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113U - 콘크리트천공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113U
KR19980029113U KR2019960042169U KR19960042169U KR19980029113U KR 19980029113 U KR19980029113 U KR 19980029113U KR 2019960042169 U KR2019960042169 U KR 2019960042169U KR 19960042169 U KR19960042169 U KR 19960042169U KR 19980029113 U KR19980029113 U KR 19980029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easuring table
angle measuring
bas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호
Original Assignee
강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호 filed Critical 강석호
Priority to KR2019960042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113U/ko
Publication of KR19980029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11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구멍(11)과 각도표시눈금(12)이 형성된 각도측정대(10)와 브라키트(20), 볼트(60)를 사용하여 베이스(103) 상에서 기둥(101)의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천공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제4도는 종래 천공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각도측정대11.13. 구멍
12. 각도표시눈금20. 브라키트
30. 핀40.50. 구멍
60. 고정볼트70. 와셔
80. 너트100. 콘크리트천공기
101. 기둥102. 드릴
103. 베이스104. 기둥홀더
105. 볼트106. 베이스고정볼트
107. 바퀴
본 고안은 콘크리트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기둥(101)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경사구멍을 뚫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천공기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베이스(103)에 형성되어 있는 기둥홀더(104) 속으로 기둥(101)의 하단부를 삽입시킨 후 볼트(105)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둥(101)은 베이스(103) 상에서 직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을 할 면을 기준하여 직각의 구멍밖에는 뚫을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베이스(103) 상에서 기둥(10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히 통신공사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천공기를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드릴(102)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와, 동력장치와 드릴의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기둥(101)과 기둥(101)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퀴(107) 및 베이스고정볼트(106)를 가지는 베이스(103)로 형성된 통상의 콘크리트천공기(100)에 있어서, 바퀴(107)의 반대쪽 베이스(103)의 상면에는 부채꼴의 구멍(11)과 구멍(13) 및 각도표시눈금(12)이 형성된 부채꼴의 각도측정대(10)를 일체로 형성시킨 후 상기한 구멍(13)과 수평중심이 일치하는 구멍(21)이 형성된 브라키트(20)를 상기한 각도측정대(10)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시킨 다음, 하방으로 구멍(40)이 형성되고 상기한 각도측정대(10)의 구멍(11)과 중심이 일치하는 구멍(50)이 형성된 기둥(101)을 상기한 각도측정대(10)와 브라키트(20) 사이에 위치시키고 핀(30)을 삽입하여 스냅링 또는 분할핀으로 고정시켜서 핀(3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기둥(101)이 좌우로 요동되도록 하며, 기둥(101)의 구멍(50)과 각도측정대(10)의 구멍(11)을 관통하도록 고정볼트(60)를 삽입한 후 와셔(70)와 2개의 너트(80)로서 기둥(101)이 각도측정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특징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3) 상에서 기둥(101)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3도와 같이 경사를 이루는 구멍을 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특히 통신공사에 있어서 벤딩시키기 어렵고 벤딩시 단선이 우려가 높은 특징을 가지는 통신케이블을 벤딩시키지 않고 인수공내부로 유도하는 작업을 요할 때 본 고안을 이용하여 경사구멍을 형성함으로서 가능한 특징이 있다.
