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672A -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672A
KR19980031672A KR1019960051230A KR19960051230A KR19980031672A KR 19980031672 A KR19980031672 A KR 19980031672A KR 1019960051230 A KR1019960051230 A KR 1019960051230A KR 19960051230 A KR19960051230 A KR 19960051230A KR 19980031672 A KR19980031672 A KR 19980031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engine
vehicle speed
sensor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672A/ko
Publication of KR1998003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67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클러치에 있어서, 엔진회전수계(10)로부터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감지센서(12)와, 속도계(14)로부터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16)와, 상기 엔진회전감지센서(12) 및 차속감지센서(16)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변화량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비교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부(18)와,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한 변속기어가 5단위치임을 감지하는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와, 상기 비교부(18)와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에서 입력된 신호를 논리적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값을 일정레벨의 전압값으로 출력시키는 논리곱게이트(22)와, 상기 논리곱게이트(22)에서 출력된 전압값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클러치의 슬립을 표시하는 경고표시램프(24)를 포함하여 자동차의 운전중에 상위의 기어위치에서 차속이 고속일 때에 클러치의 슬립을 감지하고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표시를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나 잘못된 운전습관을 교정시키고, 클러치 및 동력전달장치의 수명을 최대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운전중에 클러치의 마모로 인하여 발생되는 클러치의 슬립(Slip)현상을 경고하는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장착된 클러치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의 하나로, 엔진과 변속기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동력전달을 단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휘일과 변속기의 일축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일을 하며, 엔진을 시동할 때에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엔진과의 연결을 끊고, 발진을 할 때에는 엔진의 동력을 서서히 연결하는 일을 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클러치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의해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데, 이러한 클러치의 슬립현상은 운전자가 반클러치를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클러치페달에 항상 발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운전을 하거나 또는 적절한 기어변속을 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기인된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경우에 엔진의 회전수에 따른 차속은 도 1에서, 변속기어가 1단 내지 5단까지 구성되어 있을 때, 엔진회전수에 비례하여 차속이 0에서 V5까지 이루어진다. 즉, 1단에서는 엔진회전수가 최고까지 상승하여도 차속은 V1까지만
형성되고, 2단에서는 차속이 V2까지, 3단에는 차속이 V3까지, 4단에서는 차속이 V4까지 5단에서는 차속이 V5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차속이 일정속도이상에 이르게 되면, 해당되는 차속에 적합한 기어변속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에 과부하나 공회전과 같은 무리를 주게되어 엔진을 포함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가 쉽게 망실될 수 있다. 이때, 자동차의 기어변속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에 비례하는 차속이 발생되는 데, 특히 엔진구동에 따른 속도범위인 NH및 NL사이에서 클러치의 슬립현상이 많이 발생된다.
클러치에서 발생되는 슬립현상은 예컨대, 기어변속을 할 때에 2단출발을 한다거나 등판할 때에 감속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계속하여 상위(5단)의 기어를 사용하게 되면, 클러치에 부하가 가중되어 클러치디스크의 마모로 인한 슬립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클러치디스크의 오랜사용으로 인한 정상마모, 플라이휘일의 불량, 커버의 문제, 오일의 부착 및 릴리스의 불량 등으로 기인하는 슬립이 있었다.
