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514A - 디스크 교환 기능을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교환 기능을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514A
KR19980032514A KR1019970050943A KR19970050943A KR19980032514A KR 19980032514 A KR19980032514 A KR 19980032514A KR 1019970050943 A KR1019970050943 A KR 1019970050943A KR 19970050943 A KR19970050943 A KR 19970050943A KR 19980032514 A KR19980032514 A KR 1998003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rtridge
recording
disposed
e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013B1 (ko
Inventor
쯔가미다까시
이나따니아끼히사
구마꾸라준조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394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90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135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9096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3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7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11B17/047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with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1Wrong insertion preven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기록가능한 광학적 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유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부 상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홀더를 구비한다. 기록 및 재생부는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되고, 캐리어는 홀더로부터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카트리지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홀더와 상기 부분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로크시키도록 배치된 로킹 유닛은 홀더의 개구로부터 수직으로 삽입된 카트리지와 결합된 제1 돌기와 상기 카트리지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돌기를 갖는 로크 레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크 교환 기능을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이에 맞도록 구성된 이젝터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교환 기능을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용된 64 mm 직경의 광자기 디스크를 기록 및/또는 재생시키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작동을 위하여 디스크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카트리지 홀더를 통해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 상에 로딩된다. 이러한 로딩 시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는 셔터 레버에 의해 개방된다.
그러나, 공지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는 대개 오삽입 방지 돌기가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카트리지 홀더와 일체로 되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홀더의 오삽입을 판단하기가 곤란해서 셔터 레버의 파손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용된 64 mm 직경의 광자기 디스크를 연속적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자동 교환기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더욱이, 상기 공지의 장치에서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작동 후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교환을 위해 예를 들어 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이젝트 버튼이 가압되어 디스크 카트리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디스크를 연속적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교환기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제안되었다. 대개, 이들 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이젝터를 갖고 디스크 카트리지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로더의 카트리지 홀더부에 결합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 교환기를 갖는 공지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이젝터와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로더의 카트리지 홀더부의 조합된 구조에 기인하여, 디스크 카트리지는 기록 또는 재생 작동 중에 배출되어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로 교환될 수 없다. 또한, 카트리지 이젝터는 두개의 별개의 부분, 즉 카트리지 홀더부 및 장치 본체부를 가지며, 이는 부품의 수를 증가시켜 장치 전체의 비용을 상승시키고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장치 구조 및 감소된 제조 비용에 기여하는,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이에 맞도록 구성된 이젝터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며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적합하도록 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의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된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반송하는 캐리어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 정상적으로 삽입된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로킹하도록 배치된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각각이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며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들에 적합하도록 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의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홀더들과,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된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반송하는 캐리어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 정상적으로 삽입된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하여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 내에서 로킹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로킹하도록 배치된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부의 개구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젝트 버튼, 상기 이젝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 내에서 돌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홀더로부터 후퇴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레버, 및 상기 이젝트 레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유닛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트 버튼의 작동 시에 상기 이젝트 레버는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홈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 이젝터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부의 개구와 함께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각각 보유하기 위한 홀더들과,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된 이젝트 버튼, 상기 이젝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 내에서 돌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홀더로부터 후퇴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레버, 및 상기 이젝트 레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유닛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트 버튼 중의 하나가 작동할 때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이젝트 레버는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홈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 이젝터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기록 및 재생용 광자기 디스크용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를 보유하도록 배치된 홀더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되고, 디스크에 외부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이에 광선을 인가하기 위한 광학적 픽업을 구비하는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부분으로 디스크를 반송하기 위한 캐리어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로 상기 자기 헤드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디스크가 상기 캐리어에 의해 반송될 때 상기 캐리어의 반송 경로 밖으로 상기 자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기를 포함하는 광자기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기록가능한 광학적 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보유하도록 배치된 홀더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되고 광선을 상기 디스크 상에 인가하기 위한 광학적 픽업과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장치 본체 사이에 배치된 댐퍼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배치되고,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부분으로 반송하고,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카트리지를 보유하도록 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보조 홀더를 구비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그 상부에 배치된 카트리지와 상기 보조 홀더를 갖는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마련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교환기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전방 커버가 개방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3은 카트리지 이젝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이젝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5는 카트리지 이젝터를 도시한 배면도.
도6은 카트리지 이젝터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7은 카트리지 이젝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8은 카트리지 이젝터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9는 도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교환기와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교환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11은 카트리지 교환기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12는 카트리지 교환기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한 우측면도.
도13은 카트리지 교환기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14는 카트리지 교환기를 전방에서 본 종단면도.
도15는 카트리지 교환기를 우측에서 본 단면도.
도16은 도1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교환기를 좌측에서 본 단면도.
도17은 도1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교환기의 하부 섀시를 도시한 평면도.
도18은 카트리지 교환기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19는 카트리지 로더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20은 카트리지 로더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21은 도9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로더의 카트리지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22는 카트리지 로더의 카트리지 캐리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3은 도2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교환기의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24는 도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교환기의 헤드 이동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25는 카트리지 교환기의 카트리지 홀더의 주 홀더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설명도.
도26은 도2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홀더의 주 홀더들 사이에 오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설명도.
도27a는 도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삽입 방향 면에서 오삽입한 때의 로크 레버와 디스크 카트리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27b는 도27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하부면 전도 상태로 삽입한 때의 로크 레버와 디스크 카트리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28은 도2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 좌측의 활주 홈에 결합되기 직전의 로크 레버의 제2 돌기를 도시한 설명도.
도29는 도2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 좌측의 로크 리세스에 결합되어 있는 로크 레버의 제1 돌기를 도시한 설명도,
도30은 도29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거된 로크 레버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킹으로 카트리지 홀더의 보조 홀더에 반송되기 직전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설명도.
도31은 도30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홀더의 보조 홀더에 반송 도중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설명도.
도32는 도3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 반송 도중에 있어서 우측면의 활주 홈으로부터 이동되고 있는 셔터 레버를 도시한 설명도.
도33은 도3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셔터 레버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개방되기 직전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도시한 설명도.
도34는 도3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홀더의 보조 홀더에 완전히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설명도.
도35는 도3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전의 카트리지 이젝터를 도시한 설명도.
도36은 도3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한 후의 카트리지 이젝터를 도시한 설명도.
도37은 도3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이젝터의 이젝트 레버를 이젝트 버튼 쪽으로 활주 이동시킴으로써 이젝트 버튼이 가압 보유된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수용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 : 장치 본체
18 : 섀시
20 : 카트리지 교환기
21 : 카트리지 홀더
22L, 22R : 주 홀더
23 : 보조 홀더
24 : 로크 레버
24a : 제1 돌기
24b : 제2 돌기
25 : 판 스프링
30 : 카트리지 로더
100 : 기록 및/또는 재생부
200 : 디스크 카트리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1)는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로서 광자기 디스크(210)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200)(도9 참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교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자기 디스크(210)는 5개이고, 이들 각각은 64 mm의 직경을 갖고 얇은 박스형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본체에 수용되어 있다.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1)의 박스형 본체(2)의 중심에는 디스크 카트리지(200)들을 별개로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이젝터(10)가 배치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의 중심에는 요부(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부 내에서 커버(4)가 직립 또는 폐쇄 상태로부터 수평 연장 또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도록 한 쌍의 지지 축(3)을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커버(4)는 그 중심 하부에 형성된 대소형의 장방형 투명 창(5, 6)을 갖추고 있어서, 커버(4)가 폐쇄된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이젝터(10)의 5개의 장방형 개구(12)를 중심 창(5)을 통해서 볼 수 있고 하부 창(6)을 통해서 표시부(7)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지 버튼(8), 기록/재생 버튼(8b) 및 큐(cue) 버튼(8d)이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의 하부에서 우측에서 중심에 걸쳐 배치되고, 5개의 인디케이터(9a 내지 9e)가 전방 패널의 우측부에서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배치된다. 각각의 인디케이터(9a 내지 9e)는 대응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존재 및 그 기록/재생 작동 수행 상태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최상부 개구(12)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광자기 디스크(200)(도1 및 도2의 디스크 1 참조)가 기록 작동 상태에 있으면 적색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되고, 상기 디스크가 재생 작동 상태에 있으면 녹색 LED가 점등된다. 대형 장방형 개구(2B)가 요부(2A)의 중심에서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에 배치되고, 5개의 소형 장방형 개구(2a 내지 2e)가 요부(2A)와 인디케이터(9a 내지 9e) 사이에 수직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이젝터(10)는 요부(2A)로부터 5개의 개구(2a-2e)로 연장되는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에 배치되어 있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이젝터(10)는 유닛을 구성하고, 홀더(11), 홀더(11)의 우측부에 배치된 박스(13) 내에 회전 지지된 5개의 이젝트 레버(14), 박스(13) 내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이젝트 버튼(15), 박스(13)의 후방에 나사 결합된 장착판(16), 및 이젝트 레버(14)와 장착판(16) 사이에 각각 개재된 인장 코일 스프링(17)을 포함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이젝터(10)의 본체를 구성하는 홀더(11)는 실제로 장방형 튜브의 형태가 되도록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박스(13)와 일체형인 우측벽(11a)을 구비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수용하기 위한 5개의 장방형 개구(12)는 홀더(11)의 상하부벽(11b, 11c)에 평행하도록 등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격벽(11d)에 의해 한정된다. 즉, 5개의 개구(12)는 인접한 2개의 개구가 격벽(11d)의 두께에 상당하는 작은 간극에 의해 분리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다. 5개의 슬릿(11e)은 홀더(11)의 우측벽(11a) 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슬릿은 벽(11b, 11c)과 격벽(11d) 사이 또는 2개의 격벽(11d) 사이의 중앙 위치에 있게 된다. 도3 내지 도8 및 도35 내지 도37을 참조하면, 5개의 장방형 튜브 형태의 개구(13a)가 홀더(11)의 박스(13)의 전방에서 수직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5개의 이젝트 버튼(15)이 횡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박스(13)의 개구(13a)는 그 상하부측에 형성된 단차부(13b)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벽(11a)의 측면 상에 형성된 수평 안내 리세스(13c)를 구비한다.
