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747B1 -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747B1
KR100512747B1 KR10-2003-0068449A KR20030068449A KR100512747B1 KR 100512747 B1 KR100512747 B1 KR 100512747B1 KR 20030068449 A KR20030068449 A KR 20030068449A KR 100512747 B1 KR100512747 B1 KR 10051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pulse width
voltag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399A (ko
Inventor
변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747B1/ko
Priority to US10/936,490 priority patent/US7095633B2/en
Priority to CNB2004100803285A priority patent/CN100440708C/zh
Publication of KR2005003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12Control circuits using digital or numeric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변환부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펄스폭변조부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로부터의 교류전압을 평활하여 각 부품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동기된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변조부에 제공하는 동기신호제공부와; 외부로부터의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여하에 따라 전원절약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전원절약모드에 따라 해당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해당 전원절약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램프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출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회로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며, 낮은 소비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OWER SUPPLY SYSTEM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며, 낮은 소비전력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 내의 각 부분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을 적절히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데, 선형 전원회로(linear power supply)보다 소형, 경량이면서 고효율적인 스위칭 전원회로(SMPS : Switched Mode Power Supply)에 관련된 기술이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스위칭 전원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파 정류회로(fullwave rectifier circuit, 100)와, 전파 정류회로(100)의 출력전압을 평활하는 평활회로(200)와, 펄스폭변조회로(400)와, 스위칭 트랜스포머(switching transformer, 500)와, 스위칭 트랜스포머(500)의 2차 권선들(Ls1, Ls2)에서 각각 유도된 전압들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출력회로(600)와, 펄스폭변조회로(400)로 자동 주파수 제어(Automatic Frequency Control : AFC)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동기신호제공부(800)와, 출력회로(600)의 출력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피드백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위칭 전원회로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인가된 100V 혹은 220V의 상용교류전압은 전파 정류회로(100)에서 정류되고 평활회로(200)를 통해 평활되어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직류전압은 스위칭 트랜스포머(500)의 1차측 권선(Lp)에 인가된다. 동시에 평활회로(200)의 출력전압은 펄스폭변조회로(400)에 동작전압으로 공급되게 된다.
펄스폭변조회로(400)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IC(410)와, PWM IC(410)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트랜지스터 및 다이오드(420)를 포함한다.
PWM IC(410)의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온/오프가 반복되면서 스위칭 트랜스포머(500)의 1차측 권선(Lp)에서 2차측 권선(Ls1, Ls2)으로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스위칭 트랜스포머(500)의 2차측 권선(Ls1, Ls2)에서 출력된 교류전압은 출력회로(600)를 통해 직류전압(Vcc1, Vcc2)으로 변환되고, 출력회로(600)의 출력전압(Vcc1, Vcc2)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회로에 공급되어 회로를 동작시키거나, 레귤레이터(300)를 통해 5V의 동작전원을 요구하는 마이컴(700)이나 비디오앰프와 같이 각종 전압 레벨을 요구하는 부품의 동작전원으로 감압된다.
한편, 출력회로(600)를 통해 출력된 전압(Vcc1, Vcc2)이 기준전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과전압에 의한 회로 소자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어 전원회로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출력회로(600)의 출력전압(Vcc1, Vcc2)을 일정 전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스위칭 전원회로에는 일반적으로 피드백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피드백회로는 출력회로(600)의 출력전압(Vcc1, Vcc2)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른 피드백신호를 PWM IC(410)에 출력한다. 이에, PWM IC(410)는 입력되는 피드백신호에 따라 펄스폭변조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게 되어, 출력회로(600)의 출력전압(Vcc1. Vcc2)을 일정 전압으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PWM IC(410)의 펄스폭변조신호의 주파수는 컴퓨터본체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수평동기신호(H sync)의 주파수와 일치해야 한다. PWM IC(410)의 펄스폭변조신호의 주파수와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노이즈가 나타난다. 두 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PWM IC(410)의 동기신호 입력단자(SYNC)에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되는 수평편향회로(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자동 주파수 제어(Automatic Frequency Control : AFC) 신호가 동기신호제공부(800)를 통해 인가된다.
