)로, 고속감기작동레버(33)는 릴잠금슬라이더(98)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인접부(121)의 제 1인접벽부(122)에 대해 인접하여 슬라이드를 하지 못하게 한다.
[9] 자동멈춤부의 구조
자동멈춤부(17)는 도 5와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작동레버(31∼35)들을 자기테이프의 되감기동작이 중단되는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리셋하기 위한 셔트오프레버(37)와, 밀린 상태로 밀어줌 작동레버(31∼34)들을 잠그기 위한 레버잠금슬라이더(38)와, 릴구동부(10)의 구동모터(20)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스위치슬라이더(switch slider)(39)와, 그리고 셔트오프 레버를 차례로 바이아스하기 위한 토션스프링(125)을 포함한다.
셔트오프레버(37)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섀시(18)에 위로 놓여진 피봇지지축(pivot support shaft)(126)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중간 부분을 가진다.
이 셔트오프레버(37)는 토션스프링(125)에 의해 탄성있게 바이아스되는 요동작동부(127)과 일체로 형성된다.
셔트오프레버(37)에는 선단부가 캠기어(22)의 맞물림러그(22d)에 의해 맞물리는 거의 V형상의 맞물림홈(128a)과 일체로 형성되는 캠암부(128)가 릴구동부(10)의 캠기어(22)와 레지스터(register)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셔트오프레버(37)는 레버잠금슬라이더(38)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129)와 일체로 형성된다.
셔트오프레버(37)에는 잠시멈춤작동레버(36)의 작동암(110)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리브(130)가 위로 놓여진다. 이 작동리브(130)는 이동을 위해 섀시(18)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슬릿에 삽입된다.
셔트오프레버(37)에는 셔트오프레버(137)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 위치조절 코일스프링(134)의 단부를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장착부(131)가 형성된다. 이 위치조절 코일스프링(134)은 섀시(18)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장착리브에 장착되는 타단부을 가진다.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지는 안내리브(133, 133)들이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132, 132)들이 형성되는 거의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된다. 즉,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열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맞물림폴들은 레버잠금슬라이더(38)에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폴들은 섀시(18)에 형성된 맞물림슬릿들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린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인접리브들은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레버잠금슬라이더(38)의 주면에 일체로 위로 장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주면에 녹음작동레버(32)의 잠금리브(65)에 의해 관통되는 잠금구멍(135)과, 재생작동레버(31)의 잠금리브(51)에 의해 관통되는 잠금구멍(136)과, 되감기작동레버(34)의 잠금리브(87)에 의해 관통되는 잠금구멍(137)과, 그리고 고속감기작동레버(33)의 잠금리브(77)에 의해 관통되는 잠금구멍(138)을 가진다.
이러한 잠금구멍(135∼138)들은 거의 C형상이며 작동레버(31∼34)들이 밀릴 때 작동레버(31∼34)들의 잠금리브(51, 65, 77, 87)들을 보유하기에 적합한 보유기(135a∼138a)과 안쪽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다.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잠금구멍(135∼138)들의 보유기(135a∼138a)들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작동레버(31∼34)들의 잠금리브(51, 65, 77, 87)에 의해 밀린 상태로 잠긴다.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멈춤작동레버(35)의 작동리브(95)에 의해 관통되는 작동구멍(139)으로 형성된다. 멈춤작동레버(35)가 밀릴 때, 레버잠금슬라이더(38)가 멈춤작동레버(35)의 작동리브(95)에 의해 이동된다.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S모양의 탄성 디플렉션부(deflection unit)(141)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탄성 디플렉션부(141)는 레버잠금슬라이더(38)를 이동으로 바이아스하기 위해 탄성있게 빗나가게 되도록 섀시(18)에 위로 놓여진 인접리브(142)에 대해 인접하는 선단부을 가진다.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셔트오프레버(37)의 작동부(129)에 의해 이동되는 작동부(144)와 일체로 형성된다.
