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289A -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289A
KR19980034289A KR1019960052292A KR19960052292A KR19980034289A KR 19980034289 A KR19980034289 A KR 19980034289A KR 1019960052292 A KR1019960052292 A KR 1019960052292A KR 19960052292 A KR19960052292 A KR 19960052292A KR 19980034289 A KR19980034289 A KR 1998003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se
galloyl
tri
skin whiten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구
이상화
이용규
강세훈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5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289A/ko
Publication of KR1998003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289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제로서 갈로일알로오스(galloyl allose)를 함유하는 피부 매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제로서 갈로일알로오스(galloyl allose)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같은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이로신(tyrosine)에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타이로시네이즈가 멜라닌 합성과정에서 이렇듯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종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같은 타이로시네이즈에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미백이나 기미, 주근깨 개선의 목적에 사용되어 왔으나, 피부에 자극성을 유발하거나 제품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또 그 효과도 미약한 단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다 우수한 미백물질에 대하여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그 안전성이 입증되어 있는 천연물들 중에서 미백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탐색하던 중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갈로일알로오스가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배양된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억제 실험과 사람에 대한 실험에서 그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갈로일알로오스(galloyl allose)를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갈로일알로오스는 1-o-갈로일-β-D-알로오스, 2-o-갈로일-D-알로오스, 3-o-갈로일-D-알로오스, 4-o-갈로일-D-알로오스, 6-o-갈로일-D-알로오스, 1,2-디-o-갈로일-β-D-알로오스, 1,3-디-o-갈로일-β-D-알로오스, 1,4-디-o-갈로일-β-D-알로오스, 1,6-디-o-갈로일-β-D-알로오스, 2,3-디-o-갈로일-D-알로오스, 2,4-디-o-갈로일-D-알로오스, 2,6-디-D-갈로일-D-알로오스, 3,4-디-o-갈로일-D-알로오스, 3,6-디-o-갈로일-D-알로오스, 4,6-디-o-갈로일-D-알로오스, 1,2,3-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2,4-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2,6-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3,4-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3,6-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4,6-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2,3,4-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2,3,6-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2,4,6-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3,4,6-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1,2,3,4-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1,2,3,6-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1,2,4,6-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2,3,4,6-테트라-o-갈로일-D-알로오스, 1,3,4,6-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및 1,2,3,4,6-펜타-o-갈로일-β-D-알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갈로일알로오스를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를 피부외용연고나 화장료에 첨가하여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갈로일알로오스를 0.001 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충분한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면 제형상 및 제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과량 사용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증가도 기대할 수 없고 또한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상기한 갈로일알로오스외에도 통상적인 화장료성분으로서 유화제, 가용화제, 오일, 왁스, 지방산, 알콜류, 폴리머, 보습제, 피부보호제, 점증제, 피막형성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자외선차단제, 변색방지제, 비타민류, 수렴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을 화장료의 용도 및 성상 등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로서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갈로일알로오스 중 1종 이상을 피부외용 연고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의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갈로일알로오스 중 1종 이상을 건조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를 외용 연고나 화장료에 첨가한다. 상기 농도 이하에서는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이상의 농도에서는 제형상 및 제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과량사용으로 인한 더이상의 효과증가를 기대할 수 없고 또 비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로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제조예]
갈로일알로오스의 분리
잘 건조된 낭동대극의 뿌리 3.9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4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한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 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하여 약 105g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것을 sephadex LH-20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H2O-MeOH-H2O-아세톤)하여 3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 중 분획1(25g)을 MCl-gel CHP 20P (H2O→MeOH), sephadex LH-20(EtOH) 및 Bondapak C18/Poracil B(H2O→MeOH)를 이용하여 600mg의 1,3,6-트리-갈로일-알로오스를 분리하였고, 분획2(18g)를 MCl-gel CHP 20P(H2O→MeOH) 및 Bondapak C18/Poracil B(H2O→MeOH)를 이용하여 840mg의 1,2,6-트리-o-갈로일-알로오스를 분리하였고, 분획3(60g)을 MCl-gel CHP 20P(H2O→MeOH), Prep-pak 500/C18(H2O→MeOH) 및 sephadex LH-20(EtOH)를 이용하여 360mg의 1,2,3,6-테트라-o-갈로일-알로오스를 분리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제조예에서 분리한 갈로일알로오스에 대하여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효소 타이로시네이즈는 버섯류(mushroom)로 부터 추출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티로신을 1.5mM의 농도로 소디움 포스페이트 완충액(0.05mol 농도, pH 6.8)에 용액을 만들어 0.3㎖분광 광도계 큐벧(Cuveet)에 0.1㎖를 넣고 코팩터(cofactor)인 도파를 0.6mM의 농도로 만들어 0.01㎖씩 첨가한다. 여기에 갈로일알로오스를 각각 다른 농도로 첨가하고 각각에 첨가된 갈로일알로오스의 부피가 0.1㎖가 되도록 소디움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한다. 여기에 타이로시네이즈를 소디움 포스페이트 완충액에 60U/㎖로 제조하여 0.1㎖씩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때 대조군(Blank)은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액만을 0.1㎖씩 첨가한다.
반응은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Beckman DU-7500)를 이용 37℃에서 진행시키며, 1분마다 475 나노미터에서의 흡광도의 변화를 5분간 측정한다. 여기서 얻어진 반응속도(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율, dA/dmim)의 차이로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율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상기 저해율이 50%가 될 대의 갈로일 갈락토오스의 농도를 IC50(억제농도 50)으로 표현하였으며, 각각의 갈로일알로오스에 대한 IC50 값은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갈로일알로오스들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IC50)
상기 표 1 의 결과로부터 갈로일알로오스는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제조예에서 분리한 갈로일알로오스를 가지고 쥐의 멜라노마 세포 (B-16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효과를 실험하였다(Lotan R., Lotan D. Caner Res. 40:3345-3350, 1980).
갈로일알로오스를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시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해 낸다. 이것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1N 농도) 1㎖를 가하여 10분산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 400나노미터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 수당(106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갈로일알로오스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 반복수 = 3
상기 표 2 의 결과로부터, 갈로일알로스에는 강력하고 우수한 멜라닌 생성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이 기미나 주근깨 개선 또는 피부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이와 같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우수한 갈로일알로오스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5 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T 6
[실시예 5]
[실험예 3]
건강한 남자 20명의 실험대상자의 한쪽팔 상박부에 2cm × 2cm의 크기로 3개씩 2줄의 구멍이 뚫린 알루미늄 호일로 덮은 후 일광조사기(ORIEL Solar Simulator 1000W)를 이용 50cm거리에서 12mJ/㎠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 에탄올 70%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자외선 조사후 조사부위 한쪽줄 3곳에는 실시예 1, 4 및 5를, 다른 한 줄에는 각각의 기제를 1일 2회, 4주간 도포하였다. 4주후에는 육안으로 색소침착의 정도를 대조군(기제도포)과 비교하여 판정하였으며, 판정 기준은 현저한 저해효과, 약간의 저해효과, 저해효과 없음의 3단계 평가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 3]
색소침착 저해효과(명)
상기 표 3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4 및 5 는 모두 최소 14명 이상이 약간의 색소침착저해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이 매우 우수한 색소침착 저해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Claims (6)

