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472B1 -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보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4472B1 KR101094472B1 KR1020110040944A KR20110040944A KR101094472B1 KR 101094472 B1 KR101094472 B1 KR 101094472B1 KR 1020110040944 A KR1020110040944 A KR 1020110040944A KR 20110040944 A KR20110040944 A KR 20110040944A KR 101094472 B1 KR101094472 B1 KR 101094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chamber
- heat
- door
- chamber
- firewo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24H1/2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 연소실(20)을 화실(21)과 연실(22)로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실(2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 단열몸체(10)와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50);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열교환실(50)과 연결되며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연소가스를 연실(22) 내부에서 오랜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선회시켜 그 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태워 제거하기 위한 격벽구조체(90); 화실(21)의 전방측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화실(21)을 개폐하는 메인도어(100); 연실(22)의 전방측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그 연실(22)을 개폐하는 서브도어(130);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130) 사이의 단열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도어(100)를 개방할 때 빠져나오는 열기, 연기 및 먼지를 상기 서브도어(130)를 통하여 배기연도(40)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목(火木)을 연료로 사용하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화목보일러는 연료로 화목을 사용하는 보일러로서, 농촌, 산간지역등 화목을 쉽게 구할 수 있거나, 전기, 등유 또는 경유등을 사용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유가가 급등하는 이유에 의하여, 연료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화목보일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화목보일러는 화목의 연소열로 순환수를 가열한 후 난방이 필요한 방 및 거실을 순환토록 함으로서 난방을 하게 된다.
그런데 화목보일러는, 화목이라는 연료의 특성상 연소시간이 짧으므로 난방을 위하여 화실에 화목을 자주 채워넣어야 하고, 또한 수일에 한번씩 화목이 연소되고 남은 재를 화실로부터 제거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화실에 화목을 투입하거나 연소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를 열 때, 화실에 남아있는 열기나 연기가 갑자기 도어를 통하여 빠져나오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화상을 입거나 연기에 질식되고, 분출되는 불꽃에 의하여 화재의 가능성이 항상 발생되었다.
또한 화목보일러가 설치되는 보일러실은 일반적으로 협소하므로, 화실로부터 분출되는 연기는 보일러실을 금방 채움으로써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화목을 투입할 경우에는 보일러실의 문을 열어놓는데, 한겨울에 보일러실을 열어놓고 화목을 투입하는 동안에 추위를 견뎌야 하였다.
또한 연소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먼지가 도어를 통하여 분출되고, 이러한 먼지는 미세하여 마시게 되면 건강에 매우 해로웠다.
그리고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목초액이 배기연도를 막기 때문에 목초액을 자주 제거해주어야 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목을 투입하거나 연소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를 열 때, 열기, 연기, 먼지등이 화실로부터 분출되지 않게 하고, 목초액이 발생되지 않아 유지관리가 용이한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와; 상기 연소실(20)을 상기 화실(21)과 상기 연실(22)로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과; 상기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실(2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와; 상기 단열몸체(10)와 상기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50)과; 상기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실(50)과 연결되며 상기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와; 상기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연소가스를 상기 연실(22) 내부에서 오랜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선회시켜 그 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태워 제거하기 위한 격벽구조체(90)와; 상기 화실(21)의 전방측 상기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화실(21)을 개폐하며, 그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조절판(101)이 설치된 메인도어(100)와; 상기 연실(22)의 전방측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그 연실(22)을 개폐하는 서브도어(130);를 포함하는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130) 사이의 단열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도어(100)를 개방할 때 빠져나오는 열기, 연기 및 먼지를 상기 서브도어(130)를 통하여 상기 배기연도(40)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구조체(90)는, 상기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2배기공간(91a)(92a)이 형성된 제1,2격벽(91)(92)을 가지며; 상기 서브도어(130)의 하단에 개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140)는, 상기 메인도어(10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지붕(141)과, 상기 지붕(141)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도어(130)의 개구부(132)와 연통되는 덕트구멍(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와; 상기 연소실(20)을 상기 화실(21)과 상기 연실(22)로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과; 상기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실(2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와; 상기 단열몸체(10)와 상기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50)과; 