도6 및 도8을 참조하면, 이젝트 레버(14)는 사실상 T자 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홀더(11)의 개구(12) 내로 돌출하는 단부(14a)를 구비하고, 우측벽(11a)의 슬릿(11e)을 통해 그 박스(13) 내에서 후퇴된다. 이젝트 레버(14)는 금속제 원통형 지지 핀(14b)과, 코킹(caulking)과 같은 소정 수단을 통해 기부의 하부측과 그 기단부 상에 배치된 결합 핀(14c)과, 지지 핀(14b)의 측면의 모서리의 중심에 형성된 절곡부(14d)를 구비한다. 이젝트 레버(14)의 지지 핀(14b)은 박스(13)의 수평 안내 리세스(13c)의 L자형 돌기(13d)와 이젝트 버튼(15)의 (도8의 좌측면) 한 측면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수평 안내 리세스(13c)의 돌기(13d)의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의 개구(2a-2e)에 대응하는] 박스(13)의 개구(13a)로부터 노출된 이젝트 버튼(15)의 작동부(15a)는 좌우측 반부가 교호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도8 및 도35 내지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젝트 버튼(15)은 중심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그 측면에 형성된 요부(15b)와, 박스(13)의 수평 안내 리세스(13c)에 평행하도록 중공부(15b)의 하부측에 형성된 안내 홈(15c)을 구비한다. 이젝트 레버(14)는 이젝트 버튼(15)의 중공부(15b) 내에 삽입된 기단부와, 이젝트 버튼(15)의 중공부(15b)의 안내 홈(15c)에 느슨하게 결합된 결합 핀(14c)을 구비한다. 이젝트 버튼(15)은 이젝트 버튼(15)이 전방측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박스(13)의 개구(13a)의 단차부(13b) 상에 맞닿는 상하부측과 일체형인 플랜지(15d)를 구비한다.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장착판(16)은 장방형 금속판의 중심을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같은 형태를 갖도록 절곡시킴으로써 성형된다. 장착판(16)의 절곡부(16a)는 수직 등간격으로 형성된 5개의 절곡부를 갖는 단부(16b)를 구비하고, 각각의 단부는 이젝트 레버(14)의 지지 핀(14b)이 수평 안내 리세스(13c)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박스(13)의 수평 안내 리세스(13c) 상에 맞닿는다.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의 측면의 장착판(16)의 절곡부(16c)는 수직 등간격으로 형성된 5개의 U자형 리세스(16d)를 구비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17)의 양 단부는 절곡부(16c)의 리세스(16d)와 이젝트 레버(14)의 절곡부(14d)에 각각 결합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17)의 탄성 인장력은 이젝트 레버(14)와 이젝트 버튼(15)을 도8에 도시된 초기 위치 또는 상태, 즉 단부(14a)가 이전에 박스(13) 내에서 후퇴되는 상태 및 플랜지(15d)가 이후에 박스(13)의 단차부(13b) 상에 맞닿는 상태로 복귀시킨다. 절곡부(16a)의 측면의 장착판(16)의 프레임(16e)은 이젝트 버튼(15)의 후방(플랜지(15d))과 맞닿는 스톱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9를 참조하면,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구(12) 내에 수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들 중 하나를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와 기록 헤드(130)로 반송하거나, 또는 다른 것으로 자동 교환하기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대응 개구(12)로 복귀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교환기(20)가 카트리지 이젝터(10) 후방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1)의 본체(2) 내에 배치된다. 카트리지 교환기(20)는 개구(12) 내에 수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보유하기 위한 카트리지 홀더(21)와, 카트리지 홀더(21)에 의해 보유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로 로딩하거나 디스크 카트리지(200)로부터 언로딩하기 위한 카트리지 로더(30)와, 카트리지 로더(30)의 카트리지 캐리어(31)의 수직 궤적으로부터 기록 헤드(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헤드 이동기(150)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이젝터(10)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2)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섀시(18) 상에 장착된 유닛을 구성한다.
도9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21)는 장치 본체(2) 내에 배치된 하부 섀시(18)의 전방에 고정된 한 쌍의 주 홀더(22L, 22R)와, 주 홀더(22L, 22R)로부터 카트리지 로더(30)를 거쳐 반송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보유하고 하부 섀시 상에 부상 가능하게 배치된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에 대해 카트리지 로더(30)의 엘리베이터 섀시(40)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보조 홀더(23)를 포함한다.
도9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합성 수지의 주 홀더(22L, 22R)는 그 전방면의 상부 및 그 상하 측면과 일체형인 돌기(22a, 22a')를 구비한다. 주 홀더(22L, 22R)는 카트리지 이젝터(10)의 홀더(11)와 돌기(22a, 22a')를 통해 장치 본체(2) 내에 배치된 상하부 섀시(18, 19)에 결합되고, 나사 등에 의해 상하부 섀시(18, 19)에 고정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보유하기 위한 5개의 C자형 홀더부(22b)는 홀더(11)의 개구(12)와 연통하도록 각각의 주 홀더(22L, 22R)와 일체형으로 된다. 또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안내 구멍(22d)이 홀더부(22b)들 사이의 중앙 위치를 향하도록 측벽(22c)의 후방의 좌측 주 홀더(22L) 내에 형성된다.
도18을 참조하면, 합성 수지의 대체로 F자형의 로크 레버(24)가 좌측 주 홀더(22L)의 수평 안내 구멍(22d)에 수평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보유하기 위한 두꺼운 제1 설부형 돌기(24a)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장방형 판형 돌기(24b)가 단부의 하부측과 중심 로크 레버(24)의 우측면과 일체형으로 된다. 로크 레버(24)는 그 상부측의 좌측부에 형성된 리세스(24c)와, 좌측면의 중심 상부에 형성된 프레서(presser)(24d)를 구비한다. 또한, 로크 레버(24)는 분리 방지 클로(claw)(24e)와 그 좌측면의 중심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 작동용 작동부(24f)를 구비한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원통형 리브(22e)가 외측 전방의 상하부에서 좌측 주 홀더(22L)의 측벽(22c)과 일체형으로 된다. 사실상 L자형인 판 스프링(25)이 나사(26)를 통해 리브(22e)에 고정된다. 판 스프링(25)은 단부로부터 기부에 걸쳐 형성된 4개의 리세스(25a)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들 사이에는 로크 레버(24)의 프레서(24d)를 편의시키는 단부를 각각 갖는 5개의 탄성 부재(25b)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로크 레버(24)의 제1 및 제2 돌기(24a, 24b)는 좌측 주 홀더(22L)의 측벽(22c)의 내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한 쌍의 클로(22f)는 외측 중심의 상하부에서 좌측 주 홀더(22L)의 측벽(22c)과 일체형으로 된다. 장방형 기부판(27)이 분리 가능하게 클로(22f)에 결합된다. 검출 스위치(28)는 로크 레버(24)의 작동부(24f)를 향하도록 기부판(27)에 장착된다. 검출 스위치(28)는 로크 레버(24)의 제1 돌기(24a)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킹을 완전히 제거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로크 레버(24)가 판 스프링(25)의 탄성 부재(25b)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좌측 주 홀더(22L)의 수평 안내 구멍(22d)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검출 스위치(28)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킹의 제거를 검출하도록 로크 레버(24)의 작동부(24f)에 의해 켜진다. 도12를 참조하면, 우측 주 홀더(22)의 측벽(22c)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로딩 레버(36)의 결합부(36b)를 수용하기 위해 그 기단부의 하부에 리세스(22g)가 형성되어 있다.