다시말해서, 통신공사에 있어서 인소공내부로 유도되어야 할 케이블이 인수공의 내부벽면을 기준하여 30도, 45도 등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을 때 이를 강제적으로 벤딩시켜 인수공내부로 유도시키지 않고 케이블이 벤딩되지 않는 각도를 체킹하여 천공한 다음 천공된 구멍을 통해 케이블을 인수공내부로 자연스럽게 그리고 벤딩시키지 않은 상태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케이블의 손상율이 격감됨은 물론 작업성이 대단히 양호하여 지고 작업능률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무리한 벤딩작업으로 인해 야기되는 각종 보수작업 또는 접속불량, 단성 등의 폐단을 예방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드릴(102)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와, 동력장치와 드릴의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기둥(101)과 기둥(101)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퀴(107) 및 베이스고정볼트(106)를 가지는 베이스(103)로 형성된 통상의 콘크리트천공기(100)에 있어서, 바퀴(107)의 반대쪽 베이스(103)의 상면에는 부채꼴의 구멍(11)과 구멍(13) 및 각도표시눈금(12)이 형성된 부채꼴의 각도측정대(10)를 일체로 형성시킨 후 상기한 구멍(13)과 수평중심이 일치하는 구멍(21)이 형성된 브라키트(20)를 상기한 각도측정대(10)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시킨 다음, 하방으로 구멍(40)이 형성되고 상기한 각도측정대(10)의 구멍(11)과 중심이 일치하는 구멍(50)이 형성된 기둥(101)을 상기한 각도측정대(10)와 브라키트(20) 사이에 위치시키고 핀(30)을 삽입하여 스냅링 또는 분할핀으로 고정시켜서 핀(3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기둥(101)이 좌우로 요동되도록 하며, 기둥(101)의 구멍(50)과 각도측정대(10)의 구멍(11)을 관통하도록 고정볼트(60)를 삽입한 후 와셔(70)와 2개의 너트(80)로서 기둥(101)이 각도측정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특징인 콘크리트천공기.
KR2019960042169U 1996-11-27 1996-11-27 콘크리트천공기 KR199800291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169U KR19980029113U (ko) 1996-11-27 1996-11-27 콘크리트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169U KR19980029113U (ko) 1996-11-27 1996-11-27 콘크리트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113U true KR19980029113U (ko) 1998-08-05

Family

ID=5398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169U KR19980029113U (ko) 1996-11-27 1996-11-27 콘크리트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11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01B1 (ko) * 2014-10-21 2015-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공기
KR101536674B1 (ko) * 2014-03-20 2015-07-14 박영택 교체형비트부를 구비한 에어 해머 비트
KR20210009678A (ko) * 2019-07-17 2021-01-27 양재섭 터널용 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74B1 (ko) * 2014-03-20 2015-07-14 박영택 교체형비트부를 구비한 에어 해머 비트
KR101526501B1 (ko) * 2014-10-21 2015-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공기
KR20210009678A (ko) * 2019-07-17 2021-01-27 양재섭 터널용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21319A (ko) 부품조립장치
KR19980029113U (ko) 콘크리트천공기
ATE292226T1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iagonalstreben an gerüstleitern und damit hergestelltes gerüst
CN215756070U (zh) 一种用于重型旋臂的铝型材
CN214575720U (zh) 一种土木工程用建筑模板连接结构
JP2909454B1 (ja) コンクリート穴あけ装置
CN220313772U (zh) 一种电钻稳定附加装置
JP2007121875A (ja) 電柱用部材の取付構造
KR200216645Y1 (ko) 공구 스탠드
CN213412514U (zh) 一种装修电钻支架
CN217168372U (zh) 一种开颅钻工具用拆卸工装
CN209930650U (zh) 一种便于维修的电动控制器
CN2639584Y (zh) 风扇支架
CN217843365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公路勘察设计用测量装置
CN220225830U (zh) 一种可拼接式低碳装修幕墙
CN215392660U (zh) 一种用于圆管内壁钻斜孔的定位工装
JP3065249U (ja) 建柱補助具
CN214834650U (zh) 一种便携式拼装的建筑施工用夹持和固定装置
CN209273377U (zh) 地面吊线构件定位电锤支架
JPS6343360Y2 (ko)
KR200294798Y1 (ko) 다기능 망치
KR200275542Y1 (ko) 고정용 금구
KR100625724B1 (ko)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SU1393891A1 (ru) Площадка дл приема грузов в проемы зданий
KR200351367Y1 (ko) 공구 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