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109U - 대형스크린전시(lsd)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스크린전시(lsd)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109U
KR19980032109U KR2019980008633U KR19980008633U KR19980032109U KR 19980032109 U KR19980032109 U KR 19980032109U KR 2019980008633 U KR2019980008633 U KR 2019980008633U KR 19980008633 U KR19980008633 U KR 19980008633U KR 19980032109 U KR19980032109 U KR 199800321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upling
unit
coup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7964Y1 (ko
Inventor
이기종
Original Assignee
이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종 filed Critical 이기종
Priority to KR2019980008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96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964Y1/ko

Links

Landscapes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단위 스크린(10)을 결합하여 대형화면을 형성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단위 스크린(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과;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단위 스크린들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며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23)로 이루어진 결합구(20)를 구비하되; 종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20)의 지지부(23)와 횡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20')의 지지부(23')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종방향의 결합구(20)와 횡방향의 결합구(20)가 서로 지지되어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형성한다. 따라서, 인접한 단위 스크린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결합된 단위 스크린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도 최소화시켜 화면을 일체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폐부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않도록 차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An apparatus for coupling screens of a multi-vision system)
본 고안은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단위 스크린을 결합하여 대형화면을 형성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젼 시스템은 전시장, 홍보관 및 모델 하우스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광고물이나 기타 영상물을 상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 전시장의 면적이나 크기에 따라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단위 스크린을 다수개 결합하여 대형화면을 형성하고, 이 대형화면에 빔프로젝터(beam projector)의 출력을 투영시켜 광고물이나 기타 영상물을 상영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멀티비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멀티비젼 시스템은 화면을 형성하는 스크린부(100)와, 이 스크린부(100)에 광고물이나 기타 영상물을 투영시켜 상영하는 영사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린부(100)는 상기된 것처럼 전시장의 면적이나 크기에 따라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단위 스크린(110)을 결합시켜 형성하며, 또한 영사부(200)도 스크린부(100)를 형성하는 단위 스크린(110)의 갯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빔프로젝터(210)를 프레임(220)에 안착시켜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스크린부(100)와 영사부(200)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일측 빔프로젝터(210)의 출력이 다른 단위 스크린(110)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스크린부(100)의 배면에는 차폐막의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로 제작된 격자모양의 차폐부재(120)가 설치된다. 즉, 빔프로젝터(210)의 출력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단위 스크린(110)에만 투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부(1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각각의 단위 스크린(110)을 결합하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각각의 단위 스크린(110)을 고정편을 이용하여 결합하였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단위 스크린(110,110')의 배면에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111,111')을 형성하고, 이 고정홈(111,111')에 강재의 고정편(130)을 삽입하여 인접한 단위 스크린(110,110')들을 결합하였다. 또한, 스크린부(100)의 배면에는 상기된 격자모양의 차폐부재(120)를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강재의 고정편(130)을 이용하여 인접한 단위 스크린(110)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결합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아울러 제작시의 오차로 인해 결합된 단위 스크린(110)들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화면이 일체감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측 빔프로젝터(210)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110)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별도의 차페부재(120)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위 스크린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된 단위 스크린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폐부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킬 수 있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단위 스크린을 결합하여 대형화면을 형성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크린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인접한 단위 스크린들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결합구를 구비하되; 종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의 지지부와 횡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의 지지부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종방향의 결합구와 횡방향의 결합구가 서로 지지되어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예에 따른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과 결합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멀티비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스크린 11,41 : 결합홈
12,13 : 지지턱 20 : 결합구
21 : 결합부 21a : 중심편
21b : 결합돌기 22 : 연결부
23 : 지지부 24,42 : 결합공
30 : 고정프레임 31 : 고정홈
40 : 연장구 50 : 고정볼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각각의 단위 스크린(1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홈(11) 양측의 지지턱(12,13)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측 지지턱(12)이 배면측 지지턱(13) 보다 길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배면측 지지턱(13)의 상면은 결합구(20)를 결합하는 경우에 장애가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구(20)는 단위 스크린(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단위 스크린(10)들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1)와, 이 결합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단위 스크린(10)에 도달하기 이전에 차단되지 않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2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20')의 지지부(21')와 종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20)의 지지부(21)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횡방향의 결합구(20')와 종방향의 결합구(20)가 서로 지지되어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지지부(23)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3)의 단부측에는 다수의 결합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23)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41)이 형성된 연장구(40)에도 상기 지지부(23)의 결합공(24)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공(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구(20)의 지지부(23)를 연장구(40)의 결합홈(41)에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구(20)의 결합공(24)과 연장구(40)의 결합공(42)을 고정볼트(50)로 체결하면 결합구(2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결합구(20)의 결합부(21)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얇은 편(21a)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21b)를 소정간격으로 형성하여 결합부(21)를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형성된 결합부(21)를 이용하여 인접한 단위 스크린(10)들을 결합하면 결합된 단위 스크린(10)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화면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단위 스크린들을 결합시켜 대형화면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화면을 설치할 위치에 스크린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고정프레임(30)을 U자형으로 고정시키는데, 이 고정프레임(30)에는 단위 스크린(10)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고정프레임(30)의 고정홈(31)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단위 스크린(10')을 삽입하고, 그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에 종방향으로 세운 결합구(20)의 결합부(21)를 삽입한 후, 다시 단위 스크린(10)들과 결합구(20)들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이와같이 1단의 단위 스크린(10')이 모두 설치되면 횡방향으로 눕힌 결합구(20')의 결합부(21')를 1단의 단위 스크린(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에 삽입한다. 횡방향으로 결합구(20')를 결합하면 1단의 단위 스크린(10')들은 고정되며 횡방향의 결합구(20')는 종방향의 결합구(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된 방식으로 단위 스크린(10)을 2단, 3 단 또는 4단으로 쌓아 올린 후, 그 상부에 고정프레임(30)을 체결하면 스크린부가 완성된다. 또한, 보강재로 각각의 결합구(20)를 용접하여 결합하면 결합구(20)를 일체화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구(20) 사이의 결합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부를 형성하는 단위 스크린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결합된 단위 스크린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도 최소화시켜 화면을 일체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폐부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않도록 차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단위 스크린(10)을 결합하여 대형화면을 형성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크린(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과;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 인접한 단위 스크린들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며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23)로 이루어진 결합구(20)를 구비하되;
    종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20)의 지지부(23)와 횡방향으로 설치된 결합구(20')의 지지부(23')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종방향의 결합구(20)와 횡방향의 결합구(20')가 서로 지지되어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크린(10)의 결합홈(11) 양측에 있는 지지턱(12,13)은 전면측 지지턱(12)이 배면측 지지턱(13) 보다 길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20)의 결합부(21)는 얇은 중심편(21a)의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돌기(21b)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빔프로젝터의 출력이 타측 단위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하도록 상기 결합구(20)의 지지부(23)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KR2019980008633U 1998-05-23 1998-05-23 대형스크린전시(lsd)시스템의스크린결합장치 KR200207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3U KR200207964Y1 (ko) 1998-05-23 1998-05-23 대형스크린전시(lsd)시스템의스크린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3U KR200207964Y1 (ko) 1998-05-23 1998-05-23 대형스크린전시(lsd)시스템의스크린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09U true KR19980032109U (ko) 1998-08-17
KR200207964Y1 KR200207964Y1 (ko) 2001-01-15