도19 및 도20을 참조하면, 보조 홀더(23)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평탄부(23a)의 양 단부를 수직 하방으로 절곡시켜 얻게 되지는 전도된 L자형 평탄부(23a)와 측면부(23b, 23c)를 포함한다. 보조 홀더(23)는 그 후방 중심에서 평탄부(23a)의 내측(디스크 카트리지측)의 전방의 양 단부에 형성된 3개의 보스(23d)와, 그 후방 중앙에서 평탄부(23a)의 외측 중심의 양 단부에 형성된 3개의 단차형 핀(29)을 구비한다. 한 쌍의 개구(23e, 23f)가 그 후방 중심에서 보조 홀더(23)의 평탄부(23a) 내에 형성된다. 지지체(23g)가 그 우측면의 활주 홈(201a) 내로 삽입될 때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지지하도록 우측 개구(23f)의 우측 모서리의 중심에 형성된다. 보조 홀더(23)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 우측부(23c)의 측면의 평탄부(23c)에 형성된 장방형 안내 홈(23h)과, 평탄부(23c)의 안내 홈(23h)과 지지체(23g) 사이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 홀더(23)는 좌측부(23b)의 하부 모서리를 내향 절곡시킴으로써 얻게 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스테이지(23j)와, 우측부(23c)의 전방 하부의 리세스(23k)를 구비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로더(30)는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 사이에 보유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스테이지(23j)와 보조 홀더(23)의 지지체(23g) 상으로 로딩하기 위해 보조 홀더(23)의 안내 홈(23h)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캐리어(31)와, 3개의 단차형 핀(29)을 통해 보조 홀더를 수직으로 부상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섀시(40)와, 카트리지 캐리어(31)를 수평으로 왕복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안내 홈(40h)에 의해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로딩 슬라이더(50)와, 로딩 슬라이더(50)를 수평으로 왕복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장치(60), 및 엘리베이터 섀시(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장치(70)를 포함한다.
도20 내지 도2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캐리어(31)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핀(33)을 통해 보조 홀더(23)의 안내 홈(23h)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 슬라이더(32)와, 지지 축(34)과 스냅 링(35)을 통해 그 기단부에서 보조 슬라이더(3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로딩 레버(36)를 포함한다. 보조 슬라이더(32)는 분리 방지 러그(lug)(32c)에 의해 C자형으로 형성된 단부(32b)와 레버 스테이지(32d)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 슬라이더(32)는 셔터 레버(37)를 개방하기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측면의 단부(32b)의 코너부에 형성된 제1 테이퍼부(32e)와, 셔터 레버(37)를 폐쇄하기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측면의 기단부(32a)의 코너부에 형성된 제2 테이퍼부(32f)를 구비한다. 로딩 레버(36)는 C자형 부분을 구비하도록 금속판을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고, 기단부에서 보조 슬라이더(32)의 지지 축(36)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구멍(36a)을 구비한다. 로딩 레버(36)의 상부의 일 단부에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우측면의 리세스(201c)에 결합된 결합부(36b)가 형성되고, 로딩 레버(36)의 하부의 일 단부에는 C자형 캠 홈(36c)이 형성되어 있다. 로딩 레버(36)의 결합부(36b)는 보조 슬라이더(32)의 레버 스테이지(32d)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레버(37)는 보조 홀더(23)의 평탄부(23a)의 하부측에 배치된 지지 축(38)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터 레버(37)는 그 기단부에 형성되고 보조 슬라이더(32)의 전후방 테이퍼부(32e, 32f)와 결합되는 절곡부(37a)를 구비한다. 셔터 레버(37)는 그 단부의 좌측에 형성되고 셔터(203)의 개폐를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203)의 개구(203b)에 결합되는 후크(37b)를 구비한다. 또한, 셔터 레버(37)에는 그 단부에 원형 구멍(37c)이 형성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39)이 셔터 레버(37)의 원형 구멍(37c)과 보조 홀더(23)의 결합부(23i) 사이에 개재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39)의 탄성 인장력으로 인해 셔터 레버(37)는 항상 보조 홀더(23)의 우측부(23c)와 사실상 평행하게 된다.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섀시(40)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평탄부(40a)의 양 단부를 수직 하방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얻게 되는 전도된 L자형 평탄부(40a)와 측면부(40b, 40c)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섀시(40)의 평탄부(40a)에는 보조 홀더(23)의 3개의 단차형 핀(29)으를 향하도록 3개의 원형 구멍(40d)과, 원형 구멍(40d)에 대한 그 내부에 3개의 장방형 구멍(40e)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홀더(23)의 단차형 핀(29)의 섕크(shank)(29b)는 평탄부(40a)의 원형 구멍(40d)을 통해 배치되어 보조 홀더(23)가 단차형 핀(29)의 헤드를 통해 평탄부(40a)로부터 현수되도록 되어 있다.
코킹에 의해 평탄부(40a)에 고정된 T자형 판 스프링(41)의 U자형 단부(41a)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평탄부(40a)의 장방형 구멍(40e)을 통해 각각 배치된다. 판 스프링(41)의 U자형 단부(41a)는 보조 홀더(23)의 평탄부(23a)를 하향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평탄부(40a)로부터 하향 돌출한다. 판 스프링(41)의 탄성 편의력과 3개의 단차형 핀(29)이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측면부(40b, 40c) 사이에서 보조 홀더(23)를 부상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홀더(23)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 사이에서 척킹(chucking)되면, 보조 홀더(23)의 평탄부(23a)의 3개의 보스(23d)는 판 스프링(41)의 탄성 편의력을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200)로 가압된다.
엘리베이터 섀시(40)의 평탄부(40a)는 전후방측의 좌측부(40b)에 형성된 수평 러그(40g) 및 수직 러그(40f)를 갖는다. 특히, 평탄부(40a)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척 우측부(40c)에 형성된 장방형의 안내 홈(40h) 및 우측부(40c)에 평행하도록 그 후방측에 형성된 절곡부(40i)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섀시(40)에는 평탄부(40a)와 우측부(40c) 사이의 코너부에 한 쌍의 개구(40j)가 형성된다. 합성 수지제의 한 쌍의 롤러(42)가 지지 축(42a)을 통해 외측의 대체로 중심에서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좌측부(4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합성 수지제의 한 쌍의 롤러(43)가 한 쌍의 롤러(42)를 향하도록 지지 축(43a)을 통해 그 외측의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도된 L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금속제 브래킷(44A, 44B)이 한 쌍의 개구(40j)를 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의 외측에 나사 결합된다. 금속제 판형 브래킷(45)이 롤러(43)와 전방 브래킷(44A) 사이를 코킹함으로써 우측부(40c) 상의 외측에 고정된다. 검출 스위치(46A, 46B)는 개구(40j)로부터 노출되도록 브래킷(44A, 44B) 상에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섀시(40)의 평탄부(40a) 상에는 금속제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한 쌍의 안내 홈(48a)이 배치되게 되는 한 쌍의 단차형 핀(47)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해제 슬라이더(48)가 한 쌍의 단차형 핀(47)을 통해 수평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에는 그 좌측 단부에 결합부(48b)가 형성되고 그 우측 단부의 T자형 부분의 전후방에 한 쌍의 테이퍼부(48c, 48d)가 형성된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결합부(48b)가 좌측 주 홀더(22L)의 로크 레버(24)의 리세스(24c)를 통해 배치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49)이 그 전방측에 배치된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러그(48e)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고정된 브래킷(45)의 절곡부(45a)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로크 해제 슬라이더(48)는 항상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로 편의된다.
도19 내지 도2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로더(30)의 카트리지 캐리어(31)를 수평으로 왕복시키기 위한 로딩 슬라이더(50)가 장방형 형상을 갖도록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금속제 롤러(52)는 지지 축(51)을 통해 그 상부측의 전후방에서 로딩 슬라이더(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축(51)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평탄부(40a)의 안내 홈(40h)을 통해 하부로부터 배치되어, 로딩 슬라이더(50)가 롤러(52)를 통해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안내 홈(40h)에서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활주 작동시, 롤러(52)는 그 우측 단부에 배치된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테이퍼부(48c, 48d) 상에 맞닿거나 그로부터 분리된다. 긴 봉형 축(53)과 짧은 핀형 축(54)이 그 전후방에서 로딩 슬라이더(50)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로딩 슬라이더(50)의 하부측은 합성 수지제의 연결 판(55) 상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구동 장치(60)의 타이밍 벨트(63)에 연결된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판(55)은 그 좌측부의 기단부에 형성된 U자형 리세스(55a)와 중심으로부터 그 좌측부의 단부에 걸쳐 연장된 홈(55b)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 판(55)은 검출 스위치(46A, 46B)의 스위치부 상에 맞닿도록 그 단부의 우측에 형성된 스위치 조작부(55c)와, 그 우측면의 기단부의 하부에 형성된 리세스(55d)를 구비한다. 로딩 슬라이더(50)의 봉형 축(53)은 연결 판(55)의 리세스(55a)를 통해 배치되며, 스톱퍼 링(56)을 통해 로딩 레버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로딩 레버(36)의 캠 홈(36c)을 통해 배치된다. 로딩 슬라이더(50)의 핀형 축(54)은 연결 판(55)의 홈(55b)의 대직경부를 통해 배치되며, 홈(55b)의 소직경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코일(57a)이 그 상부에서 봉형 축(53) 내에 삽입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은 일 단부(57b)가 로딩 슬라이더(50)의 후크(50a)와 결합되고 다른 단부가 연결 판(55)의 리세스(55d)와 결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편의력에 의해 로딩 슬라이더(50)는 항상 연결 판(55)의 단부로 항상 편의된다.
