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477U -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477U
KR19990028477U KR2019970041108U KR19970041108U KR19990028477U KR 19990028477 U KR19990028477 U KR 19990028477U KR 2019970041108 U KR2019970041108 U KR 2019970041108U KR 19970041108 U KR19970041108 U KR 19970041108U KR 19990028477 U KR19990028477 U KR 199900284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strument panel
lighting
lamp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477U/ko
Publication of KR19990028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477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간에 차량을 운행중에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계기판조명램프를 점등하는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조명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라이트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각 조명램프가 점등하는 바, 밝은 주간에 차량을 운행하다가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경우, 갑자기 주위가 어두워지므로, 운전자는 수동으로 라이트스위치를 조작하여 각 조명램프를 점등시켜 운행을 해야하므로, 초보운전자의 경우 당황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주간에 차량을 운행중에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계기판조명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간에 차량을 운행중에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계기판조명램프를 점등하는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조등, 후진등, 안개등, 실내등, 차폭등, 계기판조명등과 같이 여러가지의 등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그 회로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스위치(10), 조명릴레이(20), 계기판조명램프(21), 헤드램프릴레이(30), 딤머스위치(40), 하향등(50), 상향등(60) 및 상향등지시램프(70)를 구비한다.
라이트스위치(1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각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조명릴레이(20)는 라이트스위치(10)가 1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계기판조명등이나 차폭등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계기판조명등(21)은 라이트스위치가 1단에 위치하면, 점등하여 어두운곳에서도 계기판의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헤드램프릴레이(30)는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헤드램프(50,6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딤머스위치(40)는 라이트스위치(10)와 일체되어 장착되며, 헤드램프의 상향등(60)과 하향등(50)을 선택한다. 하향등(50)은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했을 때, 딤머스위치(40)에 의해 선택되어 점등한다. 상향등(60)은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했을 때, 딤머스위치(40)에 의해 선택되어 점등한다. 상향등지시램프(70)는 계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향등(60)이 점등됨과 동시에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상향등(60)이 점등되었음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의 조명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라이트스위치(10)가 1단에 위치하면, 조명릴레이(20)에 전원이 인가되고, 헤드램프릴레이(3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바, 조명릴레이(20)만 작동함으로써, 계기판조명등(21)과 차폭등이 점등한다. 이 때, 헤드램프릴레이(30)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헤드램프는 점등하지 않는다. 한편,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하면, 조명릴레이(20)와 헤드램프릴레이(30)에 전원이 인가되는 바, 조명릴레이(20)와 헤드램프릴레이(30)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계기판조명등과 차폭등이 점등함과 동시에 헤드램프도 점등하게 된다. 이 때, 운전자는 딤머스위치(40)를 조작하여, 헤드램프의 상향등(60)과 하향등(50)을 선택하여 점등할 수 있는데, 상향등(60)을 선택하면, 상향등(60)이 점등함과 동시에 상향등지시램프(70)도 동시에 점등하여, 운전자는 현재 상향등(60)이 점등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차량의 조명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라이트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각 조명램프가 점등하는 바, 밝은 주간에 차량을 운행하다가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경우, 갑자기 주위가 어두워지므로, 운전자는 수동으로 라이트스위치를 조작하여 각 조명램프를 점등시켜 운행을 해야하므로, 초보운전자의 경우 당황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간에 차량을 운행중에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계기판조명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조명등 점등을 선택하는 라이트스위치와; 상기 라이트스위치가 1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릴레이와; 상기 조명릴레이로 부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점등하는 계기판조명램프와; 상기 라이트스위치가 2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헤드램프릴레이와; 상기 헤드램프릴레이로 부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점등하는 헤드램프와; 상기 라이트스위치와 일체되어 장착되며, 상기 헤드램프의 상향등과 하향등의 점등을 선택하는 딤머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해당 차속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차속센서와; 차량주위의 조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도측정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로 부터 조도측정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차속센서로 부터 차속검출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라이트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에 조도가 최저조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계기판조명램프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EC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조명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의 동작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라이트스위치 20 : 조명릴레이
21 : 계기판조명램프 30 : 헤드램프릴레이
40 : 딤머스위치 50 : 하향등
60 : 상향등 70 : 상향등지시램프
80 : ECM(Electronic Control Module) 90 : 차속센서
100 : 광센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스위치(10), 조명릴레이(20), 계기판조명램프(21), 헤드램프릴레이(30), 딤머스위치(40), 하향등(50), 상향등(60), 상향등지시램프(70), 차속센서(90), 광센서(100) 및 ECM(Electronic Control Module;80)를 구비한다.
라이트스위치(1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조명램프 선택한 후, 해당 선택된 조명램프를 점등한다. 조명릴레이(20)는 라이트스위치(10)가 1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계기판조명램프(21)이나 차폭등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계기판조명램프(21)는 조명릴레이(20)로 부터 전원이 인가함에 따라 점등하여 계기판을 조명한다. 헤드램프릴레이(30)는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헤드램프(50,6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딤머스위치(40)는 라이트스위치(10)와 일체되어 장착되며, 헤드램프의 상향등(60)과 하향등(50)의 점등을 선택한다. 하향등(50)은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했을 때, 딤머스위치(40)에 의해 선택되어 점등한다. 상향등(60)은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했을 때, 딤머스위치(40)에 의해 선택되어 점등한다. 상향등지시램프(70)는 계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향등(60)이 점등됨과 동시에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상향등(60)이 점등되었음을 알린다. ECM(80)은 광센서(100)로 부터 조도측정신호를 인가받고, 차속센서(90)로 부터 차속검출신호를 인가받아 라이트스위치(10)가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에 조도가 최저조도 이하로 떨어지면, 계기판조명램프(21)측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차속센서(90)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해당 차속검출신호를 ECM(80)측으로 출력한다. 광센서(100)는 차량의 일측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며, 차량주위의 조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도측정신호를 ECM(80)측으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3의 동작순서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간에 차량을 운행하면, ECM(80)은 광센서(100)로 부터 인가되는 조도측정신호에 따라 차량주위의 조도를 측정하여(스텝 S1), 측정된 조도를 기설정되어 있는 최저조도와 비교하는 바(스텝 S2), 최저조도는 차량이 어두운곳을 운행할 때의 조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설정해놓는다. 따라서 일반도로를 운행할 때에는 조도가 최저조도보다 높을것이므로, ECM(80)은 계기판조명램프(21)를 소등하게 된다(스텝 S6). 이 때, 차량이 터널을 통과하기 위해 터널에 진입하게 되면, 차량의 주위가 어두워지는 바, 광센서(100)로 부터 인가되는 조도는 최저조도보다 낮게 될 것이며, 따라서, ECM(80)은 라이트스위치(10)가 오프되었는지를 검사한다(스텝 S3). 이는 운전자가 미리 라이트스위치(10)를 온(0N)했을 경우에는 이미 계기판조명램프(21)가 점등했으므로, 다시 점등신호를 출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스텝 S3에서 라이트스위치(10)가 오프되었으면, ECM(80)은 차량이 주행중인지를 검사하는 바(스텝 S4), 이는 차량이 정지해 있을 경우에는 계기판조명램프(21)를 점등하지 않아도 되고, 특히, 차량을 주차시킨 후, 운전자가 라이트스위치(10)를 일부러 오프했을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스텝 S4에서 차량이 주행중이면, ECM(80)은 계기판조명램프(21)를 점등함으로써(스텝 S5), 운전자가 라이트스위치(10)를 조작하지 않아도 터널을 통과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계기판조명램프(21)가 점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간에 차량을 운행중에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계기판조명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준다.

