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847B1 -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847B1
KR100909847B1 KR1020090022074A KR20090022074A KR100909847B1 KR 100909847 B1 KR100909847 B1 KR 100909847B1 KR 1020090022074 A KR1020090022074 A KR 1020090022074A KR 20090022074 A KR20090022074 A KR 20090022074A KR 100909847 B1 KR100909847 B1 KR 100909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chamber
heat exchange
exhaus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2009002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배기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배기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 연소실(20)을 화실(21)과 연실(22)로 구획하며, 그 양측단이 연소실(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화염유도간격(S)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실(2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 배기연도(40) 외부에 설치되어 그 배기연도(40)에서 전달되는 열을 회수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된 배기연도열회수부(50);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 단열몸체(10)와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70); 배기연도열회수부(50)와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70)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제1순환모터(80); 연실(22) 내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91)에 연동되어 상기 제1순환모터(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90);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배기연소가스를 상기 연실(22) 내부에서 오랜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선회시켜 그 배기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태워 제거하기 위한 연소가스선회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목보일러{a firewood boiler}
본 발명은 화목(火木)을 연료로 사용하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초액이 발생되지 않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화목보일러는 연료로 화목을 사용하는 보일러로서, 농촌, 산간지역 등 화목을 쉽게 구할 수 있거나, 전기, 등유 또는 경유 등을 사용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목보일러는 화목의 연소열로 순환수를 가열한 후 난방이 필요한 방 및 거실을 순환토록 함으로서 난방을 하게 된다.
그런데 화목보일러는, 화목이라는 연료의 특성상 연소시간이 짧으므로 난방을 위하여 화목을 자주 채워넣어야 하는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였고, 또한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목초액이 배기연도를 막기 때문에 목초액을 자주 제거하여야 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완전연 소를 가능하게 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목초액이 발생되지 않아 유지관리가 용이한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배기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배기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 상기 연소실(20)을 화실(21)과 연실(22)로 구획하며, 그 양측단 및 단부가 연소실(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화염유도간격(S)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 상기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실(22)을 통과한 배기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 상기 배기연도(40) 외부에 설치되어 그 배기연도(40)에서 전달되는 열을 회수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된 배기연도열회수부(50); 상기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1열교환파이프(61)와, 상기 연실(22)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2열교환파이프(62)로 구성되며, 상기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 상기 단열몸체(10)와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70); 상기 연소실(2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실(70)의 내부 양측벽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염에 직접 접촉되는 지지파이프(73); 상기 배기연도열회수부(50)와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70) 사이에서 상기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제1순환모터(80); 상기 연실(22) 내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91)에 연동되어 상기 제1순환모터(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90); 상기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배기연소가스를 상기 연실(22) 내부에서 반복되게 선회되도록 하여 오랜시간동안 머무르게 하고, 이에 따라 그 배기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액상의 목초액으로 변환되게하여 상기 화염유도판(30)을 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선회벽(101)을 가지는 연소가스선회부(100); 및 상기 단열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을 개폐하는 메인도어(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기(120); 및 상기 열매체(H)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2온도센서(131)에 연동되어 상기 송풍기(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130);을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파이프(60)는, 상기 제1열교환파이프(61)를 상기 화실(2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바(61a)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실(7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파이프(75)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20)는, 그 송풍기(120)의 공기유입공(120a)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개폐판(1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에 따르면, 연소실 내부에서 화염에 직접 접촉되는 열교환파이프와, 배기연도열회수부와, 열교환파이프를 경유하는 열매체와 배기연도열회수부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열교한실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1순환모터를 포함함으로써, 화목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소실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화염유도판을 포함함으로써 연실에서 불완전 배기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오염물질을 연소시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연실의 전방측에 연소가스선회부를 설치함으로써 배기연소가스를 연실 내부에서 오랜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선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기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태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목초액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그 목초액을 제거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그리고, 메인도어에 설치되어 화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송풍기와, 열매체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2온도센서에 연동되어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난방하고자 하는 건물의 난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 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화염유도판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된 화염유도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송풍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외부와 단열되는 단열몸체(10)와;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배기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배기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과; 연소실(20)을 화실(21)과 연실(22)로 구획하며, 그 양측단 및 단부가 연소실(20)의 내측면(20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화염유도간격(S)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과;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실(22)을 통과한 배기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와; 배기연도(40) 외부에 설치되어 그 배기연도(40)에서 전달되는 열을 회수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된 배기연도열회수부(50)와;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 단열몸체(10)와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70)과; 배기연도열회수부(50)와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70)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제1순환모터(80)와; 연실(22) 내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91)에 연동되어 제1순환모터(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90)와;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배기연소가스를 상기 연실(22) 내부에서 반복되게 선회되도록 하여 오랜시간동안 머무르게 하고, 이에 따라 그 배기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액상의 목초액으로 변환되게하여 상기 화염유도판(30)을 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선회벽(101)을 가지는 연소가스선회부(100)와; 단열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실(21)을 개폐하는 메인도어(110)와; 메인도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기(120)와; 열매체(H)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2온도센서(131)에 연동되어 송풍기(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130)와; 단열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실(22)을 개폐하는 서브도어(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열교환실(70)에는 열매체를 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매립된 난방파이프(미도시)로 순환시키는 제2순환모터(150)가 설치된다.
