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367Y1 - 공구 꽂이 - Google Patents

공구 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367Y1
KR200351367Y1 KR20-2004-0006147U KR20040006147U KR200351367Y1 KR 200351367 Y1 KR200351367 Y1 KR 200351367Y1 KR 20040006147 U KR20040006147 U KR 20040006147U KR 200351367 Y1 KR200351367 Y1 KR 200351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nnecting member
joint
tool holde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순
Original Assignee
한보일렉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일렉트(주) filed Critical 한보일렉트(주)
Priority to KR20-2004-0006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 꽂이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다리 등을 클램핑하여 고정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안착되고, 상부에는 드릴 등의 공구를 꽂아 수납할 수 있는 공구꽂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업대의 다리 등과 같은 적절한 개소에 각도조절된 상태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납땜기, 드릴 등과 같이 다양한 작업용 공구를 안전사고의 염려 없이 작업 도중 수시로 꽂아 둘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구 꽂이{Tool rack}
본 고안은 공구 꽂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대의 다리 등과 같이 적절한 개소에 간편하게 각도조절된 상태로 설치되어, 납땜기, 드릴 등의 다양한 작업용 공구를 안전사고의 염려 없이 작업 도중 수시로 꽂아 수납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공구 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에서는 다양한 작업용 공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용 공구들은 진행되는 일련의 작업에 따라 중간에 사용되지 않고 임시 방치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작업용 공구들은 작업자에 의해 작업대 한편에 그대로 놓여지거나 고리가 있는 경우 걸이용 후크에 걸어졌다.
이처럼 종래에는 작업용 공구들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없었던 관계로 다른 작업을 수행하던 작업자가 전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구를 건드리게 되어 공구가 작동되거나 위험부위의 접촉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구가 정리되지 못한 상태로 방치되어, 혼란스런 작업환경과, 작업자가 공구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에 공구의 위치 및 각도가 작업자에게 적절한 최적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용 공구의 의도되지 않는 불필요한 작동 및 공구의 위험부위 노출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면서, 공구를 다시 사용하기 편리한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공구 꽂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구 꽂이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인트 2 : 연결부재
3 : 공구꽂이부 31 : 몸체 파이프
33 : 공구삽입부 35 : 경사내주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공구 꽂이는, 작업대 다리 등과 같은 적절한 개소에 설치되어, 사용하던 작업용 공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한 공구 꽂이로서, 분리된 제 1본체 및 제 2본체가 일체로 체결되면서 선단부는 작업대 다리 등을 클램핑하여 고정되고, 후단부에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삽입구에 선단부가 끼워져 결합되고, 후단부에는 상하방향의 통구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통구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부에는 드릴 등의 공구를 꽂을 수 있는 공구꽂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후단부는 수평방향의 원형 삽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삽입구에 끼워져 좌우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구꽂이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통구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중공의 몸체 파이프와, 하부는 상기 몸체 파이프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몸체 파이프 내부와 연이어 통하는 상광하협의 경사 내주면을 갖는 공구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구 꽂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구 꽂이(100)는 작업용 공구대의 다리와 같은 적절한 개소(200)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사용되며, 작업 중간 중간에 사용하던 공구(t)를 수시로 꽂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공구 꽂이(100)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공구(t)를 정확하게 꽂을 수 있고, 공구(t)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가장 편하고 자연스럽게 공구(t)를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인트(1), 연결부재(2) 및 공구꽂이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1)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 1본체(11a) 및 제 2본체(11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본체(11a) 및 제 2본체(11b)는 볼트(16a) 및 너트(16b)에 의해 일체로 체결됨으로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1)는 상기 제 1본체(11a) 및 제 2본체(11b)가 일체로 체결되었을 때 그 선단부(13a,13b)가 O-링 형태를 이루면서 봉 형태를 갖는 작업대의 다리 등을 클램핑하여 고정된다.
