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542A -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 Google Patents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542A
KR19980027542A KR1019960046341A KR19960046341A KR19980027542A KR 19980027542 A KR19980027542 A KR 19980027542A KR 1019960046341 A KR1019960046341 A KR 1019960046341A KR 19960046341 A KR19960046341 A KR 19960046341A KR 19980027542 A KR19980027542 A KR 1998002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clock
output
signal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8208B1 (ko
Inventor
정용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208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ROM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마이컴에 내장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그 자신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를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직렬 버퍼;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제1 펄스를 출력하는 프리 스케일러;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액티브되는 지연 펄스를 발생하는 지연 펄스 발생기; 제1 펄스와 지연 펄스를 입력하여 지연 펄스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제1 펄스를 통과시켜 시프트 클럭을 발생시키고 이를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DSP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유효 데이타만을 입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본 발명은 동기식 직렬 입출력(Synchronous Serial I/O)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CD-ROM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마이컴에 내장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각 부분에 나타나는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8-비트 직렬 버퍼(110),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 , 프리 스케일러(140) 및 NAND 게이트(130)로 구성되어 있다.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는 3-비트 카운터(121), AND 게이트(122), D-플립플롭(123), 플립플롭(1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에서 플립플롭(124)은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되면 세트되어 출력이 하이레벨이 된다. 프리 스케일러(140)는 시스템 클럭(SCK)을 분주하여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서 사용하기 적당한 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발생한다. NAND 게이트(130)는 플립플롭(124)의 출력과 프리 스케일러(140)의 출력을 입력하여 플립플롭(124)의 출력이 하이 레벨인 경우 프리 스케일러(140)의 출력을 통과시키어 시프트 클럭(SCKO)을 발생한다. 시프트 클럭(SCKO)은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의 3-비트 카운터(121)에 의하여 카운팅되며, 카운트의 출력이 모두 1 인 경우에는 AND 게이트(122)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며, 그에 따라 D-플립플롭(123)의 출력이 시프트 클럭(SCKO)의 다음 펄스에서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고 플립플롭(124)이 리세트된다. 따라서,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는 시프트 클럭(SCKO)의 소정 개수의 펄스가 발생되는 동안만 액티브되는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시프트 클럭(SCKO)의 펄스 개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되면 플립플롭(124)이 세트되어 그의 Q-출력 단자는 하이레벨이 되어, 시프트 클럭(SCKO)이 지체없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CD-ROM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마이컴(제어부)에 내장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의 경우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 하는 경우, DSP 칩은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된 후 수 밀리세크(msec) 지연 후 유효한 데이타를 출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된 후 처음 부분의 데이타에 대한 유효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오동작의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 내장되며,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 데이타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의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출력 데이타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의 동기식 데이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각 부분에 나타나는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로의 각 부분에 나타나는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로의 각 부분에 나타나는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8-비트 직렬 버퍼 120...인에이블 펄스 발생부
140...프리 스케일러 310...지연 신호 발생부
740,750...멀티플렉서 730...클럭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출력시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그 자신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를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직렬 버퍼; 및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 후 일정 기간 동안 펄스가 나타나는 시프트 클럭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프트 클럭 발생 수단은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제1 펄스를 출력하는 프리 스케일러;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된 후 액티브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신호 발생부; 상기 지연 신호 발생부의 출력이 액티브인 경우에 상기 제1 펄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제2 펄스를 출력하는 제1 논리 게이트; 상기 스타트 신호에 의하여 액티브되고 상기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의 펄스가 소정 개수가 되면 논액티브로 전환되는 인에이블 펄스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 및 상기 인에이블 펄스가 액티브인 경우에만 상기 제2 펄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시프트 클럭을 출력하여 이를 상기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하는 제2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시프트 클럭 발생 수단은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제1 