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427U -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427U
KR19980030427U KR2019960043523U KR19960043523U KR19980030427U KR 19980030427 U KR19980030427 U KR 19980030427U KR 2019960043523 U KR2019960043523 U KR 2019960043523U KR 19960043523 U KR19960043523 U KR 19960043523U KR 19980030427 U KR19980030427 U KR 199800304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outside
view
outside mirr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탁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427U/ko
Publication of KR19980030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42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easily removable; mounted for bodily outward movement, e.g. when t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방을 주시함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만으로는 시계가 다소 확실하지 않고, 특히 사각지대는 확인하기 힘들어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여 부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미러(100)를 이분하되, 일측에는 미러(114)가 삽설될 수 있는 고정부(111)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는 스토퍼(112)와 다수개의 안착홈(113a),(113b),(113c)이 형성된 제 1 몸체(110)와 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120)의 일측에는 내주연에 다수개의 돌부(123)가 형성된 절곡부(12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보조 미러(124)가 삽설될 수 있도록 고정부(121)를 형성하므로서 아웃사이드 미러(100)의 시계를 넓히거나 사각지대의 해소를 위하여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지 않고 일부가 수납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100)의 제 2 몸체(120)를 일측으로 연장시키게 되면 연장된 제 2 몸체(120)의 일부에 미리 삽설되어 있던 보조 미러(124)가 나오게 되므로 기존의 미러(114)와 함께 상기 보조 미러(124)가 아웃사이드 미러(100)의 후방 시계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사각 지대 또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아웃사이드 미러 110 : 제 1 몸체
111, 121 : 고정부 112 : 스토퍼
113a,113b,113c : 안착홈 114 : 미러
120 : 제 2 몸체 122 : 절곡부
123 : 돌부 124 : 보조 미러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를 주행중 후방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후사경인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아웃사이드 미러 몸체의 길이를 가변시켜 기존의 미러와 함께 연장된 몸체의 내부에 있는 보조 미러를 통해 후방의 시계를 더욱 넓힐 수 있으며, 사각지대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백 미러는 자동차의 실외에 설치되어 주로 차체의 옆쪽 및 뒤쪽을 확인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리어 윈도우를 통하여 뒤쪽의 상황을 확인하는 인사이드 미러로 대별된다. 어느 미러에 대해서나 요구되는 기능은 뒤쪽과 옆쪽의 외부정보를 뒤를 돌아보지 않고서도 볼 수 있어야 하며, 또 차체 근처의 직접 시계로 잡힐 수 없는 맹역부의 정보를 운전석에 앉은 채로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인사이드 미러에는 일반적으로 평면경이 사용되고 있으며, 야간에 후속차의 전조등이 조사되었을 경우, 미러의 반사광이 운전자의 눈에 들어가 현혹상태로 되기 쉽기 때문에 방현 미러가 개발되어 지금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방현 미러에는 프리즘경을 사용한 것과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나 액정을 사용한 것이 있다. 상기 프리즘식은 미러의 표면반사와 이면반사를 이용한 것으로서 낮에는 반사율 약 80%인 이면을, 밤에 현혹될 때에는 반사율 4%인 표면반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일렉트로크로믹식은 미러의 거울면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 화학적인 산화 환원반응에 따라서 광셔터 효과로서 반사율을 바꾸는 것이 있다. 일부의 것은 광센서에 의해서 밤에 후속차의 현혹광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반사율을 저감하는 구조로 되것도 있다.
그리고 아웃사이드 미러는 현재 도어 미러가 일반적이지만 일본차에는 팬더 미러도 사용되고 있다. 트럭, 버스용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체구조 및 요구되는 시계조건에 따라 그 크기 및 구조가 다르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는 미러의 각도조정을 실내에서 할 수 있는 리모트콘트롤 미러와 표준 미러, 보행자에 대한 안전기구의 유무에 따라 완충식(가도식)과 고정식 등으로 분류된다. 또 전동 격납식 히터 장착, 와이퍼 장착, 초음파물방울 제거식 미러나 일렉트로크로믹식 등의 자동방현 미러도 채용되고 있다.