도9, 도13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 슬라이더(50)를 수평으로 왕복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장치(60)는 지지 축(61)을 통해 그 내측 전후방에서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기어(62)와, 기어(62)와 일체로 된 풀리(62a)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환형 타이밍 벨트(63)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배치된 후방 브래킷(44B)에 장착된 모터(64)와, 모터(64)의 회전 축(64a)에 연결된 워엄(65)과, 워엄(65)과 결합된 워엄 기어(67a) 및 후방 기어(62)와 결합된 소직경 기어(67b)를 포함하고 지지 축(66)을 통해 절곡부(40i)와 브래킷(44B) 사이의 엘리베이터 섀시(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기어(67)를 포함한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판(55)은 그 중간부에서 C형 연결부(55e)를 통해 타이밍 벨트(63)에 고정된다. 연결 판(55) 및 타이밍 벨트(63)는 로딩 슬라이더(50)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안내 홈(40h)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연결 판(55)의 스위치 조작부(55c)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배치된 전방 검출 스위치(46A)의 스위치부를 가압하면 로딩 슬라이더(50)의 초기 위치(이동 전의 위치)가 검출되며, 스위치 조작부(55c)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배치된 후방 검출 스위치(46B)의 스위치부를 가압하면 로딩 슬라이더(50)의 최종 위치(이동 후의 위치)가 검출된다. 검출 스위치(46A, 46B)의 검출 신호는 모터(64)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에 제공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가 기어(62)의 풀리(62a)로부터 떨어지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68)가 기어(62)의 풀리(62a)에 배치된다.
도9, 도13,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섀시(40)를 수직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장치(70)는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측면부(40b, 40c)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42, 43)를 안내하기 위한 수직 안내 홈(71b, 72b)을 포함하고 양 측면에서 하부 새시(18)에 수직으로 나사 결합된 한 쌍의 랙(71, 72)과,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배치된 전방 브래킷(44A)에 장착된 모터(73)와, 모터(73)의 회전 축(73a)에 연결된 워엄(74)과, 워엄(74)과 결합된 워엄 기어(76a) 및 소직경 기어(76b)를 포함하고 지지 축(75)을 통해 브래킷(44A)과 우측부(40c) 사이의 엘리베이터 섀시(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중간 기어(76)와, 제1 중간 기어(76)의 소직경 기어(76b)와 결합된 대직경 기어(78a) 및 소직경 기어(78b)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고정된 브래킷(45)에 지지 축(7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 중간 기어(78)와, 엘리베이터(40)의 좌측부(40b)에 배치된 브래킷(45) 및 수직 러그(40f)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79)과, 랙(71, 72)의 기어(71a, 72a)와 결합된 소직경 기어(80b, 81b) 및 및 대직경 기어(80a, 81a)를 포함하고 양 단부에서 축(79)에 고정된 한 쌍의 구동 기어(80, 81)를 포함한다.
랙(71, 72)은 대체로 장방형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그 전방에 구동 기어(80, 81)의 소직경 기어(80b, 81b)와 결합되는 기어(71a, 72a)가 형성된다. 랙(71, 72)은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그 내측 중심에 형성된 U자형 단면을 갖는 수직 안내 홈(71b, 72b)과, 외측 중심에 형성된 리브(71c, 72c) 쌍을 구비한다. 또한, 랙(71, 72)은 하부측에 형성되고 하부 섀시(18)에 나사 결합되는 돌기(71d, 72d)와, 상부측에 형성된 핀(71e, 72e) 쌍을 구비한다. 랙(71, 72)의 핀(71e, 72e)은 상부 섀시(19)의 도시하지 않은 구멍과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랙(71 72)은 서로 평행하게 상하부 섀시(18, 19)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도9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랙(72)은 그 후방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6개의 슬릿(72f)을 구비한다.
도9, 도13 및 도19를 참조하면, 우측 구동 기어(81)의 대직경 기어(81a)는 제2 중간 기어(78)의 소직경 기어(78b)와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73)의 구동력은 중간 기어(76, 78)를 통해 구동 기어(80, 81)로 전달되며, 이에 의해 랙(71, 72)을 통해 카트리지 홀더(21)의 보조 홀더(23)를 보유하는 엘리베이터 섀시(40)가 수직으로 이동되어 카트리지 홀더(21)의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에 대해 정지될 수 있게 된다.
도9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센서(90)가 브래킷(44b)의 상부에 배치된 우측 랙(72)의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에서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우측부(40c)에 장착된다. 광 센서(90)는 C자형으로 형성되며, 우측 랙(72)의 슬릿(72f)을 횡단해서 서로 대향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발광기 및 수광기를 포함한다. 도11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스위치(91)는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좌측부(40b)에 배치된 수평 러그(40g)를 향하는 하부 섀시(18) 상에 도시되지 않은 기부판을 통해 장착된다. 검출 스위치(91)의 스위치부(91a)가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좌측부(40b)의 수평 러그(40g)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에 대한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카트리지 홀더(21)의 수직 이동 및 정지 위치는 광 센서(90) 및 우측 랙(72)의 슬릿(72f)에 의해 검출된다. 광 센서(90)의 검출 신호는 제2 구동 장치(70)의 모터(7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어기에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섀시(40)의 하향 이동의 정지 위치는 헤드 이동기(150)의 모터(151)의 구동 등을 제어하도록 검출 신호를 제공하는 검출 스위치(91)에 의해 검출된다.
도14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섀시(18)에는 대체로 중심에 장방형 개구(18a)가 형성되며, 이 개구에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광자기 디스크(210) 상의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와 기록 헤드(130)가 배치된다. 헤드 이동기(150)는 카트리지 로더(30)의 카트리지 캐리어(31)의 수직 궤적, 즉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수직 궤적으로부터 기록 헤드(130)를 이동시키도록 개구(18a)의 후방에서 하부 섀시(18) 상에 배치된다.
도14, 도17 및 도23을 참조하면,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는 그 하부측에 개구를 갖는 대체로 박스형인 금속제 섀시(101)를 포함한다. 한 쌍의 L자형 플랜지(101a)가 그 양 측면에서 부품 섀시(101)와 일체로 된다. 플랜지(101a)는 댐퍼(102)를 통해 개구(18a) 내의 하부 섀시(18)에 지지되며, 이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부가 하부 섀시(18)의 개구(18a)에 부상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각 댐퍼(102)는 플랜지(101a)의 원형 리세스(101b)와 결합되는 수축 중심부를 갖는 중공 고무 쿠션(102a)과, 개구(18a) 둘레의 소정 위치에서 하부 섀시(18)에 쿠션(102a)을 장착하기 위한 긴 핀형 나사(102b)를 포함한다. 플랜지(101a)는 댐퍼(102)의 쿠션(102a)을 통해 나사(102b)의 섕크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가 하부 섀시(18)에 대해 부상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 섀시(101)에는 우측부의 전방, 중심, 후방에 대체로 장방형인 개구(101c, 101d, 101e)가 형성된다. 하향 돌출하고 평행 절곡부를 구비한 안내 러그(101f)가 전방 개구(101c)의 전방에서 부품 섀시(101)에 배치되고, 금속제 안내 축(104)이 합성 수지제의 장착판(103)을 통해 후방 개구(101e) 아래에서 부품 섀시(101)에 장착된다. 광 픽업(110, optical pickup)이 광자기 디스크(210)의 방사상 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안내 축(104) 및 안내 러그(101f)에 의해 지지된다. 도14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106)가 대체로 중심에서 또는 중심 개구(101d)의 좌측에서 금속제 장착판(105)을 통해 부품 섀시(101)에 나사 결합된다. 턴 테이블(107)이 부품 섀시(101)의 중심 개구(101d)의 좌측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상부에서 스핀들 모터(106)의 회전 축(106a)에 고정된다.