스위치슬라이더(39)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스위치슬라이더(39)의 주면에는 섀시(18)에 위로 놓여진 안내리브(146)가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145, 145)들이 형성된다. 스위치슬라이더(39)의 주면의 일단에는 섀시에 위로 놓여진 안내리브(148)가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는 안내슬릿(147)이 형성된다. 스위치슬라이더(39)는 섀시(18)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열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맞물림폴들은 스위치슬라이더(39)에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폴들은 섀시(18)에 형성된 맞물림슬릿들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맞물린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맞물림리브들은 섀시(18)에서 소정의 마주보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스위치슬라이더(39)의 주면에 일체로 위로 장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위치슬라이더(39)의 주면은 재생작동레버(31)용 잠금리브(51)에 의해 관통되는 작동구멍(149)과, 되감기작동레버(34)용 잠금리브(87)에 의해 관통되는 작동구멍(150)과, 그리고 고속감기작동레버(31)용 잠금리브(77)에 의해 관통되는 작동구멍(151)으로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릴구동부(10)의 구동모터(20)에 연결된 리드(reed)스위치와 같은 모터스위치(152)는 섀시(18)에 배열된다. 모터스위치(152)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을 가지며, 구동모터(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판(152a, 152a)들을 가진다. 이러한 단자판(152a, 152a)들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단자판(152a)의 선단부는 스위치슬라이더(39)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152b)을 받친다. 모터스위치(152)의 단자판(152a)을 밀기 위한 스위치작동편(153)은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뻗어있는 모터스위치(152)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스위치슬라이더(39)가 슬라이드될 때, 스위치슬라이더(39)의 스위치작동편(153)은 단자판(152a)을 밀기 위한 작동편(152b)에 대해 압축한다. 단자판(152a, 152a)들은 단자판(152a)의 미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모터스위치(152)는 전원을 구동모터(20)에 연결하여 구동모터(20)가 회전하게 한다.
스위치슬라이더(39)의 주면에는 토션스프링(156)과 취부되는 스프링장착리브(155)가 위로 설치된다. 이 토션스프링은 캡스턴아버(41)를 지지하는 금속 베어링부재(55b)에 대해 인접하는 일단을 가지며, 금속 섀시(18)의 곧게 서있는 주변 벽부(18a)에 의해 보유되는 타단부를 가진다.
그러므로, 토션코일스프링(156)은 탄성으로 스위치슬라이더(39)를 슬라이드하는 이동으로 바이아스하며, 접지를 위한 섀시(18)에 캡스턴아버(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캡스턴아버(41)는 예를 들어 플라이휠(21)과 벨트(26) 사이에서 발생된 정전한에 의해 정보신호들이 자기테이프에 녹음되지 못하게 한다.
스위치슬라이더(39)의 측면에는 선단부가 셔트오프 레버(37)의 작동부(129)에 대해 압축하는 거의 U자형의 탄성 디플렉션부(158)가 일체로 형성된다.
토션스프링(125)은 릴구동부(10)의 제 2기어트래인(25)의 부슁(25d)에 장착되어서 양 단부들이 셔트오프레버(37)의 요동작동부(127)의 측면을 마주본다.
[10] 릴구동부의 동작
감기측 릴블록(7)과 공급측 릴블록을 회전 구동할 때 상기 릴구동부(10)의 동작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릴구동부(10)는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풀리(20b)에 의해 벨트(26)를 거쳐 플라이휠의 회전을 야기시킨다. 그와 같이 회전된 플리이휠은 기어부(21c)로 캠기어(22)를 회전시킨다.
재생 또는 녹음을 위해서, 차례로 주행되는 캠기어(22)는 재생작동레버(31)에 의해 축으로 이동된 제 2기어트래인(25)의 재생기어(25b)와 맞물린다. 제 2기어트래인(25)의 재생기어(25b)는 소정의 rpm으로 테이프업측 릴블록(7)을 주행시키기 위한 캠기어(22)에 의해 차례로 주행된다.
고속감기를 위해서, 차례로 돌려진 캠기어(22)는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1기어(23a)를 회전시키며,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2기어(23b)를 회전시킨다. 그와 같이 회전된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2기어(23b)는 고속감기작동레버(33)에 의해 축으로 이동되는 아이들러기어(24)와 맞물린다.
아이들러기어(24)는 제 2기어트래인(25)의 고속감기기어(25a)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2기어(23b)에 의해 회전된다. 제 2기어트래인(25)의 고속감기기어(25a)는 소정의 rpm으로 감기측 릴블록(7)을 주행시킨다.
되감기 위해서, 그와같이 회전된 캠기어(22)는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1기어(23a)를 회전시키며,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제 1기어(23)의 제 2기어(23b)의 회전을 야기시킨다. 그와 같이 회전된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2기어(23b)는 공급측 릴블록을 차례로 주행시키기 위한 되감기작동 레버(34)에 의해 축으로 이동된 공급측 릴블록(8)의 기어부(8b)와 맞물린다.
[11] 재생부의 동작
재생작동레버(31)가 밀릴 때의 상기 재생부(11)의 동작을 도 6과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토션스프링(44)의 바이아스에 대해 밀릴 때, 재생작동레버(31)는 캡스턴아버(41)에 대해 압축하기 위해 핀치롤부(42)를 회전시키며, 동시에 녹음/재생 헤드(43)를 회전시킨다.