수평편향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대략 40V의 AFC 신호를 동기신호용 트랜스포머(이하, '싱크 트랜스'라 함)를 통해 4-5V의 동기신호로 변환한 후 커패시터(C1, C2)와 저항(R1) 및 다이오드(D2, ZD5)를 통해 PWM IC(410)에 공급하면, PWM IC(410)는 입력된 동기신호에 동기된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게 됨으로써,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킨다.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서는 정상동작모드에서 오프모드로 전환시 수평편향회로가 동작하지 않아 AFC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PWM IC(410)로 동기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또한 마이컴(700)이 피드백회로에 오프모드 신호를 제공하여 피드백회로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하여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서 수평편향회로로부터의 AFC 신호 및 스위칭 트랜스포머(500)의 2차측 전압(14V)이 싱크 트랜스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로 구성은 소비전력이 1 내지 2W 이하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오프모드와 같은 절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복귀시 복잡한 회로 구성으로 인해 PWM IC(410)로 공급되는 동기신호가 지연된다. 이로 인해, 출력회로(60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 공급 시기가 늦어져 마이컴(700) 입력전원이 다운(down)되어 리셋(reset)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며, 낮은 소비전력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의 복귀시 동기신호의 지연으로 인한 마이컴의 리셋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변환부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펄스폭변조부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로부터의 교류전압을 평활하여 각 부품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동기된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변조부에 제공하는 동기신호제공부와; 외부로부터의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여하에 따라 전원절약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전원절약모드에 따라 해당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해당 전원절약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램프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출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된 경우 정상동작모드로 판단하고, 정상동작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클램프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출력하여, 정상동작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되지 아니한 경우 오프모드로 판단하고, 오프모드제어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출력하고 상기 클램프 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하여, 오프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정상동작모드제어신호 인가시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의 일측 단자를 접지시키고, 상기 오프모드제어신호 인가시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의 일측 단자를 비접지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클램프신호의 DC 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오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복귀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클램프 신호의 출력이 지연되는 동안 소정 주파수의 토글 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제공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 클램프 신호의 지연으로 인한 마이컴의 리셋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변환부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펄스폭변조부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로부터의 교류전압을 평활하여 각 부품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여하에 따라 전원절약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전원절약모드에 따라 해당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해당 전원절약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램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전원절약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클램프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변조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된 경우 정상동작모드로 판단하고, 정상동작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클램프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변조부에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되지 아니한 경우 오프모드로 판단하고, 오프모드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클램프 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복귀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클램프 신호의 출력이 지연되는 동안 소정 주파수의 토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클램프 신호의 지연으로 인한 마이컴의 리셋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은 외부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파(fullwave) 정류부(10)와, 전파 정류부(10)의 출력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20)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PWM IC(42)    및 PWM IC(42)로부터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44a)를 갖는 펄스폭변조부(40)와, 펄스폭변조부(40)로 동기신호를 제공하는 동기신호제공부(80)와, 스위칭 트랜스포머(switching transformer, 50)와, 스위칭 트랜스포머(50)의 2차 권선들(Ls1, Ls2)에서 각각 유도된 전압들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60)와, 출력부(60)의 출력전압(Vcc1. Vcc2)을 감압하는 레귤레이터(30)와, 레귤레이터(30)에 의해 소정 레벨로 감압된 전압을 동작전압으로 인가받아 디스플레이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7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출력부(60)의 출력전압(Vcc1, Vcc2)을 일정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피드백 회로부를 포함한다.
전파 정류부(10)는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로 구성되며, 전파 정류부(10)의 출력전압은 평활부(20)에서 필터링 되어, 저항(46)과 커패시터(48)를 통해 PWM IC(42)의 전원입력단자(Vcc)에 제공되고, 동시에 스위칭 트랜스포머(50)의 1차측 권선(Lp)으로 제공된다.