물론, 상기 조인트(1)는 일체로 체결되었을 때 그 선단부가 O-링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로써 봉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 개소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1)의 후단부는 상기 제 1본체(11a) 및 제 2본체(11b)가 체결되었을 때 원통형 구조를 갖는 상기 연결부재(2)의 선단부가 끼워지기 적당하도록 원형 삽입구(1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는 선단부(21)가 수평방향의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후단부(23) 역시 상하방향의 통구(23h)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2)의 구성에 의하면 그 선단부(21)가 상기 조인트(1) 후단부에 형성되는 원형 삽입구(15)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며, 이로써 상기 연결부재(2) 전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방향 회전이란 상기 조인트(1)의 후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조인트(1)의 후단부를 회전축으로 삼아 시계바늘이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공구꽂이부(3)는 상기 연결부재(2)의 후단부(23) 통구(23h)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몸체 파이프(31)와, 드릴의 드릴날과 같이 뾰족하고 신체 접촉시 위험한 부위가 상기 몸체 파이프(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을 안내함고 동시에 삽입후에는 안정되게 지지하는 공구삽입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구꽂이부(3)의 몸체 파이프(31)는 상기 연결부재(2)의 후단부(23) 통구(23h)보다 외경이 약간 작은 정도의 굵기를 가지며 내부는 비어있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부(23) 통구(23h)에 쉽게 관통되고 드릴날이나 납땜기의 인두와 같이 길고 뾰족한 부위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효과적으로 수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구꽂이부(3)의 공구삽입부(33)는 상기 몸체 파이프(31)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통형 하부를 갖고, 상부는 상기 몸체 파이프(31)의 중공과 연이어 통하는 상광하협의 경사 내주면(35)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상기 공구꽂이부(3)의 구성에 의하면 그 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깔때기 형태가 되어 공구를 꽂기가 매우 수월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작업하던 공구를 꽂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구 꽂이의 사용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작업대의 다리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분리된 상태에 있는 조인트(1)의 제 1본체(11a) 및 제 2본체(11b) 선단부를 고정하고자 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작업대 다리에 위치시키고 볼트(16a)와 너트(16b)를 사용하여 작업대의 다리에서 빠지지 않는 정도로만 느슨하게 결합시킨다.
동시에, 연결부재(2)의 원통형 선단부(21)를 상기 제 1본체(11a) 및 제 2본체(11b)의 결합으로 형성된 조인트(1) 후단부의 삽입구(15)에 끼운다.
이후, 상기 볼트(16a)와 너트(16b)를 더욱 체결하여 상기 조인트(1)의 제 1본체(11a)와 제 2본체(11b)를 강하게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조인트(1)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작업대의 다리 및 연결부재(2)의 선단부(21)를 강하게 클램핑하면서 상기 조인트(1) 및 연결부재(2)가 작업대에 단단히 고정된다.
단, 이처럼 상기 조인트(1)의 제 1본체(11a) 및 제 2본체(11b)가 강하게 체결되어 상기 조인트(1) 및 연결부재(2)가 움직일 수 없는 정도가 되기 직전에 상기 조인트(1)의 적절한 높이를 맞추는 것과 아울러 연결부재(2)를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켜 주어야 한다.
이후, 본 고안의 공구꽂이부(3)의 몸체 파이프(31)를 상기 연결부재(2)의 후단부(23) 통구(23h)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공구꽂이부(3)가 상기 연결부재(2)의 후단부(23) 통구(23h)를 따라 낙하하다가 상기 공구삽입부(33)가 상기 후단부(23)통구(23h) 주변에 걸리면서 안착된다.
이때, 상기 공구꽂이부(3)는 상기 연결부재(2)의 회전된 각도에 의해 안착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틸팅된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된다.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공구 꽂이가 작업대 다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이렇게 고정된 본 고안의 공구 꽂이에 드릴이나 납땜기와 같은 공구를 꽂는 동작을 드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사용하던 드릴의 작동을 멈춘 후, 상측으로 넓게 형성된 공구삽입부(33)의 입구에 드릴날 끝을 살짝 밀어 넣는다, 그러면 드릴날이 상기 공구삽입부(33)의 경사 내주면(35)을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몸체 파이프(31) 내부로 깊이 삽입된다.
