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673A - 모니터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673A
KR19980027673A KR1019960046521A KR19960046521A KR19980027673A KR 19980027673 A KR19980027673 A KR 19980027673A KR 1019960046521 A KR1019960046521 A KR 1019960046521A KR 19960046521 A KR19960046521 A KR 19960046521A KR 19980027673 A KR19980027673 A KR 1998002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eflection
vertical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2079B1 (ko
Inventor
임준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079B1/ko
Priority to US08/953,289 priority patent/US6034729A/en
Publication of KR1998002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장치의 소정의 전력제어기능을 수행하는 DPMS작동부와; 수평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평편향감지부와; 수직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직편향감지부와; 상기 수평편향감지부로 부터 감지된 수평편향신호 또는 수직편향감지부로 부터 감지된 수직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여 이상상태인 경우 상기 DPMS작동부가 동작되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편향신호의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편향신호의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모니터보호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보호장치(PROTECTION APPARATUS FOR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과도한 동기신호의 입력 또는 편향회로의 이상동작에 의한 과도동기신호의 발생시에 모니터보호제어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모니터의 CRT를 보호하는 모니터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편향회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부호 10은 수평수직PLL, 20은 수평편향회로부, 30은 수직편향회로부, 40은 CRT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수평수직PLL(10)의 입력측으로 수평동기신호(H_SYNC)와 수직동기신호(V_SYNC)가 입력되면, 수평수직PLL(10)은 입력신호와 출력단으로 부터 궤환된 출력신호의 위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입력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로 체배하여 출력한다.
이와같이 상기 수평수직PLL(10)로 부터 수평동기신호가 출력되면, 수평편향회로부(20)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CRT(40)에 공급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제어하여 출력한다.
상기 수평수직PLL(110)로 부터 출력된 수평동기신호(H_SYN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회로부(2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스위칭된 수평동기신호는 트랜스(T1)에 의해 소정 레벨의 고압으로 증폭되어 트랜지스터(Q2)를 스위칭동작시키게 된다.
도면에서 다이오드 D1는 댐퍼(DAMPER)기능을 하는 것으로 역전압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신호의 전류는 수평편향코일(L1)을 통해 톱니파(SAWTOOTH WAVE)로 만들어져 CRT(170)에 공급된다. 이때의 수평편향신호의 전압파형은 도 4의 A와 같고, 최대 전압은 약 1000Volt에 이른다.
한편, 상기 수평수직PLL(10)로 부터 수직동기신호가 출력되면, 수직편향회로부(30)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CRT(40)에 공급되는 수직편향신호를 제어하여 출력한다.
연산증폭기(A1)를 통해 증폭된 수직동기신호는 수직편향코일(L2)을 통해 고압의 펄스신호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출력된 수직편향신호는 캐패시터(C4)와 저항(R4)을 통해 연산증폭기(A1)의 반전신호입력단(-)으로 궤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편향신호는 캐패시터(C4,C5)에 의해 적분되어 CRT(170)에 공급된다. 이때의 수직편향신호의 전압파형은 도 5의 C와 같고, 최대 전압은 약 60Volt에 이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장치는 편향회로의 부품의 소손 또는 오동작 등의 이상상태가 발생된 경우에 입력되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RT에 이상상태의 고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써 CRT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측으로 부터 모니터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과도한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편향회로는 그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RT에 고압의 편향신호를 인가하게 됨으로써 CRT가 이상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편향신호의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편향신호의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모니터보호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모니터보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편향회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보호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보호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보호장치에서 수평편향회로부의 A단과 수평편향감지부의 B단의 출력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보호장치에서 수직편향회로부의 C단과 수직편향감지부의 D단의 출력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보호장치에서 제어부의 처리기능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수평수직PLL20,120: 수평편향회로부
30,130: 수직편향회로부40,170: CRT
100: DPMS작동부 150: 수평편향감지부
160: 수직편향감지부140: 제어부
Q1: 트랜지스터T1: 트랜스
R1∼R6: 저항D1∼D3: 다이오드
