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024A - 차량용 퓨즈 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퓨즈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024A
KR19980039024A KR1019960057974A KR19960057974A KR19980039024A KR 19980039024 A KR19980039024 A KR 19980039024A KR 1019960057974 A KR1019960057974 A KR 1019960057974A KR 19960057974 A KR19960057974 A KR 19960057974A KR 19980039024 A KR19980039024 A KR 19980039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fuse
main body
fuse box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024A/ko
Publication of KR1998003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024A/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퓨즈 박스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양측부에 전선(2)의 심선(21)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홈(11)이 형성된 부도체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1), 상기 본체 케이스(1)의 전면에 일측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커버(5), 상기 본체 케이스(1)의 삽입홈(11)으로 진입한 심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클립(3), 상기 본체 케이스(1)내에 삽입홈(11) 끝단에 위치하도록 내장되어 심선(21)과 접속되며, 퓨즈(4)가 설치되는 접속 단자(7) 및 상기 접속 단자(7)에 연결되어, 전선에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우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퓨즈 박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를 나타낸 것 으로서,
도 1은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 2 : 전선
3 : 클립 4 : 퓨즈
5 : 커버 6 : 다이오우드
7 : 접속 단자 11 : 삽입홈
21 : 심선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분야]
본발명은 차량용 퓨즈 박스(fuse box)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종에 관계없이 공용화가 가능한 퓨즈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품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전장품에 과전류가 흘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 박스가 구비되어 있다. 퓨즈 박스는 통상적으로 운전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고, 퓨즈가 삽입되는 접속단자와 이 접속단자에 연결된 전선이 연결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종래의 퓨즈 박스를 새로운 차종에 적용할 때, 만일 새로운 차종에서 퓨즈 1개가 더 설치되어야 한다면 기존의 퓨즈 박스로서는 부가되는 퓨즈를 설치할 공간이 없는 관계로 새로운 퓨즈 박스 새로 설계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 전장품에서는 일반 퓨즈와는 다른 별도의 퓨즈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퓨즈를 기존의 퓨즈 박스에 설치하면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많았다.
그리고, 차량의 수송은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선저항에 의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 박스에서 퓨즈를 뺀 상태로 수송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퓨즈를 별도로 보관하다가 분실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퓨즈 박스로 인해 야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종에 관계없이 공용화가 가능한 퓨즈 박스를 신설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전장품에 사용되는 별도의 퓨즈 단독으로 설정가능한 퓨즈 박스를 신설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운송중에도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면서도 퓨즈를 퓨즈 박스에서 뺀 채로 수송할 필요없도록 하여 퓨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측부에 전선의 심선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부도체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일측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커버, 상기 본체 케이스의 삽입홈으로 진입한 심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클립, 상기 본체 케이스내에 삽입홈 끝단에 위치하도록 내장되어 심선과 접속되며, 퓨즈가 설치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접속 단자에 연결되어, 전선에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이 착탈가능하게 본체 케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차종에도 전선의 배선 구조만 변경하면 되므로 공용화가 가능하고, 또한 장시간의 수송중에도 퓨즈를 뺄 필요없고 대신에 전선을 빼면 되므로 퓨즈의 분실을 막을 수가 있으며, 다이오우드가 설치되었으므로 전장품에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는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조립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부도체, 예를 들면 고무로 이루어지고, 양측부에 각각 전선(2)의 심선(21)이 삽입되는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의 끝단에 퓨즈(4)가 설치되는 접속 단자(7)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 단자(7)에는 전장품으로의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우드(6)가 연결된다.
상기 삽입홈(11)을 통해 진입된 전선(2)의 심선(21)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클립(3)이 본체 케이스(1)의 전면에 통해 삽입홈(11)내로 진입된다. 상기 클립(3)은 심선(21)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본체 케이스(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완전고정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의 전면에 커버(5)의 일측부가 수지경첩식으로 연결되어, 퓨즈(4)의 외부 노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효과]
상기된 바와 같이, 심선(21)을 삽입홈(11)내로 진입시키면, 클립(3)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고, 반면에 심선(21)을 빼내면 클립(3)은 이탈이 안되고 그대로 있게 된다. 즉, 퓨즈(4)는 항상 접속 단자(7)에 설치되어 있고, 심선(21)을 빼내게 되도록 퓨즈 박스를 구성하므로써 새로운 차종에 따른 퓨즈 배치가 변경되어도 새로운 퓨즈 박스를 새롭게 설계할 필요없이 전선(2)의 배선구조만 변경하면 된다. 따라서, 차종에 관계없이 퓨즈 박스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심선(21)을 삽입홈(11)에서 빼내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므로, 퓨즈(4)를 접속 단자(7)에서 빼내지 않고도 차량을 수송할 수가 있게 되고, 따라서 퓨즈의 분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장품으로 역전류가 흐르는 것이 접속 단자(7)에 설치된 다이오우드(6)에 의해 방지될 수가 있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양측부에 전선의 심선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부도체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일측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커버, 상기 본체 케이스의 삽입홈으로 진입한 심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클립, 상기 본체 케이스내에 삽입홈 끝단에 위치하도록 내장되어 심선과 접속되며, 퓨즈가 설치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접속 단자에 연결되어, 전선에 역전류가 흐르는것을 방지하는 다이오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
KR1019960057974A 1996-11-27 1996-11-27 차량용 퓨즈 박스 KR19980039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974A KR19980039024A (ko) 1996-11-27 1996-11-27 차량용 퓨즈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974A KR19980039024A (ko) 1996-11-27 1996-11-27 차량용 퓨즈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024A true KR19980039024A (ko) 1998-08-17

Family

ID=6648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974A KR19980039024A (ko) 1996-11-27 1996-11-27 차량용 퓨즈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35B1 (ko) * 2004-11-24 2011-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퓨즈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35B1 (ko) * 2004-11-24 2011-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퓨즈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445B1 (ko)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EP1139373B1 (en) Fuse block
KR100567727B1 (ko) 회로 보호 어셈블리, 퓨즈 및 소켓
US4800358A (en) Fuse
JPH06276648A (ja) リレーボックス
JP3679306B2 (ja) 室内装備取付ブラケット
US5837938A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9980039024A (ko) 차량용 퓨즈 박스
JPH11299115A (ja) 車両用バッテリボックス
KR200147059Y1 (ko) 자동차의 퓨즈박스용 단자 체결부재
JPH0915338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KR0119193Y1 (ko) 퓨즈와 릴레이 내장형 컨넥터
KR0139709Y1 (ko) 차량의 배터리 캡
KR19980028886A (ko)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KR200243612Y1 (ko)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퓨즈 및 릴레이 박스용 단자
KR200145551Y1 (ko) 자동차용 퓨즈 박스
JP2000092649A (ja) プロテクタ
KR20030076750A (ko) 자동차용 커넥터 카바
KR0114129Y1 (ko) 자동차용 축전지(battery) 터미널 접속구조
JP2569856Y2 (ja) 自動車の電気回路における短絡ピン
KR19980030174A (ko) 자동차 퓨즈박스 커버의 로킹구조
JP3493936B2 (ja) 電気接続箱
KR19980058384U (ko) 자동차 퓨즈박스의 와이어하네스 고정구조
JPH0465074A (ja) 防水型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145110Y1 (ko) 자동차의 퓨즈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