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832U -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832U
KR19980030832U KR2019960043976U KR19960043976U KR19980030832U KR 19980030832 U KR19980030832 U KR 19980030832U KR 2019960043976 U KR2019960043976 U KR 2019960043976U KR 19960043976 U KR19960043976 U KR 19960043976U KR 19980030832 U KR19980030832 U KR 19980030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dow
opening
closing device
regulator arm
sli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만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60043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832U/ko
Publication of KR19980030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832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도어 윈도우를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는 소정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왕복운동을 하는 레귤레이터 암과, 레귤레이터 암의 회전 왕복운동에 따라 레귤레이터 암의 자유단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제 1 슬라이딩 수단과, 도어 윈도우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레귤레이터 암이 도어 윈도우를 고정 지지하도록 제 1 슬라이딩 수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수단과, 도어 윈도우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상기 제 2 고정 수단을 갖는 제 2 슬라이딩 수단과, 도어 섀시 내벽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제 2 슬라이딩 수단이 안내되어 도어 윈도우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제 2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도어 윈도우를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공지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로는 와어어(wire) 방식과 암(arm) 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는 바, 와이어 방식은 조작 핸들에 권취되어 있는 와어어의 권취 방향에 따라 도어 윈도우가 승,하강하게 되는 방식이고, 암 방식은 구동 수단인 모터의 회전력을 X 자형 유동간 기구물을 이용하여 도어 윈도우를 승,하강 시키는 방식으로 현재 차량에는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와이어 방식은 와이어에 의해 도어 윈도우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윈도우의 하중으로 인해 와이어가 느슨하게 되는 경우나 절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어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작동에 곤란을 격고 있다.
또한, 암 방식은 평면이 아닌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는 상태의 도어 윈도우가 승,하강될 때, 도어 윈도우의 곡률 정도에 대응하여 상기의 X자 형 유동간도 휨정도를 가지면서 승,하강하게 되는 바, 이러한 X자형 유동간은 평평한 도어 윈도우에서 곡률이 심한 도어 윈도우로 변화되는 현 시점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도어 윈도우의 개폐에 곤란을 격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도어 윈도우 개폐 장치를 제시함으로써, 곡률이 심한 도어 윈도우에 적용되어 도어 윈도우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3(A),(B)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귤레이터 암11 : 구동 수단
13 : 피동 기어14, 61 : 가이드 공
20 : 레귤레이터 암 로울러21, 41 : 몸체 부재
22,42 : 로울러 부재30, 43 : 고정 부재
40 : 가이드 로울러51 : 제 1 브라케트
52 : 제 2 브라켓트60 : 가이드 레일
70 : 도어 윈도우71 : 클립
80 : 도어 판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는 소정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왕복운동을 하는 레귤레이터 암과, 레귤레이터 암의 회전 왕복운동에 따라 레귤레이터 암의 자유단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제 1 슬라이딩 수단과, 도어 윈도우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레귤레이터 암이 도어 윈도우를 고정 지지하도록 제 1 슬라이딩 수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수단과, 도어 윈도우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상기 제 2 고정 수단을 갖는 제 2 슬라이딩 수단과, 도어 판넬 내벽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제 2 슬라이딩 수단이 안내되어 도어 윈도우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제 2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레귤레이터 암(10)은 공지의 레귤레이터 암의 구동 수단(11)에 의해 도어 윈도우(70) 전면에서 상,하 회전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의 구동 수단(11)은 모터(11)의 모터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미도시)에 치차 결합되는 피동 기어(13)로 이루어지는 바, 이 피동 기어(13)에는 레귤레이터 암(10)의 일측단이 고정된다.
이 레귤레이터 암(10)은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면에는 레귤레이터 암 로울러(20)가 삽입되어 왕복 운동을 할 때 안내면으로 작용하게 되고, 도어 윈도우(70) 전면에 대응되는 그 타측단인 자유단의 일부에는 레귤레이터 암 로울러(20)를 제 1 브라케트(5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30)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가이드 공(14)이 형성된다.
이 고정 부재(30)는 레귤레이터 암(10)의 상,하 회전 왕복시 도어 윈도우(70)를 함께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브라케트(51)에 결합되기 위해 레귤레이터 암 로울러(20)의 몸체 부재(21) 외측에 형성되어 고정 부재(30) 외주면에 제 1 고정구(31)가 결합되고, 제 1 브라케트(51) 상에 형성된 관통공(53)을 통과하여 후면으로 돌출된 고정 부재(30)의 외주면에 제 2 고정구(32)가 결합된다.
제 1 브라케트(51)는 도어 윈도우(70)의 중앙 하단부에 클립 결합된 소정 개수의 클립(71)에 볼트(58)등의 체결 부재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어 판넬(80) 내벽면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세로로 체결 부재(62)에 의해 가이드 로울러(40)가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60)이 고정 부착되는 바, 이 가이드 레일(60)은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면은 가이드 로울러(60)가 삽입되어 왕복 운동하게 될 때 안내면으로 작용하게 되고, 도어 윈도우(70)를 마주보는 가이드 레일(60)의 전면에는 상기의 고정 부재(43)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 공(61)이 형성된다.
