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745U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745U
KR19980038745U KR2019960051813U KR19960051813U KR19980038745U KR 19980038745 U KR19980038745 U KR 19980038745U KR 2019960051813 U KR2019960051813 U KR 2019960051813U KR 19960051813 U KR19960051813 U KR 19960051813U KR 19980038745 U KR19980038745 U KR 199800387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exchange medium
heat exchange
tub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6469Y1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60051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4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8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conduits; with centrally arranged openings on th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성형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열교환매체 통로와 열교환매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는 튜브를 포함하여 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성형 플레이트들은 상호 대향되는 면에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채용함으로써, 성형플레이트들의 브레이징 결합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율이 감소하고, 확실한 접합이 이루어지므로 내구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본 고안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브를 이루는 플레이트의 구조가 개선된 열교환기의 튜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히이터 코어 또는 증발기로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방열특성 및 열교환매체의 흐름상태 등에 따라 핀과 튜브 타입, 서펜틴 타입(serpentine type), 드론 컵 타입(drawn cup type)등 여러타입으로 분류되는데 도 1에는 이러한 열교환기중 드론컨 타입 열교환기의 일 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두장의 성형 플레이트(11)(11')가 상호 결합되어 열교환매체가 흐르는 열교환매체 통로(12)와 그 단부에 한 쌍의 탱크(13)(13')가 마련된 튜브가 복수개 적층되고 각 튜브사이에는 방열핀(20)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13)(13')에는 각각 열교환매체를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매니폴드(30)가 설치된다. 상기 탱크에 대한 매니폴드(30)의 설치는 상호 인접하는 튜브사이에 관상의 매니폴드(30)의 기부가 고정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매니폴드(30)의 기부(31)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그 양측면에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탱크(13)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교환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11)(11')의 결합으로 열교환매체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일측 플레이트(11)의 표면은 소정길이 중간을 가르는 분리벽(16)을 가지고 있으며, 이 분리벽(16)은 소정높이 돌출되어 튜브내의 열교환매체 유동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1)의 표면은 딤플(14) 즉, 반구형의 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뒷면에는 앞면의 딤플(14)로 인한 반구형의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타측 플레이트(11')도 마찬가지로 그 일면에는 타면의 딤플(14)로 인한 반구형의 돌출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4)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돌출부(14')들과 브레이징 결합되고 돌출부(14)(14')들 사이로 형성된 공간(15)을 따라 열교환매체가 유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두 플레이트(11)(11')들을 돌출부(14)(14')끼리 맞대어 결합시키려면 브레이징 하는 동안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돌출부 끼리 맞대어 있으므로 고정하기가 어려워 정확하게 맞닿은 상태로 결합시킬 수 없다. 특히, 조금만 비껴져도 열교환매체 통로가 되는 공간의 변형이 커지게 되고 접합이 제대로 되지 않아 불안정성을 가지게 되어 불량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접합 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두 성형 플레이트를 가접하거나, 별도의 지그를 이용하여 브레이징 공정동안 성형플레이트를 고정하여야 했다. 따라서, 열교환기 제작공정중에 그 부품수가 많아지고, 작업공정도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확실하게 두장의 플레이트 접합이 이루어져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열교환기의 튜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1, 41'...플레이트
47...오목부
47'...볼록부
44...딤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 쌍의 성형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열교환매체 통로와 열교환매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는 튜브를 포함하여 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성형 플레이트들은 상호 대향되는 면에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와, 타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와 형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부위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는 두 장의 성형 플레이트(41)(41') 결합으로 만들어지며, 성형 플레이트(41)(41')의 단부에는 한 쌍의 탱크(43)(43')가 마련된다. 이러한 튜브가 복수개 적층되고 튜브와 튜브사이에 방열핀이 개재되어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이때 탱크(43)와 탱크(43')사이에서 시작되어 플레이트의 중간을 가로지르며 소정길이로 소정높이 분리벽(46)이 형성된다. 분리벽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반구형의 딤플(44, dimple)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타측 성형 플레이트(41')와 접하게 되는 반대면은 딤플(44)의 뒷면에 형성된 돌출부(44)(44')를 다수개 가지고 있다. 성형 플레이트(41)(41')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44)(44')들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어 브레이징 결합된다. 브레이징 결합시, 양호한 결합을 위해 두 성형 플레이트(41)(41')를 고정시켜야 한다. 