슬라이드될 때, 재생작동레버(31)는 코일스프링(28)의 바이아스에 대해 캠기어(22)를 축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릴구동부(10)의 캠기어(22)의 지지축(22b)에 대해 인접되는 작동러그(53)를 가진다. 그와 같이 슬아이드된 캠기어(22)는 제 2기어트래인(25)의 재생기어부(25b)와 맞물리는 기어부(22a)를 가진다. 잠금리브(51)는 재생작동레버(31)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므로,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탄성 디플렉션부(142)의 바이아스에 대해 이동된다. 보유부(135a)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잠금리브(51)에 의해, 재생레버(31)는 밀어줌 위치로 이동된다. 동시에, 홀더(42b)는 자기테이프를 누르는 방향으로 캡스턴아버(41)와 함께 핀치롤(42a)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된다.
재생작동레버(31)가 토션 코일스프링(44)의 탄성하에서 초기 위치로 리셋되는 것과 같이 멈춤레버(35)가 잠금슬라이더(38)를 이동시키기 위해 밀릴 때, 재생작동레버(31)는 핀치롤부(42)를 캡스턴아버(41)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차례로 핀치롤부(42)를 주행시킨다.
[12] 녹음부의 동작
녹음작동레버(32)가 밀릴 때의 상기 녹음부(12)의 동작을 도 6과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토션스프링(44)의 바이아스에 대해 밀림으로서, 녹음작동레버(32)는 재생작동레버(32)가 일체로 재생작동레버(31)의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재생작동레버(31)의 작동편(52)을 거쳐 슬라이드되도록 야기시킨다. 녹음레버(32)는 재생작동레버(32)가 밀릴 때 레버잠금슬라이더(32)에 의해 밀리는 위치에서 잠긴다.
녹음작동레버(32)가 밀림으로서, 소거자기헤드(60)는 재생헤드(43)와 같은 방법으로 나아가며, 자기테이프는 재생작동레버(31)가 밀릴 때와 같은 방법으로 주행되어서, 소거헤드(60)로 정보신호들을 소거한 후에, 정보신호들이 녹음/재생 헤드(43)에 의해 녹음된다.
[13] 고속감기부의 동작
고속감기작동레버(33)가 밀릴 때의 상기 고속감기부(13)의 동작을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속감기레버(33)가 토션스프링(70)의 바이아스에 대해 밀릴 때, 기어작동부(78)는 아이들러기어(24)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릴구동부(10)의 아이들러기어(24)의 이동기어(24c)에 대해 압축한다. 밀릴 때, 고속감기레버(33)는 재생작동레버(31)가 밀릴 때처럼 레버잠금슬라이더(38)에 의해 밀린 위치에 잠긴다.
그와 같이 슬라이드된 아이들러기어(24)는 제 1기어트래인(23)에 의해 제 2기어트래인(25)의 고속감기기어(25a)의 회전을 가능하게하기 위해서 고속기어트래인(23)의 제 2기어(23b)와 맞물린다. 구동모터(20)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기반해서, 아이들러기어(24)는 감기측 릴블록(7)을 주행시키기 위한 제 2기어부(25)의 고속감기기어(25a)와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1기어트래인(23b)의 회전을 야기시킨다.
[14] 되감기부의 동작
되감기작동레버(34)가 밀릴 때의 상기 되감기부(14)의 동작을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되감기작동레버(34)가 토션스프링(70)의 바이아스에 대해 밀릴 때, 릴작동폴(89)은 공급측 릴블록(8)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공급측 릴블록(8)의 작동부(8c)와 맞물린다. 공급측 릴블록(8)이 슬라이드될 때, 기어부(8b)는 제 1기어트래인(23)의 제 2기어(23b)와 맞물리고 그렇게 함으로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되감기작동레버(34)는 밀릴 때, 위에서 설명한 재생작동레버(31)에 의한 경우처럼 밀어줌 위치에 레버잠금슬라이더(38)에 의해 잠긴다. 구동모터(20)로부터의 구동력에 근거해서, 캠기어(22)와 제 1기어(23a)와 제 2기어(23b)는 공급측 릴블록(8)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되감기작동레버(34)가 초기 위치로 리셋될 때, 멈춤작동레버(35)의 미는 것과 잠금슬라이더(38)의 이동에 의해서, 릴작동편(90)이 축방향으로 초기 위치로 공급측 릴블록(8)을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측 릴블록(8)의 작동부(8c)와 맞물리는 것과 동시에 되감기작동레버(34)는 릴작동폴(89)로부터의 공급측 릴블록(8)의 작동부(8c)와 분리된다.
[15] 멈춤부의 동작
작동레버(31∼34)들이 밀리고 멈춤작동레버(35)가 다음에 밀릴 때의 상기 멈춤부(15)의 동작을 도 5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동레버(31∼34)들이 밀리고 멈춤작동레버(35)가 다음에 토션스프링(91)의 바이아스에 대해 밀릴 때, 멈춤작동레버(35)는 자동멈춤부(17)의 레버잠금슬라이더가 작동리브(95)를 거쳐 이동되도록 한다.