단열몸체(10)는 단열재, 예를 들면 석면과 같은 단열재가 감싸여짐으로써 내외부로의 열의 전달을 최소화한다.
연소실(20)은, 하부측에 위치되어 화목이 연소되는 화실(21)과, 화실(21)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화목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포함한다. 이때 화실(21)은 기다랗게 형성되어 기다한 화목이 쉽게 투입될 수 있어 그 화목을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화염유도판(30)은, 화실(21)에서 발생되는 배기연소가스를 "⊃"형태로 연실(22)로 유도함과 동시에, 그 화실(21)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화염유도간격(S)을 통하여 연실(22)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연실(22)로 유도된 배기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고, 또한 매우 뜨겁게 가열되어 후술할 목초액이 화염유도판(30)에 떨어졌을 때 태워없애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화염유도판(30)은, 두께가 10mm 내외의 금속재이다. 이때 화염유도판(30)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유도간격(S)은, 이격폭이 10 ~ 100 mm, 바람직하게는 30 ~ 70mm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실(21)에서 화목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배기연소가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을 따라 연실(22)로 유도된 후 배기연도(40)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연실(22)을 경유하는 배기연소가스에는 상당량의 불완전 배기연소가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불완전 배기연소가스는 화염유도판(30)과 연소실(20) 사이의 화염유도간격(S)을 통하여 직접 전달되는 화염에 의하여 재연소된다. 따라서, 열효율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화목에 의하여도 많은 열량을 발생할 수 있어 화목을 연속해서 공급하여야 하는 관리부담을 덜 수 있고, 또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연소가스내에 오염물질량이 줄어들게 되며 연무현상이 완화된다.
배기연도(40)는,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연소가스선회부(100)를 경유한 배기연소가스가 배기되는 것이다.
배기연도열회수부(50)는, 배기연도(40)를 빠져나가는 배기연소가스로부터 배기열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열매체(H)가 채워져 있고, 외부에는 열매체(H)가 유출입되는 유입관(50a) 및 유출관(50b)이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파이프(60)는,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목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이 직접 접촉된다. 이러한 열교환파이프(60)는 화실(21)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1열교환파이프(61)와, 연실(22)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2열교환파이프(62)를 포함한다.
한편, 제1열교환파이프(61)는 화염에 의하여 열매체가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화실(21)의 내측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제1열교환파이프(61)는 화실(2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이격바(61a)에 의하여 지지되어, 화실(2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만약, 제1열교환파이프(61)가 화실(21)의 내측면에 밀착될 경우에, 화염이 제1열교환파이프(61)의 후방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열교환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열교환실(70)은, 연소실(20)을 감쌈과 동시에 배기연도열회수부(50) 및 열교환파이프(6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저장된 열매체(H)는 화목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과, 배기연도열회수부(50)에서 회수된 열과, 열교환파이프(60)에서 회수된 열을 흡수한다. 이렇게 열을 흡수한 열매체(H)는, 제2순환모터(150)에 의하여 방 또는 거실 등 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매립된 난방파이프(미도시)를 순환함으로써 난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열매체(H)는 예를 들면 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열교환실(70) 내부에 대략 300리터가 저장된다.
또한 열교환실(70)의 내부 양측벽에는 연소실(20)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지지파이프(73)가 설치된다. 지지파이프(73)는 연소실(20)을 관통함과 동시에 화염유도판(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열교환실(70)에 저장된 열매체의 유로 역할을 하며, 연소실(20) 내부에서 화염에 직접 닿음으로써 열매체를 효과적으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열교환실(70) 내부에는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파이프(7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탕파이프(75)는, 샤워 또는 식기세척 등을 위한 온수를 공급하는데, 일측은 상수도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수도관과 연결되며, 열매체(H)와의 열교환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코일 형태로 구현된다.
