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987U -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 Google Patents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987U
KR19980037987U KR2019960051039U KR19960051039U KR19980037987U KR 19980037987 U KR19980037987 U KR 19980037987U KR 2019960051039 U KR2019960051039 U KR 2019960051039U KR 19960051039 U KR19960051039 U KR 19960051039U KR 19980037987 U KR19980037987 U KR 199800379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le structure
substrate
hole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봉
Original Assignee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희재
Priority to KR2019960051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987U/ko
Publication of KR19980037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987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의 상하면에 각각 인쇄된 회로패턴 및 배선패턴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의 통로가 되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 내경면의 상측단에는 하측단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나선형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도금되는 도체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홈부에 도금된 도체부가 상기 기판상에 실장된 다수개의 부품 중의 저항 및 인덕터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회로패턴 및 배선패턴 상호간의 신호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회로기판의 고밀도화 및 고집적화를 기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본 고안은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개의 부품이 실장된 기판의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관통구멍의 내경면에 나선형의 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도체부를 도금하여 소정의 저항값을 갖도록 하므로써 회로기판의 고밀도화 및 고집적화를 기할 수 있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의 관통구멍은, 기판의 일면에 인쇄된 회로패턴과 상기 기판의 다른면에 인쇄된 배선패턴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의 전달매개로서 이용되어진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회로기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상하면에 각각 인쇄되어 전기적인 신호흐름의 통로가 되는 회로패턴(20) 및 배선패턴(30)과, 상기 기판(1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뚫려진 다수개의 관통구멍(40)과, 상기 관통구멍(40)의 내경면에 도금되어 상기 회로패턴(20) 및 배선패턴(30)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부(導電部)(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은 고밀도의 부품 실장을 위하여 최소의 부품으로 최대의 안정적 신호전달을 기할 수 있어야 되는데, 이를 위하여 가능한 부품수는 줄이고, 회로패턴(20)간의 간격은 최소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의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관통구멍(40)의 내경면에 도전부(50)를 도금하여 형성하므로써 상기 기판(10)의 상하부에 각각 인쇄된 회로패턴(20) 및 배선패턴(30) 상호간의 신호전달은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겠지만, 회로기판의 고밀도 실장 및 고집적화에는 유용하게 이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판의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관통구멍의 내경면에 나선형의 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도체부를 도금하여 소정의 저항값을 갖도록 하므로써 회로기판의 고밀도화 및 고집적화를 기할 수 있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20: 회로패턴
30: 배선패턴40: 관통구멍
41: 홈부41a: 도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는, 다수 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의 상하면에 각각 인쇄된 회로패턴 및 배선패턴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의 통로가 되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 내경면의 상측단에는 하측단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나선형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도금되는 도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홈부에 도금된 도체부는 소정의 저항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상하면에 각각 인쇄되어 전기적인 신호흐름의 통로가 되는 회로패턴(20) 및 배선패턴(30)과, 상기 기판(10)의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관통구멍(40)과, 상기 관통구멍(40) 내경면의 상측단에서 하측단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나선형의 홈부(41)와, 상기 홈부(41)에 도금되는 도체부(41a)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도체부(41a)는 저항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어 저항 및 인덕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열된 다수 개의 커패시터 및 저항 그리고 인덕터 등으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기판(10)의 상하부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멍(40) 내경면에 함몰 형성된 홈부(41)의 나선형의 횟수, 그리고 상기 홈부(41)에 도금된 도체부(41a)의 저항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상기 기판(10)상에 실장된 다수 개의 부품 중의 저항 및 인덕터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최소화 및 회로패턴(20) 및 배선패턴(30) 상호간의 신호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는, 관통구멍(40)의 내경면에 함몰 형성된 홈부(41)의 나선횟수 및 이 홈부(41)에 도금된 도체부(41a)의 저항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저항값 및 이덕턴스의 값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어 부품 소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체부(41a)가 순수 도체의 성분일 경우, 상기 기판(10)의 관통구멍(40) 내경면에 함몰 형성된 홈부(41)의 나선횟수에 따라 인덕턴스 값이 비례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10)상에 실장된 다수 개의 커패시터와 함께 LC공진회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는, 다수 개의 부품이 실장된 기판의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관통구멍의 내경면에 나선형의 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도체부가 도금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홈부에 도금된 도체부가 기판상에 실장된 다수 개의 부품 중의 저항 및 인덕터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회로패턴 및 배선패턴 상호간의 신호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회로기판의 고밀도화 및 고집적화를 기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 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의 상하면에 각각 인쇄된 회로패턴 및 배선패턴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의 통로가 되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 내경면의 상측단에서 하측단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나선형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도금되는 도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KR2019960051039U 1996-12-18 1996-12-18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KR199800379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039U KR19980037987U (ko) 1996-12-18 1996-12-18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039U KR19980037987U (ko) 1996-12-18 1996-12-18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987U true KR19980037987U (ko) 1998-09-15

Family

ID=5399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039U KR19980037987U (ko) 1996-12-18 1996-12-18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9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563B1 (ko) * 1999-10-08 2002-06-03 구자홍 전자 부품 장착구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563B1 (ko) * 1999-10-08 2002-06-03 구자홍 전자 부품 장착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3535B2 (en) Insertion of electrical component within a via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5038252A (en) Printed circuit boards with improved electrical current control
JP3206561B2 (ja) 多層配線基板
US4758459A (en) Molded circuit board
CA1198829A (en) High-speed wire wrap board
US5010641A (en) Method of mak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US6288906B1 (en) Multiple layer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power planes on outer layers
US6798666B1 (en) Introducing loss in a power bus to reduce EMI and electrical noise
JPH10341080A (ja) 一次スルー・ホールおよび二次スルー・ホールを有する回路板および方法
US20050082671A1 (en) Ball grid array resistor network
US4895756A (en) Printed circuit substrate
US6175088B1 (en) Multi-layer printed-wiring boards with inner power and ground layers
US7456364B2 (en) Using a thru-hole via to improve circuit density in a PCB
US67780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inductance to printed circuits
KR19980037987U (ko) 회로기판의 관통구멍 구조
EP0204004B1 (en) Wiring structure of a terminal circuit
US5077639A (en) Circuit plate for the optimal decoupling of circuits with digital ic's
US20060082984A1 (en) Cut via structure f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separate conductors
KR20010062723A (ko) 프린트기판 및 그 전기부품설치방법
JP2000340956A (ja) 多層配線基板
US20100000778A1 (en) Printed circuit board
JPH05152702A (ja) プリント配線板
JPH06204628A (ja) プリント配線板
JPH09312478A (ja) 多層配線基板
JPH06152137A (ja) 多層プリント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