레버잠금슬라이더(38)가 이동될 때, 잠금구멍(135∼138)들의 보유부(135a∼138a)들을 밀어줌 작동레버(31∼34)들을 초기 위치로 리셋하기 위해 작동레버(31∼34)들의 잠금리브(51, 65, 77, 87)들에서 분리시킨다.
[16] 잠시멈춤부의 작동
작동레버(31∼34)들이 밀리고 다음에 잠시멈춤레버(36)가 밀릴 때의 상기 잠시멈춤부(15)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만약 재생동작레버(31) 또는 녹음동작레버(32)가 밀릴 때 재생동작이나 녹음동작 중에 잠시멈춤동작레버(36)가 밀리면, 잠시멈춤동작레버(36)의 동작리브(106)는 자기테이프와 그 사이에 캡스턴아버(41)에 대해 눌려진 핀치롤부(42)를 구성하는 홀더(42b)의 요동작동암(42d)에 대해 압축한다.
홀더(42b)의 요동작동암(42d)에 대해 압축하는 작동리브(106)로, 잠시멈춤작동레버(36)는 캡스턴아버(41)에서 먼 방향으로 핀치롤부(42)를 회전시키기 위해 요동작동암(42d)을 이동한다.
만약 재생동작동안 또는 녹음동작동안 밀리면, 잠시멈춤동작레버(36)는 작동러그(107)가 토션스프링(116)의 일단을 인접하도록 그리고 이동하게 야기시키도록 슬라이드된다.
일단부가 이동된 토션스프링(116)은 릴잠금슬라이더(38)가 잠금편(113)의 잠금폴(113a)과 맞물리도록 슬라이드되도록 하여서 제 2기어트래인(25)의 고속감기기어(25a)와 맞물리도록 한다. 따라서 릴잠금슬라이더(98)는 감기측 릴블록(7)의 회전 구동을 일시 멈추게 한다.
만약 고속감기동작 중 고속감기동작레버(33)가 밀렸을 때 잠시멈춤동작레버(36)가 밀리면, 작동러그(107)는 토션스프링(116)의 일단에 대해 압축하고 쉬프트시킨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16)은 릴잠금슬라이더(98)를 슬라이드하는 이동으로 바이아스시킨다.
하지만, 인접부(121)의 제 1인접벽부(122)가 밀어줌 고속감기레버(33)의 한 측면 단부에 대해 압축하기 때문에 릴잠금슬라이더(98)의 슬라이드하는 이동이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잠금편(113)의 잠금폴(113a)이 고속감기기어(25a)와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감기측 릴블록(7)의 회전이 릴잠금슬라이더(98)에 의해 멈추어지지 않는다. 즉, 고속감기동작 중에 밀린 잠시멈춤동작레버(36)는 감기측 릴블록(7)의 회전구동을 중지시키지 않는다.
만약 되감기동작 중에 되감기작동레버(34)가 밀릴 때 잠시멈춤동작레버(36)가 밀리면, 작동러그(107)는 토션스프링(116)의 일단에 대해 압축하여서 이 일단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16)은 릴잠금슬라이더(98)를 이동으로 바이아스시킨다.
하지만, 인접부의 제 2인접벽부(123)가 밀어줌 되감기작동레버(33)의 조절러그(88)에 대해 압축하기 때문에 릴잠금슬라이더(98)의 슬라이드하는 이동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잠금편(113)의 잠금폴(113a)이 고속감기기어(25a)와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감기측 릴블록(7)의 회전은 릴잠금슬라이더(98)에 의해 멈추어지지 않는다. 되감기동작 중에 밀린 잠시멈춤동작레버(36)는 감기측 릴블록(7)의 회전구동을 멈추게 하지 않는다.
만약 잠시멈춤작동레버를 민 후에 고속감기작동레버(33) 또는 되감기작동레버(34)가 밀리면, 고속감기작동레버(33)의 측면 단부나 되감기작동레버(34)의 조절러그(88)는 인접부(121)의 제 2인접벽부(123)나 제 1인접벽부(122)에 대해 압축하여서, 릴잠금슬라이더(98)를 고속감기동작이나 되감기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시킨다.
[17] 자동멈춤부의 동작
작동레버(31∼34)들이 릴구동부(10)의 구동을 자동으로 멈추게하기 위해 자동으로 리셋될 때의 상기 자동멈춤부(17)의 동작을 도 9와 도 10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의 감기는 재생작동레버(31)나 녹음작동레버(32)가 밀릴 때 중단된다고 가정한다.
자기테이프가 감기고 있을 때, 제 1기어트래인의 제 1기어(23a)는 플라이휠(21)과 캠기어(22)와 함께 계속해서 회전된다. 재생작동레버(31)나 녹음작동레버(23)가 밀릴 때, 캠기어(22)는 되감기동작동안 또는 고속감기동작동안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하지만, 캠기어(22)가 셔트오프레버(37)의 캠암(128)과 계속해서 맞물린다.
