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814U -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814U
KR19980039814U KR2019960052886U KR19960052886U KR19980039814U KR 19980039814 U KR19980039814 U KR 19980039814U KR 2019960052886 U KR2019960052886 U KR 2019960052886U KR 19960052886 U KR19960052886 U KR 19960052886U KR 19980039814 U KR19980039814 U KR 199800398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uel filler
filler door
latch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2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814U/ko
Publication of KR19980039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814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름형 버튼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패널(31)에 고정되는 튜브(32)와, 그 튜브(32)에 수용되는 록킹 스프링(33)과, 그 록킹 스프링(33)에 의해 리턴되고 조작력이 가해지면 해제되는 래치(34)와, 그 래치(34)에 의해 걸리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퓨얼필러 도어(35)로부터 돌설되는 스트라이커(36) 및 상기 퓨얼필러 도어(35)를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37)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버튼(41)에 가이드 홀(42)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 홀(42)에 의해 상기 버튼(41)을 베이스 플레이트(43)로부터 돌설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44)에 미끄럼결합함과 함께 상기 버튼(41)에 걸림플랜지(45)를 형성하여 그 버튼(41)과 베이스 플레이트(43) 사이에서 반발하는 리턴 스프링(46)에 의해 버튼(41)이 상시 차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그 버튼(41)의 일측으로 미끄럼 핀(47)을 설치하고, 피벗(48)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3)에 회동자재케 설치되는 링크(50)가 가지는 일측의 암(51)에는 상기 미끄럼 핀(47)과 미끄럼결합되는 미끄럼 장공(51a)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링크(50)가 가지는 타측의 암(52)은 케이블 와이어(55)를 통해 상기 래치(34)와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형 버튼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퓨얼피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내에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부분과, 래치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래치부분은 바디패널(11)에 고정되는 튜브(12)와, 그 튜브(12)에 수용되는 록킹 스프링(13)과, 그 록킹 스프링(13)에 의해 리턴되고 조작력이 가해지면 해제되는 래치(14)와, 그 래치(14)에 의해 걸리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퓨얼필러 도어(15)로부터 돌설되는 스트라이커(16) 및 퓨얼필러 도어(15)를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1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분은 릴리즈 핸들(21)과, 이 릴리즈 핸들(21)에 의해 연동되는 릴리즈 로드(22)와, 이 릴리즈 로드(22)로부터 상기 래치(14)로 동작을 전달하는 케이블 와이어(2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는 사용상 당기는 구조보다 누르는 구조가 편리한 것에 비해 릴리즈 핸들(21)은 잡아당겨야 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이 편리하게 되는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디패널에 고정되는 튜브와, 그 튜브에 수용되는 록킹 스프링과, 그 록킹 스프링에 의해 리턴되고 조작력이 가해지면 해제되는 래치와, 그 래치에 의해 걸리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퓨얼필러 도어로부터 돌설되는 스트라이커 및 상기 퓨얼필러 도어를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버튼에 가이드 홀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 홀에 의해 상기 버튼을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설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에 미끄럼결합함과 함께 상기 버튼에 걸림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버튼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서 반발하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버튼이 상시 차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그 버튼의 일측으로 미끄럼 핀을 설치하고, 피벗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자재케 설치되는 링크가 가지는 일측의 암에는 상기 미끄럼 핀과 미끄럼결합되는 미끄럼 장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링크가 가지는 타측의 암은 케이블 와이어를 통해 상기 래치와 연결하여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1:바디패널 44:가이드 샤프트
32:튜브 45:걸림플랜지
33:록킹 스프링 46:리턴 스프링
34:래치 47:미끄럼 핀
35:퓨얼필러 도어 48:피벗
36:스트라이커 50:링크
37:힌지 51,52:암
41:버튼 51a:미끄럼 장공
42:가이드 홀 43:베이스 플레이트
55:케이블 와이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패널(31)에 고정되는 튜브(32)와, 그 튜브(32)에 수용되는 록킹 스프링(33)과, 그 록킹 스프링(33)에 의해 리턴되고 조작력이 가해지면 해제되는 래치(34)와, 그 래치(34)에 의해 걸리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퓨얼필러 도어(35)로부터 돌설되는 스트라이커(36) 및 상기 퓨얼필러 도어(35)를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37)로 구성되는 통상의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버튼(41)에 가이드 홀(42)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 홀(42)에 의해 상기 버튼(41)을 베이스 플레이트(43)로부터 돌설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44)에 미끄럼결합함과 함께 상기 버튼(41)에 걸림플랜지(45)를 형성하여 그 버튼(41)과 베이스 플레이트(43) 사이에서 반발하는 리턴 스프링(46)에 의해 버튼(41)이 상시 차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그 버튼(41)의 일측으로 미끄럼 핀(47)을 설치하고, 피벗(48)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3)에 회동자재케 설치되는 링크(50)가 가지는 일측의 암(51)에는 상기 미끄럼 핀(47)과 미끄럼결합되는 미끄럼 장공(51a)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링크(50)가 가지는 타측의 암(52)은 케이블 와이어(55)를 통해 상기 래치(34)와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리턴 스프링(46)은 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핀(47)은 상기 버튼(41)의 몸체로부터 횡설되는 리브(60)의 선단에 형성하여 링크(50)와 버튼(41)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5는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얼필러 도어(35)가 닫힌 상태에서 이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먼저, 버튼(41)을 누르게 되면, 버튼(41)에 설치되어 있는 미끄럼 핀(47)이 미끄럼 장공(51a)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링크(50)가 피벗(48)을 기점으로 선회하게 되고, 동시에 링크(50)에 형성되어 있는 타측의 암(52)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 와이어(55)가 당겨지면서 래치(34)가 스트라이커(36)로부터 이탈된다.
