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886A -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886A
KR19980028886A KR1019960048074A KR19960048074A KR19980028886A KR 19980028886 A KR19980028886 A KR 19980028886A KR 1019960048074 A KR1019960048074 A KR 1019960048074A KR 19960048074 A KR19960048074 A KR 19960048074A KR 19980028886 A KR19980028886 A KR 19980028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lock
snap
vehicle
connector
fi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욱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886A/ko
Publication of KR1998002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886A/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36)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의 커넥터 수납공간(12)을 마련하는 정션블럭(10); 및 상기 다수의 수납공간(12)에 수납된 다수의 커넥터(36)를 상기 정션블럭(10)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6)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라, 릴레이, 휴즈 등의 다양한 전장품이 집합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전장품의 수리, 교체 및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정션블럭이 차체 패널에 형성되는 키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전장품을 집합적으로 위치시키므로써 전장품의 수리, 교체 및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차체 패널에 장착될 수 있게 되는 정션블럭 조합체(junction block combination for automobile)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릴레이, 휴즈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장품이 자동차 시스템과 별도로 구분되어 설치 사용된다. 또한, 릴레이는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전기회로의 개폐장치로서, 일반적으로는 한개의 전선에 전류가 통하고 있는 상태와 통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각각 1 및 0으로 나타내는 2진 소자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릴레이에는 일반 파워 릴레이, JIS형 파워 릴레이 및 ISO형 파워 릴레이가 있으며; ISO형 파워 릴레이는, 일반 파워 릴레이나 JIS형 파워 릴레이에 비해 사이즈가 작고 코스트가 감소되기 때문에, 미니 릴레이로서도 언급된다.
휴즈는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제조되어 전기회로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면 녹아 끊어져 회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휴즈는 회로중에 직렬로 설치되어 전선이 타거나 부하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릴레이나 휴즈 등의 전장품이 각기 격리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리, 교환 및 레이아웃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부품에 대한 간섭이 심하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텍터를 사용하여야만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전장품을 집합적으로 위치시키므로써 전장품의 수리, 교체 및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차체 패널에 장착될 수 있게 되는 정션블럭 조합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션블럭, 12: 커넥터 수납구획, 14: 중앙통로, 16: 돌출부, 18: 나사구멍, 20: 장착용 돌출편, 22: 플랜지 부분, 24: 키홀, 26: 고정용 로드, 28: 록킹편, 30: 걸림돌기, 32: 걸림홈, 34,38: 스냅끼워맞춤 접합부, 36: 커넥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정션블럭 조합체가 제공되며; 상기 조합체는, 커넥터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의 커넥터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정션블럭; 및 상기 다수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다수의 커넥터를 상기 정션블럭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이 로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로드부재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편이 제공되며, 상기 록킹편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정션블럭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계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정션블럭의 외벽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장착용 돌출편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장착용 돌출편의 다른단부는 차체에 형성되는 키홀에 끼워져서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정션블럭의 하나 이상의 외벽에는 스냅끼워맞춤 접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스냅끼워맞춤 접합부에는 다른 정션블럭, 릴레이 박스 및/또는 휴즈박스에 형성되는 다른 스냅끼워맞춤 접합부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릴레이, 휴즈 등의 다양한 전장품이 집합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전장품의 수리, 교체 및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정션블럭이 차체 패널에 형성되는 키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고,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럭 조합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럭 조합체는, 정션블럭(10)을 포함한다. 정션블럭(10)의 양측방에는 다수의 커넥터 수납구획(12)이 서로 대향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정션블럭(10)의 중간부분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통로(14)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커넥터 수납구획(12)에는 커넥터(36)가 수납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커넥터(36)의 하단부에는 돌출부(16)가 형성된다. 커넥터(36)의 상기 돌출부(16)는 상기 중앙통로(14)상에 위치되며, 두개의 대응되는 커넥터(36)의 돌출부(16)들은 해당 중앙통로(14) 면적의 절반씩을 각각 점유하게 된다.
