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470U -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 Google Patents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470U
KR19980041470U KR2019960054563U KR19960054563U KR19980041470U KR 19980041470 U KR19980041470 U KR 19980041470U KR 2019960054563 U KR2019960054563 U KR 2019960054563U KR 19960054563 U KR19960054563 U KR 19960054563U KR 19980041470 U KR19980041470 U KR 199800414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crankshaft
crank
rod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옹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4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470U/ko
Publication of KR19980041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70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1/1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means of cranks, eccentrics, or like members fixed to one rotary member and guided along tracks o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랭크 샤프트의 커넥팅로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컨넥팅로드는 로드부의 하단부와 컨넥팅로드캡간의 결합이 측단면상 단층형상을 이룸으로 해서, 크랭크 저어널과 결합되어 고속회전을 할 때, 로드부의 하단부가 크랭크 저어널의 측벽을 긁으면서 금속침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금속칩은 오일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실린더 내벽이나 피스톤의 외주면과 같은 엔진부의 요부에 소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크랭크 샤프트(42)의 크랭크 저어널(38)에 결합되는 컨넥팅로드(46)의 하측부인 빅엔드부(20)의 양측면에 경사면(30)을 형성함으로서, 컨넥팅로드(46)가 크랭크 샤프트(42)와 직각을 벗어난 상태에서 크랭크 샤프트(42)를 회전시키더라도 크랭크 저어널(38)의 양측에 크랭크 웨이브(40)의 측면과 면접촉을 이루지 않게 되어 크랭크 샤프트(42)는 매우 부드럽게 회전이 되며, 피스톤측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잡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본 고안은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컨넥팅로드의 빅엔드를 이루고 있는 컨넥팅로드의 하단부와 컨넥팅로드캡간의 단차를 해소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저어널에 결합되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된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넥팅로드는 일명 컨로드(Con-rod)라고도 불리우며, 피스톤과 크랭크 샤프트를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피스톤핀에 의해 피스톤과 결합되는 스몰엔드라 하고, 크랭크 샤프트의 저어널과 결합되는 빅엔드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빅엔드의 내부에는 분할혈 평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종래의 컨넥팅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컨넥팅로드(1)는 횡단면상 Ⅰ형의 단면을 이루고 있는 로드부(2)와 상기 로드부(2)의 상부에는 피스톤핀(3)이 삽입되는 스몰엔드부(4)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부시(5)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2)의 하부에는 빅엔드부(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빅엔드부(6)는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하단부(7)와 컨넥팅로드캡(8)이 결합보울트에 의해 일체로 이루고 있으며, 상기 하단부(7)와 컨넥팅로드캡(8) 사이에는 상·하 분리된 평 베어링(9)이 삽입되어 있다.
컨넥팅로드(1)는 스몰엔드부(4)로부터 빅엔드부(6)에 이르기까지 도면상 미도시되었으나 오열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빅엔드부(6)로부터 스몰엔드부(4)측으로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컨넥팅로드(1)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크랭크 저어널(11)이 형성되고 그 사이 사이에 크랭크 웨이브(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크랭크 샤프트(10)에 컨넥팅로드(1)의 빅엔드부(6)가 크랭크 저널부(11)와 결합되어 컨넥팅로드(1)의 스몰엔드부(4)에 결합된 피스톤(도면상 미도시 되었음)의 상·하운동, 즉 직선운동이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10)의 각 크랭크 저어널(11)과 각 크랭크 웨이브(12)간에는 오일통로(13)가 형성되어 빅엔드부(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평베어링(9)에 윤활유를 공급함으로서, 크랭크 저어널(11)과 결합되어 크랭크 샤프트(10)를 회전시킬 때 평베어링(9)과 크랭크 저어널(11)간에 발생되는 마찰열을 냉각시켜 마찰열로 인한 빅엔드부(6)와 크랭크 저어널(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컨넥팅로드(1)는 로드부(2)의 하단부(7)와 컨넥팅로드캡(8)간의 결합이 측단면상 단층형상을 이룸으로 해서, 크랭크 저어널(11)과 결합되어 고속회전을 할 때, 로드부(2)의 하단부(7)가 크랭크 저어널(11)의 측벽을 긁으면서 금속칩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금속칩을 오일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실린더 내벽이 나 피스톤의 외주면과 같은 엔진부의 요부에 소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컨넥팅로드의 빅엔드를 이루고 있는 컨넥팅로드의 하단부와 컨넥팅로드캡간의 단차를 해소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저어널에 결합되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된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의하여 본 고안은 상·하부에 스몰엔드부와 빅엔드부가 형성된 로드부로 이루어진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에 있어서, 상기 빅엔드부는 로드부의 하단부와 컨넥팅로드캡으로 이루어지되, 로드부의 하단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시켜 로드부의 하단면과 컨넥팅로드캡의 상단면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의 크랭크 저어널에 결합되는 컨넥팅로드의 빅엔드부에 의해 컨넥팅로드가 크랭크 샤프트와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회전을 하지 않더라도 로드부의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서 크랭크 저어널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 웨이브의 측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크랭크 샤프트는 매우 부드럽게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컨넥팅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컨넥팅로드의 부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팅로드의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넥팅로드를 크랭크 샤프트와 결합시킨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빅엔드부22 : 로드부
