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438U -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438U
KR19980030438U KR2019960043534U KR19960043534U KR19980030438U KR 19980030438 U KR19980030438 U KR 19980030438U KR 2019960043534 U KR2019960043534 U KR 2019960043534U KR 19960043534 U KR19960043534 U KR 19960043534U KR 19980030438 U KR19980030438 U KR 19980030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river
vehicle
main surface
blind s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438U/ko
Publication of KR19980030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43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만 확인하고 차선을 변경시, 사각지대에 있던 타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타 차량과 접촉사고 내지 추돌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여 설치함에 따라 비용 및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100)의 함실(110)에 설치되는 미러(120)를 형성함에 있어서, 미러(120)의 주면(120a)중 일측면을 주면(120a)에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한 보조면(120b)으로 구성하므로서,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회전을 하기 위해 후방의 상황을 아웃사이드 미러(100)를 통해 주시할 경우, 주면(120a)을 통해 후방의 상황을 인식하면서 동시에 보조면(120b)으로 사각지대(A)를 확인하면서 차선을 변경하거나 회전을 할 수 있어 운전자가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고 아울러 사각지대(A)를 해소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미러를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 또한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도 1 은 종래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의 요부 평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아웃사이드 미러 110 : 함실
120 : 미러 120a : 주면
120b : 보조면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를 주행중 후방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차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미러의 일측면을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므로서, 운전자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주시했을 경우, 후방 및 사각지대 까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백 미러는 자동차의 실외에 설치되어 주로 차체의 옆쪽 및 뒤쪽을 확인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리어 윈도우를 통하여 뒤쪽의 상황을 확인하는 인사이드 미러로 대별된다. 어느 미러에 대해서나 요구되는 기능은 뒤쪽과 옆쪽의 외부정보를 뒤를 돌아보지 않고서도 볼 수 있어야 하며, 또 차체 근처의 직접 시계로 잡힐 수 없는 맹역부의 정보를 운전석에 앉은 채로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인사이드 미러에는 일반적으로 평면경이 사용되고 있으며, 야간에 후속차의 전조등이 조사되었을 경우, 미러의 반사광이 운전자의 눈에 들어가 현혹상태로 되기 쉽기 때문에 방현 미러가 개발되어 지금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방현 미러에는 프리즘경을 사용한 것과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나 액정을 사용한 것이 있다. 상기 프리즘식은 미러의 표면반사와 이면반사를 이용한 것으로서 낮에는 반사율 약 80%인 이면을, 밤에 현혹될 때에는 반사율 4%인 표면반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일렉트로크로믹식은 미러의 거울면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 화학적인 산화 환원반응에 따라서 광셔터 효과로서 반사율을 바꾸는 것이 있다. 일부의 것은 광센서에 의해서 밤에 후속차의 현혹광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반사율을 저감하는 구조로 된것도 있다.
그리고 아웃사이드 미러는 현재 도어 미러가 일반적이지만 일본차에는 팬더 미러도 사용되고 있다. 트럭, 버스용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체구조 및 요구되는 시계조건에 따라 그 크기 및 구조가 다르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는 미러의 각도조정을 실내에서 할 수 있는 리모트콘트롤 미러와 표준 미러, 보행자에 대한 안전기구의 유무에 따라 완충식(가도식)과 고정식 등으로 분류된다. 또 전동 격납식 히터 장착, 와이퍼 장착, 초음파물방울 제거식 미러나 일렉트로크로믹식 등의 자동방현 미러도 채용되고 있다.