제1순환모터(80)는, 배기연도열회수부(50)와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70) 사이에서 열매체(H)가 순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순환모터(80)는, 연 실(22) 내부의 온도, 엄밀하게는 배기연도(40) 하부측의 연실(22)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91)에 연동되는 제1제어부(9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연소실(20), 더욱 엄밀하게는 배기연도(40) 측에 근접된 연실(22)에 설치되는 제1온도센서(91)가 연실의 온도가 100도 이하임을 검지하면 화목이 거의 연소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 경우 제1제어부(90)는 제1순환모터(80)의 동작을 정지시켜 열매체가 배기연도열회수부(50)를 순환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열매체의 열이 배기연도열회수부(50) 측으로 순환되지 않게 되어 열이 배기연도(40) 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소가스선회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실(22)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그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선회벽(101)을 가진다. 선회벽(101)은 연실(22) 내부에서 배기연소가스를 반복되게 선회되도록 하여 오랜시간 머무르게 하며, 이에 따라 배기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이 액상(목초액)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액상의 목초액은 자중에 의하여 화염유도판(30)에 떨어진 후 지글지글 끓으면서 태워져 제거된다. 즉, 목초성분은 특성상 금방 연소되지 않기 때문에, 연소가스선회부(100)가 배기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액상의 목초액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이러한 목초액이 화염유도판(30)에 떨어졌을 때 가열된 화염유도판(30)이 태워서 없애는 것이다. 이때 연소가스선회부(100)의 선회벽(101)이 이격되는 높이는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약 2~10cm 범위에 있게 한다.
현재 개발된 모든 화목보일러는, 필연적으로 목초액이 발생하여 정기적으로 목초액을 제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연실(22)에서 배기연소가스를 선회시켜 연소시간을 늘리는 연소가스선회부(100)를 설치함으로써, 화목보일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었던 목초액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삭제
메인도어(110)는 화실(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메인도어(110)에는 화실(21)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단열재로 채워져 있다. 이때 메인도어(110)에는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량의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조절판(111)이 설치된다. 공기유입조절판(111)은 메인도어(110)에 형성된 공기구멍(110a)을 개폐하는 차단판을 가지며, 공기유입조절판(111)은 당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송풍기(120)는, 공기유입조절판(111)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그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열매체(H)의 온도가 특정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송풍기(120)에는 공기유입공(120a)을 개폐하는 개폐판(121)이 일측이 힌지(h) 결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개폐판(121)의 손잡이(121a)를 잡고 개폐판(121)을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공기유입공(120a)을 적절히 차단한다. 이러한 개폐판(121)을 채용함으로써 송풍기(12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화목의 연소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제2제어부(130)는, 열교환실(70) 내부의 열매체(H)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131)에 연동되어 송풍기(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130)가 열매체(H)의 온도범위를 설정하면, 열매체(H)의 온도가 설정 온도범위보다 내려갈 때 제2온도센서(131)가 이를 검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2제어부(130)는 송풍기(120)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연소실(2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그러면 화목은 활발하게 연소되면서 열매 체(H)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반대로, 열매체(H)의 온도가 설정 온도범위보다 높아지면 제2온도센서(131)는 이를 검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고, 제2제어부(130)는 송풍기(120)의 동작을 멈추어 외부의 공기가 연소실(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이에 따라 화목은 잘 연소되지 않게 되어 열매체(H)의 온도가 떨어진다. 즉, 송풍기(120)와 제2제어부(130)는 상호 연동됨으로써, 난방하고자 하는 건물의 난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2제어부(130)는, 송풍기(120)뿐만 아니라 제2순환모터(150)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화염유도판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된 화염유도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송풍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단열몸체 20 ... 연소실
21 ... 화실 22 ... 연실
30 ... 화염유도판 40 ... 배기연도
50 ... 배기연도열회수부 50a, 50b ... 유입,유출관
60 ... 열교환파이프 61 ... 제1열교환파이프
61a ...이격바 62 ... 제2열교환파이프
70 ... 열교환실 75 ... 급탕파이프
80 ... 제1순환모터 90 ... 제1제어부
91 ... 제1온도센서 100 ... 연소가스선회부
101 ... 선회벽 110 ... 메인도어
110a ... 공기구멍 111 ... 공기유입조절판
120 ... 송풍기 120a ... 공기유입공
121 ... 개폐판 130 ... 제2제어부
131 ... 제2온도센서 140 ... 서브도어
150 ... 제2순환모터

Claims (8)

  1.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배기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배기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
    상기 연소실(20)을 화실(21)과 연실(22)로 구획하며, 그 양측단 및 단부가 연소실(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화염유도간격(S)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
    상기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실(22)을 통과한 배기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
    상기 배기연도(40) 외부에 설치되어 그 배기연도(40)에서 전달되는 열을 회수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된 배기연도열회수부(50);
