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507U -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 Google Patents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33507U KR19980033507U KR2019960046416U KR19960046416U KR19980033507U KR 19980033507 U KR19980033507 U KR 19980033507U KR 2019960046416 U KR2019960046416 U KR 2019960046416U KR 19960046416 U KR19960046416 U KR 19960046416U KR 19980033507 U KR19980033507 U KR 1998003350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seat back
- shaft
- seat cushion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aki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original on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승용차 앞좌석의 시트 백을 시트 쿠션의 이동없이 전후방향으로 전환시켜 뒷좌석쪽의 공간을 넓게 확장시키기 위하여, 시트 쿠션(1)의 일측에 힌지c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2)를 설치하고, 이 레버(2)의 단부를 시트 백(3)의 축(4)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축(4)에 선택적으로 임의의 해제가 가능하게 구속시킬 수 있는 훅(5a,5b)을 시트 쿠션(1)의 전후방의 플로어에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특히 승용차 앞좌석의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Seat Back Front and Rear Turn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용차 앞좌석은 리클라이너가 시트 쿠션과 시트 백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 백을 원하는 일정 각도로 젖힐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시트 쿠션과 바닥(플로어) 간에 시트 트랙이 설치되어 있어 시트 쿠션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승용차 앞좌석은 시트 쿠션을 단순히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시트 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앞좌석과 뒷좌석의 사이에 짐을 싣고자 할 경우에는 앞좌석과 뒷좌석 간의 공간이 좁아 앞좌석의 시트 백에 걸리므로 짐을 싣기 어렵고, 뒷좌석에 위급환자를 태우고 이동할 경우에도 앞좌석의 승객이 환자의 상태를 보면서 이동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생기는 등 앞좌석의 시트 백이 장애가 되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승용차 앞좌석의 시트 백을 시트 쿠션의 이동없이 전후방향으로 전환시켜 뒷좌석쪽의 공간을 넓게 확장시키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시트 배면사시도.
도 2는 그 훅 설치부 확대도.
도 3은 시트 백을 앞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시트 배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트 쿠션, 2: 레버, 3: 시트 백, 4: 축, 5a,5b: 훅, 6: 베이스, 7,c: 힌지, 8: 래치, 9: 스프링, 10: 노브, 13: 버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시트 쿠션(1)의 일측에 힌지c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2)를 설치하고, 이 레버(2)의 단부를 시트 백(3)의 축(4)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축(4)에 선택적으로 임의의 해제가 가능하게 구속시킬 수 있는 훅(5a,5b)을 시트 쿠션(1)의 전후방의 플로어에 설치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레버(2)는 시트 쿠션(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중심이 되는 레버(2)의 힌지c는 시트 쿠션(1)의 일측 중앙부분에 설치된다. 이 레버(2)의 단부는 시트 백(3)의 축(4)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데, 레버(2)와 축(4)의 관계는 시트 백(3)이 기울기를 갖는 상태에서도 그 수직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트 쿠션(1)의 위를 선회하도록 연결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버(2)와 축(4)을 4절링크운동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즉, 레버(2)를 2개로 구성하고 각 힌지부분에 매개절을 두게 하여 양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2개의 레버가 서로 평행하게 링크운동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도 2는 훅 설치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플로어에 고정되는 베이스(6)와, 이 베이스(6)에서 힌지(7)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시트 백(3)의 축(4)에 구속될 수 있는 래치(8)와, 이 래치(8)를 상기 축(4)으로의 구속방향으로 탄성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9), 그리고 상기 래치(8)를 상기 축(4)으로 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래치(8)에 고정되는 노브(1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스프링(9)은 압축스프링으로서, 래치(8)와 베이스(6) 사이에 설치되고, 래치(8)는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노브(10)는 래치(8)의 바깥면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한 훅(5a,5b)은 시트 쿠션(1)의 전후방에 해당하는 플로어 면에 대칭되게 볼팅된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띠와의 관계를 예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센터 필러(11) 내로 부터 풀려나오는 웨빙(12)이 버클(13)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버클(13)의 장착위치를 시트 쿠션(1)의 중앙 부근에 위치시켜야 한다는 점을 간과하면 않되는 것이다. 