이러한 클러치의 슬립을 알 수 있는 방법으로는 자동차가 정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를 완전히 당겨 작동시킨 후에 변속기어를 상위(5단)기어로 변속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킨 다음에 갑자기 클러치를 접속시킨다. 이때 엔진이 정지하지 않고 회전수가 상승된다면, 클러치의 슬립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엔진이 정지하였다면, 클러치의 슬립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의 슬립시험은 변속기어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단시간내에 검사하여야 하고, 반복적인 시험을 하지 않아야 하며, 상위(5단)기어외에 다른 변속기어에서는 시험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클러치의 슬립이 주행중에 발생되는 현상으로는, 엔진의 회전수가 상승하였는 데도 이에 비례하여 차속이 상승하지 않거나, 등판할 때에 엔진으로부터 공회전과 같은 상태의 힘이 발생하거나, 1단 또는 2단으로 변속하여 주행할 때에는 슬립현상이 없다가 5단으로 변속될 때에 슬립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 특히 높은 변속단에서 클러치의 마모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는, 운전경험이 적은 운전자의 경우에는 클러치의 슬립현상을 잘 느끼지 못하여 심한 클러치디스크의 마모 및 플라이휘일의 마모로 자동차의 구동이 불가능한 상태까지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클러치디스크의 마모 또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이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되는 클러치의 슬립현상을 감지하고 판단하여, 클러치의 슬립발생을 경고하는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에 자동차의 엔진회전수에 따른 차속의 변화량을 나타낸 도표,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의 엔진회전수에 따른 클러치의 슬립에 의해 발생되는 차속의 변화량을 나타낸 도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엔진회전수계12: 엔진회전감지센서
14: 속도계16: 차속감지센서
18: 비교부20: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
22: 논리곱게이트24: 경고표시램프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클러치에 있어서, 엔진회전수계로부터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감지센서와, 속도계로부터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와, 상기 엔진회전감지센서 및 차속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변화량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비교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부와,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한 변속기어가 5단위치임을 감지하는 5단기어위치감지센서와, 상기 비교부와 5단기어위치감지센서에서 입력된 신호를 논리적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값을 일정레벨의 전압값으로 출력시키는 논리곱게이트와, 상기 논리곱게이트에서 출력된 전압값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클러치의 슬립을 표시하는 경고표시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자동차의 클러치가 슬립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경고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엔진회전감지센서(12)는 자동차의 운전석전면에 장착된 계기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엔진회전수계(10)로부터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데이터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SE)를 출력시킨다.
차속감지센서(16)는 자동차의 운전석전면에 장착된 계기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현재 운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계(14)로부터 차속에 관한 데이터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SV)를 출력시킨다.
비교부(18)는 상기 엔진회전감지센서(12)로부터 감지된 신호(SE)의 변화량(ΔSE)과 차속감지센서(16)로부터 감지된 신호(SV)의 변화량(ΔSV)을 비교하여 엔진회전수의 변화량(ΔSE)이 차속의 변화량(ΔSV)보다 클경우에만 비교신호를 출력시킨다. 즉, 클러치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변화량(ΔSE)과 차속에 관한 변화량(ΔSV)이 일정하게 비례하기 때문이다.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는 변속레버의 5단기어위치에 장착시켜 변속레버가 5단위치로 변속되었을 때에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킨다.
논리곱게이트(22)는 상기 비교부(18)에서 출력된 비교신호와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연산된 값을 전압값으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비교부(18)에서 비교신호로 하이신호가 입력되고,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에서 감지신호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논리적인 하이신호를 출력시킨다. 논리곱게이트(22)는 입력단에 모두 하이신호가 인가되면, 출력단을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시키지만, 어느하나라도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의 출력값은 로우신호가 된다.
경고표시램프(24)는 운전석의 전면에 장착된 계기판의 일측에 구성시켜 상기 논리곱게이트(22)의 출력값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클러치의 슬립여부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경고표시램프(24)와 병렬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져(미도시)를 병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하여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동차를 운행중에 엔진의 회전에 따른 자동차의 속도는 클러치가 슬립되지 않는 한은 비례하게 되어 있으므로, 슬립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하위의 기어변속단보다 상위의 기어변속단에서 더 쉽게 발생된다.
이러한 원리를 감안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엔진회전수계(10)로부터 엔진의 회전에 관한 데이터는 엔진회전감지센서(12)에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킨다. 또한, 차속감지센서(16)는 속도계(14)로부터 차속에 관한 데이터를 감지하여 차속신호로 출력시킨다. 상기 엔진회전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엔진회전신호와 차속감지센서(16)에서 감지된 차속신호는 비교부(18)로 입력되어
어 각각 그 변화량이 비교된다.
비교되는 변화량은 첨부된 도 3의 자동차의 엔진회전수에 따른 클러치의 슬립에 의해 발생되는 차속의 변화량을 나타낸 도표에서, 비교부(18)는 엔진회전감지센서(12)에서 입력된 엔진회전수와 차속감지센서(16)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차속신호를 내장된 기준되는 값과 각각 비교된다. 즉, 엔진회전수와 차속이 해당하는 기어변속에 의한 변속단에 비례하여 나타나는 지 또는 엔진구동속도범위인 NH및 NL내에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지를 비교한다. 또한, 일정의 시간동안에 엔진회전감지센서(12)에서 감지한 엔진회전수에 관한 변화량(ΔSE)과 차속감지센서(16)에서 감지한 차속에 관한 변화량(ΔSV)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판단한다.