전원을 인가받은 PWM IC(42)는 트랜지스터(44a)로 펄스폭변조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44a)가 온/오프되도록 한다. 트랜지스터(44a)가 온/오프되면서 스위칭 트랜스포머(50)의 1차측 권선(Lp)으로 인가되는 펄스 신호에 의해 스위칭 트랜스포머(50)의 2차측 권선(Ls1, Ls2)으로 교류전압이 유기된다.
스위칭 트랜스포머(50)의 2차측 권선들(Ls1, Ls2)의 출력전압은 다이오드(62a, 62b)와 커패시터(64a, 64b)를 통해 Vcc1 및 Vcc2 레벨로 정류된다. 여기서, 전압 Vcc1 및 Vcc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 예를 들면, 80V, 50V, 14V, 7V 등일 수 있다.
출력부(60)의 출력전압(Vcc1, Vcc2)은 레귤레이터(30)를 통해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감압되어 마이컴(70), 비디오앰프(미도시) 등의 각종 부품에 제공된다.
마이컴(70)은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컴퓨터본체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H sync) 및 수직동기신호(V sync)의 감지여하에 따라 전원절약모드인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모드를 실행한다.
여기서, DPMS 모드는 정상동작모드(normal mode), 대기모드(stand-by mode), 일시중단 모드(suspend mode), 전원차단모드(off mode)를 포함한다.
정상동작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어모드로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펄스 출력이 모두 감지된다.
대기모드 및 일시중단모드는 비디오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되는 비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뮤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시키지 않도록 하는 제어모드를 말한다. 대기모드는 수직동기신호의 펄스 출력만이 감지되며, 일시중단모드는 수평동기신호의 펄스 출력만이 감지된다.
오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모드로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펄스 출력이 모두 감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DPMS 모드는 컴퓨터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상동작모드->대기모드->일시중단모드->오프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컴(70)이 정상동작모드와 오프모드를 전환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 것으로 설명한다.
마이컴(70)은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감지 여하에 따라 클램프(clamp) 신호와 오프 모드(off mode) 신호를 출력하는 클램프 포트와 오프 모드 포트를 갖는다. 여기서, 클램프 신호는 수평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토글(toggle) 신호이다.
마이컴(70)은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모두 감지하는 경우 정상동작모드로 판단하고, 클램프(clamp) 신호를 생성하여 클램프 포트를 통해 출력하며, 오프 모드 포트로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마이컴(70)은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모두 감지하지 않는 경우 오프모드로 판단하고, 수평동기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으므로 클램프 신호는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마이컴(70)은 오프 모드 포트로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마이컴(70)은 오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전환시 클램프 신호의 출력이 지연(delay)되어 마이컴(70)이 리셋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 신호가 지연되는 시간 동안 오프 모드 포트를 통해 토글(toggle) 신호를 출력한다.
동기신호제공부(80)는 마이컴(70)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램프 신호와 오프 모드 포트 신호를 입력받아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PWM IC(42)에 제공한다.
마이컴(70)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램프 신호는 저항(R3)과 커패시터(C3)를 통해 동기용 트랜스포머(이하, '싱크 트랜스(92)'라 함)에 인가되며, 오프 모드 신호는 싱크 트랜스(9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98)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트랜지스터(98)는 NPN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하이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된다. 트랜지스터(98)가 턴온되는 경우 싱크 트랜스(92)의 일측이 접지된다. 여기서, 커패시터(C3)는 클램프 신호의 DC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마이컴(70)으로부터의 클램프 신호를 1차측에 입력받은 싱크 트랜스(92)는 1차측과 접지가 분리된 2차측으로 약 1/10배 증폭된 동기신호를 출력하여 커패시터(82, 86)와 저항(84) 및 다이오드(88, 90)를 통해 PWM IC(42)에 공급한다. PWM IC(42)는 입력된 동기신호에 동기된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여 트랜지스터(44a)를 온/오프시킨다.