그래서, 두 성형 플레이트(41)(41')에는 서로 대응하는 면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는 오목부(47)와 볼록부(47')가 형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오목부(47)는 일측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시키고, 이 오목부(47)에 형합되는 볼록부(47')는 타측 성형 플레이트에 일측 성형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각 형합되도록 했다. 상기 오목부(47)와 볼록부(47')의 위치는 냉매의 유동이 없는 곳을 택하여 열교환매체의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성형 플레이트(41)(41')의 측면에 돌출부(48)를 연장하여 형성시키고 이 돌출부의 접합면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합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에 의해 두 성형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결합된 성형플레이트의 딤플(44)(44')사이에 형성된 공간(45)이 열교환매체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의 튜브는 두장의 성형 플레이트(41)(41')의 브레이징 결합으로 만들어지는데, 성형 플레이트들은 고정된 상태로 브레이징 노에 들어가 결합된다. 특히, 그 접합부에 오목부(47)와 볼록부(47')를 형성시켜 형합하게 함으로써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결합을 하여 소정부위를 확실하게 접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가진 열교환기의 튜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조상에 있어서, 불량율이 감소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를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41)(41')의 접합면에 각각 오목부(47)와 볼록부(47')를 형성시켜 오목부(47)와 볼록부(47')가 형합하면서 두 플레이트(41)(41')가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결합되기 때문에 정확한 접합이 이루어져 오조립으로 인한 불량율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내구성이 향상된다.
플레이트들을 정확히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징 결합하게 되면 소정부위에 정확히 결합되지 않아 조립성이 취약해지고, 그로인한 강도도 약해져 전체적인 내구성도 불량해지지만, 본 고안에서는 두 플레이트(41)(41')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47)와 볼록부(47')를 형합시켜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결합하기 때문에 정확한 접합으로 조립강도가 향상되어 전체적인 내구성도 양호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한 쌍의 성형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열교환매체 통로와 열교환매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는 튜브를 포함하여 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성형 플레이트들은 상호 대향되는 면에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와,
    타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와 형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2019960051813U 1996-12-19 1996-12-19 열교환기 KR200276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813U KR200276469Y1 (ko) 1996-12-19 1996-12-19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813U KR200276469Y1 (ko) 1996-12-19 1996-12-19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745U true KR19980038745U (ko) 1998-09-15
KR200276469Y1 KR200276469Y1 (ko) 2002-09-13

Family

ID=5399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813U KR200276469Y1 (ko) 1996-12-19 1996-12-19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4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757A (ko) * 2001-01-17 2002-07-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증발기의 튜브 플레이트
KR100596012B1 (ko) * 1999-12-30 2006-07-03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KR100688236B1 (ko) * 2000-05-31 2007-02-28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KR101357917B1 (ko) * 2008-12-03 2014-02-03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열 교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12B1 (ko) * 1999-12-30 2006-07-03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KR100688236B1 (ko) * 2000-05-31 2007-02-28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KR20020061757A (ko) * 2001-01-17 2002-07-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증발기의 튜브 플레이트
KR101357917B1 (ko) * 2008-12-03 2014-02-03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열 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469Y1 (ko) 200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2761A (en) Heat exchanger tank and header
JP3814917B2 (ja) 積層型蒸発器
KR100394139B1 (ko) 열교환기의 단계식 딤플 마운팅 브래킷
JPH08254399A (ja) 熱交換器
EP0660053B1 (en) Method of assembling a laminated heat exchanger
JP2000220988A (ja) 熱交換器
KR100336712B1 (ko) 플레이트-핀 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76469Y1 (ko) 열교환기
EP0798530B1 (en) Heat exchanger
JP3028461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07127347A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JPH08240395A (ja) 熱交換器
JPH11101594A (ja) 空調用熱交換器
KR100532187B1 (ko) 증발기
JP2709860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719784A (ja) 熱交換器
JPH07305992A (ja) 熱交換器のヘッダタンク
KR100908097B1 (ko) 열교환기
JP2000046489A (ja) 積層型熱交換器
JPH10176894A (ja) 熱交換器
KR100651683B1 (ko) 열교환기
JP3209856B2 (ja) アルミニウム材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1217195A (ja) 熱交換器
KR100213173B1 (ko) 열교환기
JPH09166391A (ja) 積層型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