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876U -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876U
KR19980031876U KR2019960045160U KR19960045160U KR19980031876U KR 19980031876 U KR19980031876 U KR 19980031876U KR 2019960045160 U KR2019960045160 U KR 2019960045160U KR 19960045160 U KR19960045160 U KR 19960045160U KR 19980031876 U KR19980031876 U KR 199800318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operating
seat
p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갑
Original Assignee
진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갑 filed Critical 진갑
Priority to KR2019960045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876U/ko
Publication of KR19980031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87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81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mechanical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40Dual or redundant actuating means, e.g. backrest tilting can be actuated alternatively by a lever at the backrest or a lever in th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가 진행을 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충돌이 발생할 경우는 운전석의 시트가 자동으로 이탈되어 임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므로서 운행중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명의 구조를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후 구조의 어려움으로 인한 희생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동브라켓(1)의 내부에는 시트(4)가 설치되고, 작동브라켓(2)의 일측에는 걸림턱(6)을 다수 형성하며, 상기 이동브라켓(1)의 일측에는 작동판(5)을 형성하여 걸림간(8)과 연결된 작동간(7)을 설치하여 시트(4)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의 외측을 감싸는 고정브라켓(3)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 설치하되, 고정브라켓(3)의 전방에는 스토퍼(9)를 형성하고, 작동브라켓(2)과 고정브라켓(3)에는 적정의 핀홀(16, 17)을 각각 형성하며, 고정브라켓(3)의 일정 위치에는 고정판(11)을 형성하여 스프링(12)에 탄설되는 작동핀(10)을 결합하고, 작동핀(10)의 선단에는 연결수단(13)으로서 솔레노이드(14)와 연결하여 충격이 발생할 경우 스위치(15)가 작동하므로서 작동핀(10)이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가 진행을 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추돌이 발생할 경우는 운전석의 시트가 자동으로 이탈되어 임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므로서 운행중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명의 구조를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후 구조의 어려움으로 인한 희생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운전석의 시트는 운전자의 체위나 운전 습관에 따라 운전석의 시트를 임의로 조절하여 운행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운전석의 시트를 조절하는 기능은 평상시에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운행중 갑작스런 추돌사고나 전복사고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 사고를 당할 경우 운전석 전방의 본네트를 포함한 엔진장치가 충격으로 인해 찌그러지게 되어 운전석의 핸들과 시트의 거리가 갑자기 좁아지게 되어 가슴이나 흉부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므로 급사(急死)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기도 하였다.
즉 이는 운행중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할 경우는 그 충격으로 인해 운전석의 핸들측의 후방으로 쏠리게 되고 시트는 그대로 고정이 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이의 내부에서 끼이는 현상으로 연결되므로 사고직후 구조를 할 경우 사고를 당한 운전자를 꺼집어 내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으며, 이로 인해 적은 충격의 발생시에도 인명의 피해가 엄청나게 발생하였고, 한편으로는 핸들과 운전석의 시트와의 거리가 좁혀진 상태에서 유동의 발생이 없게 되므로 적은 충격으로 사고를 당할 경우도 사고 당사자를 구조할 시에 좁혀진 공간의 내부에서 인명을 구하기란 사실상 난점이 많은 실정이며, 특히 구조를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구조의 시간이 과도히 소요되어 목숨이 위급한 상황으로 발전이 되므로 인해 생명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사고발생시 보다 합리적으로 구조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시트가 자동으로 가변될 수 있게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의 운전석에 해당되는 시트를 평상시에는 고정상태로서 일반적인 시트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일단 충격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는 별도로 설치된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한 작동핀이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이탈되게 하므로서 일반적인 시트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시트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이동브라켓과 작동브라켓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아이들링 상태로서 자체적인 가변이 가능하여 일단 충격의 발생시에는 전방으로 쏠렸다가 충격후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시트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고를 당한 부 하부 압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함은 물론 구조자가 구조를 할 경우에도 별도의 록킹 장치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부상자의 시트를 그냥 후방으로 밀고나서 충분한 구조공간이 확보되면 매우 용이하게 부상자를 구조할 수 있게 하므로서 일단 사고가 발생할 시에 긴급하게 구조를 하여 귀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적인 특징으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동브라켓2:작동브라켓
3:고정브라켓4:시트
5:작동판6:걸림턱
7:작동간8:걸림간
9:스토퍼10:작동핀
11:고정판12:스프링
13:연결수단14:솔레노이드
15:스위치16:핀홀
17:핀홀18:브라켓
19:핀축20:스프링
21:레버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을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브라켓(1)의 내부에는 시트(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작동브라켓(2)의 일측에는 걸림턱(6)을 다수 형성하며, 상기 이동브라켓(1)의 일측에는 작동판(5)의 형성하여 걸림간(8)과 연결된 작동간(7)을 설치하여 상기 작동간(5)을 이용하여 이동브라켓(1)을 작동하므로서 시트(4)의 설치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의 외측을 감싸는 고정브라켓(3)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되, 상기 고정브라켓(3)은 차량에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전방에는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이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토퍼(9)를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3)의 일정 위치에는 고정판(11)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작동브라켓(2)과 고정브라켓(3)의 일치되는 부위에는 적정의 핀홀(16, 17)을 각각 형성하며, 이에는 고정판(11)에 탄지되는 스프링(12)을 탄설하여 작동핀(10)을 결합한다.
