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816U -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816U
KR19980032816U KR2019960045711U KR19960045711U KR19980032816U KR 19980032816 U KR19980032816 U KR 19980032816U KR 2019960045711 U KR2019960045711 U KR 2019960045711U KR 19960045711 U KR19960045711 U KR 19960045711U KR 19980032816 U KR19980032816 U KR 19980032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unit
driving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2766Y1 (ko
Inventor
이승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5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6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해당하는 조명기능을 수행시키는 위치부(1)에서 출력하는 스위치 온신호를 판단한 스위치신호 판단부(2)는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조명구동 제어부(3)로 하여금 해당하는 조명등의 릴레이가 동작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의 구동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릴레이가 구동하여 조명등이 점등되며,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지시판단부(7)의 출력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을 알리는 표시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중 통신기법을 사용하여 조명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주변 장치를 하나의 통신선으로 연결시켜 조명류의 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의 수를 줄임으로써 가격이 낮아지고, 기능적으로 인테그레이트(integrate) 및 모듈화되며, 모든 장치가 데이터를 공유가 가능해져 자기진단이 간단해진다.

Description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이 고안은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다중통신기법을 사용하여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제어장치간에 연결된 하나의 데이터(data) 통신을 통해 라이트류의 제어를 맡도록 한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명 제어기능은 스위치 조작에 의한 조명구동과, 자동 조명 기능에 의한 조명 구동과, 벌글러(burgla) 알람(alarm) 기능중 해절드 구동기능 및 조명 모니터링(monitering) 기능에 의한 조명 구동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고자 하면, 자동차는 각각의 방식에 따른 스위치와 각 구동기의 구동 릴레이(relay)간에 직접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며, 클러스터(cluster)에 방향지시기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한 선의 연결이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3가지 방식을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는 각각의 조명을 담당하는 스위치 즉, 전조등, 후미등, 헤드라이트(head light), 안개등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가 전자제어장치와 릴레이부와, 램프구동장치와 운전석에 부착된 지시 램프장치와 각각 선으로 연결하여여 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각각의 스위치가 주변 장치와 상호간의 선의 연결로 인해, 제작자는 조명 제어 장치를 구성하게 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았었다.
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해당 조명 장치는 자기 진단시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조명 스위치를 멀티플렉서와 연결시켜 하나의 통신선으로 충분히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 고안은;
해당하는 조명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서 출력하는 스위치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스위치 신호의 의미를 판단하는 제 1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제 1 전자제어장치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제 2 전자제어장치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의 릴레이 스위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릴레이 수단과;
상기 릴레이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해당하는 조명등이 구동되는 조명 수단과;
상기 제 1 전자제어장치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턴등을 구동시키는 턴구동 수단과;
상기 제 1 전자제어장치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 표시를 나타내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3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제 3 제어장치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 1을 참조로 한 이 고안의 구성은;
비상등을 구동시키도록 하는 헤절드(hazard) 스위치(S1)와;
안개등을 구동시키도록 하는 안개 스위치(S2)와;
해당하는 조명기능을 수행시키는 스위치가 다수개 있는 스위치부(1)와;
일조량의 밝기정도를 감지하는 일조량 감지센서(11)와;
상기 스위치부(1)와, 일조량 감지센서(11)와, 안개 스위치(S2)에서 출력하는 스위치 온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스위치 온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신호 판단부(2)와;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조명구동 제어부(3)와;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구동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릴레이가 구동하는 릴레이부(4)와;
상기 릴레이부(4)와, 상기 스위치부(1)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조명등이 구동하는 조명부(5)와;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와, 상기 헤절드 스위치(S1)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이 턴 신호등을 구동시키는 턴등 구동부(6)와;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지시 판단부(7)와;
상기 지시 판단부(7)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에게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을 알리는 표시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첨부한 도 1을 참조로 하여 이 발명을 설명한다.
운전자는 주행시에 필요에 의해 스위치부(1)를 온 시킨다.
상기에서 스위치부(1)는 전조등과, 미등과, 딤머(dimmer)등과 턴등과 자동조명에 대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해당하는 등의 스위치 온 신호는 스위치신호 판단부(2)로 입력된다.
상기에서 스위치부(1)의 전조등과, 미등의 스위치가 온 되는 경우, 조명 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최소한의 기본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조등과, 미등의 온 신호는 릴레이부(4)로 출력된다.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는 상기 스위치부(1)에서 출력하는 해당 스위치 온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신호의 기능적 의미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조명구동 제어부(3)와, 지시 판단부(7)와, 턴등 구동부(6)로 출력한다.
즉, 상기 스위치 판단부(2)는 상기 스위치부(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전조등 또는 미등 또는 딤머등에 관한 신호일 경우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와, 상기 지시 판단부(7)로 출력하고, 턴등에 관한 신호일 경우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턴등 구동부(6)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판단부(2)는 상기 스위치부(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자동 조명에 관한 신호일 경우 상기 일조량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주위의 휘도가 밝은지 어두운지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스위치 판단부(2)는 안개 스위치(S2)에서 출력하는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되는 온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로 출력한다.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는 상기 스위치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조명이 구동되도록 해당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부(4)는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른 릴레이를 온시켜 온 신호를 조명부(5)로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부(4)의 전조등과 미등의 릴레이는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구동신호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출력하는 상기 스위치부(1)에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릴레이가 온된다.
상기 조명부(5)는 상기 릴레이부(4)에서 출력하는 온 신호에 따라 전조등 또는 미등 또는 안개등을 밝힌다.
상기 턴등 구동부(6)는 스위치부(1)의 턴 신호 스위치 온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좌, 우 등 중 해당하는 등을 점멸시킨다.
그리고, 상기 턴등 구동부(6)는 헤절드 스위치(S1)에서 출력하는 온 신호를 입력받아 좌, 우 등을 동시에 점멸시킨다.
상기 지시 판단부(7)는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조명등의 표시등이 구동되도록 구동 신호를 표시부(8)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지시 판단부(7)에서 출력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점등된 조명등의 표시등을 점등시켜 운전자가 조명등의 구동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 발명은 다중 통신기법을 사용하여 조명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주변 장치를 하나의 통신선으로 연결시켜 조명류의 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의 수를 줄임으로써 가격이 낮아지고, 기능적으로 인테그레이트(integrate) 및 모듈화 되며, 모든 장치가 데이터를 공유가 가능해져 자기진단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해당하는 조명기능을 수행시키는 스위치가 다수개 있는 스위치부(1)와;
    상기 스위치부(1)와, 안개 스위치(S2)에서 출력하는 스위치 온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스위치 온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신호 판단부(2)와;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조명구동 제어부(3)와;
    상기 조명구동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구동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릴레이가 구동하는 릴레이부(4)와;
    상기 릴레이부(4)와, 상기 스위치부(1)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조명등이 구동하는 조명부(5)와;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턴 신호등을 구동시키는 턴등 구동부(6)와;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지시 판단부(7)와;
    상기 지시 판단부(7)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에게 해당하는 조명등의 구동을 알리는 표시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 조명 스위치가 온 될 때, 주변의 휘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휘도 신호를 상기 스위치신호 판단부(2)로 출력하는 일조량 감지 센서(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스위치부(1)는
    전조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미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딤머스위치와, 자동차의 좌, 우 진행방향을 알리는 턴등의 스위치와 자동 조명 스위치를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스위치부(1)는
    구성된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스위치와, 미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상기 릴레이부(4)와 연결되어 자동차의 조명 장치의 오동작시에도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KR2019960045711U 1996-12-05 1996-12-05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KR200152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711U KR200152766Y1 (ko) 1996-12-05 1996-12-05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711U KR200152766Y1 (ko) 1996-12-05 1996-12-05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816U true KR19980032816U (ko) 1998-09-05
KR200152766Y1 KR200152766Y1 (ko) 1999-07-15