펄스를 출력하는 프리 스케일러;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액티브되는 지연 펄스를 발생하는 지연 펄스 발생기; 상기 제1 펄스와 상기 지연 펄스를 입력하여 상기 지연 펄스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상기 제1 펄스를 통과시켜 시프트 클럭을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하는 논리 게이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시프트 클럭 발생 수단은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다수의 제1 분주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1 분주 회로; 그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분주 신호들 각각이 제1 분주 신호들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고, 제2 분주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분주 신호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제2 분주 신호의 펄스 개수는 n개가 되도록,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다수의 제2 분주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2 분주 회로; 상기 스타트 신호에 따라 클럭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제어부; 상기 클럭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1 분주 신호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 상기 클럭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2 분주 신호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의 출력이 액티브인 기간 동안 상기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을 통과시키어 이를 상기 n비트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의 동기식 데이타 입력 방법은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출력시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이 경과된 후 일정 기간 액티브되는 지연 펄스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지연 펄스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펄스가 나타나는 시프트 클럭을 발생하는 과정; 및 상기 시프트 클럭에 따라 상기 DSP 칩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직렬로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의 각부 신호들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8-비트 직렬 버퍼(110),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 지연 신호 발생부(310), 프리 스케일러(140), AND 게이트(320) 및 NAND 게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8-비트 직렬 버퍼(110)는 입력 데이타(SI)를 그 자신의 클럭 단자(CK)로 인가되는 시프트 클럭(SCKO)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프트하여 출력한다.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는 3-비트 카운터(121), AND 게이트(122), D-플립플롭(123) 및 플립플롭(124)으로 구성된 것으로,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120)의 최종단을 구성하는 플립플롭(124)의 출력은 스타트 신호(START)에 의하여 액티브되고 시프트 클럭(SCKO)에서 펄스 개수가 소정 개수가 나타나면 논액티브 된다. 지연 신호 발생부(310)는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 후 액티브되는 신호를 발생하며(도 4의 노드 330 신호 참조) , 프리 스케일러(140)는 시스템 클럭(SCK)을 분주하여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클럭을 발생한다.(도 4의 노드 150 신호 참조) 프리 스케일러(140)의 출력 및 지연 신호 발생부(310)의 출력은 AND 게이트(320)에 의하여 논리곱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320)의 출력은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한 후 비로소 펄스가 나타나게 된다.(도 4의 노드 340 신호 참조). AND 게이트(320)의 출력과 플립플롭(124)의 출력은 NAND 게이트(130)로 인가된다. 그리하여, AND 게이트(320)의 출력은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지연된 후 일정 개수의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로의 각 부분에 나타나는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5에서,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8-비트 직렬 버퍼(110), 지연 펄스 발생기(510), 프리 스케일러(140) 및 NAND 게이트(130)로 구성되어 있다. 지연 펄스 발생기(510)는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 후 일정 기간 액티브되는 펄스를 발생한다.(도 6의 노드 520 신호 참조) NAND 게이트(130)는 지연 펄스 발생기(510)의 출력과 프리 스케일러(140)의 출력에 대하여 논리 NAND 동작을 수행하여 시프트 클럭(SCKO)을 발생하고, 이를 8-비트 직렬 버퍼(110)의 클럭 단자(CK)로 인가한다. 도 5에 도시된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와는 달리 시프트 클럭(SCKO)의 펄스 개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개수의 펄스가 나타날 수 있는 기간을 미리 세팅하여 그 기간 동안 액티브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8-비트 직렬 버퍼를 구비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에서, 지연 펄스 발생기(510)로부터 발생되는 펄스가 액티브되는 기간 동안 프리 스케일러(140)로부터 발생되는 펄스의 상승 엣지 또는 하강 엣지는 8개가 나타나고 그에 따라 NAND 게이트(130)로부터 출력되는 시프트 클럭(SCKO)의 하강 엣지 또는 상승 엣지는 8개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하여 8-비트 직렬 버퍼(110)는 8번의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8-비트 직렬 버퍼(110), 2개의 분주 회로들(710, 720), 2개의 멀티플렉서들(740, 750), 클럭 제어부(730) 및 NAND 게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서, 분주 회로(710)는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다수의 제1 분주 신호들(fa1, fa2,...)을 출력하고 분주 회로(720)는 시스템 클럭(SCK)을 분주하여 다수의 제2 분주 신호들(fb1, fb2,...)을 출력한다. 제2 분주 신호들(fb1, fb2,...) 각각은 제1 분주 신호들(fa1, fa2,...)중 어느 하나에 대응된다. 제2 분주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분주 신호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제2 분주 신호의 펄스 개수는 n개가 된다.(8 비트 직렬 버퍼를 사용하는 경우 펄스의 개수는 8개가 된다) 클럭 제어부(730)는 스타트 신호(START)에 따라 클럭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740)는 클럭 제어부(730)의 출력에 따라 제1 분주 신호들(fa1, fa2,...)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분주 회로(720)는 클럭 제어부(730)의 출력에 따라 제2 분주 신호들(fb1, fb2,...)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NAND 게이트(130)는 멀티플렉서들(740, 750)의 출력들에 대하여 논리 NAND 동작을 수행하여 시프트 클럭(SCKO)을 출력한다. 그리하여, 시프트 클럭(SCKO)은 스타트 신호(START)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후 일정 개수의 펄스를 나타나게 된다.