이 때, 커패시터(82)는 동기신호의 전압감쇄용이고, 저항(84)은 커패시터(82)의 방전루트를 제공하며, 다이오드(88)는 펄스파 동기신호가 0.7 V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커패시터(86)는 동기신호의 DC(5V) 블로킹용이고, 제너다이오드(90)는 이상 고압 동기신호로부터 PWM IC(42)를 보호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현재 마이컴(70)이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모두 감지하지 않는 상태, 즉 오프모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마이컴(70)은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감지한다(S10). 감지결과,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모두 감지하여 오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복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2), 마이컴(70)은 클램프 신호가 지연되는 시간 동안 오프 모드 포트를 통해 토글 신호를 출력한다(S14). 그리고, 오프 모드 포트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며, 클램프 포트를 통해 클램프 신호를 출력한다(S16). 이로써, 마이컴(70)으로부터 클램프 신호 및 오프 모드 포트 신호를 입력받은 동기신호제공부(80)는 수평동기신호와 일치하는 주파수를 갖는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PWM IC(42)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정상동작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8).
도 3은 오프모드와 정상동작모드에 따라 마이컴(7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프모드 포트 신호, 클램프 신호 및 14V 라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70)은 오프모드에서 오프모드 포트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클램프 포트로는 클램프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 경우, 스위칭 트랜스포머(50)의 2차측 전원라인, 예를 들면 14V 라인은 7V로 떨어진다. 그리고, 마이컴(70)이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모두 감지하여 정상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클램프 신호가 지연되는 시간 동안 오프모드 포트로 토글신호를 출력하여 10V로 상승시키며, 다음으로 클램프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모드 포트로 하이신호를 출력하면서 14V의 정상전압으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스위칭 트랜스포머(50)의 2차측 전원라인 및 수평편향회로로 싱크 트랜스(92)가 연결되는 구성 대신, 마이컴(70)에서 자체적으로 클램프 신호와 오프모드 포트 신호를 생성하여 싱크 트랜스(92)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회로가 간단해지며 비용을 절감하고 낮은 소비전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램프 신호의 지연 시간 동안 오프모드 포트로 토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클램프 신호의 지연으로 인한 마이컴(70)의 리셋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며, 낮은 소비전력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의 복귀시 동기신호의 지연으로 인한 마이컴의 리셋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흐름도,
도 3은 도 1에서 오프모드와 정상동작모드에 따른 off mode 포트 신호, clamp 신호 및 14V 라인의 파형도,
도 4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파 정류부 20 : 평활부
30 : 레귤레이터 40 : 펄스폭변조부
42 : PWM IC 44a : 트랜지스터
50 : 스위칭 트랜스포머 60 : 출력부
70 : 마이컴 80 : 동기신호제공부
92 : 싱크 트랜스

Claims (10)

  1. 외부로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변환부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펄스폭변조부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로부터의 교류전압을 평활하여 각 부품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동기된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변조부에 제공하는 동기신호제공부와;
    외부로부터의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여하에 따라 전원절약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전원절약모드에 따라 해당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해당 전원절약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램프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출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된 경우 정상동작모드로 판단하고, 정상동작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클램프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되지 아니한 경우 오프모드로 판단하고, 오프모드제어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출력하고 상기 클램프 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정상동작모드제어신호 인가시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의 일측 단자를 접지시키고, 상기 오프모드제어신호 인가시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의 일측 단자를 비접지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클램프신호의 DC 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복귀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클램프 신호의 출력이 지연되는 동안 소정 주파수의 토글 신호를 상기 동기신호제공부에 제공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7. 외부로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변환부와,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펄스폭변조부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로부터의 교류전압을 평활하여 각 부품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여하에 따라 전원절약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전원절약모드에 따라 해당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해당 전원절약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램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전원절약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클램프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변조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된 경우 정상동작모드로 판단하고, 정상동작모드제어신호 및 상기 클램프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폭변조부에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감지되지 아니한 경우 오프모드로 판단하고, 오프모드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클램프 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프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복귀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클램프 신호의 출력이 지연되는 동안 소정 주파수의 토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3-0068449A 2003-10-01 2003-10-01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1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49A KR100512747B1 (ko) 2003-10-01 2003-10-01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936,490 US7095633B2 (en) 2003-10-01 2004-09-09 Power supply system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B2004100803285A CN100440708C (zh) 2003-10-01 2004-09-29 显示装置的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49A KR100512747B1 (ko) 2003-10-01 2003-10-01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399A KR20050032399A (ko) 2005-04-07
