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718A -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 Google Patents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718A
KR19980033718A KR1019980016837A KR19980016837A KR19980033718A KR 19980033718 A KR19980033718 A KR 19980033718A KR 1019980016837 A KR1019980016837 A KR 1019980016837A KR 19980016837 A KR19980016837 A KR 19980016837A KR 19980033718 A KR19980033718 A KR 1998003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lower
boiler
combustion chamb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사완
Original Assignee
장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사완 filed Critical 장사완
Priority to KR101998001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718A/ko
Publication of KR1998003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718A/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에 관한분야.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의 나무보일러는 나무의 연소상태를 제어할 수 없어 연소시간이 매우 짧을 수 밖에 없었기에 연료의 낭비가 심하면서 열손실 또한 많고, 또 나무공급은 수시로 하여야 하였기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랐던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이하일 경우 송풍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연소를 촉진시켜주고,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되었을때는 송풍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면서 외부공기의 유입이 거의 차단되게 하되 불씨가 꺼지지 않을 정도로만 유입되게 함으로써, 나무의 연소시간이 대폭 길어져 연료절감 효과가 크고, 또 연료(나무)공급을 자주 할 필요가 없어 취급이 매우 편리하며 난방효율 또한 극대화되게 하려는데 그 요지가 있다 할 것임.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나무보일러로 사용됨

Description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본 발명은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나무를 송풍장치로서 강제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나무보일러 내부의 물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면 자동으로 정지하여 나무의 연소를 억제시키고, 물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나무를 강제연소시킴으로써, 연료(나무) 절감효과가 매우 크고 열손실이 극소화되며, 또 연소실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웬만한 길이의 나무는 자르지 않고 그대로 넣어 연소시킴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한 것이다.
또, 나무보일러의 배연구 끝에 목초산 수집실을 형성하여 목초산도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나무보일러는 나무 연소시 연소실 내부에서 자연적인 방법으로 연소되게 한 것이기에 한번 점화되면, 인위적으로 소화시키기 전에는 모두 타버리게 되어 매우 짧은 시간내에 연소되게 되고, 이에 따라 나무 소모량이 많은 반면에 물의 온도 조절이 되지 않아 열손실이 많으며, 따라서 나무공급을 수시로 해주어야 함에 따라 매우 번거로우면서 취침시에는 더더욱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랐다.
즉 보일러 내부의 물을 나무가 연소되는 동안에만 순간적으로 가열시키고 꺼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수시로 나무를 공급시켜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폐단이 따르고 또 가열된 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 균일한 난방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은 야간에 취침시 매우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특히 연소실 문짝에 송풍장치를 설치하고, 보일러 동체에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의 설정된 온도에 따라 송풍장치가 가동 또는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연소실 내부에서 연료(나무)가 연소될 때,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면 송풍장치가 자동으로 정지되면서 외기의 유입이 연소실 문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없게 하여 불씨만 남을 정도로 유지되게 하고, 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되면 송풍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연소를 촉진시켜주도록 구성하여 연료절감효과 극대화와 열손실 극소화, 그리고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연소실을 길게 하여 길이가 제법 긴 나무도 자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목초산의 수집도 용이하게 하려는데도 또 하나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송풍구조부분을 나타낸 것임.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일러동체 (2) 연소실 (3) 연소실문짝
(4) 송풍기 (4') 송풍관 (5) 송풍개폐구
(6) 배연가열관 (7) 물탱크 (8) 목초산수집실
(9) 밸브 (10) 배연관 (11) 단열보온재
(12) 온도계 (l3) 물온도감지센서
연소실과 물탱크를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통상의 나무보일러에 있어서 연소실(2)을 길게 형성하고, 연소실문짝(3)에는 송풍기(4)를 설치하되, 상기 송풍기와 연결된 송풍관(4') 선단, 즉 송풍기 문짝(3) 내부에는 송풍시 개방되고 송풍이 멈출때는 자중에 의해 닫히는 송풍개폐구(5)를 유설하며, 연소실(2) 후미에는 보일러동체(1) 전면으로형의 배연가열관(6)을 설치하여 물탱크(7)에 들어 있는 물의 가열효과를 증진시키게 하되 상기 배연가열관(6) 선단부분에 목초산수집실(8) 및 밸브(9)를 설치하고, 목초산수집실(8) 상부에 통상의 배연관(10)을 설치하였다.
또한 열손실을 막기위하여 동체(1) 외주면에 단열보온재(11)를 감싸고 물탱크(7) 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계(12)와 물온도감지센서(13)를 설치하여 상기 물온도감지센서(13)와 송풍기(4)가 서로 연동되게 구성하였다.
미 설명 부호 14는 온수공급관 15는 회수관
16은 냉수공급관 17은 송풍기보호카바
18은 연소실문짝개폐손잡이 19 l9'는 전·후면프레임
20은 목초산수집실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손실(2) 문짝에 송풍기(4)와 송풍개폐구(5)를 설치하고 물탱크(7)에는 온도계 및 물온도감지센서(13)를 설치한 구성이므로 나무를 연소시킬때, 송풍기(4)에 의해 나무의 연소를 촉진시켜 물탱크(7)의 물을 쉽게 가열하고 이 과정에서 물의 온도가 설정온도로 되면 물온도감지센서(13)가 감지하여 송풍기(4)의 작동을 자동으로 징지시켜줌으로써, 송풍시 바람에 의해 거의 수평으로 개방되어 있던 송풍개폐구(5)가 자중에의해 닫히게 되어 활활 타오르던 불이 점차 약해져 나중에는 불씨만 남게 되는 것이며(이때 배연관을 통하여 어느정도 공기가 통하게 되므로 완전히 소화되지는 않게 됨) 가열된 물은 각 가정에 설치된 순환펌프에 의해 난방배관을 통하여 순환되어 실내 난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 물탱크(7) 내부의 물 온도가 떨어져 설정온도 이하로 되면 다시 물 온도 감지센서(13)에 의해 송풍기(4)가 작동하게 되어 불을 다시 강하게 살려주어 물탱크의 물을 가열시켜주게 되며 이와 같은 작용이 물의 온도에 의해 반복 작용하게 됨으로써, 연소실에 투입시킨 나무가 매우 장시간 동안 유지되면서 연소될수 있게 됨으로 연료절감효과를 극대화 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나무가 매우 오랜시간동안 연소될 수 있음에 따라 나무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이 일소되며, 따라서 야간 취침시 연료공급이 거의 불필요하게 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배연가열관(6) 선단에 목초산수집실(8)을 설치하였기에 나무연소와 더불어 목초산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되며, 더불어 보일러동체(1) 외주면에 단열보 온재(11)를 씌웠기에 보온효과가 뛰어나 열손실을 크게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소실 문짝에 송풍기를 설치하고, 물탱크에 물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였기에 설정된 물의 온도에 따라 송풍기가 작동 또는 정지되게 되어 나무의 연소시간을 매우 길게 연장시켜주어 연료 절감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고 열손실을 예방하며 더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목초산도 쉽게 얻을 수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연소실과 물탱크를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통상의 나무보일러에 있어서,
    연소실(2)을 길게 형성하고 연소실 문짝에 송풍기(4)를 설치하되,
    상기 송풍기와 연결된 송풍관(4') 선단, 즉 송풍기문짝(3) 내부에 송풍시 개방되고 송풍중단시 자중에 의해 닫히는 송풍개폐구(5)를 유설하고 물탱크(7)에는 물온도감지센서(13)와 온도계(12)를 설치하여 상기 물온도감지센서(13)와 송풍기(4), 그리고 송풍개폐구(5)가 서로 연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송풍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2. 연소실(2) 후미에는 보일러동체(1) 전면으로형의 배연가열관(6)을 설치하고, 상기 배열가열관(6) 선단에 목초산수집실(8)과 밸브(9)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3. 보일러동체(1) 외주면에 단열보온재(11)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송풍구조 및 목초산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KR1019980016837A 1998-05-08 1998-05-08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KR1998003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837A KR19980033718A (ko) 1998-05-08 1998-05-08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837A KR19980033718A (ko) 1998-05-08 1998-05-08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718A true KR19980033718A (ko) 1998-07-25