Claims (1)

  1.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조명등 점등을 선택하는 라이트스위치(10)와; 상기 라이트스위치(10)가 1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릴레이(20)와; 상기 조명릴레이(20)로 부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점등하는 계기판조명램프(21)와; 상기 라이트스위치(10)가 2단에 위치했을 때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헤드램프릴레이(30)와; 상기 헤드램프릴레이(30)로 부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점등하는 헤드램프(50,60)와; 상기 라이트스위치(10)와 일체되어 장착되며, 상기 헤드램프(50,60)의 상향등과 하향등의 점등을 선택하는 딤머스위치(40)를 구비하는 차량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해당 차속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차속센서(90)와; 차량주위의 조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도측정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100)와; 상기 광센서(100)로 부터 조도측정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차속센서(90)로 부터 차속검출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라이트스위치(10)가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에 조도가 최저조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계기판조명램프(21)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ECM(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KR2019970041108U 1997-12-26 1997-12-26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KR199900284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108U KR19990028477U (ko) 1997-12-26 1997-12-26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108U KR19990028477U (ko) 1997-12-26 1997-12-26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477U true KR19990028477U (ko) 1999-07-15

Family

ID=6968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108U KR19990028477U (ko) 1997-12-26 1997-12-26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4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64B1 (ko) * 2011-10-18 2013-04-23 화남전자 주식회사 건설 중장비 차량의 계기장치의 후면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64B1 (ko) * 2011-10-18 2013-04-23 화남전자 주식회사 건설 중장비 차량의 계기장치의 후면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8477U (ko) 차량의 계기판 조명램프 자동점등장치
JP2007308022A (ja) オートライト制御装置
KR19990005613A (ko) 야간 운전시 전조등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장치 및 방법
KR200152766Y1 (ko)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KR19980053304A (ko) 주위환경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점등 제어장치
KR100231540B1 (ko) 자동차 상향등 자동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44758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0121416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200141308Y1 (ko) 브레이크 램프 조도 자동조절 장치
KR100203489B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장치
KR0166299B1 (ko) 자동차 전조등의 광도 조절 장치
KR200231284Y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KR19980036499U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00214006B1 (ko) 차량속도에 따른 전조등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200275211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복원장치
KR19990030462U (ko) 차량의 주간 헤드램프 온 방지장치
KR20010048343A (ko) 우천시 자동차의 프론트 포그램프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4063A (ko) 전조등 빛 각도 자동 변환 장치
KR20050060820A (ko) 차량용 계기판 램프의 자동 점등/소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24235U (ko)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자동 전환장치
KR19990033816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및 안개등 점멸 제어장치
KR19980034814U (ko) 차량의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19980074142A (ko) 차량의 등화장치 조절장치
KR19990026095U (ko) 차량의 전조등 자동 온/오프 장치
KR970015200A (ko) 자동차용 전조등 자동조절장치 및 그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