상기한 리모트콘트롤 미러의 거울면은 미국에서는 평면경(운전석), 유럽에서는 평면경이나 곡률반경 1200㎜ 이상의 볼록거울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모재 1.9㎜의 판유리에 크롬의 반사피막을 붙인 곡률반경 1000㎜ 의 볼록거울이 대부분의 차종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모트콘트롤 미러의 각도조정기구에는 3선 와이어식, 레버(링크)식, 2 모터식의 3 종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선 와이어식의 원리는 미러의 뒷면에 3 가닥의 와이어를 접속하고, 운전실내의 콘트롤내에 이것을 연결해서 콘트롤러노브를 조작함으로써,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식은 유럽의 도어 미러에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링크기구를 사용하여 실내에서 레버로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기구이다. 또한 2 모터식은 구동부 유니트 속에 2 개의 소형직류모터와 감속기어가 있고, 미러의 뒷면에 설치된 베이스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10∼20。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조작은 운전석 실내에 설치된 상하좌우 4 방향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1 초 동안 3∼5。 의 변각 스피드로 무단계로 각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차체에 대한 설치부는 보행자에 대한 안전대책으로서 일본이나 유럽에서는 완충기구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기구로서는 미러의 하우징에 규정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하우징이 회전 또는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휘어져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베이스 및 하우징은 알루미늄 또는 아연합금 다이캐스트나 ABS성형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보행자에 대한 안전상 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돌기가 있는 형상이나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아웃사이드 미러(10)만 확인하고 차선을 변경시, 사각지대(a)에 있던 타 차량과 접촉사고 내지 추돌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각지대(a)를 볼 수 있는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여 설치함에 따라 비용 및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함실에 내설되어 있는 미러의 형상을 일반적인 평면경으로 제작하지 않고 일측을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제작함에 따라 운전자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방은 물론 사각지대 또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함실에 설치되는 미러를 형성함에 있어서, 미러의 주면중 일측면을 주면에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한 보조면으로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회전을 하기 위해 후방의 상황을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주시할 경우, 주면을 통해 후방의 상황을 인식함과 동시에 보조면으로 사각지대를 확인하면서 차선을 변경하거나 회전을 할 수 있어 운전자가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고안의구성및작용]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100)의 함실(110)에 설치되는 미러(120)를 주면(120a)과 보조면(120b)으로 구성하되, 상기 보조면(120b)이 주면(120a)에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하게 되면 후방을 상황을 인지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통상 운전자는 실내에 설치된 후면경이나 양측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100)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즉, 차선을 변경할 경우에는 운전자는 좌측 또는 우측의 아웃사이드 미러(100)를 주시하면서 천천히 차선을 변경하게 되는데, 이때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각지대(A)에 미리 다른 차량이 있을 경우, 운전자의 시야는 주면(120a)을 통해 (B)구역을 확인함과 동시에 (A)구역을 일측이 주면(120a)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진 보조면(120b)을 통해 확인하여 다른 차량을 있음을 인식하고 차선변경을 보류하거나 그 밖의 다른 방법을 강구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사각지대(A)를 해소시킬 수 있는 별도의 보조미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고안의효과]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후방을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주시할 경우, 주면을 통해 후방의 전체적인 상황을 인식하면서 주면에서 소정각도 경사진 보조면을 살피면서 사각지대를 동시에 확인하여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미러와 같은 소비자부담의 제품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100)의 함실(110)에 설치되는 미러(120)를 주면(120a)과 보조면(120b)으로 구성하되, 상기 보조면(120b)이 주면(120a)에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2019960043534U 1996-11-29 1996-11-29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304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34U KR19980030438U (ko) 1996-11-29 1996-11-29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34U KR19980030438U (ko) 1996-11-29 1996-11-29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438U true KR19980030438U (ko) 1998-08-17

Family

ID=5398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534U KR19980030438U (ko) 1996-11-29 1996-11-29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43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06947A (ja) 自動車用後視鏡
KR19980030438U (ko)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46067Y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KR19980030427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3040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해소용 보조미러
US11377031B1 (en) Automobile side view mirror apparatus and system
JP3276864B2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KR200146066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0181624B1 (ko) 자동차용 좌우 아웃사이드미러의 공용화 구조
KR0129423B1 (ko)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KR20025879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JP3017776U (ja) ワイド式方向指示器付きドアミラー
KR0120036Y1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결 방지장치
KR100205538B1 (ko) 자동차용 후사경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20010004847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JPS6322119Y2 (ko)
KR200164347Y1 (ko) 사각지대가 없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0131429Y1 (ko) 자동차의 전, 후방사각지대 감지장치
KR19980043659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JPS6147731B2 (ko)
KR19980012866U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KR930009201B1 (ko) 자동차용 양측면 감시장치
RU2029692C1 (ru) Система зеркал переднего ви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