부슁(25d)은 자기테이프 되감기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이 부슁(25d)에 장착된 토션스프링(125)은 회전된다. 그와 같이 회전된 토션코일스프링(125)은 회전 토크(torque)를 발생하기 위해서 셔트오프레버(37)의 요동작동부(127)에 대해 인접되는 일단을 가진다. 캠기어(22)가 차례로 주행되므로, 셔트오프레버(37)의 캠암(128)은 캠기어(22c)의 캠부(22c)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요동된다.
자동멈춤부(17)에 대해,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의 되감기동작이 닫히게 될 때 부슁(25d)의 회전이 감기측 릴블록(7)의 멈춤과 함께 중단되는 것은 다음에 부슁(25d)의 회전이 중지되기 때문이다.
토션스프링(125)으로부터 셔트오프레버(37)에 부여되는 회전 토크는 토션스프링(125)의 회전이 중단될 때 중단된다. 따라서, 셔트오프레버(37)의 요동은 캠암(128)이 캠기어(22)의 캠부(22c)의 최대로 확장된 점으로 이동될 때 중단된다.
캠기어(22)가 회전되므로, 캠기어(22)의 맞물림러그(22d)의 3/4회전 후에 캠기어(22)의 맞물림러그(22d)는 스탠드스틸(standstill)에 셔트오프레버(37)의 캠암(128)의 맞물림홈(128a)에서 맞물린다. 이 맞물림러그(22d)는 셔트오프 레버(37)의 요동을 야기시킨다.
작동부(129)가 레버잠금슬라이더(38)의 작동부(144)와 맞물리기 때문에, 캠기어(22)의 캠부(22c)에 의해 요동된 셔트오프레버(37)는 요동의 중심으로서 요동지지축(126)에 대해 레버회전에 해당하는 양만큼 레버잠금슬라이더(38)를 슬라이드시킨다.
그와 같이 슬라이드된 레버잠금슬라이더(38)는 밀어줌 재생작동레버(31)나 녹음작동레버(32)를 잠그지 않아서 레버들을 녹음작동레버(32)의 잠금홈(65)을 보유하는 잠금구멍(135)의 보유기(135a)를 거치거나 재생작동레버(31)의 잠금홈(51)을 보유하는 잠금구멍(136)의 보유기(136a)를 거쳐 초기 위치로 리셋한다.
레버잠금슬라이더(38)가 슬라이드될 때, 셔트오프레버(37)의 작동부(129)는 스위치슬라이더(39)를 초기 위치로 리셋하기 위한 탄성 디플렉션부(158)를 민다. 스위치슬라이더(39)가 초기 위치로 슬라이드될 때, 모터스위치(152)의 단자판(152a)을 미는 스위치동작편(153)은 모터스위치(152)의 쌍으로된 단자판(152a, 152a)들의 연결을 가로막기 위해서 이동된다. 구동모터(20)의 회전 구동이 지금 중단하기 때문에, 릴구도부(10)의 구동동작이 중단한다.
자기테이프 되감기동작이 고속감기작동레버(33)를 밀 때 중단될 때의 자동멈춤부(17)의 동작을 설명한다.
자기테이프의 감기 동안, 제 1기어트래인의 제 1기어(23a)는 플라이휠(21)과 캠기어(22)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지한다. 셔트오프 레버(37)는 캠기어(22)와 맞물리는 캠암부(128)를 가진다.
따라서, 만약 고속감기동작레버(33)가 밀리면, 셔트오프레버(37)는 재생동작레버(31)나 녹음동작레버(32)가 밀릴 때와 같은 방법으로 요동되어서, 자동멈춤부(17)는 밀어줌 고속감기동작레버(33)를 초기 위치로 리셋해서 자동으로 멈추게 한다. 그로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다.
자기테이프 감기동작이 되감기동작레버(34)가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를 감도록 밀릴 때의 자동멈춤부(17)의 동작을 설명한다.
자기테이프 감기 동안, 제 1기어트래인의 제 1기어(23a)는 플라이휠(21)과 캠기어(22)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지한다. 셔트오프레버(37)는 캠기어(122)와 맞물리는 캠암부(128)를 가진다.
자동멈춤부(17)에 대해, 토션스프링(125)의 회전의 디플렉션은 고속감기 동안 회전의 디플렉션의 방향에 반대다. 하지만, 토션스프링(125)의 일단이 요동작동부(127)를 바이아스하는 방향은 고속감기동작 동안의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만약 되감기동작레버(33)가 밀리면, 셔트오프레버(37)는 재생작동레버(31)나 녹음작동레버(32)가 밀릴 때와 같은 방법으로 요동되어서, 자동멈춤부(17)는 되감기동작레버(34)를 초기 위치로 리셋해서 자동으로 멈추게 한다.