    상기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1열교환파이프(61) 및 상기 연실(22)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2열교환파이프(62)로 구성되며, 상기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
    상기 단열몸체(10)와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70);
    상기 연소실(2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실(70)의 내부 양측벽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염에 직접 접촉되는 지지파이프(73);
    상기 배기연도열회수부(50)와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70) 사이에서 상기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제1순환모터(80);
    상기 연실(22) 내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91)에 연동되어 상기 제1순환모터(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90);
    상기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배기연소가스를 상기 연실(22) 내부에서 반복되게 선회되도록 하여 오랜시간동안 머무르게 하고, 이에 따라 그 배기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액상의 목초액으로 변환되게하여 상기 화염유도판(30)을 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선회벽(101)을 가지는 연소가스선회부(100); 및
    상기 단열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을 개폐하는 메인도어(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기(120); 및
    상기 열매체(H)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2온도센서(131)에 연동되어 상기 송풍기(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파이프(60)는,
    상기 제1열교환파이프(61)를 상기 화실(2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바(61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실(7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파이프(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20)는,
    그 송풍기(120)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120a)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개폐판(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KR1020090022074A 2009-03-16 2009-03-16 화목보일러 KR100909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74A KR100909847B1 (ko) 2009-03-16 2009-03-16 화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74A KR100909847B1 (ko) 2009-03-16 2009-03-16 화목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847B1 true KR100909847B1 (ko) 2009-07-28

Family

ID=4133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074A KR100909847B1 (ko) 2009-03-16 2009-03-16 화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8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46B1 (ko)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KR101094472B1 (ko) * 2011-04-29 2011-12-19 김용현 화목보일러
CN102748750A (zh) * 2012-06-28 2012-10-24 郭丰亮 一种温度可控的生物质燃烧器
KR101280588B1 (ko) 2012-04-24 2013-07-02 김연태 화염유도수관부가 구비된 화목보일러
KR200476246Y1 (ko) * 2012-12-28 2015-02-17 유한회사 산울 하향연소식 난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18A (ko) * 1998-05-08 1998-07-25 장사완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JP2007285660A (ja) * 2006-04-20 2007-11-01 Ikeda Akira 薪ストーブ
KR100853767B1 (ko) * 2008-04-08 2008-08-22 김용현 화목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18A (ko) * 1998-05-08 1998-07-25 장사완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JP2007285660A (ja) * 2006-04-20 2007-11-01 Ikeda Akira 薪ストーブ
KR100853767B1 (ko) * 2008-04-08 2008-08-22 김용현 화목보일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46B1 (ko)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WO2011149217A3 (ko) * 2010-05-27 2012-04-05 Jang Ha Yeon 화목 보일러
EP2578934A4 (en) * 2010-05-27 2015-10-28 Ha Yeon Jang WOOD BOILER
KR101094472B1 (ko) * 2011-04-29 2011-12-19 김용현 화목보일러
WO2012148171A1 (ko) * 2011-04-29 2012-11-01 Kim Yong-Hyun 화목보일러
KR101280588B1 (ko) 2012-04-24 2013-07-02 김연태 화염유도수관부가 구비된 화목보일러
CN102748750A (zh) * 2012-06-28 2012-10-24 郭丰亮 一种温度可控的生物质燃烧器
KR200476246Y1 (ko) * 2012-12-28 2015-02-17 유한회사 산울 하향연소식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847B1 (ko) 화목보일러
RU2359174C2 (ru) Печь для бани
KR100682239B1 (ko)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KR101371085B1 (ko) 화목 난방장치
KR101094472B1 (ko) 화목보일러
KR100569155B1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및 그 제조방법
KR101044249B1 (ko) 고효율 노통 연관 보일러
RU174432U1 (ru) Банная печь
KR100870434B1 (ko) 화목 보일러
KR200441449Y1 (ko) 석탄가스 보일러
KR100846142B1 (ko) 화목보일러
KR101248480B1 (ko)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KR19990007892U (ko) 목재용 온수 보일러
KR101642351B1 (ko) 보일러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KR100793110B1 (ko) 화목 보일러
KR101713083B1 (ko) 펠렛스팀보일러
JP2010223539A (ja) 薪ストーブ装置及び薪ストーブ暖房システム
KR200443857Y1 (ko) 장작 보일러
KR100853767B1 (ko) 화목보일러
KR101207483B1 (ko) 화목 보일러
KR101958087B1 (ko) 수평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100891187B1 (ko) 고체연료 겸용 화목보일러
KR200398170Y1 (ko) 목재 및 전기겸용 온수보일러
RU131460U1 (ru)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сталь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