Family

ID=6589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837A KR19980033718A (ko) 1998-05-08 1998-05-08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7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42B1 (ko) * 2005-03-04 2007-02-15 최성환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0853767B1 (ko) * 2008-04-08 2008-08-22 김용현 화목보일러
KR100909847B1 (ko) * 2009-03-16 2009-07-28 김용현 화목보일러
KR101006146B1 (ko) *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WO2012124880A1 (ko) * 2011-03-15 2012-09-20 (주)귀뚜라미 횡형 다목적 보일러의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42B1 (ko) * 2005-03-04 2007-02-15 최성환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0853767B1 (ko) * 2008-04-08 2008-08-22 김용현 화목보일러
KR100909847B1 (ko) * 2009-03-16 2009-07-28 김용현 화목보일러
KR101006146B1 (ko) *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WO2011149217A3 (ko) * 2010-05-27 2012-04-05 Jang Ha Yeon 화목 보일러
WO2012124880A1 (ko) * 2011-03-15 2012-09-20 (주)귀뚜라미 횡형 다목적 보일러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200225845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19980033718A (ko)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CN202057029U (zh) 一种采用生物质燃料燃烧的采暖壁炉
CN209165759U (zh) 一种壁挂炉
CN206724128U (zh) 一种节能燃气锅炉
CN209484659U (zh) 一种节能环保炉
KR200381925Y1 (ko) 전기겸용 화목보일러
JPS6023636Y2 (ja) 給湯装置
CN205842741U (zh) 一种节能煤炭炉
CN204201944U (zh) 一种节能环保燃煤采暖炉
CN217209862U (zh) 一种储能装置及具有其的燃气热水器
KR200224414Y1 (ko) 소각기능을 갖춘 전기 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KR102254180B1 (ko) 스마트 화목 보일러
CN2379752Y (zh) 热风取暖炉
CN2884032Y (zh) 生物质燃料、逆向燃烧半煤气化锅炉
KR101243373B1 (ko) 다목적 보일러
KR200273630Y1 (ko) 나무를 연료로 하는 장작보일러
CN206739612U (zh) 一种无水暖气
CN201488006U (zh) 节能秸秆取暖炉
KR200420851Y1 (ko) 온돌식 보일러
KR100802591B1 (ko) 나무보일러
CN2255015Y (zh) 新型节能安全快速热水器
SU1576789A1 (ru) Совмещенна система квартирного отоплени и гор 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
CN2311711Y (zh) 多功能燃气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