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135U -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135U
KR19980027135U KR2019960040054U KR19960040054U KR19980027135U KR 19980027135 U KR19980027135 U KR 19980027135U KR 2019960040054 U KR2019960040054 U KR 2019960040054U KR 19960040054 U KR19960040054 U KR 19960040054U KR 19980027135 U KR19980027135 U KR 199800271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cylindrical portion
steering wheel
shock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도갑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0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135U/ko
Publication of KR19980027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13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1Hand wheel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향핸들(1)의 내부로 돌출되어 조향핸들(1)과 결합되는 조향축(2)의 선단부에 장착되면서 다수개의 코킹부(5)나 돌기(6)에 의해 결합되어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2개의 충격흡수부재(3,4)를 갖춤과 더불어, 상기 제 1 충격흡수부재(3)가 중앙의 원통부(3a)와 이 원통부(3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2개의 플랜지부(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충격흡수부재(4)는 상기 원통부(3a)에 끼워져서 다수개의 코킹부(5)나 돌기(6)에 의해 결합되는 원통부(4a)와 이 원통부(4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하고서 상기 플랜지부(3b)에 체결되는 2개의 플랜지부(4b)를 갖춘 구조로 되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차의 충돌사고시에 운전자의 신체가 조향핸들에 직접적으로 부딪치면, 상기 충격흡수부재가 적절히 마찰 및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주게 된다.