위와 같은 과정중에 버튼(41)은 가이드 홀(42)과 가이드 샤프트(44)의 직선안내를 받게 된다.
이때 퓨얼필러 도어(35)는 도어 오픈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열리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버튼(41)으로부터 손을 떼어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리턴 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버튼(41)이 실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링크(50)에 회전력을 주게 되고, 이것에 의해 링크(50)가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케이블 와이어(55)를 이완시키게 되며, 동시에 록킹 스프링(33)의 복원작용에 의해 래치(34)가 돌출되면서 케이블 와이어(55)는 인장된다. 이때 리턴 스프링(46)에 의해 실내측으로 움직이는 버튼(41)은 걸림플랜지(45)가 패널(65)에 걸리게 되면서 정지된다.
한편, 퓨얼필러 도어(35)가 열린 상태에서 이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퓨얼필러 도어(35)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 퓨얼필러 도어(35)를 밀게 되면, 힌지(37)를 기점으로 퓨얼필러 도어(35)가 선회하면서 스트라이커(36)가 래치(34)를 안쪽으로 밀게 되고, 퓨얼필러 도어(35)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놓이게 되면, 래치(34)가 록킹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스트라이커(36)로 진입되어 퓨얼필러 도어(35)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터치에 의해 퓨얼필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바디패널(31)에 고정되는 튜브(32)와, 그 튜브(32)에 수용되는 록킹 스프링(33)과, 그 록킹 스프링(33)에 의해 리턴되고 조작력이 가해지면 해제되는 래치(34)와, 그 래치(34)에 의해 걸리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퓨얼필러 도어(35)로부터 돌설되는 스트라이커(36) 및 상기 퓨얼필러 도어(35)를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37)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버튼(41)에 가이드 홀(42)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 홀(42)에 의해 상기 버튼(41)을 베이스 플레이트(43)로부터 돌설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44)에 미끄럼결합함과 함께 상기 버튼(41)에 걸림플랜지(45)를 형성하여 그 버튼(41)과 베이스 플레이트(43) 사이에서 반발하는 리턴 스프링(46)에 의해 버튼(41)이 상시 차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그 버튼(41)의 일측으로 미끄럼 핀(47)을 설치하고, 피벗(48)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3)에 회동자재케 설치되는 링크(50)가 가지는 일측의 암(51)에는 상기 미끄럼 핀(47)과 미끄럼결합되는 미끄럼 장공(51a)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링크(50)가 가지는 타측의 암(52)은 케이블 와이어(55)를 통해 상기 래치(34)와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KR2019960052886U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KR199800398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886U KR19980039814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886U KR19980039814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14U true KR19980039814U (ko) 1998-09-15

Family

ID=5399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886U KR19980039814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8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828B1 (ko) * 1997-12-20 2002-04-06 이계안 안전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828B1 (ko) * 1997-12-20 2002-04-06 이계안 안전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612A (en) Initially open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5005885A (en) Apparatus for operating linkage or car door by pivotal lever
JPS6252885B2 (ko)
US4266816A (en) Lock remote control
US5984384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self-cancelling mechanism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US7159907B2 (en) Jam-resistant door latch assembly for vehicles
KR19980039814U (ko)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잠금장치
KR200255456Y1 (ko)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 잠금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20020040346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JP2520147Y2 (ja) 保管庫の扉開閉機構
JPS6227648Y2 (ko)
KR1020725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JPS58757Y2 (ja) 自動車の扉遠隔操作装置
KR200173679Y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래치 해제장치
KR0136953Y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기구
KR100457921B1 (ko) 자동차의 도어 오픈장치
JPH0243163Y2 (ko)
KR20040067073A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핸들
JPH08303087A (ja) ラッチロック装置
KR200149970Y1 (ko) 테일게이트의인사이드핸들
KR0182893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KR940005681Y1 (ko) 자동차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