도14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판(109)이 그 하부측에서 합성 수지제의 3개의 원통부(108)를 통해 부품 섀시(101)에 장착되고, 외삽 성형 등에 의해 부품 섀시(101)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광 픽업(110)을 왕복시키기 위한 픽업 구동 장치(120)가 기부판(109)과 부품 섀시(101) 사이에 개재된다. 픽업 구동 장치(120)는 기부판(109) 상에 고정된 모터(121)와, 모터(121)의 회전 축(121a)에 고정된 워엄(122)과, 부품 섀시(101)의 하부측에 고정된 장착판(10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나사 볼트(123)와, 나사 볼트(123)의 한 단부에 고정되고 워엄(122)과 결합되는 워엄 기어(124)를 포함한다. 나사 볼트(123)는 그 후방의 광 픽업(110) 상에 고정된 대체로 V형인 기어(112)와 결합됨으로써, 그 광 픽업(110)이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부품 섀시(101)에 대해 수평으로 왕복되게 된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210) 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헤드(130)는 광 픽업(110)의 하부측으로부터 대물 렌즈(111)에 걸쳐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기록 헤드(130)는 그 기단부에서 광 픽업(110)의 하부측에 나사 결합되는 금속제 헤드 연결 판(131)과, 그 후방에서 헤드 연결 판(131)의 한 쌍의 러그(131a)들 사이에 개재된 지지 축(132)과, 그 양 측면에서 지지 축(132)에 대해 종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금속제 L자형 헤드 장착판(133)과, 지지 축(132) 상에 권회되고 헤드 장착판(133)과 결합되어 헤드 장착판(133)을 전방으로 쓰러진 방향(이하, 전방으로 쓰러지는 방향을 다운(down) 방향이라 하고 직립한 방향을 업(up) 방향이라 함)으로 항상 편의시키는 일 단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34)과, 헤드 장착판(133)에 고정된 대체로 L자형인 짐벌(gimbol)(135)과, 헤드 장착판(133)의 다운 상태에서 광 픽업(110)의 대물 렌즈(111)를 향하도록 한 단부에서 짐벌(135)에 고정되고 광자기 디스크(210) 상에 기록되는 신호에 따라 변조되는 수직 자장을 제공하는 자기 헤드(136)를 포함한다. 헤드 연결 판(131)의 러그들 중 하나의 후방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L자형 스톱퍼(131b)를 형성한다. 헤드 장착판(133)의 몸체(133a)는 스톱퍼(131b) 상에 맞닿아서 헤드 장착판(133)의 다운 상태를 보유하고 규제한다. 장착판(133)은 몸체(133a) 및 단부(133b)에 의해 L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체로 몸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몸체의 하단부에서 몸체(133a)에 배치된 작동 러그(133c)를 포함한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위치 결정 핀(140)이 우측 코너부의 부품 섀시(101)에 배치된다. 전방 위치 결정 핀(140)은 금속제 장착판(141)을 통해 부품 섀시(101) 상에 배치된다. 한 쌍의 위치 결정 기준 밀봉체(142)가 좌측 코너부의 부품 섀시(101) 상에 위치된다. 엘리베이터 섀시(4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의 부품 섀시(101) 및 보조 홀더(23) 사이에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척킹하면, 보조 홀더(23)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는 하부 섀시(18) 및 엘리베이터 섀시(4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이에 따라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위치 결정 핀(140)과, 위치 결정 기준 밀봉체(142)와, 보조 홀더(23)의 평탄부(23a)의 3개의 보스(23d)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도17 및 도2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수직 궤적으로부터 기록 헤드(130)의 자기 헤드(136)를 이동시키기 위한 헤드 이동기(150)는, 하부 섀시의 그 후방의 하부 섀시(18) 상에 장착된 모터(151)와, 모터(151)의 회전축(151a)에 연결된 워엄(152)과, 그 후방에 배치된 지지 축(153)을 통해 하부 섀시(1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워엄(152)과 결합된 워엄 기어(154a) 및 소직경 기어(154b)를 포함하는 제3 중간 기어(154)와, 그 후방에 배치된 지지 축(155)을 통해 하부 섀시(1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3 중간 기어(154)의 소직경 기어(154b)와 결합된 대직경 기어(156a) 및 소직경 기어(156b)를 포함하는 제4 중간 기어(156)와, 그 후방에 배치된 지지 축(157)을 통해 하부 섀시(1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4 중간 기어(156)의 소직경 기어(156b)와 결합된 대직경 기어(158a) 및 하부 섀시(18)의 상부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나선 리브인 테이퍼부(158b)를 포함하는 캠 기어(158)와, 하부 섀시(18)의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 지지체(18b)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테이퍼부(158b) 상에 배치된 돌기(159c)를 포함하는 레버(159)와, 레버(159)의 돌기(159c)의 후방부와 하부 섀시(18)의 후방의 결합부(18c) 사이에 개재되고 레버(159)를 항상 하향 편의시키기 위한 인장 코일 스프링(160)을 포함한다.
캠 기어(158)는 나선 리브형 테이퍼부(158b)의 상부에 스톱퍼(158c)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캠 기어(158)는 스톱퍼(158c)가 레버(159)의 돌기(159c) 상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레버(159)는 평탄부(159a)와, 평탄부(159a)의 양 단부를 상향으로 절곡해서 C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한 쌍의 측면부(159b)를 포함하고, 돌기(159c)가 좌측부(159b)와 일체로 된다. 레버(159)는 평탄부(159a)의 후방부와 일체로 된 장방형 돌기(159d)를 구비한다.
레버(159)의 돌기(159c)가 캠 기어(158)의 테이퍼부(158b)의 상부측에 위치될 때, 기록 헤드(130)의 헤드 장착판(133)의 작동 러그(133c)가 레버(159)의 평탄부(159a)의 단부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기록 헤드(130)의 헤드 장착판(133)은 도24에 실선으로 표시된 다운 상태에 있게 되며, 이 다운 상태는 하부 섀시(18)에 장착된 제1 검출 스위치(161) 상에 맞닿는 레버(159)의 후방 돌기(159d)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광자기 디스크(210) 상에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와 기록 헤드(130)를 통해 정보를 기록할 때에, 헤드 이동기(150)는 기록 헤드(130)의 자기 헤드(136)를 광자기 디스크(210)의 기록 위치로 이동시킨다. 레버(159)의 돌기(159c)가 캠 기어(158)의 테이퍼부(158b)의 바닥측에 위치될 때에, 기록 헤드(130)의 헤드 장착판(133)의 작동 러그(133c)가 레버(159)의 평탄부(159a)의 단부에 의해 인장 코일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이 때, 기록 헤드(130)의 헤드 장착판(133)은 도24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업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업 상태는 하부 섀시(18)에 장착된 제2 검출 스위치(162) 상에 맞닿는 레버(159)의 평탄부(159a)의 단부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 스위치(161, 162)의 검출 신호는 모터(15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어기로 전달된다.
도9, 도13, 도25 및 도35를 참조하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본체(201)는 합성 수지제의 평탄한 박스 형상을 갖는 상반부 및 하반부를 포함하는데, 이들 반부 내에는 광자기 디스크(21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광자기 디스크(210)의 중심에는 허브(211)가 고정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와 보조 홀더(107) 사이에 척킹시킬 때, 허브(211)는 턴테이블(107)에 자기적으로 당겨진다.
도13 및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201)는 그 상하부측의 우측부의 중심에 대향 장방형 개구(202)가 형성되고, 그 하부측의 중심에 원형 허브 구멍(202')이 형성된다(도25 참조). 광자기 디스크(210)의 허브(211)는 허브 구멍(202')으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201)는 그 좌측면의 중심에 긴 슬릿형 활주 홈(201a)이 형성되고, 그 우측면의 전방의 하부에 로딩 레버(36)의 결합부(36b)와 결합되는 리세스(201c)가 형성된다. 셔터(203)는 카트리지 본체(201)의 활주 홈(201a)을 따라 그 단부(201b)까지 활주 가능하다. 카트리지 본체(201)의 개구(202)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203)는 C자형 단면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그 전방의 중심에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203a)가 형성되는데, 이 결합부에는 카트리지 본체(201) 내에 배치된 수지제의 대체로 V자형의 로크 레버(204)의 클로(204a)가 결합된다. 셔터(203)의 결합부(203a)와 로크 레버(204)의 클로(204a) 간의 결합은 보조 홀더(23)의 지지체(23g)가 활주 홈(201a) 내에서 활주함에 따라 해제된다. 셔터 레버(37)는 그 우측면 중앙에 셔터 레버(37)의 후크(37b)와 결합되는 장방형 구멍(203b)이 형성된다.
도9 및 도2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본체(201)는 그 좌측면 하부에 로크 레버(24)의 제1 돌기(24a)와 결합되는 로크 리세스(201d)가 형성되고, 그 중심에 로크 레버(24)의 제2 돌기(24b)를 수용하기 위한 단척 활주 홈(201e)이 형성된다. 카트리지 로더(30)가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좌측 주 홀더(22L)로부터 보조 홀더(23)로 반송시키면, 로크 레버(24)의 제1 돌기(24a)와 카트리지 본체(201)의 좌측면의 로크 리세스(201d) 간의 로킹은 로크 레버(24)를 로크 레버(24)의 리세스(24c)를 통하여 좌측으로 활주시키는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결합부(48b)에 의해서 해제된다. 카트리지 본체(201)는 그 하부측 좌측부에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201f, 201g)이 형성되는데, 이 위치 결정 구멍 내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의 한 쌍의 위치 결정 핀(140)이 삽입되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평면에 대해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소거 방지기(205)가 카트리지 본체(201)의 후방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검출기가 그 위치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210) 상의 정보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게 한다.