상기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실(50)과 연결되며 상기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와; 상기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연소가스를 상기 연실(22) 내부에서 오랜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선회시켜 그 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태워 제거하기 위한 격벽구조체(90)와; 상기 화실(21)의 전방측 상기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화실(21)을 개폐하며, 그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조절판(101)이 설치된 메인도어(100)와; 상기 연실(22)의 전방측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그 연실(22)을 개폐하는 서브도어(130);를 포함하는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130) 사이의 단열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도어(100)를 개방할 때 빠져나오는 열기, 연기 및 먼지를 상기 서브도어(130)를 통하여 상기 배기연도(40)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구조체(90)는, 상기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2배기공간(91a)(92a)이 형성된 제1,2격벽(91)(92)을 가지며; 상기 서브도어(130)의 하단에 개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140)는, 상기 메인도어(10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지붕(141)과, 상기 지붕(141)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도어(130)의 개구부(132)와 연통되는 덕트구멍(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50)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제1순환모터(70); 및 상기 연실(22) 내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81)에 연동되어 그 제1순환모터(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기(110); 및 상기 열매체(H)의 온도를 검지하는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121)에 연동되어 상기 송풍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1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염유도판(30)은 그 양측단이 상기 연소실(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화염유도간격(S)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실(50) 내부에 설치되어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파이프(55)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원에 따르면, 화목을 투입하거나 연소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를 열 때, 화실에서 분출되는 열기, 연기, 먼지등을 덕트부와 서브도어와 격벽구조체를 통하여 배기연도로 안내함으로서, 사용자가 열기, 연기, 먼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화목보일러가 설치되는 보일러실의 문을 열지 않고 화목을 투입할 수 있어 한겨울에 추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소도중에 목초액이 발생되지 않아 그 목초액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가 더더욱 용이하다.
그리고 화염유도판이 연소실을 화실과 연실로 구획하고, 연실에서 연소가스를 다시 재연소시킴으로써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화염유도판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된 화염유도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송풍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메인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열기, 연기, 먼지가 덕트부, 서브도어 및 격벽구조체를 통하여 배기연도로 안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화염유도판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된 화염유도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송풍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메인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열기, 연기, 먼지가 덕트부, 서브도어 및 격벽구조체를 통하여 배기연도로 안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과; 연소실(20)을 화실(21)과 연실(22)로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과;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실(2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와; 단열몸체(10)와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50)과;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열교환실(50)과 연결되며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50)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제1순환모터(70)와; 연실(22) 내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81)에 연동되어 그 제1순환모터(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80)와;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연소가스를 연실(22) 내부에서 오랜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선회시켜 그 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태워 제거하기 위한 격벽구조체(90)와; 화실(21)의 전방측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그 화실(21)을 개폐하는 메인도어(100)와; 메인도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기(110)와; 열매체(H)의 온도를 검지하는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121)에 연동되어 송풍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120)와; 연실(22)의 전방측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그 연실(22)을 개폐하는 서브도어(130)와;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130) 사이의 단열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도어(100)를 개방할 때 빠져나오는 열기, 연기 및 먼지를 서브도어(130)를 통하여 배기연도(40)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실(50)에는 열매체(H)를 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매립된 난방파이프(150a)(150b)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2순환모터(150)가 설치된다.
단열몸체(10)는 단열재, 예를 들면 석면과 같은 단열재가 감싸여짐으로써 내외부로의 열의 전달을 최소화한다.
