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218B1 -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218B1
KR100445218B1 KR10-2002-0011528A KR20020011528A KR100445218B1 KR 100445218 B1 KR100445218 B1 KR 100445218B1 KR 20020011528 A KR20020011528 A KR 20020011528A KR 100445218 B1 KR100445218 B1 KR 100445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w
oil pan
vehicl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009A (ko
Inventor
한윤석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2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37Oilsumps with different oi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일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오일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정된 윤활공급을 위해 오일팬에 형성되는 요입부의 깊이를 깊게하여 오일팬을 제작하므로 오일팬과 지면과의 간격이좁아 오일팬이 쉽게 지면과 접면되어 파손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측에 요입부(110)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오일팬(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110)의 깊이를 낮게 형성하면서 그 요입부(110) 바닥 사방에 오일의 흐름을 막아주는 격판(120)을 형성하고, 상기 격판(120) 위에는 중앙에 유통공(201)이 형성된 베플(200)을 설치하되 그 유통공(201)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입벽(210)을 형성하여 베플(200)을 설치하면 그 입벽(210)이 상기 사방의 격판(120) 사이에 놓이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가속이나 급정지 또는 코너링시 오일의 흐름을 1차적으로 입벽(210)이 차단하고, 2차적으로는 격판(120)이 차단토록 하므로서 오일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하여 어떤 운전조건에서도 항상 안정된 윤활공급을 이룰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on of oil fluid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오일팬에 담겨있는 오일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오일팬에 오일이 조금 남아있을 경우 차량의 급제동이나 급가속시 또는 코너링시에도 오일이 흡입파이프를 통해 각부품에 원활히 공급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어떠한 운전조건에서도 안정된 윤활공급을 할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일 유동방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윤활장치는 기관내부의 각 섭동부에 오일을 공급하여 마찰손실과 부품의 마멸을 최소로 만들어 기계효율을 높혀주는 일을 하며, 상기 윤활장치의 기능에는 강인한 유막을 형성하여 표면의 마찰을 방지하는 감마작용, 고압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작용, 마찰열을 흡수하여 윤활부를 깨끗이 해주는 세척작용, 국부압력을 액 전체에 분산시켜 평균화시키는 응력 분산작용, 수분이나 부식성 가스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청작용이 있다.
상기 윤활장치의 오일에는 부품의 마찰및 마멸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엔진오일과 기어오일 그리고 부품의 작동에 대한 보조력을 발생하는 유압오일등이 있으며, 상기 엔진오일은 인간의 피와같은 것으로 엔진이 작동할 때 각 부품으로 엔진오일이 공급되어 각 부품간의 접촉면에 오일막을 형성시켜 마찰에 의한 동력손실을 방지하므로서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엔진오일은 마찰방지 뿐만 아니라 마찰시 발생하는 마찰열을 흡수하여 다른곳으로 방열하는 냉각작용, 피스톤과 실린더사이로 고압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밀작용도 함께 수행한다.
특히 부품간의 접촉면에서 발생된 금속분말, 공기중의 먼지, 연소 생성물의 카본등을 오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흡수하여 접촉면의 긁힘을 방지하는 세척작용을 한다.