그래야만 시트 백(3)을 전후로 방향전환시키더라도 안전띠를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후방의 훅(5a)이 축(4)에 걸려 있으므로 통상의 앞좌석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좌석 후방의 공간을 넓히기 위하여 시트 백(3)을 도 3과 같이 앞으로 전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후방의 훅(5a)을 먼저 해제한다. 그리고 나서 시트 백(3)을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하면 레버(2)가 힌지c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1의 a에서 b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시트 백(3)이 도 3과 같이 앞(좌측)으로 이동하면 전방의 훅(5b)을 축(4)에 걸어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부피가 큰 짐을 싣고자 할 때 본 기술을 이용하면 뒷좌석의 공간이 많이 편리해지고, 위급환자의 수송시 앞좌석의 승객이 환자의 상태를 보면서 이동할 수 있으며, 뒷좌석의 승객과 편안하게 담소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시트 쿠션의 일측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설치하고, 이 레버의 단부를 시트 백의 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축에 선택적으로 임의의 해제가 가능하게 구속시킬 수 있는 훅을 시트 쿠션의 전후방의 플로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플로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시트 백의 축에 구속될 수 있는 래치와, 이 래치를 상기 축으로의 구속방향으로 탄성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래치를 상기 축으로 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래치에 고정되는 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6416U KR19980033507U (ko) | 1996-12-07 | 1996-12-07 |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6416U KR19980033507U (ko) | 1996-12-07 | 1996-12-07 |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3507U true KR19980033507U (ko) | 1998-09-05 |
Family
ID=5398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46416U KR19980033507U (ko) | 1996-12-07 | 1996-12-07 |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33507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626A (ko) * | 2014-12-08 | 2016-06-17 | 장정훈 | 방향전환형 벤치 |
CN107839842A (zh) * | 2017-12-08 | 2018-03-27 |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靠背可前后调节的固定座椅 |
-
1996
- 1996-12-07 KR KR2019960046416U patent/KR1998003350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626A (ko) * | 2014-12-08 | 2016-06-17 | 장정훈 | 방향전환형 벤치 |
CN107839842A (zh) * | 2017-12-08 | 2018-03-27 |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靠背可前后调节的固定座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89849B2 (en) | Fold-flat seat reclining and locking mechanism | |
US5741046A (en) | Motor vehicle rear seat with a divided back rest | |
US4655503A (en) | Vehicular seat | |
US5582453A (en) | Motor vehicle rear seat with a divided back rest | |
KR100601809B1 (ko) |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너 | |
US7497517B2 (en) | Vehicle seat with lowered position | |
GB2329114A (en) | Child seat anchorage | |
US6874840B2 (en) |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 |
WO1999041102A1 (en) | Easy access tumble seat with integrated child seat and tumble lockout when child seat is deployed | |
JP4672878B2 (ja) | 自動車用シート装置 | |
KR100461102B1 (ko) |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 |
US6170898B1 (en) | Pivo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 |
KR19980033507U (ko) | 시트 백 전후방향 전환구조 | |
US2828806A (en) | Latchable tilting seat back | |
EP0269348B1 (en) | Tilt control mechanism | |
JPS6181829A (ja) | 車両用折り畳みシ−ト及びその折り畳みシ−トを備えた乗貨兼用車両 | |
JP4410439B2 (ja) | 車両用シートの乗降及びスライド装置 | |
JPH0971166A (ja) | 車両用ベンチシートの支持装置 | |
JPH0755642B2 (ja) | 多目的自動車のリヤシート構造およびヒンジ付シート | |
JP3210891B2 (ja) | 自動車用シートの展開構造 | |
KR0129626B1 (ko) | 전, 후 수평이동 가능한 시트 백을 갖는 시트 | |
KR200225552Y1 (ko) | 버스용시트의높이조절장치 | |
JPH0411542Y2 (ko) | ||
KR890002123B1 (ko) | 자동차용 시이트(Seat) | |
JPH0112693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