24 : 하단부26 : 컨넥팅로드캡
28 : 하단면30 : 경사면
32 : 상단면34 : 스몰엔드부
36 : 피스톤핀38 : 크랭크 저어널
40 : 크랭크 웨이브42 : 크랭크 샤프트
44 : 평베어링46 : 컨넥팅로드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하부에 스몰에드부(34)와 빅엔드부(20)가 형성된 로드부(22)로 이루어진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에 있어서, 상기 빅엔드부(20)는 로드부(22)의 하단부(24)와 컨넥팅로드캡(26)으로 이루어지되, 로드부(22)의 하단부(24) 양측면에 경사면(30)을 형성시켜 로드부(22)의 하단면(28)과 컨넥팅로드(26)의 상단면(32)이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이다.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팅로드의 분해 예시도로서, 피스톤핀(36)이 삽입되는 스몰엔드부(34)가 상부에 형성되고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하단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로드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부(24)의 내측에 형성된 홈의 내경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컨넥팅로드캡(26)이 하단부(24)와 보울트 결합을 이루어 빅엔드부(2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빅엔드부(20)를 형성하는 로드부(22)의 하단부(24) 양측면에 경사면(30)을 형성시켜, 하단부의 하단면과 컨넥팅로드캡(26)의 상단면이 일치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컨넥팅로드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양측단이 실린더블럭에 지지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크랭크 저어널(28)과 크랭크 웨이브(40)가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 샤프트(42)와 결합되어지되, 크랭크 저어널(38)에 결합되는 로드부(22)의 빅엔드부(20)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42)와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 저어널(38)과 빅엔드부(20) 사이에는 분할형 평베어링(44)이 삽입되어 크랭크 샤프트(4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평베어링(44) 차체가 마모되도록 하여 크랭크 샤프트(42)나 컨넥팅로드(46)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저어널(38)의 양측에는 크랭크 웨이브(40)가 형성되어 있어 컨넥팅로드(46)의 빅엔드부(20)가 크랭크 샤프트(42)와 직각을 벗어난 상태에서 크랭크 샤프트(42)를 회전시키면, 크랭크 웨이브(40)의 측면이 빅엔드부(20)의 측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크랭크 웨이브(40)의 측면과 면접촉되는 빅엔드부(20)의 측면인 로드부(22)의 하단부(24)에는 경사면(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넥팅로드캡(26)과 결합된 빅엔드부(20)의 측면이 경사면(30)을 갖춘 단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컨넥팅로드(46)가 크랭크 샤프트(42)와 직각도를 벗어나 크랭크 샤프트(42)를 회전시켜도, 크랭크 웨이브(40)의 측면이 빅엔드부(20)의 측면과 면접촉을 이루지 않게 되어 크랭크 샤프트(42)는 부드럽게 회전이 되며, 컨넥팅로드(46)을 통해 크랭크 샤프트(42)에 전해지는 피스톤측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크랭크 샤프트(42)의 크랭크 저어널(38)에 결합되는 컨넥팅로드(46)의 하측부인 빅엔드부(20)의 양측면에 경사면(30)을 형성함으로서, 컨넥팅로드(46)가 크랭크 샤프트(42)와 직각을 벗어난 상태에서 크랭크 샤프트(42)를 회전시키더라도 크랭크 저어널(38)의 양측에 크랭크 웨이브(40)의 측면과 면접촉을 이루지 않게 되어 크랭크 샤프트(42)는 매우 부드럽게 회전이 되며, 피스톤측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잡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부에 스몰에드부(34)와 빅엔드부(20)가 형성된 로드부(22)로 이루어진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에 있어서, 상기 빅엔드부(20)는 로드부(22)의 하단부(24)와 컨넥팅로드캡(26)으로 이루어지되, 로드부(22)의 하단부(24) 양측면에 경사면(30)을 형성시켜 로드부(22)의 하단면(28)과 컨넥팅로드(26)의 상단면(32)이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KR2019960054563U 1996-12-23 1996-12-23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KR199800414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63U KR19980041470U (ko) 1996-12-23 1996-12-23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63U KR19980041470U (ko) 1996-12-23 1996-12-23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70U true KR19980041470U (ko) 1998-09-15

Family

ID=5399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563U KR19980041470U (ko) 1996-12-23 1996-12-23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4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1585A (en) Sleeve bearing composed of halfshells having different eccentricities
US4488826A (en) Offset wall bearing
US4635596A (en) Assembly of piston and connecting rod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5973618A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軸
JPS61248913A (ja) クロスヘツドピンの軸受
EP0449278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iston and connecting rod
KR910021538A (ko) 볼-소켓 이음매 윤활기구를 갖춘 경사판식 냉매압축기
JPH056412Y2 (ko)
KR19980041470U (ko) 크랭크 샤프트의 컨넥팅로드
GB2245317A (en) Bearing bush
US6978757B2 (en) Lubrication structure in engine
JPH0752415Y2 (ja) コンロッド軸受の潤滑装置
US4384555A (en) Cap for larger end portion of connecting rod of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72418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ピン
US20030219180A1 (en) Oil-impregnated bearing
JPH0517448Y2 (ko)
CN209781441U (zh) 活塞与气缸体壁面的润滑结构及连杆的润滑结构
JPH022086Y2 (ko)
JPS601484B2 (ja) すべり軸受
KR960005506Y1 (ko) 커넥팅로드 대단부의 윤활구조
EP0298545B1 (en) Bearings
KR200152948Y1 (ko) 커넥팅로드의 윤활구조
KR100290599B1 (ko) 자동차의크랭크축지지양면메탈베어링
JPS6136804Y2 (ko)
JPH09324819A (ja) 玉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