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450U - 자동차의 트렁크패널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패널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450U
KR19980033450U KR2019960046359U KR19960046359U KR19980033450U KR 19980033450 U KR19980033450 U KR 19980033450U KR 2019960046359 U KR2019960046359 U KR 2019960046359U KR 19960046359 U KR19960046359 U KR 19960046359U KR 19980033450 U KR19980033450 U KR 199800334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ar floor
trunk
side member
reinforc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범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6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450U/ko
Publication of KR19980033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45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를 구성하는 백 패널과 그것을 보강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연결부위에 보강패널을 설치하여 리어 앰팩트를 비롯한 주행시 노면의 요철부에 의한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견고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 룸(31)을 구성하는 리어 플로어 패널(32)의 저면 좌우측을 지나 후방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끝단부가 백 패널(3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사이에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5)가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구성된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32)의 상면과 상기 백 패널(34)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보강패널(40)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를 구성하는 백 패널과 그것을 보강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연결부위에 보강패널을 설치하여 리어 앰팩트를 비롯한 주행시 노면의 요철부에 의한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견고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은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렁크 룸(11)의 좌우측 벽에 해당하는 사이드 패널(12)과, 후방측 벽에 해당하는 백 패널(13), 바닥면에 해당하는 리어 플로어 패널(14) 그리고 리어 트랜스버스 멤버(15)가 서로 상자형태를 이루면서 트렁크 룸(1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14)의 저면 좌우측을 지나면서 후방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6)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17)가 서로 H자 모양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하중을 많이 받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18)의 저면에는 상기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17)가 가로방향으로 지나가면서 이 곳을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트렁크 패널은 첨부도면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백 패널(13)의 하단부만이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6)와 리어 플로어 패널(14)의 각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리어 임팩트시 도면중 화살표 G로 표시된 부분에서 모우멘트가 걸려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압축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작은 충격에도 백 패널(13)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6)의 연결부위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차량운행중에 지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에 의해 백 패널(13)이 하중을 전적으로 받게 되므로, 백 패널(13)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6)의 연결부위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렁크를 구성하는 백 패널과 그것을 보강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연결부위를 보강하여 리어 앰팩트를 비롯한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렁크 룸을 구성하는 리어 플로어 패널의 저면 좌우측을 지나 후방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끝단부가 백 패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가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구성된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의 상면과 상기 백 패널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보강패널을 설치하여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 트렁크 패널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 트렁크 패널의 구조를 보이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를 보이는 도3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1:트렁크 룸 40:보강패널
32:리어 플로어 패널 34:백 패널
35: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33: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를 보이는 도3의 B-B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룸(31)을 구성하는 리어 플로어 패널(32)의 저면 좌우측을 지나 후방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끝단부가 백 패널(3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사이에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5)가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구성된 통사의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32)의 상면과 상기 백 패널(34)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보강패널(40)을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보강패널(40)은 예컨대, 전방측에 경사부가 위치하는 삼각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첨부도면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서 후면충돌을 일으키게 되면, 백 패널(34)이 압축력을 받게 되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5)와 리어 플로어 패널(32), 백 패널(34)의 연결부위인 하단부에서 백 패널(34)이 전방측을 향해 기울려고 하는 모우먼트 하중이 실리는데 이때 이 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보강패널(40)에 의해 백 패널(34)이 기울지 못하고 충격을 다른 곳으로 고르게 분산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주행중 요철노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방향의 진동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5)에 의해 백 패널(34)에 전해지게 되면, 백 패널(34)이 보강패널(4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진폭이 작아져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룸을 구성하고 있는 백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패널,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가 이루고 있는 연결부위를 보강패널에 의해 보강하였으므로 리어 임팩트시 충격에 견디는 내압축하중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크랙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차량운행중에 지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백패널의 진폭을 보강패널이 줄여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트렁크 룸(31)을 구성하는 리어 플로어 패널(32)의 저면 좌우측을 지나 후방측을 향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끝단부가 백 패널(3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사이에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5)가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구성된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32)의 상면과 상기 백 패널(34)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보강패널(40)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패널 보강구조.
KR2019960046359U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트렁크패널 보강구조 KR199800334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59U KR19980033450U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트렁크패널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59U KR19980033450U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트렁크패널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50U true KR19980033450U (ko) 1998-09-05

Family

ID=5398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359U KR19980033450U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트렁크패널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4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728U (ko) 2015-11-10 2017-05-18 송윤달 직수를 이용한 물 분무 선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728U (ko) 2015-11-10 2017-05-18 송윤달 직수를 이용한 물 분무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9216A1 (en) Automotive floor structure
JP3779454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
US6685202B2 (en) Subframe construction for front suspension
US4679820A (en) Reinforcing unit for a longitudinal bearer
KR100622213B1 (ko) 차체 구조
CN104709362A (zh) 车辆的地板结构
JPH06329050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9980033450U (ko) 자동차의 트렁크패널 보강구조
JP4069748B2 (ja) 車両前部構造
JP4581621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KR20180106954A (ko) 차량 뒷부분 구조
KR100439965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 강성구조
JPH08216918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00383991B1 (ko) 적재함과 체결되는 샤시프레임의 체결구조
KR100570019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 마운팅 구조
KR100333881B1 (ko) 자동차 프레임 보강 구조
KR100692077B1 (ko) 트럭차량의 승하차용 하부 스텝 마운팅 구조
KR200145038Y1 (ko) 판넬-리어 플로워의 보강재
KR200187477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구조
KR100369733B1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JPH0717430A (ja) 車体後部構造
JPH08324456A (ja) 車体前部構造
JP3444075B2 (ja) 車体前部構造
JPH05270444A (ja) 車体の床部構造
JPS61319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