가이드 로울러(40)는 일자형의 몸체 부재(41)와, 이 몸체 부재(41)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 부재(42)로 이루어지는 바, 이 몸체 부재(41)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 부재(43)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 로울러(40)가 가이드 레일(60) 내부면에서 가이드될 때 도어 윈도우(70)의 좌,우 역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가이드 로울러(40)는 제 1 브라케트(51)에 용접된 모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 2 브라켓트(52)에 고정되며, 이 제 2 브라켓트(52)에는 고정 부재(43)에 의해 가이드 로울러(40)가 고정 설치되는 바, 이 가이드 로울러(40)의 고정 부재(43) 외주면에 제 1 고정구(53)가 결합되고, 제 2 브라케트(52) 상에 형성된 체결공(57)을 통과하여 제 2 고정구(54)가 결합되어 브라켓(52)에 가이드 로울러(40)가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윈도우(70)의 중앙 하단부에 상기 고정 부재(30),(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위해 도어 윈도우(70)에 클립 결합되는 클립(71)과, 이 클립(71)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브라케트(51)와, 이 제 1 브라케트(51)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브라켓트(52)로 이루어지는 보조 고정 수단을 이용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정 부재(30),(40)를 상기 도어 윈도우(70)에 별도의 보조 고정 수단없이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56,59는 제 1 브라케트(51)와 클립(71)을 체결 부재(58)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며, 55는 고정 부재(30)를 제 1 브라케트(51)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고안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가 작동되지 않았을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가 작동되었을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동 수단(11)인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 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 기어에 치차 결합되어 있는 피동 기어(13)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레귤레이터 암(10)이 회전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레귤레이터 암(1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레귤레이터 암 로울러(20)가 레귤레이터 암(10)의 내벽면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레귤레이터 암 로울러(20)는 고정 부재(30)에 의해 제 1 브라케트(51)에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60) 내벽면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로울러(40)는 제 2 브라켓트(52)에 고정되며, 제 1 브라케트(51)를 고정하는 클립(71)이 도어 윈도우(7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귤레이터 암(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어 윈도우(70)가 회전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어 윈도우(70)는 가이드 레일(60) 내벽면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가이드 로울러(40)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되어 도어(90)의 개폐구(91)를 개폐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윈도우 개폐 장치는 종래와는 달리 구조를 단순화시켜 곡률이 심한 도어 윈도우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윈도우 개폐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기 때문에 제작상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왕복운동을 하는 레귤레이터 암과;
    상기 레귤레이터 암의 회전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 암의 자유단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제 1 슬라이딩 수단과;
    도어 윈도우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레귤레이터 암이 상기 도어 윈도우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딩 수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수단과;
    상기 도어 윈도우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수단을 갖는 제 2 슬라이딩 수단과;
    도어 판넬 내벽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수단이 안내되어 상기 도어 윈도우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제 2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딩 수단은 몸체 부재와 상기 몸체 부재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수단과 상기 도어 윈도우 사이에 개재도는 보조 고정 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수단은 일자형으로 된 몸체 부재와 상기 몸체 부재와, 상기 몸체 부재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 개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 수단에는 상기 제 2 고정 수단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윈도우 개폐 장치.
KR2019960043976U 1996-11-29 1996-11-29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KR199800308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76U KR19980030832U (ko) 1996-11-29 1996-11-29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76U KR19980030832U (ko) 1996-11-29 1996-11-29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32U true KR19980030832U (ko) 1998-08-17

Family

ID=5398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976U KR19980030832U (ko) 1996-11-29 1996-11-29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83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86B1 (ko) * 2001-12-06 2005-04-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844659B1 (ko) 2006-11-29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니어모터를 적용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86B1 (ko) * 2001-12-06 2005-04-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844659B1 (ko) 2006-11-29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니어모터를 적용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7199A (en) Electric motor providing multi-directional output
US7069695B2 (en)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EP2132054B1 (en) Cable regulator rail and carrier with snap-in pulley
US5617675A (en) Collapsible cable window regulator
US20040163320A1 (en) Universal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s
CA2411039C (en) Power sliding cab window
US5782038A (en) Window regulator
KR19980030832U (ko) 차량용 도어 윈도우의 개폐 장치
KR100704133B1 (ko) 부품, 특히 차량 내의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절 기구를 갖는 장치
US6598539B2 (en) Power door operator having a drive member function as a hanger portion and rollers of a door panel hanger engaging the drive member for motion therealong
JP3879476B2 (ja) グロメット
JP3274317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JP200522638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038407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와 윈도우 레귤레이터의마운팅구조
JPH0538225Y2 (ko)
KR100422689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밸런스 암 레일 장착구조
WO1998045150A1 (en) Intermittent rotary motion mechanism for use in an automotive vehicle
CN212950079U (zh) 双开遮阳帘软轴换向结构
JPH0811036Y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15538882B (zh) 枢转驱动器
CN115158226B (zh) 一种雨刮片驱动装置、雨刮系统以及汽车
KR20050120479A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
KR200187181Y1 (ko) 자동차용 도어윈도우 레귤레이터
JPH0114501Y2 (ko)
KR20020042367A (ko) 자동차의 도어록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