Family

ID=6951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633U KR200207964Y1 (ko) 1998-05-23 1998-05-23 대형스크린전시(lsd)시스템의스크린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9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72B1 (ko) * 2001-09-14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구성용 pdp 지지장치
KR101817715B1 (ko) * 2016-01-26 2018-01-15 권현수 멀티 비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964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2990A (en) Projector of a rear projection type
CA2086029A1 (en) Screen unit for rear projection picture display syste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nent to used for assembling the screen unit
JPH0820098B2 (ja) ダクト連結システム
WO1999013377B1 (en) Projection screen for image reproduction devices which are positioned next to and/or above one another
KR200207964Y1 (ko) 대형스크린전시(lsd)시스템의스크린결합장치
JPH0354540A (ja) マルチビジョン
JPH1164975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EP0911685B1 (en) Device for holding rear projection screen, method for holding rear projection screen, screen holding film body, and method for holding screen holding film body
CN215067708U (zh) 投影屏幕和投影设备
KR200207965Y1 (ko) 대형 스크린 전시 시스템의 스크린 결합장치
KR101849272B1 (ko) 전시부스용 프레임구조 및 그 프레임구조를 이용한 전시부스 시공 방법
JP467458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EP1202110A1 (en) Screen assembly
JPH0572629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イスプレイ
KR200448025Y1 (ko) 엘이디 표시장치
JP2002341450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用スクリーン
JP3240704B2 (ja) 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ー
US20020048081A1 (en) Fabricable rear projection-type multiscreen fixing device
CN207924368U (zh) 投影机框架组合连接件
JPH04139975A (ja) 多面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KR200344891Y1 (ko) 후면 투사 다중 패널 스크린용 지지대
JPH09211721A (ja) プロジェクタの設置用位置決め装置
JPH1144916A (ja) マルチビジョン装置
JPH08194259A (ja) 透過型投影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JPH05145874A (ja) プロジエクシヨンテレ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