돌출부(16)들이 중앙통로(14)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6)들의 상부에는 고정용 로드(26)가 제공된다. 고정용 로드(26)는 상기 중앙통로(14)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용 로드(26)의 양단부에는 고정용 로드(26)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편(28)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편(28)의 자유단부에는 걸림돌기(30)가 형성되며, 걸림돌기(30)는 정션블럭(10)의 전방 및 후방 벽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2)에 계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30)가 상기 걸림홈(32)에 계합되므로써, 각각의 커넥터 수납구획(12)에 수납된 다수의 커넥터(36)들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션블럭(10)의 측방향 벽면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18)이 형성되고, 나사구멍(18)에는 장착용 돌출편(2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된다. 장착용 돌출편(20)의 다른단부에는 플랜지 부분(22)이 형성된다. 장착용 돌출편(20)을 차체 패널에 형성되는 키홀(24)을 관통하여 삽입시키고나서 하방으로 누르면, 장착용 돌출편(20)이 키홀(24)의 키홈부위로 압입적으로 삽입되면서 정션블럭(10)은 차체 패널에 대한 장착된다. 정션블럭(10)의 모든 벽면에는 스냅끼워맞춤 접합부(34)가 고정되며, 상기 스냅끼워맞춤 접합부(34)에는 다른 정션블럭(10), 릴레이 박스 또는 휴즈 박스 등에 형성되는 다른 스냅끼워맞춤 접합부(38)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용 돌출편(20)이 정션블럭(10)의 좌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좌측에 장착된 장착용 돌출편(20)을 나사구멍으로부터 분리시켜 우측에 형성된 나사구멍(18)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착용 돌출편(20)이 정션블럭(10)의 우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릴레이, 휴즈 등의 다양한 전장품이 집합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전장품의 수리, 교체 및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정션블럭이 차체 패널에 형성되는 키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정션블럭 조합체에 있어서, 커넥터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의 커넥터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정션블럭; 및 상기 다수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다수의 커넥터를 상기 정션블럭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로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로드부재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편이 제공되며, 상기 록킹편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정션블럭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계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럭의 외벽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장착용 돌출편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장착용 돌출편의 다른단부는 차체에 형성되는 키홀에 끼워져서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럭의 하나 이상의 외벽에는 스냅끼워맞춤 접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스냅끼워맞춤 접합부에는 다른 정션블럭, 릴레이 박스 및/또는 휴즈박스에 형성되는 다른 스냅끼워맞춤 접합부가 끼워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KR1019960048074A 1996-10-24 1996-10-24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KR19980028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074A KR19980028886A (ko) 1996-10-24 1996-10-24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074A KR19980028886A (ko) 1996-10-24 1996-10-24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886A true KR19980028886A (ko) 1998-07-15

Family

ID=6631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074A KR19980028886A (ko) 1996-10-24 1996-10-24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8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911B1 (ko) * 2000-12-19 2003-0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쇼트 커넥터 박스
KR100809007B1 (ko) * 2005-11-16 2008-03-05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적용시스템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휴즈 및 릴레이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911B1 (ko) * 2000-12-19 2003-0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쇼트 커넥터 박스
KR100809007B1 (ko) * 2005-11-16 2008-03-05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적용시스템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휴즈 및 릴레이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4475A (en) Construction for fixing bus bar for miniature fuses to electrical connection box
JP5074782B2 (ja) 電気接続箱
EP1139373B1 (en) Fuse block
KR100567727B1 (ko) 회로 보호 어셈블리, 퓨즈 및 소켓
JP200519073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US4963099A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836811B2 (ja) ねじ締めブロックの接続構造
US4800358A (en) Fuse
JP5606200B2 (ja) ヒューズブロック装置
US6542064B2 (en) Fuse
JP6836380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420205B2 (ja) 電気接続箱
KR19980028886A (ko) 차량용 정션블럭 조합체
US5735713A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6734780B2 (en) Fuse assembly
KR100830698B1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KR201200188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EP1548786B1 (en) Fuse connection structure of bus bar and electric connection box provided with same
KR200147059Y1 (ko) 자동차의 퓨즈박스용 단자 체결부재
KR20180075269A (ko) 정션박스용 멀티 퓨즈
JP5707160B2 (ja) ノイズフィルタ付ヒューズ
JP2024047353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US20020098739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21197744A (ja) 電気接続箱
JP3175649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