이상과 같은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의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및 동기식 데이타 입력 방법은 DSP 칩과의 데이타 송수신시 입출력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무효 데이타의 송수신을 회피하게 되어,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출력시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그 자신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를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직렬 버퍼; 및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 후 일정 기간 동안 펄스가 나타나는 시프트 클럭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2.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출력시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그 자신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를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직렬 버퍼;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제1 펄스를 출력하는 프리 스케일러;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된 후 액티브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신호 발생부;
    상기 지연 신호 발생부의 출력이 액티브인 경우에 상기 제1 펄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제2 펄스를 출력하는 제1 논리 게이트;
    상기 스타트 신호에 의하여 액티브되고 상기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의 펄스가 소정 개수가 되면 논액티브로 전환되는 인에이블 펄스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 및
    상기 인에이블 펄스가 액티브인 경우에만 상기 제2 펄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시프트 클럭을 출력하여 이를 상기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하는 제2 논리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3.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출력시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그 자신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를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직렬 버퍼;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제1 펄스를 출력하는 프리 스케일러;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 경과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액티브되는 지연 펄스를 발생하는 지연 펄스 발생기;
    상기 제1 펄스와 상기 지연 펄스를 입력하여 상기 지연 펄스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상기 제1 펄스를 통과시켜 시프트 클럭을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하는 논리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4.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출력시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블럭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그 자신의 클럭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를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n비트 직렬 버퍼;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다수의 제1 분주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1 분주 회로;
    그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분주 신호들 각각이 제1 분주 신호들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고, 제2 분주 신호에 대응되는 제1 분주 신호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제2 분주 신호의 펄스 개수는 n개가 되도록,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다수의 제2 분주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2 분주 회로;
    상기 스타트 신호에 따라 클럭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제어부;
    상기 클럭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1 분주 신호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
    상기 클럭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2 분주 신호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의 출력이 액티브인 기간 동안 상기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을 통과시키어 이를 상기 n비트 직렬 버퍼의 클럭 단자로 인가하는 논리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5.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출력시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DSP 칩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가 액티브된 후 소정 기간이 경과된 후 일정 기간 액티브되는 지연 펄스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지연 펄스가 액티브인 기간 동안 펄스가 나타나는 시프트 클럭을 발생하는 과정; 및
    상기 시프트 클럭에 따라 상기 DSP 칩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직렬로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ROM 드라이버 제어부의 동기식 데이타 입력 방법.
KR1019960046341A 1996-10-16 1996-10-16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KR10023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341A KR100238208B1 (ko) 1996-10-16 1996-10-16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341A KR100238208B1 (ko) 1996-10-16 1996-10-16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542A true KR19980027542A (ko) 1998-07-15
KR100238208B1 KR100238208B1 (ko) 2000-01-15

Family

ID=1947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341A KR100238208B1 (ko) 1996-10-16 1996-10-16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0799A (zh) * 2020-11-03 2021-02-19 上海安路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siou的微总线型dsp电路架构
CN112380799B (zh) * 2020-11-03 2024-05-31 上海安路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siou的微总线型dsp电路架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9106A (en) * 1994-11-06 1999-06-01 U.S. Philips Corporation Control signal for a voltage generator for an LCD screen control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791B1 (ko) * 1990-02-21 1992-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프레임시 버퍼의 딜레이를 제거한 독립 동기 구성회로
KR950015102A (ko) * 1993-11-08 1995-06-16 김광호 시리얼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0799A (zh) * 2020-11-03 2021-02-19 上海安路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siou的微总线型dsp电路架构
CN112380799B (zh) * 2020-11-03 2024-05-31 上海安路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siou的微总线型dsp电路架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8208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1081A (en) Sequence control apparatus for producing output signals in synchronous with a consistent delay from rising or falling edge of clock input signal
KR970704264A (ko) 집적된 테스트 및 컨트롤을 갖는 디지탈 펄스폭 변조기
US66538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mooth transition between two clock signals
AU657634B2 (en) High-speed time-multiplexed data transmission system
US4466097A (en) Control signal-multiplexing circuit
US43896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of a predetermined time relation within predetermined pulse intervals with a high time resolution
KR100238208B1 (ko) 동기식 직렬 입출력 회로
US6725245B2 (en) High speed programmable counter architecture
JPH11509658A (ja) 拡張されたチップ選択リセット装置および方法
JP2821363B2 (ja) 半導体集積回路
KR100234048B1 (ko) 분주회로
JP2006525750A (ja) 波形グリッチ防止方法
SU1691839A2 (ru) Генератор псевдослучайных чисел
KR100453888B1 (ko) 병렬입력/직렬출력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머블클럭 펄스 발생기
SU17588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импульсных сигналов
JP2880019B2 (ja) パターン発生装置
KR920001532Y1 (ko) 채널 출력 제어회로
RU2118042C1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датчик одиночных импульсов
SU1278801A1 (ru) Электронные часы с устройством коррекции
KR100428591B1 (ko) 펄스 발생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SU16760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импульсных сигналов
JP3829676B2 (ja) 可変分周器
KR200161731Y1 (ko) 다중 채널 선택 장치
KR100252763B1 (ko) 볼륨 제어가 가능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KR100216263B1 (ko) 패러렐-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