도9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하부 섀시(18)에는 제1 구동 장치(60)의 모터(64)와 제2 구동 장치(70)의 모터(74)를 향한 한 쌍의 돌기(18d)가 형성된다. 또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섀시(18)에는 랙(71, 72)의 수직 안내 홈(71b, 72b)을 향한 한 쌍의 장방형 구멍(18e)이 형성된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랙(71, 72)의 수직 안내 홈(71b, 72b)은 하부 섀시(18)의 구멍(18e)을 통해 그 하부측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도17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픽업(110)의 한 단부에는 부품 섀시(101)의 안내 러그(101f)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C자형 리시버(113)가 마련되고 다른 단부에는 안내 축(104)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베어링(114)이 마련된다.
본 발명을 실시한 카트리지 교환기(20)를 갖춘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의하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의 덮개(4)를 개방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개구(12) 내로 삽입했을 때에,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의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 사이에 수용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삽입 방향에 있어서 오삽입하면, 즉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201)의 좌측면으로부터 삽입하면, 도26 내지 도2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좌측면이 판 스프링(25)에 의하여 도26에서 보아 우측으로 편의된 로크 레버(24)의 제2 돌기(24b) 상에 맞닿게 되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주 홀더(22L, 22R)들 사이로의 로딩을 불가능하게 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도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면 전도 상태로 삽입되면,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로크 레버(24)의 제2 돌기(24b)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활주 홈(201a) 간의 높이 차로 인해 주 홀더(22L, 22R)들 사이로 로딩될 수 없다. 이것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 사이로의 오삽입에 대한 용이하고 확실한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 사이에 잘못 로딩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카트리지 로더(30) 등의 고장 요인을 제거하는 데 기여한다.
도28을 참조하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카트리지 홀더(21)의 주 홀더(22L, 22R) 사이로 정확하게 삽입하면, 로크 레버(24)의 제2 돌기(24b)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좌측면의 활주 홈(201e) 내로 삽입된다. 도29를 참조하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더욱 삽입하게 되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크 리세스(201d)는 로크 레버(24)의 제1 돌기(24a)와 결합된다. 제1 돌기(24a)는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 사이와 개구(12) 내에서 항상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 사이에 로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로딩 방향으로 더욱 가압된다 해도,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로크 레버(24)의 제1 돌기(24a)에 의한 로킹으로 인해 주 홀더(22L, 22R)의 내향으로 즉, 보조 홀더(23) 쪽으로 더 돌출할 수 없게 된다.
도30을 참조하면,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의 재생 버튼(8b)을 눌러서 장치 본체(2)의 전방의 5개 개구(12) 안에 수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 안에 수용된 광자기 디스크(210)의 정보를 재생하게 될 때에, 제1 구동 장치(60)의 모터(64)가 구동되어 로딩 슬라이더(50)를 타이밍 벨트(63)를 거쳐서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안내 홈(40h)을 따라 랙(72) 쪽으로 이동시킨다. 로딩 슬라이더(50)의 이동에 의해, 로딩 슬라이더(50)의 봉형 축(53)이 카트리지 캐리어(31)의 로딩 레버(36)의 캠 홈(36c)을 따라 이동되어 로딩 레버(36)를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슬라이더(32)의 지지 축(34)을 통해 반시계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로딩 레버(36)의 결합부(36b)가 우측 주 홀더(22R)의 측벽(22c)의 리세스(22g)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크 리세스(22g)와 결합하게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로딩 슬라이더(50)의 롤러(52)들 중 어느 하나가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전방 테이퍼부(48c) 상에 맞닿아서 이것을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49)의 탄성 인장력에 대항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이동에 의해 로크 레버(24)는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48b)를 통해서 판 스프링(25)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킹이 로크 레버(24)의 제1 돌기(24a)에 의해 해제된다.
도31을 참조하면, 로크 레버(24)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킹을 해제한 후에, 로딩 슬라이더(50)는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안내 홈(40h)을 따라서 더욱 이동하게 되므로,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주 홀더(22L, 22R)로부터 로딩 레버(36)의 결합부(36b)를 통해 로딩시키기 위한 보조 홀더(23)로 인출 또는 반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크 레버(24)의 제1 돌기(24a)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크 리세스(201d) 간의 로킹 해제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리세스(201c) 내로의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삽입 타이밍이 서로 중첩되어,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로더(30)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하향 이동 또는 수직 로딩이 가능해진다.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딩 작동의 개시 시에, 셔터 레버(37)의 절곡부(37a)는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캐리어(31)의 보조 슬라이더(32)의 제1 테이퍼부(32e) 상에 맞닿게 되어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축(38)을 통해 셔터 레버(37)의 후크(37b)를 도32에 보아 시계 방향 또는 우측으로 요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레버(37)의 후크(37b)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로딩 작동의 일부분 중에만 이동하게 되어, 셔터 레버(37)의 후크(37b)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우측면의 슬릿형 활주 홈(201a)과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그 결과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보조 홀더(23)에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로딩할 수 있게 된다.
도33을 참조하면, 셔터 레버(37)의 후크(37b)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203)의 구멍(203c)이 있는 측면으로 오게 되면 즉,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활주 홈(201a) 위에 오게 되면, 셔터 레버(37)의 절곡부(37a)는 보조 슬라이더(32)의 좌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셔터 레버(37)의 후크(37b)의 단부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203)의 구멍이 있는 측면 상에 맞닿게 된다. 이 때, 보조 홀더(23)의 지지체(23g)는 로크 레버(204)의 클로(204a)에 맞닿게 되어 로크 레버(204)에 의한 셔터(203)의 로킹을 해제시킨다.
도34를 참조하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보조 홀더(23) 상으로 더욱 로딩하게 되면, 셔터 레버(37)의 후크(37b)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203)의 구멍(203b)과 결합되어 셔터(203)가 개방된다. 도34는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주 홀더(22L, 22R)로부터 보조 홀더(23)로 완전히 반송 또는 인출되고 즉, 수평 로딩 상태를 완료하고, 이것은 후방 검출 스위치(46B)의 스위치부를 가압하는 로딩 슬라이더(50)와 함께 이동되는 연결 판(55)의 스위치 조작부(55c)에 의해 검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검출 스위치(46B)의 검출 신호는 제1 구동 장치(60)의 모터(64)가 제어하도록 제어기로 제공된다.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 슬라이더(50)의 다른 롤러(52)는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후방 테이퍼부(48d)에 위치되므로, 로크 해제 슬라이더(48)는 인장 코일 스프링(49)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도34에서 보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이동에 의해 로크 해제 슬라이더(48)의 결합부(48b)가 로크 레버(24)의 리세스(24c)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24)는 판 스프링(25)의 탄성 편의력에 의해 도34에 보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기록 및 재생 중에 비어 있는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 사이로 또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삽입되거나 혹은 오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들의 위치 즉, 기록 및 재생 어드레스는 표시부(7)의 문자 표시 또는 장치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되고 검출 스위치(28)의 스위치부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인디케이터(9a 내지 9e)의 램프 표시로부터 쉽게 알 수 있고, 이 결과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오삽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수가 증가 또는 감소된 유닛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고정측의 주 홀더(22L, 22R)로부터 가동측의 보조 홀더(23)로 반송 또는 배출됨에 따라, 제2 구동 장치(70)의 모터(73)가 구동된다. 모터(73)의 구동력은 중간 기어(76, 78)를 통해 구동 기어(80, 81)로 전달된다. 랙(71, 72)을 통해서 구동 기어(80, 81)와 결합된 보조 홀더(23)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섀시(40)는 주 홀더(22L, 22R)의 홀더부(22b)로부터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의 섀시(101) 쪽으로 하향 이동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러그(40g)가 검출 스위치(91)의 스위치부(91a)를 가압하는 한 엘리베이터 섀시(40)는 하향 즉, 엘리베이터 섀시(40)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와 협동하여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척킹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보조 홀더(23)에 의해 보유된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로딩을 위한 부품 섀시(101)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다. 보조 홀더(23)는 판 스프링(41)을 통해서 항상 하향으로 보유하는 엘리베이터 섀시(40) 쪽으로 편의되므로, 상기와 같은 척킹된 위치에서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보조 홀더(23)와 함께 엘리베이터 섀시(40)로부터 부상 분리되어 부품 섀시(101) 상에 척킹된다. 이것은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부품 섀시(101) 상의 소정의 위치에 보유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섀시(40)가 보조 홀더(23)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 사이에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고정시키도록 하방으로 이동될 때, 보조 홀더(23)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는 하부 섀시(18) 및 엘리베이터 섀시(4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또는 단차형 핀(29), 판 스프링(41) 및 댐퍼(102)를 통해 부상 상태로 보유되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주 홀더(201)가 보조 홀더(23)의 3개의 돌기(23d)와, 부품 섀시(101) 상의 위치 결정 핀(140) 및 위치 기준 밀봉체(142) 중에서 단단히 보유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보조 홀더(23)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가 하부 섀시(18) 및 엘리베이터 섀시(4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또는 부상 상태로 보유되므로, 장치 본체(2)에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 등의 외부 교란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로 전달되기가 곤란하여, 항상 안장되고 정확한 기록/재생 작동이 가능하다. 더구나, 카트리지 교환기(20)의 보조 홀더(23)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만이 하부 섀시(18) 및 엘리베이터 섀시(40)에 대하여 부상하도록 구성되어, 카트리지 교환기(20) 전체가 예컨대 장치 본체(2)에 대하여 부상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댐퍼 등의 유닛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크기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의 수 및 제조 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카트리지 교환기(20)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1) 전체의 크기/두께, 중량 및 제조 비용을 더욱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도9에서의 실선 및 도24에서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59)의 평탄부(159a)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반송 또는 광자기 디스크(210)의 재생 작동 중에 캠 기어(158)의 테이퍼부(158b)를 통해 하강되어, 제2 검출 스위치(162)가 온 상태로 되게 하고, 짐벌(135)을 통해 장착된 자기 헤드(136)를 갖는 헤드 장착판(133)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반송하는 카트리지 로더(30)의 작용을 방해하지 못하는 위치까지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기록 명령이 주어진 때, 헤드 이동기(150)의 모터(151)는 캠 기어(158)를 중간 기어(154, 156)를 통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레버(159)의 평탄부(159a)는 캠 기어(158)의 테이퍼부(158b) 상에 배치된 돌기(159c)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레버(159)의 평탄부(159a)에 의해 보유된 헤드 장착판(133)의 작동 돌기(133c)를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헤드 장착판(13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광 픽업 쪽으로 떨어져, 자기 헤드(136)가 기록가능 상태가 되도록 광자기 디스크(210)와 접촉하게 한다. 