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016U -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 Google Patents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016U
KR19980027016U KR2019960039935U KR19960039935U KR19980027016U KR 19980027016 U KR19980027016 U KR 19980027016U KR 2019960039935 U KR2019960039935 U KR 2019960039935U KR 19960039935 U KR19960039935 U KR 19960039935U KR 19980027016 U KR19980027016 U KR 199800270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led lamp
operation status
electricity supply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5130Y1 (ko
Inventor
강경수
Original Assignee
지경택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경택, 주식회사 캄코 filed Critical 지경택
Priority to KR2019960039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130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와의 전기 통전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하여 차량 정비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는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장치가 부설된 모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의 케이블상에 전기 통전여부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통전 표시용 LED램프를 설치하여 정비시, LED램프의 점등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종 전기장치의 점검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것임.

Description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본 고안은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와의 전기 통전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하여 차량 정비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는 전기 통전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스타트 모터, 알터네이터, 윈드시일드 와이퍼 모터, 그리고 라디에이터 방열모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모터가 장착 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터는 차량 밧데리로부터 공급 분배되어지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간의 전기 통전여부를 눈으로는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차량 정비시, 전기의 통전여부를 확인하는 별도의 기계 및 전기장치를 이용하여 통전여부를 하나 하나 확인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기계 및 전기장치를 이용하지 아니하고서도 전기의 통전 및 운전상태 등을 용이하게 식별되어질 수 있는 전기 통전 표시장치가 부설된 모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에 전기 통전 표시용 LED램프로 구성되는 전기 통전 표시장치를 부설하여 상기 램프를 통해 전기의 통전 및 운전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의 예시도,
도 2는 전기 통전 및 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취부되는 지지홀더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모터
2 : 케이블
3 : LED램프
4 : 지지홀더
도 1은 본 고안에서와 같은 전기 통전 표시장치가 부설된 모터의 일 예시도를 묘사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통전 표시장치가 부설된 모터는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1)의 케이블(2,2,‥)상에 전기의 통전 및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LED램프(3,3,…)가 부설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LED램프(3,3,…)에는 각각의 케이블(2,2,…)과 분기 접속되어 전기도통시에는 상기 케이블(2,2,…)에 부설되는 LED램프(3,3,…)가 ON되고, 단락시에는 OFF되게하여 전기의 도통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운전상태를 표시케 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되는 LED램프로 형성하여 각각의 램프의 점등여부에 따라 운전상태(자동정지, 고속, 저속) 등을 표시토록 되어 있다.
각각의 LED램프(3,3,…)는 모터(1)의 하우징 또는 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지지홀더(4)에 취부하여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LED램프(3,3,…)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1)의 케이블(2)상에 전기의 통전 여부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LED램프(3)가 부설되므로서 밧데리와 모터간의 전기 도통이나 운전상태가 점·멸되는 LED램프(3)를 통해 간단히 확인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정비시에는 LED램프(3)를 통해 밧데리와 모터간의 전기 도통여부 및 운전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점검자는 점등되지 않은 LED램프(3,3)쪽 케이블(2)만을 점검하면 되므로 차량 정비 시간이 대폭 단축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의 케이블상에 전기 통전 및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통전 표시용 LED램프를 설치하므로서 정비시, LED램프의 점등 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각종 전기장치의 점검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 밧데리와 연결되는 모터(1)의 케이블(2,2,…) 상에 전기의 통전 및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LED램프(3,3,…)가 부설되어 상기 LED램프의 점·멸상태에 따라 육안으로도 전기 통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KR2019960039935U 1996-11-14 1996-11-14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KR200145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35U KR200145130Y1 (ko) 1996-11-14 1996-11-14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35U KR200145130Y1 (ko) 1996-11-14 1996-11-14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16U true KR19980027016U (ko) 1998-08-05
KR200145130Y1 KR200145130Y1 (ko) 1999-06-15

Family

ID=5398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935U KR200145130Y1 (ko) 1996-11-14 1996-11-14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1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26B1 (ko) * 2001-08-04 2003-09-13 김세호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26B1 (ko) * 2001-08-04 2003-09-13 김세호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5130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4886E (en) Electrical system for vehicle daytime running lights
KR100783509B1 (ko)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
KR200145130Y1 (ko)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US4841199A (en) Electrical system for vehicle daytime running lights
US5964616A (en) Lighted accessory power supply cord
EP0976617A1 (en) Support body for motor-vehicle numberplate lightning lamps
KR200189199Y1 (ko) 자동차의 리어컴비네이션램프의 설치구조
ES2139425T3 (es) Instalacion de alimentacion de dispositivos electricos sobre techos de vehiculos.
KR20030087678A (ko) 차량용 유턴표시장치
KR200412140Y1 (ko) 회전전광판을 구비한 자동차용 위험표시등
KR19980042387U (ko)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EP1688301A2 (en) Led directional indicator
KR19990019625U (ko)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KR200404496Y1 (ko) 자동차 실내등 전구 소켓용 전원 연결단자
ES2156809B1 (es) Faro en especial para vehiculo automovil que comprende un portalamparas de conexion simplificada.
JP2595181Y2 (ja) 放電灯を用いた車両用灯具
GB1581778A (en) Electricity supply to at least one constructional unit comprising one or more electrical loads
KR0135546Y1 (ko)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19980031221A (ko) 노상작업용 안전조끼
CN116601050A (zh) 照明装置和安装方法
JPH0357031Y2 (ko)
KR200184764Y1 (ko) 램프용 컨넥터의 구조
KR19990024923U (ko) 자동차의 전장부품 이상여부 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62509U (ko) 컴비네이션램프의 배선
KR20030088587A (ko) 광섬유를 이용한 휴즈 단락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