멈춤이나 잠시멈춤 동안 잘못된 동작을 방지할 때의 자동멈춤부(17)의 동작을 설명한다.
작동레버(31∼34)들이 작동되지 않을 때의 테이프레코더(1)의 멈춤상태 동안, 모터스위치(152)의 단자판(152a, 152a)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아서, 구동모터(20)가 차례로 주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릴구동부(10)의 캠기어(22)나 플라이휠(21)의 회전이 중단된다.
하지만, 만약 테이프레코더(1)에서, 모터스위치(152)가 도시하지 않은 메인스위치와 독립해서 설치되고 메인스위치가 온이된다면, 구동모터(20)는 모터스위치(152)가 오프되더라도 차례로 주행된다. 캠기어(22)가 이 때에 구동모터(20)에 의해 차례로 주행되기 때문에, 셔트오프레버(37)에 의한 자동멈춤동작은 캠기어가 완전히 회전을 마칠 때마다 온되어서 불편함이 증가했다. 즉, 셔트오프레버(37)는 레버잠금슬라이더(38)를 슬라이드시켜서 셔트오프레버(37)의 작동부(129)가 레버잠금슬라이더(38)의 작동부(144)에 대해 압축해서 잡음을 계속해서 만들어낸다.
하지만,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테이프레코더(1)로는, 스위치슬라이더(39)의 탄성 디플렉션부(158)가 셔트오프레버(37)를 바이아스시키기 때문에 스위치슬라이더(39)가 셔트오프레버(37)와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어서, 자동멈춤부(17)로, 스위치슬라이더(39)의 탄성 디플렉션부(158)가 테이프레코더(1)의 멈춤시간동안 생기는 잘못된 작동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자동멈춤부(17)에 대해, 잠시멈춤작동레버(36)에 형성된 작동암(110)은 셔트오프레버(37)의 작동리브(130)를 이용해서 셔트오프레버(37)를 작동시킨다. 즉, 셔트오프레버(37)의 요동은 잠시멈춤작동레버(36)의 작동암(110)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므로, 자동멈춤부(17)로, 감기측 릴블록(7)의 회전은 잠시멈춤작동레버(36)을 밀 때 일시 중단되어서 감기측 테이프릴의 회전을 멈추게 해서, 셔트오프레버(37)의 요동하는 이동을 확실히 방지한다. 즉, 자동멈추부(17)는 잠시멈춤 동안 잘못된 동작을 방지하기에 효과적이다.
비록 전술한 설명이 한 쌍의 테이프릴들을 가지는 테이프카세트를 이용하는 테이프레코더에 대한 것이지만, 비디오신호들의 녹음/재생 및 다른 유형의 정보신호들을 녹음/재생하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33)

  1. 한 쌍의 테이프릴들에 놓여진 자기테이프용 녹음/재생 장치에 있어서,
    공급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공급측 것과 맞물리는 공급측 릴블록과,
    감기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감기측 것과 맞물리는 감기측 릴블록과,
    상기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아버와,
    자체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중간 기어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상기 캡스턴아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구동원과 중간 기어를 가지며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해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부와,
    적어도 하나의 작동부재를 가지며, 초기위치에서 밀리는 상기 작동부재로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며,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나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에 공급하기 위해 회전축을 따라 중간 기어를 쉬프트시키기 위해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자기테이프의 재생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회전축을 따라 상기 중간 기어를 쉬프트시키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밀리는 재생작동부재와, 자기테이프를 고속감기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고속감기작동부재와, 그리고 자기테이프를 되감기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되감기작동부재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상기 캡스턴아버에 전달하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고속감기작동부재를 밀음으로서 회전축을 따라 이동되는 그 밖의 중간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는 공급측 릴블록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이동되며, 구동원의 구동력이 회전축을 따라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를 쉬프트시키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되감기작동부재를 밀음으로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자기테이프의 녹음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밀리기에 적합한 녹음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녹음작동부재는 녹음작도부재가 밀릴 때 상기 재생작동부재를 쉬프트하기 위한 작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작동부재가 재생작동부재의 초기 위치로 리셋될 때 재생작동부재는 녹음작동부재를 녹음작동부재의 초기 위치로 리셋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그 밖의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해 캡스턴아버와 함께 상기 자기테이프를 누르기 위한 핀치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재생작동부는 상기 핀치롤부를 상기 캡스터아버로 자기테이프를 누르는 위치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작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작동부재는 자기테이프에 정보신호들을 녹음하거나 녹음된 정보신호들을 독출하기 위한 자기헤드를 가지는 헤드장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재생작동부재가 초기 위치로 리셋될 때 회전축을 따라 중간 기어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제 1바이아싱부재(biasing member)와, 재생작동부재가 초기 위치로 리셋될 때 회전축을 따라 그 밖의 중간 기어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제 2바이아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밀린 위치에 잠그기 위한 잠금부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종단부(terminal end)에 상기 잠금부로 상기 작동부재를 잠금해제하기 이한 잠금해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어는 캠부와 맞물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감기측 릴블록과 일치하게 회전되는 회전할 수 있는 부재와, 캠부에 대해 압축하고 상기 맞물리부와 맞물리는 제 1암부와, 상기 회전할 수 있는 부재에 의해 요동되는 제 2암부와,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를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제 3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할 수 있는 부재의 회전은 상기 잠금해제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 1암부로 상기 중간 기어의 맞물림부를 맞물리기 위해 상기 감기측 릴블록의 회전의 중단과 함께 중단되며, 회전될 때의 상기 잠금해제부재는 상기 작동부재를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작동부를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되는 이동부와, 그리고