KR100512747B1 true KR100512747B1 (ko) 2005-09-07

Family

ID=3438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449A KR100512747B1 (ko) 2003-10-01 2003-10-01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95633B2 (ko)
KR (1) KR100512747B1 (ko)
CN (1) CN1004407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5985B (en) * 2004-12-06 2006-06-01 Benq Corp A standby mode power saving electronic apparatus, power supply and method of powering the standby mode power saving electronic apparatus
US20080150506A1 (en) * 2006-10-02 2008-06-26 Micrel, Incorporated Power controller having a single digital control pin and method utilizing same
KR101129391B1 (ko) * 2007-08-13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 클램프 회로를 갖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KR20100035428A (ko) * 2008-09-26 2010-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TWI455087B (zh) * 2009-11-03 2014-10-01 Mstar Semiconductor Inc 低耗電顯示控制方法與相關顯示控制器
US8488341B2 (en) * 2009-12-30 2013-07-16 Smart Power Solutions, Inc.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aiting mode
KR102028047B1 (ko) * 2012-02-13 2019-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KR102151935B1 (ko) * 2013-11-12 2020-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CN104252840B (zh) * 2014-09-11 2017-01-18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驱动电路
KR20220067780A (ko) * 2020-11-18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220151075A (ko) * 2021-05-04 2022-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387Y1 (ko) 1995-11-23 1999-07-15 구자홍 클램프신호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안정화 회로
KR100303078B1 (ko) * 1997-05-12 2001-11-30 윤종용 파워오프(PowerOff)시전원관리장치및방법
KR100247393B1 (ko) * 1997-09-02 2000-03-15 윤종용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KR20000009177A (ko) 1998-07-22 2000-02-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318623B1 (ko) 1999-02-12 2001-12-28 구자홍 수평출력회로 보호용 뮤트장치
CN2379871Y (zh) * 1999-07-23 2000-05-24 北京利亚德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显示屏显示控制器
JP2001109546A (ja) 1999-10-13 2001-04-20 Minolta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3990174B2 (ja) 2001-03-30 2007-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JP3437174B2 (ja) 2001-04-12 2003-08-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省電力化集積回路および省電力化集積回路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3867A1 (en) 2005-04-07
US7095633B2 (en) 2006-08-22
CN100440708C (zh) 2008-12-03
CN1604446A (zh) 2005-04-06
KR20050032399A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8883B2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US20070139984A1 (en) Resonant conver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with a very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KR19990080024A (ko)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회로
KR100512747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232964B1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display device having PFC function
JP2008522571A (ja) 複合共振コンバーター
US62976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electric power in a display system
EP0588173B1 (e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standby mode operation
KR20040107043A (ko) 전원 공급 장치
US6369552B2 (en) Regulated auxiliary power supply
US6686725B1 (en) Power supply circuit compensating power factor
KR100426696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H0828954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1703550B2 (en) Resonance voltage attenuation detecti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for switching pow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US9337714B2 (en) Power converter with fast discharge circuit
KR20170120421A (ko)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KR100369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717072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636550B1 (ko) 프리 볼테이지 방식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0185856B1 (ko) 전원 공급 장치
JPH0812631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100208990B1 (ko) 절전형 모니터의 순간 제어 장치
KR100488521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시스템
KR19980085723A (ko) 초절전형 모니터의 전원회로
KR200156521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오디오 앰프의 전원전압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