한편 상기 작동핀(10)의 선단에는 끈이나 로프 등의 연결수단(13)으로서 솔레노이드(14)와 연결하여 자동차에 갑작스런 충격이 가해지면 스위치(15)가 작동을 하여 연결수단(13)을 당기므로서 작동핀(10)이 스프링(12)에 탄지된 상태로서 당겨지게 되어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은 일체적으로 고정브라켓(3)으로부터 아이들링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고, 다만 작동핀(10)의 작동을 원호운동을 수 있게 한 것으로, 즉 고정브라켓(3)의 일측에는 브라켓(18)을 형성하여 이에는 핀축(19)에 의해 원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레버(2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동핀(10)을 설치하여 스프링(21)의 탄발력을 받으면서 솔레노이드(14)가 작동하므로서 작동핀(10)이 핀홀(16)로부터 이탈되거나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4)에 의한 작동을 하는 구성은 운전석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조수석이나 후방의 시트(4)에 전부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편의상 운전석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는 전체적인 설명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4)와 같은 기능을 달성하고, 각종의 추돌사고나 전복사고 등과 같이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할 경우는 솔레노이드(14)의 작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작동핀(10)이 이탈되어 아이들링 상태로서 일단 후방으로 이탈되고 구조를 할 경우는 구조자가 시트(4)를 후방으로 밀면 자유롭게 후방으로 당겨져서 구조를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일단 사고로 인하여 충격이 발생할 경우는 전방의 본네트를 포함한 엔진이 탑재되어 있는 부분이 찌그러지게 되어 운전석의 시트(4)와 핸들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면 최초의 충격발생으로 솔레노이드(14)의 스위치(15)가 작동을 하여 솔레노이드(14)가 순간적으로 로프나 끈 등으로 된 연결수단(13)을 당겨주게 되고, 상기 연결수단(13)이 당겨짐에 따라 고정판(11)의 내부에서 스프링(12)에 탄지된 작동핀(10)이 내측 작동브라켓(2)의 핀홀(16)로부터 이탈이 되므로 차량에 고정된 고정브라켓(3)을 제외한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은 일체화되어 가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해서 고정브라켓(3)은 차량과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내부의 작동브라켓(2)은 고정브라켓(3)의 내부에서 각각의 핀홀(16, 17)에 의해 작동핀(10)으로서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내측의 이동브라켓(1)은 운전석의 시트(4)가 고정된 상태로서 외측의 작동브라켓(2)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작동브라켓(2)의 외단에는 다수개의 걸림턱(6)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이동브라켓(1)의 일측에는 작동판(5)을 형성하여 작동간(7)의 걸림간(8)에 의해 작동브라켓(2)의 걸림턱(6)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작동간(7)을 작동하므로서 이를 분리하거나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의 구성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서 평상시에는 각각의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 및 고정브라켓(3)은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를 조절하여 운전자의 체위나 습관에 따라 시트(4)의 거리를 조절할 경우는 측방의 작동판(5)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간(7)을 작동하면 걸림간(8)이 걸림턱(6)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4)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체위나 습관에 따라 운전을 할 수 있을 것이고, 일단 사고의 발생시나 별도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는 순간적인 충격으로 인해 스위치(15)가 작동을 하여 솔레노이드(14)를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은 일반적으로 방법으로 작동판(5)의 걸림간(8)이 걸림턱(6)에 고정되어 있고, 외측의 고정브라켓(3)은 작동브라켓(2)과 핀홀(16, 17)에 결합된 작동핀(10)에 의해 고정이 되어 있다가 충격이 발생할 경우는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은 그대로 고정이 되어 있고, 외측의 고정브라켓(3)과 작동브라켓(2)의 일측에 형성된 핀홀(16, 17)에 끼움된 작동핀(10)이 순간적으로 빠져나가면서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는 과정을 분리하여 설명하면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할 경우는 스위치(15)가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솔레노이드(14)를 구동하게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14)는 연결수단(13)을 당겨주게 되며, 이의 작동은 고정판(11)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핀(10)을 당겨주게 되고, 상기 작동핀(10)은 스프링(12)에 탄지되어 있으므로 솔레노이드(14)의 힘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솔레노이드(14)는 한 번 작동을 하면 다시 원위치 하는 것이 아니고, 추후에 이를 다시 설정을 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작동을 하는 것이다.