Family

ID=1947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711U KR200152766Y1 (ko) 1996-12-05 1996-12-05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25B1 (ko) 2020-03-04 2021-10-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입력 점등신호 최적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2766Y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1619A1 (en)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KR20050024189A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 장치
KR100473653B1 (ko) 램프 자동제어회로
JP3399256B2 (ja) 車載情報表示装置
KR200152766Y1 (ko)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KR20030035131A (ko) 차량용 오토 라이트 시스템
KR102594986B1 (ko) 안전 운행을 위한 자동차 브레이크등 제어시스템
KR200151815Y1 (ko) 전동차용 전조등 원격 제어 장치
KR0135438Y1 (ko) 자동차 램프의 자동시험장치
JPH0840139A (ja) 車両ライト制御装置
KR0138728Y1 (ko) 차량의 인사이드 도어핸들부 위치표시장치
KR200164115Y1 (ko)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0144758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0177483B1 (ko)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KR0148908B1 (ko) 자동차 조명제어장치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200224277Y1 (ko) 헤드램프자동온/오프장치
KR0167918B1 (ko) 자동 전조등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19980069322A (ko) 자동차 코너링 램프제어장치
KR19990028477U (ko)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JP2003002110A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KR19980044090A (ko) 차량용 장애물 감지 장치
KR19980036499U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31069U (ko) 차량용 전조등 자동 교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