Description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주행중에 충돌이나 추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머리부위나 가슴부위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그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운전자의 상해를 경감시켜 줄 수 있도록 조향핸들에 내장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조향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해 조향핸들과 조향축 및 컬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상기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및, 기어 기구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또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해 피트먼 아암과 드래그 아암, 너클 아암 및 타이 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에는 자동차의 충돌사고시에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그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운전자의 상해를 줄여주기 위해 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완충장치는 스틸재질로 된 외축속에 내축이 끼워진 2중축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내축은 다시 제 1 내축이 제 2 내축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축이 제 2 내축에 결합되는 선단부는 직경이 축소되면서 주름관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주름관과 외축사이에는 녹으로 인한 작동불능을 방지하기 위해 방청제가 주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중에 충돌사고가 발생되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게 되면, 그 충격으로 인해 상기 주름관이 접혀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줄여주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완충장치는 운전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조향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조향축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조향핸들에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과정에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었고, 이 때문에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 주기가 미흡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면서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조향핸들에 에어백이 장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에어백은 그 작동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값도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만족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이나 추돌사고시에 운전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조향핸들에 설치되어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충격흡수하중의 조절도 용이하도록 된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된 조향핸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방향 평면도,
도 3은 도 1의 B방향 저면도,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향핸들2 : 조향축
3 : 제 1 충격흡수부재4 : 제 2 충격흡수부재
3a,4a : 원통부3b,4b : 플랜지부
3c,4c : 체결구멍5 : 코킹부
6 : 돌기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향핸들의 내부로 돌출되어 조향핸들과 결합되는 조향축의 선단부에 장착되면서 다수개의 코킹부나 돌기에 의해 결합되어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2개의 충격흡수부재를 갖춤과 더불어, 상기 제 1 충격흡수부재가 중앙의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2개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원통부에 끼워져서 다수개의 코킹부나 돌기에 의해 결합되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하고서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2개의 플랜지부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된 조향핸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방향 평면도, 도 3은 도 1의 B방향 저면도,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인 바, 즉 조향핸들(1)의 내부로 돌출되어 조향핸들(1)과 결합되는 조향축(2)의 선단부에 2개의 충격흡수부재(3,4)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충격흡수부재(3)는 중앙에 위치된 원통부(3a)와 이 원통부(3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2개의 플랜지부(3b)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충격흡수부재(4)도 상기 제 1 충격흡수부재(3)와 유사한 형상을 형성되어 있는 데, 즉 상기 원통부(3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고서 중앙에 위치된 원통부(4a)와, 이 원통부(4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2개의 플랜지부(4b)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충격흡수부재(4)의 원통부(4b)는 상기 제 1 충격흡수부재(3)의 원통부(3a)에 삽입되어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코킹부(5)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플랜지부(3b,4b)에는 장착구멍(3c,4c)이 형성되어, 이 장착구멍(3c,4c)에 보울트 등이 끼워져서 서로 체결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내장된 조향핸들에 운전자의 머리부위 등이 부딪치게 되면, 2개의 충격흡수부재(3,4)를 결합시키고 있는 코킹부(5)의 코킹력에 의해 원통부(3a,4a)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되어 저감되게 되는 데, 이 코킹부(5)의 갯수에 따라 충격하중의 흡수능력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2개의 코킹부(5)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갯수로 코킹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 바,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부(4a)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경사진 돌기(6)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충격흡수부재의 원통부가 제 1 충격흡수부재의 원통부(3a)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6)를 매개로 억지로 끼워맞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향핸들에 운전자의 상체 등이 부딪치면 2개의 충격흡수부재를 서로 체결시키고 있는 다수개의 돌기가 변형됨과 더불어 원통부(3b)의 내벽에 마찰되면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저감시키게 되며, 이 돌기와 갯수와 치수 등에 따라 충격흡수능력이 달라지게 됨을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한 1차적인 충격흡수에 있어서 2차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데, 즉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충격흡수부재(3,4)의 플랜지부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변형되는 반면에 각 원통부사이에는 미끄럼 마찰이 일어나면서 원통부가 안쪽으로 변형되어, 각 충격흡수부재의 변형저항력으로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여 저감시키게 된다.
즉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도 저렴하면서도 조향핸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2번에 걸쳐서 2차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경감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주행중에 충돌이나 추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신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게 되면, 조향축에 장착된 충격흡수부재의 적절한 마찰 및 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켜주게 되므로, 운전자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받게 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운전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경감시켜 줄 수 있게 되고, 또 구조도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조향핸들(1)의 내부로 돌출되어 조향핸들(1)과 결합되는 조향축(2)의 선단부에 장착됨과 더불어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충격을 받으면 변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2개의 충격흡수부재(3,4)를 갖춘 구조로 된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격흡수부재(3)가 중앙의 원통부(3a)와 이 원통부(3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2개의 플랜지부(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충격흡수부재(4)는 상기 원통부(3a)에 끼워져서 다수개의 코킹부(5)에 의해 결합되는 원통부(4a)와 이 원통부(4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형성되면서 원호형상을 하고서 상기 플랜지부(3b)에 체결되는 2개의 플랜지부(4b)를 갖춘 구조로 된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제 1 충격흡수부재의 원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코킹부(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충격흡수방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제 2 충격흡수부재의 원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충격흡수방치.
KR2019960040054U 1996-11-14 1996-11-14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271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054U KR19980027135U (ko) 1996-11-14 1996-11-14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054U KR19980027135U (ko) 1996-11-14 1996-11-14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135U true KR19980027135U (ko) 1998-08-05

Family

ID=5398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054U KR19980027135U (ko) 1996-11-14 1996-11-14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13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159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27135U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27127U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KR100192310B1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KR20070052011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9980027128U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장치
KR200187368Y1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43327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100241712B1 (ko) 조향핸들의 완충장치
KR0128037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 구조
KR19980027133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KR19980061275A (ko) 스티어링 휠의 완충구조
KR19980027132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KR200153016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187161Y1 (ko) 자동차의 조향휠 충격흡수장치
KR19980074854A (ko) 자동차 조향축의 중간샤프트 충격흡수구조
KR100241715B1 (ko) 하부 조향컬럼의 마운팅브라켓
KR19990019893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78181Y1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37985U (ko) 스트랩을 이용한 조향컬럼의 충격흡수 장치
KR100254982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9980054497U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JPH05121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