솔레노이드(14)의 작동으로서 작동핀(10)이 내부의 작동브라켓(2)의 핀홀(16)로부터 이탈이 되면 고정브라켓(2)과 이동브라켓(1)은 고정이 되어 있으나, 고정브라켓(2)과 작동브라켓(3)은 작동핀(10)이 핀홀(16)로부터 이탈이 되므로 시트(4)를 포함한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 전체가 한덩어리가 되어 시트(4)를 밀면 전체가 임의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운행을 하는 과정에서 사고를 당하더라도 순간적인 충격으로 인해 핸들과 시트(4)의 거리가 좁아지게 되어 일차적인 압박을 받은 후에는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시트(4)가 해리되어 있으므로 시트(4)가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어 압박으로 인한 즉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를 할 경우는 구조자가 시트(4)를 후방으로 밀면 운전석의 시트(4)와 핸들과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구조작업을 매우 원활히 할 수 있으므로 적은 사고로서 구조가 늦어지게 되어 발생하는 인명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고, 다만 작동핀(10)의 작동을 원호운동을 수 있게 한 것으로, 즉 고정브라켓(3)의 일측에는 브라켓(18)을 형성하여 이에는 핀축(19)에 의해 원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레버(2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동핀(10)를 설치하여 스프링(21)의 탄발력을 받으면서 솔레노이드(14)가 작동하므로서 작동핀(10)이 핀홀(16)로부터 이탈되거나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인 바, 즉 사고 등으로 인해 충격을 받게 되면 솔레노이드(14)의 스위치(15)가 작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는 솔레노이드(14)가 순간적으로 작동을 하게 되면 연결수단(13)을 당겨주게 되고, 상기 연결수단(13)의 선단에 연결된 작동핀(10)이 후바으로 당겨지게 되어 핀홀(16)로부터 이탈되므로 내부의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은 일체적으로 한꺼번에 작동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작동핀(10)의 외측에는 레버(2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18)의 핀축(19)에 축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축(19)을 기점으로 각운동하면서 각 핀홀(16, 17)로부터 이탈이 되어 본 고안에서 목적으로 하는 기본적인 사항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의 시트를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시트의 기능과 동일하게 거리를 조절하고, 운행중 추돌사고나 전복사고등으로 인해 충격이 발생할 경우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시트 전체가 임의로 가변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사고의 발생시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신체에 발생하는 압박감을 해소하여 즉사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조 작업시에는 구조자가 별도의 조작없이 바로 시트를 후방으로 밀면 시트 전체가 후방으로 밀려가게 되어 구조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조기에 구조할 수 있으므로 사고로 인한 인명의 구조를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귀중한 목숨을 잃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을 통상의 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동브라켓(1)의 내부에는 시트(4)가 설치되고, 작동브라켓(2)의 일측에는 걸림턱(6)을 다수 형성하며, 상기 이동브라켓(1)의 일측에는 작동판(5)을 형성하여 걸림간(8)과 연결된 작동간(7)을 설치하여 시트(4)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이동브라켓(1)과 작동브라켓(2)의 외측을 감싸는 고정브라켓(3)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 설치하되, 고정브라켓(3)의 전방에는 스토퍼(9)를 형성하고, 작동브라켓(2)과 고정브라켓(3)에는 적정의 핀홀(16, 17)을 각각 형성하며, 고정브라켓(3)의 일정 위치에는 고정판(11)을 형성하여 스프링(12)에 탄설되는 작동핀(10)을 결합하고, 작동핀(10)의 선단에는 연결수단(13)으로서 솔레노이드(14)와 연결하여 충격이 발생할 경우 스위치(15)가 작동하므로서 작동핀(10)이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브라켓(3)의 일측에는 브라켓(18)을 형성하여 이에는 핀축(9)에 의해 원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레버(2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동핀(10)을 설치하여 스프링(21)의 탄발력을 받으면서 솔레노이드(14)가 작동하므로서 작동핀(10)이 핀홀(16)로부터 이탈되거나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KR2019960045160U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KR199800318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160U KR19980031876U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160U KR19980031876U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876U true KR19980031876U (ko) 1998-08-17

Family

ID=5398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160U KR19980031876U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8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2633A (zh) * 2010-02-12 2012-11-14 微软公司 具有灵活的平行和正交移动的多层用户界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2633A (zh) * 2010-02-12 2012-11-14 微软公司 具有灵活的平行和正交移动的多层用户界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9711B1 (en) A motor vehicle with a front bonnet for pedestrian protection
US5522619A (en) End release seat belt buckle having an inertia-sensitive locking mechanism
US20020066818A1 (en) Seatbelt retractor
US7469766B2 (en) Vehicle seat belt assembly
EP0655371A1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
US4763924A (en) Seat movement responsive belt tensioning arm
JP2004196280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20040016781A (ko) 자동차의 설치부
EP1557330A2 (en) Pedal with an anti-collision safety mechanism
CA2708136C (en) Restraint system for a seat belt device
KR19980031876U (ko) 자동차용 시트 자동 이탈장치
JP200008558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およ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製造方法
KR0120266Y1 (ko) 주차브레이크 잠금장치
US4460198A (en) Passive seatbelt system
KR20010059688A (ko) 리어 시트백 잠금장치
KR0139441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KR100412441B1 (ko) 시트벨트의 버클 파스너
KR0173885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탈장착구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KR100345565B1 (ko)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KR200145125Y1 (ko) 차량의 시트 내장형 구명장비
KR20000065879A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자동 해제장치
KR200146868Y1 (ko) 시트벨트 웨빙 길이 구속장치
KR200151528Y1 (ko) 운전석에서의 도어록 장치
KR100373649B1 (ko) 자동차용 핸드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