    전원공급 상태를 상기 구동원으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잠금해제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작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 잠시멈춤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밀리기에 적합한 잠시멈춤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는 상기 잠금해제부재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측 릴블록의 회전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릴잠금부재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 잠시멈춤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로 상기 릴잠금부재를 맞물리도록 상기 초기 위치에서 밀리는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측 릴블록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릴잠금부재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잠시멈춤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상기 릴잠금부재를 맞물리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밀리기에 적합한 잠시멈춤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가 초기 위치에서 밀릴 때 밀리는 방향으로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릴잠금부재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 고속감기작동부재 및/또는 되감기작동부재에 대해 압축하기에 적합한 인접부를 포함하며, 상기 릴잠금부재는 상기 인접부에 대해 상기 초기 위치에서 밀린 상기 고속감기작동부재 및/또는 되감기작동부재의 인접에 의한 이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아버와 함께 상기 자기테이프를 누르기 위한 핀치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는 상기 핀치롤부를 상기 캡스턴아버에서 먼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작동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아버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제 1베어링부와, 상기 제 1베어링부를 지지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제 2베어링부와, 상기 제 2베어링부를 받치는 금속 재질의 섀시와, 그리고 제 1베어링부에 대해 인접되는 일단부와 섀시에 대해 인접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탄성 부재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바이아스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1. 한 쌍의 테이프릴에 놓여진 자기테이프용 녹음/재생 장치에 있어서,
    공급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공급측 것과 맞물리는 공급측 릴블록과,
    감기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감기측 것과 맞물리는 감기측 릴블록과,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부와,
    적어도 하나의 작동부재를 가지며, 초기 위치에서 밀리는 상기 작동부재로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며,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와,
    상기 초기 위치에서 밀리는 위치에 상기 작동부재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와, 그리고
    상기 자기테이프의 종단부에 상기 잠금부로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상태를 취소시키기 위한 잠금해제부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아버와,
    자체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중간 기어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상기 캡스턴아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구동원과 중간 기어를 가지며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해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부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어는 캠부와 맞물림부를 가지며,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감기측 릴블록과 일치하여 회전되는 회전할 수 있는 부재와, 캠부에 대해 압축하고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제 1암부와, 상기 회전할 수 있는 부재에 의해 요동되는 제 2암부와,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를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제 3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할 수 있는 부재의 회전은 상기 잠금해제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 1암부로 상기 중간 기어의 맞물림부를 맞물리기 위해 상기 감기측 릴블록의 회전의 중단과 함께 중단되며, 회전될 때의 상기 잠금해제부재는 상기 작동부재를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작동부재를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그리고
    전원 공급상태를 상기 구동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잠금해제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작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 잠시멈춤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밀리기에 적합한 잠시멈춤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는 상기 잠금해제부재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측 릴블록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릴잠금부재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 잠시멈춤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로 상기 릴잠금부재를 맞물리도록 상기 초기 위치에서 밀리는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8. 한 쌍의 테이프릴들에 놓여지는 자기테이프용 녹음/재생 장치에 있어서,
    공급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공급측 것과 맞물리는 공급측 릴블록과,
    감기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감기측 것과 맞물리는 감기측 릴블록과,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해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부와,
    상기 감기측 릴블록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감기측 릴블록과 맞물리기에 적합한 릴잠금부재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부재를 가지며, 초기위치에서 밀리는 상기 작동부재로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며,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가 초기 위치에서 밀릴 때 밀리는 위치로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릴잠금부재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 밀리는 고속감기작동부재 및/또는 되감기작동부재에 대해 압축하기에 적합한 인접부를 포함하며, 상기 릴잠금부재는 상기 인접부에 대해 상기 초기 위치에서 밀리는 상기 고속감기작동부재 및/또는 되감기작동부재의 인접에 의해 이동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아버를 가지는 상기 자기테이프를 클램프하기 위한 핀치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시멈춤작동부재는 상기 캡스턴아버에서 먼 방향으로 상기 핀치롤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작동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32. 한 쌍의 테이프릴들에 놓여지는자기테이프용 녹음/재생 장치에 있어서,
    공급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공급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공급측 것과 맞물리는 공급측 릴블록과,
    감기측 릴을 회전 구동하고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가지며, 쌍으로 된 테이프릴들 중 감기측 것과 맞물리는 감기측 릴블록과,
    상기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아버와,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측 릴블록기어부와 감기측 릴블록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부와,
    적어도 하나의 작동부재를 가지며, 초기위치에서 밀리는 상기 작동부재로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며, 자기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와,
    금속 재질의 제 1베어링부와 상기 제 1베어링부를 지지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제 2베어링부와를 가지며, 상기 캡스턴아버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와,
    상기 제 2베어링부를 받치기 위한 섀시, 그리고
    제 1베어링부에 대해 인접되는 일단부와 섀시에 대해 인접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전기적으로 도체인 탄성 부재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바이아스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재생 장치.