  1. 갈로일알로오스를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갈로일알로오스는 1-o-갈로일-β-D-알로오스, 2-o-갈로일-D-알로오스, 3-o-갈로일-D-알로오스, 4-o-갈로일-D-알로오스, 6-o-갈로일-D-알로오스, 1,2-디-o-갈로일-β-D-알로오스, 1,3-디-o-갈로일-β-D-알로오스, 1,4-디-o-갈로일-β-D-알로오스, 1,6-디-o-갈로일-β-D-알로오스, 2,3-디-o-갈로일-D-알로오스, 2,4-디-o-갈로일-D-알로오스, 2,6-디-D-갈로일-D-알로오스, 3,4-디-o-갈로일-D-알로오스, 3,6-디-o-갈로일-D-알로오스, 4,6-디-o-갈로일-D-알로오스, 1,2,3-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2,4-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2,6-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3,4-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3,6-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1,4,6-트리-o-갈로일-β-D-알로오스, 2,3,4-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2,3,6-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2,4,6-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3,4,6-트리-o-갈로일-D-알로오스, 1,2,3,4-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1,2,3,6-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1,2,4,6-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2,3,4,6-테트라-o-갈로일-D-알로오스, 1,3,4,6-테트라-o-갈로일-β-D-알로오스 및 1,2,3,4,6-펜타-o-갈로일-β-D-알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갈로일알로오스를 0.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외용연고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또는 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960052292A 1996-11-06 1996-11-06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9980034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92A KR19980034289A (ko) 1996-11-06 1996-11-06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92A KR19980034289A (ko) 1996-11-06 1996-11-06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289A true KR19980034289A (ko) 1998-08-05

Family

ID=6651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292A KR19980034289A (ko) 1996-11-06 1996-11-06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2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01A (ko) * 1997-11-05 1999-06-05 성재갑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5511A (ja) * 1986-03-18 1987-09-22 Pola Chem Ind Inc 化粧料
JPH02134309A (ja) * 1988-11-16 1990-05-23 Kikkoman Corp 美白化粧料
JPH03258711A (ja) * 1990-03-06 1991-11-19 Sansho Seiyaku Co Ltd 色白外用剤
US5547659A (en) * 1991-05-07 1996-08-20 Richardson-Vicks Inc. Photoprotection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5511A (ja) * 1986-03-18 1987-09-22 Pola Chem Ind Inc 化粧料
JPH02134309A (ja) * 1988-11-16 1990-05-23 Kikkoman Corp 美白化粧料
JPH03258711A (ja) * 1990-03-06 1991-11-19 Sansho Seiyaku Co Ltd 色白外用剤
US5547659A (en) * 1991-05-07 1996-08-20 Richardson-Vicks Inc. Photoprotection composi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nal.usda.gov/afsic/AFSIC_pubs/qb93_02.htm *
이상철 등, 생약학회지, 199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01A (ko) * 1997-11-05 1999-06-05 성재갑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4516B1 (ko)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3275B1 (ko)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KR20020060219A (ko) 피부 질감 개선제
KR100190993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수용성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206538B1 (ko)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190992B1 (ko) 천문동추출물과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를 함유한 피부미백용조성물
JP4891274B2 (ja) ビアリール化合物および化粧料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96850B1 (ko)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백화장료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20190081627A (ko)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9980034289A (ko) 갈로일알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453217B1 (ko) 피부미백재
KR19980034292A (ko) 갈로일퀴닉산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9980034291A (ko) 갈로일갈락토오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1226A (ko) 자연산 상황버섯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KR1001909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반하수용성분획추출물및이를함유하는기미,주근깨개선및피부미백용조성물
KR20040023446A (ko) 마황근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 노화 방지화장료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9980027092A (ko)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30086933A (ko) 잘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80034290A (ko) 갈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