C1∼C5: 캐패시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모니터보호장치는 모니터장치의 소정의 전력제어기능을 수행하는 DPMS작동부와; 수평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평편향감지부와; 수직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직편향감지부와; 상기 수평편향감지부로 부터 감지된 수평편향신호 또는 수직편향감지부로 부터 감지된 수직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여 이상상태인 경우 상기 DPMS작동부가 동작되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감지부는 일측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수평분압저항과; 상기 제1수평분압저항의 타측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수평분압저항 및; 일측이 상기 제1수평분압저항과 제2수평분압저항간에 접속되고 타측이 접지에 접속되어 상기 제2수평분압저항에 분압된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수평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분압저항과 제2수평분압저항간의 출력신호는 제어부의 수평감지신호입력단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분압저항은 수평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출력신호가 5볼트로 분압되도록 설정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감지부는 일측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수직분압저항과; 상기 제1수직분압저항의 타측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수직분압저항 및; 일측이 상기 제1수직분압저항과 제2수직분압저항간에 접속되고 타측이 접지에 접속되어 상기 제2수평분압저항에 분압된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수직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평편향감지부로 부터의 수평편향감지신호를 독출하는 수평편향감지단계와; 상기 수평편향감지단계로 부터 감지된 수평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수평편향판별단계와; 수직편향감지부로 부터의 수직편향감지신호를 독출하는 수직편향감지단계와; 상기 수직편향감지단계로 부터 감지된 수직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수직편향판별단계와; 상기 수평편향판별단계 또는 수직편향판별단계의 판별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DPMS기능이 동작되도록 소정의 CRT보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호제어신호출력단계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모니터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장치의 소정의 전력제어기능을 수행하는 DPMS작동부와; 상기 수평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평편향감지부와; 상기 수직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직편향감지부와; 상기 수평편향감지부로 부터 감지된 수평편향신호 또는 수직편향감지부로 부터 감지된 수직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여 이상상태인 경우 상기 DPMS작동부가 동작되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편향신호의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편향신호의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모니터보호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규한 모니터보호장치는 DPMS작동부(100)와, 수평편향감지부(150), 수직편향감지부(16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하여, 편향신호의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편향신호의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입력되는 동기신호를 차단시킬 수 있다.
첫 번째는 수평편향회로부(12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수평편향회로부(120)의 출력단(H1)으로 부터 수평편향신호가 출력되면, 수평편향감지부(150)의 입력단(S1)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수평편향감지부(150)는 상기 수평편향회로부(120)로 부터의 수평편향신호를 감지하여 출력단(S2)을 통해 이상상태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수평편향감지입력단(C1)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사하여, 수평편향회로부(120)에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제어신호출력단(C3)으로 예컨대 논리 0의 CRT보호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DPMS작동부(100)는 제어신호입력단(S3)으로 부터 보호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DPMS는 VESA의 규격에 따른 전원절감회로로써 동작모드(power- on), 대기모드(stand-by), 일시정지모드(suspend), 전력차단모드(power-off)로 전원을 관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DPMS동작을 개시하면(즉, 대기모드 또는 전력차단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편향단의 전압이 강하되므로(공지된 바와 같음) CRT 및 편향회로의 써지(SURGE)로 인한 브랙다운(BREAKDOWN)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모니터 각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모니터회로 및 CRT가 보호된다.
두 번째는 수직편향회로부(13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수직편향회로부(130)의 출력단(V1)으로 부터 수직편향신호가 출력되면, 수직편향감지부(160)의 입력단(S3)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수직편향감지부(160)는 상기 수직편향회로부(130)로 부터의 수직편향신호를 감지하여 출력단(S4)을 통해 이상상태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수직편향감지입력단(C2)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사하여, 수직편향회로부(130)에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제어신호출력단(C3)으로 예컨대 논리 0의 CRT보호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DPMS작동부(100)는 제어신호입력단(S3)으로 부터 소정의 보호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DPMS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모니터회로 및 CRT가 보호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보호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수평편향회로부(120)와 수직편향회로부(13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수평편향감지부(150)와 수직편향감지부(16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평편향감지부(15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저항 R2는 일측이 수평편향회로부(120)의 출력단 A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1전압(예컨대, 995V)으로 분압한다.
그리고, 저항 R3는 상기 저항 R2의 타측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2전압(예컨대, 5V)으로 분압한다.
또한, 제너다이오드(D2)는 일측이 상기 저항 R2와 R3간에 접속되고 타측이 접지에 접속되어 상기 저항 R3에 분압되는 전압을 소정의 레벨(예컨대, 5V)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와같이 저항 R2와 R3간으로 부터 출력된 수평편향감지신호는 제어부(140)의 수평편향감지입력단(C1)에 입력된다.
이때의 수평편향감지신호는 도 4의 B와 같이 최고 5V의 펄스신호를 나타낸다.