연소실(20)은, 하부측에 위치되어 화목이 연소되는 화실(21)과, 화실(21)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화목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포함한다. 이때 화실(21)은 기다랗게 형성되어 기다한 화목이 쉽게 투입될 수 있어 그 화목을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화염유도판(30)은, 화실(21)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형태로 연실(22)로 유도한다. 이러한 화염유도판(30)은, 두께가 10mm 내외의 금속재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화염유도판과 연소실 사이에 형성된 화염유도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염유도판(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단이 연소실(20)의 내측면(20a)으로부터 이격되는 화염유도간격(S)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화염유도간격(S)은 화실(21)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연실(22)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화실(21) 내부에서 화염사각지대를 없애고, 또한 연실(22)로 유도된 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화염유도판(30)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유도간격(S)은, 이격폭이 10 ~ 100 mm, 바람직하게는 30 ~ 70mm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실(21)에서 화목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을 따라 연실(22)로 유도된 후 배기연도(40)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연실(22)을 경유하는 연소가스에는 상당량의 불완전 연소가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불완전 연소가스는 화염유도간격(S)을 통하여 직접 전달되는 화염에 의하여 재연소된다. 따라서, 열효율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화목에 의하여도 많은 열량을 발생할 수 있어 화목을 연속해서 공급하여야 하는 관리부담을 덜 수 있고, 또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가스내에 오염물질량이 줄어들게 되며 연무현상이 완화된다.
배기연도(40)는,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격벽구조체(90) 및 메인도어(110)를 개방할 때 화실(21)로부터 배출되는 열기, 연기 및 먼지가 배기된다.
열교환실(50)은, 연소실(20)을 감쌈과 동시에 열교환파이프(6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저장된 열매체(H)는 화목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과, 열교환파이프(60)에서 회수된 열을 흡수한다. 이렇게 열을 흡수한 열매체(H)는, 제2순환모터(150)에 의하여 방 또는 거실등 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매립된 난방파이프(150a)(150b)를 순환함으로써 난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열매체(H)는 예를 들면 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열교환실(50) 내부에 대략 300리터가 저장된다.
또한 열교환실(50)의 내부 양측벽에는 연소실(20)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지지파이프(53)가 설치된다. 지지파이프(53)는 연소실(20)을 관통함과 동시에 화염유도판(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열교환실(50)에 저장된 열매체의 유로 역할을 하며, 연소실(20) 내부에서 화염에 직접 닿음으로써 열매체를 효과적으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열교환실(50) 내부에는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파이프(55)가 설치된다. 급탕파이프(55)는, 샤워 또는 식기세척등을 위한 온수를 공급하는데, 일측은 상수도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수도관과 연결되며, 열매체(H)와의 열교환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코일 형태로 구현된다.
열교환파이프(60)는,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목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이 직접 접촉된다. 이러한 열교환파이프(60)는, 화실(21)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1열교환파이프(61)와, 연실(22) 내측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제2열교환파이프(62)를 포함한다.
한편, 제1열교환파이프(61)는 화염에 의하여 열매체가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화실(21)의 내측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제1열교환파이프(61)는 화실(2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이격바(61a)에 의하여 지지되어, 화실(2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만약, 제1열교환파이프(61)가 화실(21)의 내측면에 밀착될 경우에, 화염이 제1열교환파이프(61)의 후방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열교환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제1순환모터(70)는,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50) 사이에서 열매체(H)가 순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순환모터(70)는, 연실(22) 내부의 온도, 엄밀하게는 배기연도(40) 하부측의 연실(22)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81)에 연동되는 제1제어부(8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연소실(20), 더욱 엄밀하게는 배기연도(40) 측에 근접된 연실(22)에 설치되는 제1온도센서(81)가 연실의 온도가 100도 이하임을 검지하면 화목이 거의 연소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 경우 제1제어부(80)는 제1순환모터(70)의 동작을 정지시켜 열매체가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50) 사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한다.
격벽구조체(90)는, 서브도어(130)와 연실(2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격벽구조체(90)는, 그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2배기공간(91a)(92a)이 형성되게 배치되는 제1,2격벽(91)(92)을 가지며, 제1,2격벽(91)(92)은 상호 대향된다. 이때 제1,2배기공간(91a)(92a)의 높이는 연실(22) 바닥으로부터 약 2~10cm 범위를 가진다.
제1격벽(91)은, 연실(22)측을 향하게 배치되어 연실(22) 내부에서 연소가스가 선회되도록 하여 오랜시간동안 재연소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연소가스 내부에 포함된 목초성분이 태워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목초성분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제1배기공간(91a)을 통하여 배기연도(40)로 배기된다.