이후, 드릴날을 고정하고 있는 드릴척이 상기 공구삽입부(33)의 내부 중간에 걸리면서 안착된다. 이로써 드릴 전체가 본 고안에 꽂아져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꽂아진 드릴은 작업자가 이후 드릴을 빼내어 작업하기 적당하게 틸팅된 상태가 되는 데, 이는 이미 상기 연결부재(2)가 적당한 각도로 좌우방향 회전하여 고정되어 있고 여기게 상기 공구꽂이부(3)가 틸팅된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구 꽂이는, 작업대 다리 등의 적절한 개소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납땜기, 드릴 등의 작업용 공구를 위험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꽂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구를 한 곳에 위치케 하여 정돈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물론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신속하게 공구를 꽂거나 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의 증가 및 생산성 향상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작업대 다리 등과 같은 적절한 개소에 설치되어, 사용하던 작업용 공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한 공구 꽂이로서,
    분리된 제 1본체 및 제 2본체가 일체로 체결되면서 선단부는 작업대 다리 등을 클램핑하여 고정되고, 후단부에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삽입구에 선단부가 끼워져 결합되고, 후단부에는 상하방향의 통구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통구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부에는 드릴 등의 공구를 꽂을 수 있는 공구꽂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구 꽂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후단부는 수평방향의 원형 삽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삽입구에 끼워져 좌우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꽂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꽂이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통구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중공의 몸체 파이프와;
    하부는 상기 몸체 파이프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몸체 파이프 내부와 연이어 통하는 상광하협의 경사 내주면을 갖는 공구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공구 꽂이.
KR20-2004-0006147U 2004-03-08 2004-03-08 공구 꽂이 KR200351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47U KR200351367Y1 (ko) 2004-03-08 2004-03-08 공구 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47U KR200351367Y1 (ko) 2004-03-08 2004-03-08 공구 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367Y1 true KR200351367Y1 (ko) 2004-05-20

Family

ID=4943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147U KR200351367Y1 (ko) 2004-03-08 2004-03-08 공구 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3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58Y1 (ko) * 2019-12-27 2021-04-21 김진수 매립형 에어컨배관 교체 및 확관용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58Y1 (ko) * 2019-12-27 2021-04-21 김진수 매립형 에어컨배관 교체 및 확관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7336B2 (en) Optical alignment system for power tool
KR20090101426A (ko) 파이프 절단기
KR200351367Y1 (ko) 공구 꽂이
US4505624A (en) Clamping tool
KR101496055B1 (ko) 드릴 날 교체 장치
US20020054796A1 (en) Electric hand tool implement
JP2006305575A (ja) スタッド溶接装置
JP2009056547A (ja) 工具脱着装置
CN207757248U (zh) 汽车u型减震支架钻孔工件夹具
CN210633632U (zh) 一种钳工工作台
CN219254379U (zh) 一种便于定位的自动攻牙机
CN216228090U (zh) 一种台式钻床
CN208276290U (zh) 台锯配件的摆放装置
KR102299740B1 (ko) 비트소켓
CN212793713U (zh) 一种汽车零配件加工用焊接装置
CN209886748U (zh) 一种钻孔切屑抽吸装置
US6533246B1 (en) Shoe clamp
JP5268178B1 (ja) 先端工具の交換治具および交換方法
CN216730654U (zh) 一种圆台形工件开孔用夹具
KR0113608Y1 (ko) 차량의 루프 드릴링 작업용 지그
KR200243387Y1 (ko) 홀 커터
CN215746548U (zh) 一种具有辅助定位功能的钢瓶加工装置的冲孔机构
JP2018176408A (ja) 鋼管穴あけ具
KR200445582Y1 (ko) 수준기를 가지는 탭 핸들용 캡
KR20230079861A (ko) 임팩렌치용 탭핑비트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