상기 엔진오일은 엔진하부에 설치된 오일팬에 저장되어 오일펌프에 의해 엔진의 각 부품간의 접촉면에 공급되는데, 종래 오일팬의 구조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오일팬(10)의 일측은 요입부(11)로 형성하여 상기 요입부(11)내에 흡입파이프(도면중 미도시)가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적은량의 오일이 남아있을 경우에도 오일이 원활하게 흡입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11)상면으로는 베플(20)을 설치하여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오일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토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오일팬(10)에 오일이 많이 있을 경우에는 별 상관이 없으나 그 양이 줄어들어 적은양의 오일이 남아있을 경우 차량이 갑작스럽게 감속하거나 가속할 경우 또는 코너링을 할시 베플(20)이 오일의 유동됨을 방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오일이 유동되면서 한방향으로 쏠려 일부 오일이 요입부(11)를 벗어나 오일이 흡입파이프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대신 공기가 빨려들어가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의 요입부(11)의 깊이를 깊게하여 오일이 한방향으로 쏠리더라도 모두 요입부(11)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항상 흡입파이프가 오일속에 묻혀있도록 하므로서 오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요입부(11)의 깊이를 깊게할 경우에는 지면과 오일팬(10)과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차량이 평탄치못한 도로를 지나갈때 지면과 오일팬(10)이 쉽게 접면되어 오일팬(10)이 파손 당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요입부(11)의 깊이를 낮게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차량이 오르막이나 내리막을 주행시 오일이 한방향으로 쏠리면서 일부 오일이 요입부(11)를 벗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오일이 흡입파이프를 통해 원활히 배출될수 없어 안정된 윤활공급을 하지못해 엔진섭동부위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팬의 일측에 형성되는 요입부의 깊이를 깊게하지 않으면서도 차량의 급제동이나 가속시 또는 코너링을 할시 오일이 한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어떤 운전조건에서도 안정된 윤활공급을 할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일 유동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입부의 깊이를 낮게 형성하면서 그 요입부 바닥 면 사방에 오일의 유동됨을 막아주는 격판을 형성하고, 상기 격판 위에는 중앙에 유통공이 형성된 베플을 설치하되 그 유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입벽을 형성하여 베플을 설치하면 그 입벽이 상기 사방의 격판 사이에 놓이게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일이 조금 남아있는 경우에 차량이 급가속이나 급정지 또는 코너링을 하더라도 오일이 1차적으로 입벽에 의해 2차적으로는 격판에 의해 한방향으로 쏠리는등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오일이 각부품으로 원활히 공급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오일팬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오일팬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일팬 110 : 요입부
120 : 격판 200 : 베플
201 : 유통공 210 : 입벽
이하,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오일팬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결합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요입부(110)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오일팬(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110)의 깊이를 낮게 형성하면서 그 요입부(110) 바닥 사방에 오일의 흐름을 막아주는 격판(120)을 형성하고, 상기 격판(120) 위에는 중앙에 유통공(201)이 형성된 베플(200)을 설치하되 그 유통공 (201)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입벽(210)을 형성하여 베플(200)을 설치하면 그 입벽(210)이 상기 사방의 격판(120) 사이에 놓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오일팬(100)의 요입부(110)상면으로 베플(200)을 설치하여 오일의 유동을 억제토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요입부(110)의 깊이를 낮게하고, 요입부(110)바닥면에 다수개의 격판(120)을 설치하며, 또한 베플(200)에 천공되는 유통공(201)의 테두리 하단으로 입벽(210)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베플(200)을 요입부 (110)상면으로 설치를 하게되면 도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입벽(210)이 요입부 (110)의 바닥에 형성된 격판(120)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가속이나 급정지 또는 코너링을 할시에 오일이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게 되는 것으로 즉, 상기 입벽(210)내에 들어있는 오일은 입벽(210)에 의해 흐름이 차단되어 유동됨이 극히 미미한 것이고, 유동되어 일부 입벽(210)을 빠져나가는 오일은 다시 격판(120)에 의해 유동됨이 방지되는 것으로서 즉, 오일은 1 차적으로 입벽(210)에 의해 2차적으로는 격판(120)에 의해 3차적으로는 베플(200)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최소한 방지되어 어떤 운전조건에서도 오일이 유동되는 것이 극히 적어 항상 오일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은 오일팬(100)의 요입부(110) 깊이를 작게하면서도 오일의 유동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종래처럼 오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팬 (10)에 형성되는 요입부(11)의 깊이를 깊게하므로 인하여 지면과 오일팬(10)의 간격이 너무 좁아들어 차량이 평탄치못한 길을 주행시 지면과 오일팬(10)이 서로 접면되어 오일팬(10)이 파손되는등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오일이 입벽(210)과 격판(120)에 의해 유동됨이 최대한 억제되어 요입부(11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차량의 급가속이나 급정거 또는 코너링시와 같은 조건에서 오일팬(100)에 넣어진 오일이 유동되어 안정된 윤활공급을 할수없는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으므로 차량의 어떤 조건에서도 오일이 크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일이 각 부품에 원활히 공급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팬에 형성되는 요입부의 깊이를 낮게 형성하면서도 오일이 유동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항상 안정된 윤활공급을 이룰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일측에 요입부(110)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오일팬(100)에 오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110)의 깊이를 낮게 형성하면서 그 요입부(110) 바닥 사방에 오일의 흐름을 막아주는 격판(120)을 일체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격판(120) 위에는 중앙에 유통공(201)이 형성된 베플(200)을 설치하되 그 유통공(201)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입벽(210)을 형성하여 베플(200)을 오일팬(100)의 상부에 설치하면 입벽(210)이 상기 격판(120) 사이에 끼워져 놓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유동방지구조.