상기한 리모트콘트롤 미러의 거울면은 미국에서는 평면경(운전석), 유럽에서는 평면경이나 곡률반경 1200㎜ 이상의 볼록거울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모재 1.9㎜의 판유리에 크롬의 반사피막을 붙인 곡률반경 1000㎜ 의 볼록거울이 대부분의 차종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모트콘트롤 미러의 각도조정기구에는 3선 와이어식, 레버(링크)식, 2 모터식의 3 종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선 와이어식의 원리는 미러의 뒷면에 3 가닥의 와이어를 접속하고, 운전실내의 콘트롤내에 이것을 연결해서 콘트롤러노브를 조작함으로써,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식은 유럽의 도어 미러에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링크기구를 사용하여 실내에서 레버로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기구이다. 또한 2 모터식은 구동부 유니트 속에 2 개의 소형직류모터와 감속기어가 있고, 미러의 뒷면에 설치된 베이스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10∼20。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조작은 운전석 실내에 설치된 상하좌우 4 방향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1 초 동안 3∼5。 의 변각 스피드로 무단계로 각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차체에 대한 설치부는 보행자에 대한 안전대책으로서 일본이나 유럽에서는 완충기구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기구로서는 미러의 하우징에 규정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하우징이 회전 또는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휘어져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베이스 및 하우징은 알루미늄 또는 아연합금 다이캐스트나 ABS성형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보행자에 대한 안전상 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돌기가 있는 형상이나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종래에는 미러의 면적이 다소 좁아 후방의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기가 힘들고, 특히 아웃사이드 미러만 확인하고 차선을 변경시, 사각지대에 있던 타 차량과 접촉사고 내지 추돌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여 설치함에 따라 비용 및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하므로써, 필요시 아웃사이드 미러를 연장시켜 기존의 미러와 함께 보조 미로를 통해 후방의 시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사각지대도 쉽게 확인할 수있도록 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미러를 이분하되, 일측에는 미러가 삽설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설치하고, 타측 단부에는 스토퍼와 다수개의 안착홈을 형성한 제 1 몸체와 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의 일측에는 내주연에 다수개의 돌부가 형성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보조 미러가 삽설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미러의 시계를 넓히거나 사각지대의 해소를 위하여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지 않고 일부가 수납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일측으로 연장시키게 되면 연장된 아웃사이드 미러의 일부에 미리 삽설되어 있던 보조 미러가 나오게 되어 아웃사이드 미러의 후방 시계를 더욱 넓힐 수 있는 것이며, 사각지대 또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고안의구성및작용]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미러(100)를 이분하되, 제 1 몸체(110)의 일측에는 미러(114)가 삽설될 수 있는 고정부(111)를 구성하고, 타측 단부에는 끝단을 절곡하여 스토퍼(112)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단부의 상, 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안착홈(113a),(113b),(113c)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120)의 일측 선단은 절곡하여 절곡부(122)를 형성하되, 그 절곡부(122)의 상, 하에 주연에 다수개의 돌부(123)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보조 미러(124)가 삽설될 수 있도록 고정부(121)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도 1 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아웃사이드 미러(100)의 제 1 몸체(110) 고정부(111)에 미러(114)를 삽설하고, 제 2 몸체(120)의 고정부(121)에는 보조 미러(124)를 삽설한 후, 제 1 몸체(110)에 제 2 몸체(120)를 삽입하게 되면, 제 1 몸체(110)의 타측에 제 2 몸체(120)의 절곡부(122)가 삽입되면서 제 2 몸체(120)의 절곡부(122) 내주연에 돌설되어 있는 돌부(123)가 제 1 몸체(110)의 타측 외주연에 형성된 안착홈(113a)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2 몸체(120)의 고정부(121)는 제 1 몸체(110)의 고정부(111)에 비해 약간 후면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써, 두 개의 몸체(110),(120)가 삽입되면서 상기 제 1 몸체(110)의 고정부(111)에 삽설되어 있던 미러(114)의 이면에 제 2 몸체(120)의 고정부(121)에 삽설된 보조 미러(124)가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몸체(110)로부터 제 2 몸체(120)를 연장시킬 경우에는 제 2 몸체(120)를 바깥쪽으로 당기게 되면 제 2 몸체(120)의 돌부(123)가 제 1 몸체(110)의 안착홈(113a)에 안착되어 있다가 이탈되면서 단계적으로 안착홈(113b)을 지나 마지막 안착홈(113c)에 안착되면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더 이상의 후퇴는 제 1 몸체(110)의 스토퍼(112)가 방지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120)가 바깥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미러(114)의 일측면과 제 2 몸체(120)의 고정부(121)쪽 선단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1 몸체(110)에 설치된 미러(114)의 이면에 위치해 있던 보조 미러(124)가 상기 미러(114)에 연장되게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시계가 넓어질 수 있는 것이며, 사각지대 또한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미러(124)의 형상을 단순히 평면경으로 하지 않고 곡면경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고안의효과]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방의 상황을 주시함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만으로는 시계가 다소 확실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아웃사이드 미러가 이분되면서 일측이 연장되어 기존의 미러와 연장된 부위의 보조 미러를 통해 시야를 더욱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사각지대 또한 용이하게 식별하여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미러(100)를 이분하되, 제 1 몸체(110)의 일측에는 미러(114)가 삽설될 수 있는 고정부(111)를 구성하고, 타측 단부에는 끝단을 절곡하여 스토퍼(112)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단부의 상, 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안착홈(113a),(113b),(113c)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120)의 일측 선단은 절곡하여 절곡부(122)를 형성하되, 그 절곡부(122)의 상, 하에 주연에 다수개의 돌부(123)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보조 미러(124)가 삽설될 수 있도록 고정부(121)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2019960043523U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304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23U KR19980030427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23U KR19980030427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427U true KR19980030427U (ko) 1998-08-17

Family

ID=5398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523U KR19980030427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42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1855A (en) Motor vehicle wide angle rear view mirror
JPS63306947A (ja) 自動車用後視鏡
KR19980030427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46067Y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KR1998003040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해소용 보조미러
KR200146066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19980030438U (ko)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US11377031B1 (en) Automobile side view mirror apparatus and system
KR100205538B1 (ko) 자동차용 후사경
KR0181624B1 (ko) 자동차용 좌우 아웃사이드미러의 공용화 구조
KR19980012866U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JP3017776U (ja) ワイド式方向指示器付きドアミラー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0129423B1 (ko)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KR100285417B1 (ko) 자동차용 미러장치
KR970005370Y1 (ko)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KR20010004847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JPS6322119Y2 (ko)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200164347Y1 (ko) 사각지대가 없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9980043659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9990029111U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19980030435U (ko) 자동차의 이중곡률을 갖는 아웃사이드 미러
KR970069600A (ko) 자동차용 후방 백미러
KR20040072944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