목초성분은 특성상 금방 연소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랜시간동안 태워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격벽(91)은 연소가스를 연실(22)에서 선회되도록 하여 오랜시간동안 연소되게 하는 것이다.
현재 시판중인 모든 화목보일러는, 필연적으로 목초액이 발생하여 정기적으로 목초액을 제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연실(22)에서 연소가스를 선회시켜 연소시간을 늘리는 격벽구조체(90)를 설치함으로써, 화목보일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었던 목초액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제2격벽(92)은, 서브도어(130)측을 향하게 배치되어 연실(22)의 천정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제2격벽(92) 및 제2배기공간(92a)은 후술할 덕트부(140)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기, 연기 및 먼지등을 배기연도(40)로 안내하는 것이다.
메인도어(100)는 화실(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실(21)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단열재로 채워져 있다. 이때 메인도어(100)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량의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조절판(101)이 설치된다. 공기유입조절판(101)은 메인도어(100)에 형성된 공기구멍(100a)을 개폐하는 차단판을 가지며, 공기유입조절판(101)은 당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송풍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10)는, 메인도어(100)에 공기유입조절판(101)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그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열매체(H)의 온도가 특정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송풍기(110)에는 공기유입공(110a)을 개폐하는 개폐판(111)이 일측이 힌지(h) 결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개폐판(111)의 손잡이(111a)를 잡고 개폐판(111)을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공기유입공(110a)을 적절히 차단한다. 이러한 개폐판(111)을 채용함으로써 송풍기(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화목의 연소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120)는, 열교환실(50) 내부의 열매체(H)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121)에 연동되어 송풍기(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120)가 열매체(H)의 온도범위를 설정하면, 열매체(H)의 온도가 설정 온도범위보다 내려갈 때 제2온도센서(121)가 이를 검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2제어부(120)는 송풍기(110)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연소실(2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그러면 화목은 활발하게 연소되면서 열매체(H)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반대로, 열매체(H)의 온도가 설정 온도범위보다 높아지면 제2온도센서(121)는 이를 검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고, 제2제어부(120)는 송풍기(110)의 동작을 멈추어 외부의 공기가 연소실(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이에 따라 화목은 잘 연소되지 않게 되어 열매체(H)의 온도가 떨어진다.
즉, 송풍기(110)와 제2제어부(120)는 상호 연동됨으로써, 난방하고자 하는 건물의 난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2제어부(120)는, 송풍기(110)뿐만 아니라 제2순환모터(150)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브도어(130)는, 연실(22)을 개폐함으로써 격벽구조체(90)를 설치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연실(22) 내부의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브도어(130)의 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32)는 후술할 덕트부(140)의 덕트구멍(142)과 연통된다.
덕트부(140)는,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130) 사이의 단열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도어(100)를 개방할 때 빠져나오는 열기, 연기 및 재를 서브도어(130)를 통하여 배기연도(40)로 안내한다. 이러한 덕트부(140)는, 메인도어(10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지붕(141)과, 지붕(141)에 형성되어 서브도어(130)의 개구부(132)와 연통되는 덕트구멍(142)을 포함한다.