KR10-2002-0011528A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KR100445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28A KR100445218B1 (ko)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28A KR100445218B1 (ko)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009A KR20030072009A (ko) 2003-09-13
KR100445218B1 true KR100445218B1 (ko) 2004-08-21

Family

ID=3222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528A KR100445218B1 (ko) 2002-03-05 2002-03-05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9688B (zh) * 2015-10-22 2019-02-2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挡油板和发动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14U (ja) * 1983-07-21 1985-02-14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オイルパン
JPH0550012U (ja) * 1991-12-04 1993-07-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ラント型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パンの構造
KR19980022086A (ko) * 1996-09-20 1998-06-25 김영귀 오일팬의 버플 플레이트 체결구조
KR19990023737U (ko) * 1997-12-08 1999-07-05 홍종만 오일팬 트래이
KR19990026250U (ko) * 1997-12-19 1999-07-15 홍종만 기포방지용 격막을 구비한 오일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14U (ja) * 1983-07-21 1985-02-14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オイルパン
JPH0550012U (ja) * 1991-12-04 1993-07-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ラント型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パンの構造
KR19980022086A (ko) * 1996-09-20 1998-06-25 김영귀 오일팬의 버플 플레이트 체결구조
KR19990023737U (ko) * 1997-12-08 1999-07-05 홍종만 오일팬 트래이
KR19990026250U (ko) * 1997-12-19 1999-07-15 홍종만 기포방지용 격막을 구비한 오일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009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817A (en) Dry sump oil cooling system
US20100031915A1 (en) Engine Oil Lev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Engines in Vehicles
KR100445218B1 (ko) 자동차의 오일 유동 방지구조
CN102187134A (zh) 通气阀组件
US20130014726A1 (en) Oil System for an Engine
JP5151618B2 (ja) ピストン構造
US6183632B1 (en) Arrangement for filtering liquid used in a device having a sump pan
CN212296538U (zh) 一种油底壳
JP5937843B2 (ja) 変速機のブリーザ装置
CN216894659U (zh) 可安装机油泵的水冷摩托车发动机曲轴箱盖
JP2009052533A (ja) オイルパン構造
JPS6335135Y2 (ko)
JP5012241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オイルストレーナ
JP5261353B2 (ja) オイルパン
CN214944484U (zh) 一种机油盘
KR100346432B1 (ko) 자동차의 오일 흡입 파이프 구조
KR200159784Y1 (ko) 차량의 엔진 오일의 편향 유동을 방지하는 오일 팬
CN217300901U (zh) 一种高压罗茨鼓风机墙板
CN214533132U (zh) 一种曲轴箱通风系统
JPS636403Y2 (ko)
CN217783591U (zh) 一种油底盘及其发动机、飞行器
CN210564707U (zh) 一种汽车发动机曲轴箱通气防堵管路
KR101846557B1 (ko) 범용 오일팬
KR19980061452U (ko) 오일 냉각용 파이프를 갖는 오일 팬
JPH068714U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環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