이때, 제1 검출 스위치(161)는 레버(159)의 후방 돌기(159d)에 의해 온 상태로 되어 모터(15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기록 명령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 반송 명령이 기록 작동 중에 주어진 때, 헤드 이동기(150)의 모터(151)는 대향 방향으로 구동되어, 캠 기어를 중간 기어(154, 156)를 통해 대향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레버(159)의 평탄부(159a)는 캠 기어(158)의 테이퍼부(158b) 상에 배치된 돌기(159c)를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헤드 장착판(133)의 작동 돌기(133c)를 누르도록 한다. 이는 헤드 장착판(133)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로더(30)의 카트리지 캐리어(31), 보조 홀더(23) 등은 엘리베이터 섀시(40)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 헤드(136)를 카트리지 로더(30)의 카트리지 캐리어(31)의 수직 궤적, 즉 엘리베이터 섀시(40)의 수직 궤적으로부터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기(150)는 장치 본체(2)의 하부 섀시(18)의 후방에 배치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 작동을 위한 5개의 디스크 카트리지(200) 중 하나를 연속적으로 선택하는 카트리지 교환기(20)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1) 전체의 크기/두께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더구나, 기록 헤드(130)를 카트리지 교환기(20)의 카트리지 로더(30) 내에 배치시킬 필요가 없는 등으로 인해, 기록 헤드(130)의 자기 헤드(136)와 광 픽업(110)의 레이저 방사기의 위치 결정이 불필요하여, 카트리지 교환기(2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장치 전체의 제조 비용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1)의 카트리지 이젝터(10)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배출 작용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5를 참조하면,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카트리지 이젝터(10)의 홀더(11)의 개구(12)로부터 배출하기 전에, 개구(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는 홀더(11)의 우측 측벽(11a)의 슬릿(11e) 내에 위치되도록 홀더(11)의 박스(13) 내에서 후퇴한다. 즉,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활주 홈(201a)의 단부(201b)로부터 분리된다. 통상적으로, 이젝트 레버(14)는 인장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장착판(16)의 절곡부(16c)로 잡아당겨져, 이젝트 레버(14)의 지지 핀(14b)이 수평 안내 리세스(13c)의 돌기(13d)에 맞닿아 회전하도록 한다. 지지 핀(14b)이 이젝트 버튼(15)의 안내 홈(15c)과 느슨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일련의 이젝트 레버(14)의 회전 및 이젝트 버튼(15)의 직선 이동을 허용한다.
도36을 참조하면, 이젝트 버튼(15)의 조작부(15a)를 누를 때, 이젝트 버튼(15)은 장치 본체(2)의 후방 또는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젝트 버튼(15)의 이동은 도36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지지 핀(14b)을 중심으로 이젝트 레버(14)를 회전시킨다. 이젝트 레버(14)의 회전은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가 슬릿(11e)을 통해 개구(12) 내로 돌출하게 하여, 개구(12) 내에 수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활주 홈(201a)의 단부(201b)를 누르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개구(12)에 의해 안내된다.
이젝트 버튼(15)이 수동으로 눌러지는 것으로 인해, 카트리지 로더(30)에 의해 로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대응하여 개구(12)의 이젝트 버튼(15)이 실수로 눌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활주 홈(201a)이 없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우측면의 일부분 및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는 서로 간섭되도록 이동된다. 그러나, 도37을 참조하면, 이젝트 레버(14)의 지지 핀(14b)은 인장 코일 스프링(17)의 탄성 인장력에 대항하여 수평 안내 리세스(13c)를 따라 이젝트 버튼의 좌측면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핀(14b)은 인장 코일 스프링(17)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수평 안내 리세스(13c)의 돌기(13d) 쪽에 통상 위치된다.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우측면과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간섭될 때, 이젝트 레버(14)는 인장 코일 스프링(17)의 탄성 인장력에 대항하여 이젝트 버튼(15)으로 평행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는 박스(13) 내에서 후퇴하여, 이젝트 레버(14)의 단부(14a)의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우측면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간섭이 제거된 상태에서, 이젝트 레버(14)는 인장 코일 스프링(17)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전방 패널의 개구(2a-2e)에 대응하는) 이젝트 버튼(15)의 박스(13)의 개구(13a)로부터 노출된 조작부(15a)는 우측 반부 및 좌측 반부가 교호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2개의 인접한 이젝트 버튼(15)들 사이의 공간이 좁을지라도 이젝트 버튼(15)의 조작부(15a)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눌러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더(11)의 개구(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이젝트 버튼(15)의 조작부(15a)를 누르는 것은 이젝트 버튼(15)과 함께 작동하는 이젝트 레버(14)를 통해 개구(12) 내에 수용된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별도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각각의 개구(12)에 대한 이젝트 버튼(15) 등의 구성으로 인해, 로딩된 것을 제외한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 로더(30)의 작동 중에도 확실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배출시키는 카트리지 이젝터(10)와,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기록 및/또는 재생부(100)로 로딩하는 카트리지 로더(30)는 별개로 배치되어, 요구되는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하고 카트리지 로더(30) 등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더욱이,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이젝트 레버(14), 이젝트 버튼(15) 및 인장 코일 스프링(17) 등의 적은 수의 구성 부품에 의해 확실하게 배출되어, 카트리지 이젝터(10)의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로서, 이젝트 레버(14), 보조 홀더(23), 로크 레버(24) 등을 편의시키는 탄성 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 및 금속제 판 스프링 대신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고무일 수 있다. 더구나,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수는 5개 대신에 2 내지 4개 또는 6개 이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기록 및/또는 재생 용도를 위한 디스크 플레이어로 제한되지 않으며, 재생 전용 용도를 위한 디스크 플레이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4)

  1.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며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적합하도록 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의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된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반송하는 캐리어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 정상적으로 삽입된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로킹하도록 배치된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로크 레버를 상기 홀더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로킹 유닛에 의한 카트리지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크 해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해제기는 상기 로킹을 해제하는 로크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도록 로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로딩 레버와, 상기 로딩 레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로킹 해제 레버를 작동시키는 로딩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기 위한 셔터 개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배치된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젝트 버튼과, 상기 이젝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이젝트 레버와, 상기 이젝트 레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 레버는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홀더 내에서 돌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홀더로부터 후퇴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젝트 버튼을 조작할 때 상기 이젝트 레버는 카트리지의 이젝터를 위하여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의 홈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레버는 상기 이젝트 버튼이 조작되는 상태에서도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장치의 본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배치된 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카트리지를 보유하도록 캐리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보조 홀더를 포함하고, 카트리지가 상부에 배치된 상기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보조 홀더는 상기 장치의 본체와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상부에 배치된 카트리지를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홀더는 카트리지를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보조 홀더를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홀더는 상기 캐리어에 현수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홀더에는 단차형 핀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단차형 핀을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각각이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하며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들에 적합하도록 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의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홀더들과,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된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반송하는 캐리어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 정상적으로 삽입된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홀더의 개구로부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하여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 내에서 로킹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로킹하도록 배치된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로크 레버를 상기 홀더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로킹 유닛에 의한 카트리지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크 해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해제기는 상기 로킹을 해제하는 로크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도록 로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로딩 레버와, 상기 로딩 레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로킹 해제 레버를 작동시키는 로딩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기 위한 셔터 개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배치된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젝트 버튼과, 상기 이젝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이젝트 레버와, 상기 이젝트 레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트 레버는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된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홀더 내에서 돌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홀더로부터 후퇴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젝트 버튼에 대응되는 이젝트 레버는 상기 이젝트 버튼 중의 하나를 작동시킬 때 배출용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카트리지의 홈 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레버는 상기 이젝트 버튼이 조작되는 상태에서도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갖는 상기 홀더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 부근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이젝트 버튼보다 폭이 좁은 돌기와 함께 그 전방부 상에서 형성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돌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버튼의 돌기는 상기 이젝트 버튼의 전방부의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돌기는 교호로 돌출하는 전후 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디스크에 외부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상기 디스크에 광선을 인가하기 위한 광학적 픽업(센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를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헤드 이동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 이동기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캐리어에 의해 반송될 