도 6은 메인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열기, 연기, 먼지가 덕트부, 서브도어 및 격벽구조체를 통하여 배기연도로 안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배기연도(40), 격벽구조체(90), 서브도어(130) 및 덕트부(140)의 유기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기연도(40) 내부는 연실(22)에서 빠져나가는 배기가스에 의하여 대기보다 압력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배기연도(40)와 연통되는 격벽구조체(90)의 제2배기공간(92a), 서브도어(130)의 개구부(132), 덕트부(140)의 덕트구멍(142) 및 지붕(141)에도 대기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화실(21)에 화목을 투입하거나 연소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메인도어(110)를 개방할 때, 화실(21)로부터 분출되는 열기, 연기 및 먼지는 지붕(141) 측으로 빨려가면서 덕트구멍(142), 개구부(132), 제2배기공간(92a)을 통하여 배기연도(40)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실(21)에 화목을 넣거나, 화목이 연소되고 남은 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열기, 연기 및 연소재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을 입거나 연기에 질식되거나 분출되는 불꽃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보일러실에서 화목을 투입하는 동안에 보일러문을 열어놓지 않아도 되므로, 한 겨울에 추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소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마시지 않게 되어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단열몸체 20 ... 연소실
21 ... 화실 22 ... 연실
30 ... 화영유도판 40 ... 배기연도
50 ... 열교환실 53 ... 지지파이프
55 ... 급탕파이프 60 ... 열교환파이프
61 ... 제1열교환파이프 61a ... 이격바
62 ... 제2열교환파이프 70 ... 제1순환모터
80 ... 제1제어부 81 ... 제1온도센서
90 ... 격벽구조체 91 ... 제1격벽(91)
91a ... 제1배기공간 92 ... 제2격벽
92a ... 제2배기공간 100 ... 메인도어
100a ... 공기구멍 101 ... 공기유입조절판
110 ... 송풍기 110a ... 공기유입공
111 ... 개폐판 111a ... 손잡이
120 ... 제2제어부 121 ... 제2온도센서
130 ... 서브도어 132 ... 개구부
140 ... 덕트부 141 ... 지붕
142 ... 덕트구멍
21 ... 화실 22 ... 연실
30 ... 화영유도판 40 ... 배기연도
50 ... 열교환실 53 ... 지지파이프
55 ... 급탕파이프 60 ... 열교환파이프
61 ... 제1열교환파이프 61a ... 이격바
62 ... 제2열교환파이프 70 ... 제1순환모터
80 ... 제1제어부 81 ... 제1온도센서
90 ... 격벽구조체 91 ... 제1격벽(91)
91a ... 제1배기공간 92 ... 제2격벽
92a ... 제2배기공간 100 ... 메인도어
100a ... 공기구멍 101 ... 공기유입조절판
110 ... 송풍기 110a ... 공기유입공
111 ... 개폐판 111a ... 손잡이
120 ... 제2제어부 121 ... 제2온도센서
130 ... 서브도어 132 ... 개구부
140 ... 덕트부 141 ... 지붕
142 ... 덕트구멍
Claims (7)
- 단열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21) 및 그 화실(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22)을 가지는 연소실(20)와; 상기 연소실(20)을 상기 화실(21)과 상기 연실(22)로 구획하는 판재형상의 화염유도판(30)과; 상기 단열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실(2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연도(40)와; 상기 단열몸체(10)와 상기 연소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매체(H)가 저장되는 열교환실(50)과; 상기 연소실(20)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염에 의하여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실(50)과 연결되며 상기 열매체(H)가 저장된 열교환파이프(60)와; 상기 연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연소가스를 상기 연실(22) 내부에서 오랜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선회시켜 그 연소가스에 함유된 목초성분을 태워 제거하기 위한 격벽구조체(90)와; 상기 화실(21)의 전방측 상기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화실(21)을 개폐하며, 그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조절판(101)이 설치된 메인도어(100)와; 상기 연실(22)의 전방측 단열몸체(10)에 설치되어 그 연실(22)을 개폐하는 서브도어(130);를 포함하는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130) 사이의 단열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도어(100)를 개방할 때 빠져나오는 열기, 연기 및 먼지를 상기 서브도어(130)를 통하여 상기 배기연도(40)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구조체(90)는, 상기 연실(2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2배기공간(91a)(92a)이 형성된 제1,2격벽(91)(92)을 가지며;
상기 서브도어(130)의 하단에 개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140)는, 상기 메인도어(10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지붕(141)과, 상기 지붕(141)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도어(130)의 개구부(132)와 연통되는 덕트구멍(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파이프(60)와 열교환실(50)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제1순환모터(70); 및