예컨대, 비교부(18)는 엔진회전수에 관한 변화량(ΔSE)이 차속에 관한 변화량(ΔSV)보다 클경우에는 클러치의 슬립이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여 출력단을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시키고, 엔진회전수에 관한 변화량(ΔSE)이 차속에 관한 변화량(ΔSV)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클러치의 슬립이 거의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로우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와 같은 엔진회전수 및 차속은 도 3의 도표에서와 같이 비례적인 그래프로 비교부(18)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으로 작용된다. 또한,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조작시켜 5단기어위치로 변속시키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출력시킨다. 즉,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는 변속레버가 하위(1단 내지 4단)의 기어위치로 변속되면, 로우신호를 출력시키고, 변속레버가 상위(5단)의 기어위치로 변속되면, 하이신호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비교부(18)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논리곱게이트(22)는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출력단을 통해 하이신호상태의 전압값을 출력시키고, 비교부(18) 및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에서 어느 하나라도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로우신호상태의 전압값을 출력시킨다.
그러므로 클러치가 마모되었거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운전습관에 의해 클러치가 슬립되면, 논리곱게이트(22)에서 하이신호상태의 전압값이 출력되어 경고표시램프(24)가 점등된다. 특히 엔진구동속도범위(NH↔ NL)에서 5단기어가 변속되었을 때에 슬립을 감지하여 경고표시램프(24)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경고를 시킨다.
이와 같이 클러치의 슬립은 상위의 기어위치에서 차속이 고속일 때에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경고함으로서, 클러치 및 동력전달장치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회전수와 차 속의 비례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상위의 기어위치에서 차속이 고속일 때에 클러치의 슬립을 감지하고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표시를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나 잘못된 운전습관을 교정시키고, 클러치 및 동력전달장치의 수명을 최대화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클러치에 있어서,
    엔진회전수계(10)로부터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감지센서(12)와,
    속도계(14)로부터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16)와,
    상기 엔진회전감지센서(12) 및 차속감지센서(16)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변화량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비교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부(18)와,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한 변속기어가 5단위치임을 감지하는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와,
    상기 비교부(18)와 5단기어 위치감지센서(20)에서 입력된 신호를 논리적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값을 일정레벨의 전압값으로 출력시키는 논리곱게이트(22)와,
    상기 논리곱게이트(22)에서 출력된 전압값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클러치의 슬립을 표시하는 경고표시램프(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KR1019960051230A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Ceased KR19980031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230A KR19980031672A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230A KR19980031672A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72A true KR19980031672A (ko) 1998-07-25

Family

ID=6651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230A Ceased KR19980031672A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6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42B1 (ko) * 2010-12-08 2014-1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용 트랜스미션 클러치보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42B1 (ko) * 2010-12-08 2014-1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용 트랜스미션 클러치보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1852A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ing that gear change is required
JPH07107425B2 (ja)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のフェールセーフ制御装置
KR102001900B1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중 벨트 전동장치의 건강상태 평가 방법
KR870010340A (ko) 차륜 고정상태탐지 및 허용차를 포함한 자동기계 변속기장치 조정방법
GB2213220A (en) "Failure detection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960010333A (ko) 오작동 방지 구조를 갖춘 4륜 구동 차량용 구동력 전달장치
US7191041B2 (en) Method for diagnosing as to signal plausibility with a speed sensor of a motor vehicle
JP3495714B2 (ja) 自動2輪車等のブレーキ性能テスト装置
KR19980031672A (ko) 자동차의 클러치슬립 경고장치
KR200181039Y1 (ko) 자동차의 속도계
JP2017132374A (ja) ブレーキ検出手段の故障診断装置
JPS63214548A (ja) 車両用車速センサの故障診断装置
KR100705948B1 (ko) 자동차의 변속 기어의 출력 속도 감지 센서 고장 진단 방법
JP2943628B2 (ja) 車速演算制御装置
KR100302725B1 (ko) 자동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검출센서 고장진단방법
JP4993689B2 (ja) 磨耗検出装置
KR101230825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출력축 회전센서 고장 진단방법
KR100721249B1 (ko)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차속 감지 방법
KR0180588B1 (ko) 차량의 클러치 마모 경고장치와 방법
KR970006521B1 (ko) 엔진 스톨 회전수를 이용한 지게차의 성능 점검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14489A (ko) 변속기의 스피드 센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9980078713A (ko) 최적 변속단 설정을 위한 변속 경보 시스템
KR20010048707A (ko)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의 변속시기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0264585B1 (ko) 자동 변속기의 킥다운 스위치 고장진단 방법
KR960007247A (ko) 자동변속차량의 클러치 페일상태 검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12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