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013A -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013A
KR19980039013A KR1019960057963A KR19960057963A KR19980039013A KR 19980039013 A KR19980039013 A KR 19980039013A KR 1019960057963 A KR1019960057963 A KR 1019960057963A KR 19960057963 A KR19960057963 A KR 19960057963A KR 19980039013 A KR19980039013 A KR 1998003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ction pipe
pipe structure
ca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432B1 (ko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4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7Oil pickup tube to oil pump, e.g. str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실린더 블럭(2)에 장착되어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팬(1)의 저면에 하단이 근접하게 위치하고, 상단은 오일펌프(3)에 연결되어 오일이 강제흡입되어 이동되는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4) 하단에 오일이 항시 충진되도록 오일의 일정량을 저장하는 캡(10)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도 1은 오일팬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캡이 흡입 파이프에 씌워진 것을 나타낸 도 3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일팬 2 : 실린더 블럭
3 : 오일펌프 4 : 흡입 파이프
5 : 메시체 6 : 배플 플레이트
10 : 캡 11 : 연통홈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일 흡입(suction)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블럭 하부에 장착된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이 흡입되는 파이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은 회전중에 많은 부품끼리 서로 마찰을 일으키며, 이러한 부품 중엔 상당히 큰 하중을 받으면서 고속으로 마찰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에 사용되는 힘은 실린더의 팽창 행정에서 얻어지는 힘에 대하여 손실을 유발하는 힘이며, 또한 부품간의 마찰은 당연히 그 부품을 마모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며, 엔진의 전체적인 성능을 총체적으로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엔진에는 윤활장치가 설치되고, 그 구성은 기관 오일을 저장하는 용기인 오일팬,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을 기관의 각 운동부분에 압송하는 오일 펌프,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이 흡입되어 이동되는 흡입 파이프 및 오일 펌프에서 압송된 오일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조정하는 밸브장치인 유압 조절기로 구성된다.
그중에서도 오일팬(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 또는 알루미늄판을 프레스로 가공한 용기로서, 개스킷을 대고 실린더블럭(2) 하부에 볼트로 장착된다. 또한, 오일팬(1)은 외부로 열을 발산하여 오일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도 수행한다.
[종래 기술]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종래의 오일팬 구조가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팬(1)은 상부가 개방되고, 그 하면은 일측에서 경사져서 내려오다가 일정부분이 더 깊게 패여져 오목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오목부에 오일이 저장된다. 상기 오목부의 하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오일 펌프(3)에 의해 압송되는 오일의 이동통로인 흡입 파이프(4)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4)의 하단에는 오일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메시(mesh)체(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4)의 하단은 주행중의 충격으로 오일팬(1)이 손상되는것을 대비하여 오일팬(1)의 최저면에서 약 5 내지 10mm 정도 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상부에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오일이 좌우나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배플 플레이트(6 : bame plate)가 설치된다. 즉, 상기 배플 플레이트(6)는 오목부의 상부를 완전밀폐시켜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오일이 한쪽으로 쏠려 흡입 파이프(4)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종래의 배플 플레이트(6)는 오목부의 상부만 밀폐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오일의 상하유동을 억제할 수는 있으나, 좌우유동을 억제하기에는 그 구조상 거의 불가능하고, 게다가 오일의 양이 적은 상태에서 오일이 한쪽으로 쏠리면 항상 오일에 침지(沈漬)되어 있어야 할 흡입 파이프(4)의 개방된 하단이 외부에 노출되어서 공기가 흡입파이프(4)로 침투할 소지가 많고, 오일내에 침투한 공기는 효과적인 윤활작용을 방해하며, 따라서 엔진의 각 부품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흡입파이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일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흡입 파이프로 침투한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린더 블럭에 장착되어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팬의 저면에 하단이 근접하게 위치하고, 상단은 오일펌프에 연결되어 오일이 강제흡입되어 이동되는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 하단에 오일이 항시 충진되도록 오일의 일정량을 저장하는 캡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흡입 파이프의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두도록 씌워지고, 그 하부는 흡입 파이프의 외주면에 오일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착되며, 상부는 흡입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수 개소에 오일이 이동되는 연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홈은 3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캡의 내부에 항상 오일이 충진되어 있으므로 흡입 파이프의 하단도 오일의 유면 높이에 상관없이 오일에 침지되므로써 외부의 공기가 흡입 파이프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캡이 흡입 파이프에 씌워진 것을 나타낸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동일 부번을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럭(2)의 하부에 장착되어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팬(1)에 오일 펌프(3)의 구동에 의해 오일이 강제흡입되는 흡입 파이프(4)가 마련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4)는 상단이 상기 오일 펌프(3)에 연결되고, 하단은 오일팬(1)의 저면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4)의 하단에는 오일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메시체(5)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오일팬(1)에 오일의 급격한 유면변화를 방지하여 흡입파이프(4)내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플 플레이트(6)가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서 오일이 한쪽으로 치우쳐도 흡입 파이프(4)의 하단이 항시 오일에 침지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량의 오일이 항시 저장되는 캡(10)이 씌워진다.
상기 캡(10)은 흡입 파이프(4)의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씌워지고, 하부는 오일이 누설되지 않도록 메시체(5)에 밀착되며, 반면에 상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파이프(4)의 외주면에 밀착되지만 수 개소, 본 실시예에서는 3개소에 오일이 이동되는 연통홈(11)이 형성된다.
즉, 캡(10)내에는 연통홈(11)을 통해 오일이 유입되어 항시 일정량이 저장된 상태로서, 차량의 주행시의 진동으로 인해서 도 3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오일의 유면이 한쪽으로 치우쳐도 상기와 같이 캡(10)내의 오일은 밀폐된 하부를 통해 누설되지 않으므로 흡입 파이프(4)의 하단은 항시 오일에 침지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흡입 파이프(4)를 통해 침투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의 일정량을 항시 저장할 수 있는 캡(10)을 흡입 파이프(4)의 하단에 씌우므로써 주행의 진동으로 오일이 한쪽으로 치우쳐도 흡입 파이프(4)의 하단은 항시 오일에 침지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흡입 파이프(4)내로 공기가 침투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고, 원활한 윤활작용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