이어서, 수직편향감지부(16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저항 R5는 일측이 수직편향회로부(130)의 출력단 C에 접속되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소정의 제1전압(예컨대, 55V)으로 분압한다.
그리고, 저항 R6는 상기 저항 R5의 타측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130)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소정의 제2전압(예컨대, 5V)으로 분압한다.
또한, 제너다이오드(D3)는 일측이 상기 저항 R5와 R6간에 접속되고 타측이 접지에 접속되어 상기 저항 R6에 분압되는 전압을 소정의 레벨(예컨대, 5V)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와같이 저항 R5와 R6간으로 부터 출력된 수직편향감지신호는 제어부(140)의 수직편향감지입력단(C2)에 입력된다.
이때의 수직편향감지신호는 도 5의 D와 같이 최고 5V의 펄스신호를 나타낸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보호장치에서 제어부의 처리기능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수평편향회로부(120)가 이상동작을 하거나 범위를 벗어난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우선 수평편향감지단계(110)를 수행하여 수평편향감지부(150)로 부터의 수평편향감지신호를 독출한다. 그리고 수평편향판별단계(S120)로 진행하여 상기 수평편향감지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이상상태로 판별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보호제어신호출력단계(S150)로 진행하여 예컨대 DPMS작동부(100)가 동작을 개시하도록 소정의 CRT보호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모니터회로 및 CRT가 보호된다.
이어서, 수직편향회로부(130)가 이상동작을 하거나 범위를 벗어난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우선 수직편향감지단계(130)를 수행하여 수직편향감지부(160)로 부터의 수직편향감지신호를 독출한다. 그리고 수직편향판별단계(S140)로 진행하여 상기 수직편향감지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이상상태로 판별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보호제어신호출력단계(S150)로 진행하여 예컨대 DPMS작동부(100)가 동작을 개시하도록 소정의 CRT보호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모니터회로 및 CRT가 보호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모니터장치는 편향회로의 부품의 소손 또는 오동작 등의 이상상태가 발생된 경우에 입력되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RT에 이상상태의 고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써 CRT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컴퓨터측으로 부터 모니터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과도한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편향회로는 그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RT에 고압의 편향신호를 인가하게 됨으로써 CRT가 이상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수평수직(H/V) 플라이백의 입력을 피드백받아서 일반적으로 편향요크(DY)의 연결여부를 감지해서 보호하는 등의 부분적인 것만 감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편향요크(DY)는 정상인데 편향회로의 오동작 또는 플라이백 펄스발생기의 오동작까지 비교하여 검사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가 넓고, 수평수직동기신호의 입력과 플라이백주파수를 동시에 검사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경우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고,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며, 편향신호의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편향신호의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 모니터보호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컴퓨터로 부터 수신된 수평동기신호(H_SYNC) 및 수직동기신호(V_SYNC)에 기초하여 입출력신호간의 위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소정의 주파수로 체배하여 출력하는 수평수직PLL(110)과, 상기 수평수직PLL(110)로 부터 출력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RT(170)에 공급되는 수평편향을 제어하는 수평편향회로부(120) 및, 상기 수평수직PLL(110)로 부터 출력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CRT(170)에 공급되는 수직편향을 제어하는 수직편향회로부(130)를 구비하여 구성된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장치의 소정의 전력제어기능을 수행하는 DPMS작동부(100)와;
    상기 수평편향회로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평편향감지부(150)와;
    상기 수직편향회로부(130)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감지하는 수직편향감지부(160)와;
    상기 수평편향감지부(150)로 부터 감지된 수평편향신호 또는 수직편향감지부(160)로 부터 감지된 수직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여 이상상태인 경우 상기 DPMS작동부(100)가 동작되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감지부(150)는 일측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120)의 출력단(A)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수평분압저항(R2)과;
    상기 제1수평분압저항(R2)의 타측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편향회로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수평분압저항(R3) 및;
    일측이 상기 제1수평분압저항(R2)과 제2수평분압저항(R3)간에 접속되고 타측이 접지에 접속되어 상기 제2수평분압저항(R3)에 분압된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수평제너다이오드(D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보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분압저항(R2)과 제2수평분압저항(R3)간(B)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40)의 수평감지신호입력단(C1)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보호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분압저항(R3)은 수평편향회로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출력신호가 5볼트로 분압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보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감지부(160)는 일측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130)의 출력단(C)에 접속되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130)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편향신호를 소정의 제1전압으로 분압하는 제1수직분압저항(R4)과;
    상기 제1수직분압저항(R4)의 타측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상기 수직편향회로부(13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편향신호를 소정의 제2전압으로 분압하는 제2수직분압저항(R5) 및;
    일측이 상기 제1수직분압저항(R4)과 제2수직분압저항(R5)간에 접속되고 타측이 접지에 접속되어 상기 제2수평분압저항(R5)에 분압된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수직제너다이오드(D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보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수평편향감지부(150)로 부터의 수평편향감지신호를 독출하는 수평편향감지단계(S110)와;
    상기 수평편향감지단계(S110)로 부터 감지된 수평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수평편향판별단계(S120)와;
    수직편향감지부(130)로 부터의 수직편향감지신호를 독출하는 수직편향감지단계(S130)와;
    상기 수직편향감지단계(S130)로 부터 감지된 수직편향신호가 정상상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수직편향판별단계(S140)와;
    상기 수평편향판별단계(S120) 또는 수직편향판별단계(S140)의 판별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DPMS기능이 동작되도록 소정의 CRT보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호제어신호출력단계(S150)를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보호장치.