상기 연실(22) 내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온도센서(81)에 연동되어 그 제1순환모터(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기(110); 및
상기 열매체(H)의 온도를 검지하는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121)에 연동되어 상기 송풍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유도판(30)은 그 양측단이 상기 연소실(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화염유도간격(S)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실(50) 내부에 설치되어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파이프(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0944A KR101094472B1 (ko) | 2011-04-29 | 2011-04-29 | 화목보일러 |
PCT/KR2012/003193 WO2012148171A1 (ko) | 2011-04-29 | 2012-04-25 | 화목보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0944A KR101094472B1 (ko) | 2011-04-29 | 2011-04-29 | 화목보일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4472B1 true KR101094472B1 (ko) | 2011-12-19 |
Family
ID=4550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0944A KR101094472B1 (ko) | 2011-04-29 | 2011-04-29 | 화목보일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4472B1 (ko) |
WO (1) | WO2012148171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7483B1 (ko) | 2011-05-12 | 2012-12-03 | 유규원 | 화목 보일러 |
KR20130044273A (ko) * | 2013-04-11 | 2013-05-02 | 김혜경 | 회돌이 형상의 탈착식 연도가 형성된 나무보일러 |
KR20230058830A (ko)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 목초액 받이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Z201374A3 (cs) * | 2013-02-04 | 2015-03-11 | Step Trutnov A.S. | Kotel pro spalování celých balíků biomas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847B1 (ko) * | 2009-03-16 | 2009-07-28 | 김용현 | 화목보일러 |
KR101006146B1 (ko) | 2010-05-27 | 2011-01-07 | 장하연 | 화목 보일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2472A (ko) * | 2009-03-11 | 2010-09-24 | 전병재 | 전기겸용 화목 보일러 |
-
2011
- 2011-04-29 KR KR1020110040944A patent/KR1010944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
- 2012-04-25 WO PCT/KR2012/003193 patent/WO201214817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847B1 (ko) * | 2009-03-16 | 2009-07-28 | 김용현 | 화목보일러 |
KR101006146B1 (ko) | 2010-05-27 | 2011-01-07 | 장하연 | 화목 보일러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7483B1 (ko) | 2011-05-12 | 2012-12-03 | 유규원 | 화목 보일러 |
KR20130044273A (ko) * | 2013-04-11 | 2013-05-02 | 김혜경 | 회돌이 형상의 탈착식 연도가 형성된 나무보일러 |
KR101598841B1 (ko) | 2013-04-11 | 2016-03-02 | 김혜경 | 회돌이 형상의 탈착식 연도가 형성된 나무보일러 |
KR20230058830A (ko)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 목초액 받이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48171A1 (ko) | 2012-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48454C (en) | High efficiency wood or biomass boiler | |
KR101006146B1 (ko) | 화목 보일러 | |
RU153204U1 (ru) |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 |
RU2365824C1 (ru) |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ый камин | |
KR101094472B1 (ko) | 화목보일러 | |
KR101391400B1 (ko) |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 |
KR100679316B1 (ko) | 화목 보일러 | |
KR100909847B1 (ko) | 화목보일러 | |
KR100569155B1 (ko) |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24474B1 (ko) | 상하연소 방식의 화목보일러 | |
RU104674U1 (ru) | Банная печь | |
KR100870434B1 (ko) | 화목 보일러 | |
KR101312963B1 (ko) | 화목연소장치 | |
KR200475650Y1 (ko) | 벽난로 | |
RU163581U1 (ru) |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1577813B1 (ko) |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 |
KR100891187B1 (ko) | 고체연료 겸용 화목보일러 | |
KR101207483B1 (ko) | 화목 보일러 | |
KR200453945Y1 (ko) | 음성 안내기능이 구비된 난로 | |
RU2615006C1 (ru) | Печь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ая | |
KR100853767B1 (ko) | 화목보일러 | |
KR20090116884A (ko) | 고체 연료 보일러 | |
KR101607448B1 (ko) | 배기가스의 강제배출이 가능한 나무펠릿 다기능 보일러 | |
KR20190104690A (ko) | 화목 난로 | |
KR101268347B1 (ko) | 화목보일러의 연소조절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