때에는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캐리어의 반송 경로 밖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기는 상기 자기 헤드를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캐리어의 상기 반송 경로 밖의 제2 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제2 반송 경로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상으로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카트리지를 적재하기 위한 상기 제1 반송 경로에 수직으로 한정된 제2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위치들은 상기 제2 반송 경로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상기 자기 헤드에 장착된 날카로운 단부와 상기 광학적 픽업에 연결된 기단부를 갖는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이동기는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기는 상기 아암을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캠과 상기 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부의 상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배치된 댐퍼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카트리지를 보유하기 위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보조 홀더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이에 배치된 카트리지와 상기 보조 홀더를 갖는 상기 부분은 장치 본체와 상기 캐리어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그 상부에 배치된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홀더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부분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보조 홀더를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홀더는 상기 캐리어에 현수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홀더에는 단차형 핀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단차형 핀을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부의 개구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젝트 버튼, 상기 이젝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 내에서 돌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홀더로부터 후퇴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레버, 및 상기 이젝트 레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유닛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트 버튼의 작동시에 상기 이젝트 레버는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홈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레버는 상기 이젝트 버튼이 조작되는 상태에서도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한 측면에 개구 및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부의 개구와 함께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각각 보유하기 위한 홀더들과,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배치된 이젝트 버튼, 상기 이젝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 내에서 돌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홀더로부터 후퇴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레버, 및 상기 이젝트 레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유닛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트 버튼 중의 하나가 작동할 때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이젝트 레버는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홈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레버는 상기 이젝트 버튼이 조작되는 상태에서도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장치의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개구를 갖는 상기 홀더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홀더의 상기 개구의 근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이젝트 버튼보다 폭이 좁은 돌기와 함께 그 전방부 상에서 형성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돌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버튼의 돌기는 상기 이젝트 버튼의 전방부의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돌기는 교호로 돌출하는 전후 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기록 및 재생용 광자기 디스크용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를 보유하도록 배치된 홀더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되고, 디스크에 외부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이에 광선을 인가하기 위한 광학적 픽업을 구비하는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부분으로 디스크를 반송하기 위한 캐리어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로 상기 자기 헤드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디스크가 상기 캐리어에 의해 반송될 때 상기 캐리어의 반송 경로 밖으로 상기 자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기는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캐리어의 반송 경로 밖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자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로부터 디스크를 인출하기 위한 제1 반송 경로와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디스크를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상으로 적재하기 위해 상기 제1 반송 경로에 수직으로 한정된 제2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상기 자기 헤드에 장착된 날카로운 단부와 상기 광학적 픽업에 연결된 기단부를 갖는 아암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헤드 이동기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기는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캠과, 상기 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기록가능한 광학적 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보유하도록 배치된 홀더와,
    디스크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도록 배치되고 광선을 상기 디스크 상에 인가하기 위한 광학적 픽업과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장치 본체 사이에 배치된 댐퍼와,
    상기 홀더와 상기 기록 및 재생부 사이에 배치되고, 카트리지를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부분으로 반송하고,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된 카트리지를 보유하도록 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보조 홀더를 구비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그 상부에 배치된 카트리지와 상기 보조 홀더를 갖는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부는 그 상부에 배치된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홀더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보조 홀더를 상기 기록 및 재생부로 편의하기 위한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홀더는 상기 캐리어에 현수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홀더에는 단차형 핀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단차형 핀을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50943A 1996-10-04 1997-10-02 디스크교환기능을갖는디스크기록및/또는재생장치 KR100520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63948 1996-10-04
JP26394896A JP3539089B2 (ja) 1996-10-04 1996-10-04 カートリッジイジェクト装置
JP29135796A JP3539096B2 (ja) 1996-11-01 1996-11-01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96-291357 1996-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14A true KR19980032514A (ko) 1998-07-25
KR100520013B1 KR100520013B1 (ko) 2005-12-14

Family

ID=2654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943A KR100520013B1 (ko) 1996-10-04 1997-10-02 디스크교환기능을갖는디스크기록및/또는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96794B1 (ko)
KR (1) KR100520013B1 (ko)
CN (1) CN15955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6277B2 (ja) * 1999-08-06 2006-08-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3816276B2 (ja) * 1999-08-06 2006-08-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収納機構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収納機構を用いた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プレーヤ
US7878905B2 (en) * 2000-02-22 2011-02-01 Creative Kingdoms, Llc Multi-layere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JP2001312866A (ja) * 2000-04-28 2001-11-09 Teac Corp ガイドシャフト保持機構及び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US6829120B2 (en) * 2001-01-31 2004-12-07 Dphi Acquisitions, Inc. Data cartridge load/unload mechanism for disk drive
US20020131201A1 (en) * 2001-01-31 2002-09-19 Dataplay, Inc. Mechanism and method for limiting ejection of data cartridge from a disk drive
US6735154B2 (en) 2001-01-31 2004-05-11 Dphi Acquisitions, In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artridge readiness to load in a data storage system
JP2003091983A (ja) * 2001-09-18 2003-03-28 Mitsumi Electric Co Ltd 記録再生装置
JP2005267826A (ja) * 2004-02-18 2005-09-29 Sony Corp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2006012262A (ja) * 2004-06-24 2006-01-12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媒体排出方法
TWI276050B (en) * 2004-12-02 2007-03-11 Lite On It Corp Disc changer and disc identification device
JP2010244660A (ja) * 2009-04-09 2010-10-28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5040C2 (ko) * 1985-03-08 1993-04-29 Pioneer Electronic Corp., Tokio/Tokyo, Jp
JP3158293B2 (ja) * 1991-08-20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着脱装置
JP2815525B2 (ja) * 1992-08-19 1998-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US5508994A (en) * 1993-03-05 1996-04-16 Nakamichi Corporation Disk player with compact arrangement of a reader and disk storage magazine
US5537378A (en) * 1993-08-25 1996-07-16 Clarion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with controlled insertion of recording media
EP0669614B1 (en) * 1994-02-26 1997-11-12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disc exchange function
JPH08212672A (ja) * 1995-02-01 1996-08-20 Sony Corp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221868A (ja) * 1995-02-17 1996-08-30 Sony Corp ディスクプレィヤー
JP3430714B2 (ja) * 1995-06-13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051668B2 (ja) * 1995-07-21 2000-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013B1 (ko) 2005-12-14
US6396794B1 (en) 2002-05-28
CN1595514A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013B1 (ko) 디스크교환기능을갖는디스크기록및/또는재생장치
KR100336928B1 (ko) 기록매체용기록및재생장치
JPH0346905B2 (ko)
KR100391060B1 (ko) 디스크 교환 시스템을 위한 디스크 로딩 장치
KR20020080394A (ko) 광 디스크용 용기와, 상기 용기를 위한 트레이 및 매거진타입의 플레이어
EP0766248B1 (en) Cartridge for disc autochange player
KR100410707B1 (ko) 기록매체의로딩장치및기록재생장치
JPH10106201A (ja) ディスク装置
JPH0821267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452081B1 (ko)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 장치
KR10101730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5673244A (en) Disk loading and magnetic head lifting mechanism using a single power source for a minidisk player
US5307334A (en) Optical head cleaning cartridge
JP3539097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539096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294442B1 (ko) 기록매체용기록및재생장치와그장치에사용되는완충기구
JPH10143973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カートリッジチェンジャ機構
JP301867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3714358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36131B2 (ja) カートリッジ開閉機構
JP3714359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7178154B2 (en) Disc drive with carrier completely in the drive in a loading position and protruding out of the drive in an eject position
JP3329138B2 (ja) 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7230659A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H06333318A (ja) マルチディスクチェン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