  1. 실린더 블럭에 장착되어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팬의 저면에 하단이 근접하게 위치하고, 상단은 오일펌프에 연결되어 오일이 강제흡입되어 이동되는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 하단에 오일이 항시 충진되도록 오일의 일정량을 저장하는 캡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흡입 파이프의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두도록 씌워지고, 그 하부는 흡입 파이프의 외주면에 오일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착되며, 상부는 흡입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수개소에 오일이 이동되는 연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홈은 3개소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KR1019960057963A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KR10034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963A KR100346432B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963A KR100346432B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013A true KR19980039013A (ko) 1998-08-17
KR100346432B1 KR100346432B1 (ko) 2002-12-26

Family

ID=3748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963A KR100346432B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4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6412U (ko) * 1989-01-20 1990-08-01
JPH0610644A (ja) * 1992-06-24 1994-01-1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オイルストレーナ
KR970044203A (ko) * 1995-12-29 1997-07-26 한승준 유동형 받침대를 가지는 오일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432B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1735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14659A (en) Reinforced structure of a cylinder block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46432B1 (ko)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KR200159784Y1 (ko) 차량의 엔진 오일의 편향 유동을 방지하는 오일 팬
KR19980042203U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 배플
KR19980059544A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 배플
KR19990052772A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팬
KR100228132B1 (ko) 오일탱크의 폐 오일 배출장치
US1855443A (en) Fuel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9980036397A (ko) 엔진의 오일 배플
KR101154392B1 (ko) 엔진의 오일팬 결합장치
KR19980036400A (ko) 윤활장치의 오일 스트레이너
CN212202279U (zh) 一种发动机及其机体下框架
KR100445218B1 (ko)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KR900009055Y1 (ko) 유압실린더의 안전밸브장치
KR200168054Y1 (ko) 로커카바와 로커카바 개스킷
KR100373875B1 (ko) 자동차용 오일 흡입 파이프의 에어레이션 방지구조
KR200236364Y1 (ko) 캠축의오일누유방지구조
KR100535488B1 (ko) 캠 샤프트를 이용한 진공펌프
KR100401566B1 (ko) 오일 쿨러의 장착 구조
KR19980037336U (ko) 차량용 오일팬의 배플 플레이트
KR19980040273U (ko) 엔진오일 팬의 리킹 방지구조
KR19980040132U (ko) 윤활장치의 오일 스트레이너
KR19980037351U (ko) 자동차용 오일팬
KR19980056321A (ko) 쳄버가 형성된 차량용 오일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