KR1019970057405A 1996-11-01 1997-10-31 녹음및/또는재생장치 KR100469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92153 1996-11-01
JP29215396A JP3575191B2 (ja) 1996-11-01 1996-11-01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96-293033 1996-11-05
JP8293033A JPH10143937A (ja) 1996-11-05 1996-11-05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13A true KR19980042013A (ko) 1998-08-17
KR100469225B1 KR100469225B1 (ko) 2005-06-27

Family

ID=2655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405A KR100469225B1 (ko) 1996-11-01 1997-10-31 녹음및/또는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3412A (ko)
KR (1) KR100469225B1 (ko)
CN (1) CN1169136C (ko)
ID (1) ID18835A (ko)
MY (1) MY1177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3178A1 (fr) * 1997-01-29 1998-07-30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pour bande magnetique
JP3536652B2 (ja) * 1998-03-19 2004-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ール台
US6581867B2 (en) * 2000-08-19 2003-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el braking apparatus for a tape recorder
US7167337B2 (en) * 2003-03-26 2007-0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n idler mounted on a main chassis
KR100794799B1 (ko) * 2003-12-01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릴 클러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295Y2 (ko) * 1972-05-22 1982-08-17
JPS59151350A (ja) * 1983-11-07 1984-08-29 Toshiba Corp テ−プレコ−ダ装置
NL8304313A (nl) * 1983-12-15 1985-07-01 Philips Nv Schakelinrichting voor het bedienen van de opnameschakelaar van een magneetbandapparaat.
US5144507A (en) * 1989-04-27 1992-09-01 Sony Corporation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single pinch lever assembly
JPH082820Y2 (ja) * 1989-09-04 1996-01-29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テープレコーダ
JPH0452827Y2 (ko) * 1990-06-28 1992-12-11
JPH04205751A (ja) * 1990-11-29 1992-07-27 Sony Corp テーププレーヤにおけるモード切替機構
US5621587A (en) * 1991-10-04 1997-04-15 Sony Corporation Tape drive mechanism having a mode cam operated by reverse rotation of motor
US5452160A (en) * 1992-09-25 1995-09-19 Tokyo Pigeon Co., Ltd. Mode switching transmitting mechanism for a tape player
KR950004249A (ko) * 1993-07-09 1995-02-17 오오가 노리오 테이프 레코더 장치
JP3310809B2 (ja) * 1995-04-17 2002-08-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US5729402A (en) * 1996-03-13 1998-03-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ogic controlled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8835A (id) 1998-05-14
KR100469225B1 (ko) 2005-06-27
MY117771A (en) 2004-08-30
CN1192025A (zh) 1998-09-02
CN1169136C (zh) 2004-09-29
US5903412A (en) 199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7602B1 (en) Magnetic-tape apparatus
KR850001906B1 (ko)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KR100469225B1 (ko) 녹음및/또는재생장치
CA1231328A (en) Automatic reversing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353101A (en) Video tape recorder
KR920002608B1 (ko) 음향재생장치
JP3575191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20418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테이프 가이드장치
JP3567650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575192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EP0045328B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KR860000920B1 (ko) 기록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 이송장치
KR1002746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장치
CA1161163A (en) Loading change-over mechanism for a video tape recorder
KR10029658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CA1144129A (en) Loading-drive stop mechanism for a video tape recorder
JP308949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3331646B2 (ja) テープ記録再生装置
EP0045325B1 (en) A video tape recorder comprising means for receiving a magnetic tape cassette
JPH10143937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EP0045326A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CA1144130A (en) Tape winding mechanism for a video tape recorder
KR100407302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기어 조립체
GB2077976A (en) A video tape recorder
JPH0450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