KR1019960046521A 1996-10-17 1996-10-17 모니터보호장치 KR10022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521A KR100222079B1 (ko) 1996-10-17 1996-10-17 모니터보호장치
US08/953,289 US6034729A (en) 1996-10-17 1997-10-17 Monitor prot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521A KR100222079B1 (ko) 1996-10-17 1996-10-17 모니터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673A true KR19980027673A (ko) 1998-07-15
KR100222079B1 KR100222079B1 (ko) 1999-10-01

Family

ID=1947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521A KR100222079B1 (ko) 1996-10-17 1996-10-17 모니터보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34729A (ko)
KR (1) KR100222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120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이상 주파수 제어장치
KR100768813B1 (ko) * 2006-09-25 2007-10-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슬림 crt 넥 파손방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1908B1 (en) * 1999-05-27 2001-04-03 Thomson Multimedia Licensing S.A. Television apparatus with supplementary kinescope blanking and spot burn protection circuitry
KR100598412B1 (ko) * 1999-08-31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절전장치 및 전원절전방법
WO2002033960A1 (en) * 2000-10-18 2002-04-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 voltage flash detection
KR100358694B1 (ko) * 2000-11-23 2002-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상 동작 방지 회로 및 방법
KR100986037B1 (ko) * 2004-06-28 201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125289B2 (ja) * 2007-07-27 2013-01-23 株式会社ニコン 電源監視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919A (en) * 1982-05-10 1988-06-0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hutdown circuit for video monitor
US4459517A (en) * 1982-06-30 1984-07-10 Rca Corporation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protection circuit
US4654717A (en) * 1985-05-20 1987-03-31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arc-over protection for digital data i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US5047698A (en) * 1991-03-14 1991-09-1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JP3361909B2 (ja) * 1995-03-03 2003-01-07 エヌイーシー三菱電機ビジュア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120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이상 주파수 제어장치
KR100768813B1 (ko) * 2006-09-25 2007-10-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슬림 crt 넥 파손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2079B1 (ko) 1999-10-01
US6034729A (en) 200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8665B1 (en) Feedback limited duty cycle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4641064A (en) Television power supply shutdown circuit
KR100841431B1 (ko) 과전압차단기능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과전압차단방법
KR19980027673A (ko) 모니터보호장치
KR100512747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0806828B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nitor
US5737163A (en) DC-AC converter protection
US20020089233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30020440A1 (en) Power supply circuit
KR100587003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과도현상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202080B1 (ko) 저전압 보호회로
KR100335490B1 (ko) 음극 선관 구동용 전압 발생 장치 및 방법
KR19990003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최소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0133162Y1 (ko) 모니터의 셀프 테스트 단자 자동 접지회로
KR100905835B1 (ko) Pdp 전원장치
JP2000066628A (ja) Pwm制御システム
KR100202948B1 (ko) 모니터에 있어서 쇼트시 전원보호회로
JP3734908B2 (ja) 水平偏向回路の異常動作検出回路
KR970001899Y1 (ko) 소비전력 절감회로
KR100574117B1 (ko) 모니터 수평 출력 안정화 회로
KR19980030302A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crt 보호장치
KR940000370Y1 (ko) 텔레텍스트 비트동기 발생회로
KR20000014181U (ko) 이이피롬의 데이터 오류 발생 방지장치
KR920004394B1 (ko) Pll를 이용한 모니터의 스텐-바이 회로
JPS63288309A (ja) 電子機器の電源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