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226B1 -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 Google Patents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226B1
KR100397226B1 KR10-2001-0047120A KR20010047120A KR100397226B1 KR 100397226 B1 KR100397226 B1 KR 100397226B1 KR 20010047120 A KR20010047120 A KR 20010047120A KR 100397226 B1 KR100397226 B1 KR 10039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key
groove
head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715A (ko
Inventor
김세호
Original Assignee
김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호 filed Critical 김세호
Priority to KR10-2001-004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2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변전소, 배전소 등에서 고압의 전원단자와 부하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인 막대기형 부스 바(bus bar)에 통전표시기를 장착 또는 분리할 때 단전조치를 선행하지 않고 활선상태에서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는, 레버(6)로 슬라이더(3)를 진출시켜 잠그고 그 상태에서 헤드(2) 밖으로 내민 슬라이더(3)의 전반부에 통전표시기(B)를 장전되도록 한 헤드(2)를 프레임(1)상에 힌지식으로 설치하고, 헤드(2)에는 진출한 슬라이더(3)를 잠그는 괘정키(4)와, 괘정키(4)가 슬라이더(3)의 잠금상태를 잠정적으로 고정했다가 해정조작기구(9)를 조작하면 괘정키(4)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해정구(7)와, 헤드(2)의 수평자세 및 90도 선회한 수직상태를 유지케 하는 헤드 위치키(5)와, 슬라이더(3)를 강제로 내미는 레버(6)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1)의 접속관(13) 하단에는 해정구(7)를 조작하기 위한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100)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Equipment for Electric Current Indicator of Power Plant etc.}
본 발명은 발전소, 변전소, 배전소 등에서 고압의 전원단자와 부하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인 막대기형 부스 바(bus bar)에 통전표시기를 장착 또는 분리할 때 단전조치를 선행하지 않고 활선상태에서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154,000V의 초고압 전류는 변전소에서 22,900V로 강압되고 배전소와 전주의 주상변압기를 거치는 동안 다시 220V로 대폭 강압된 후에 수용가측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고압의 전류가 발전소에서 변전소로, 변전소에서 배전소로, 또는 배전소에서 주상변압기 등으로 정상적으로 통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면 통전표시기가 필요하다.
도 13에서, 일반적인 통전표시기(ㄱ)는 이면에 나사(ㄴ)로 조여서 고정하는 집전기능을 갖는 클립(ㄷ)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전소, 변전소, 배전소 등에서 통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그 전원단자와 부하단자 사이에 설치된 부스 바에 육안으로 통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통전표시기를 장착했다.
이런 경우에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먼저 차단기를 내려서 부스 바에 대한 단전조치를 선행해야 하므로 불시에 단전이라도 되는 날에는 수용가가 겪을 불편이 이만저만 큰 게 아니다. 또한, 통전표시기가 고장 등으로 교체를 하기 위해 분리할 때도 마찬가지의 일이 벌어진다.
이러한 점에서, 장차 이 분야에 관한 기술적 과제는 단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활선상태에서도 부스 바에 통전표시기를 장착하여 정상적인 통전여부를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통전표시기용 장착구를 개발하는 일이다.
본 발명은 위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 전류가 흐르고 있는 활선상태에서도 부스 바에 안전하고 간편 용이하게 통전표시기를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는, 레버로 슬라이더를 진출시켜 잠그고 그 상태에서 헤드 밖으로 내민 슬라이더의 전반부에 통전표시기를 장전되도록 한 헤드를 프레임상에 힌지식으로 설치한다.
헤드에는 진출한 슬라이더를 잠그는 괘정키와, 괘정키의 슬라이더 잠금상태를 잠정적으로 고정했다가 해정조작기구를 조작하면 괘정키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해정구와, 헤드의 수평자세 및 90도 선회한 수직상태를 유지케 하는 헤드 위치키와, 슬라이더를 강제로 내미는 레버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해정구를 조작하기 위한 해정조작기구를 설치한다.
프레임의 후단에 부착된 접속관에는 장척이면서 해정레버와 접이식 포크를 가진 해정보조기구를 연결하여 부스 바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전표시기를 장착할 수 있고, 또한 그 부스 바에 장착된 통전표시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전표시기용 장착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조립도
도 3은 부분절개 측면도
도 4는 레버를 위로 꺾어 슬라이더를 앞쪽으로 내민 상태의 부분절개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레버를 복귀시킨 상태의 부분절개 측면도
도 6은 장착구의 슬라이더에 통전표시기를 장전하여 횡형 부스 바에 장착할
때의 부분절개 측면도
도 7은 종형 부스 바에 통전표시기를 장전할 때의 변형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통전표시기의 사시도
도 9는 장착구의 하단에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를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슬라이더가 복귀한 상태의 부분절개 측면도
도 11은 환봉형 부스 바에 적합한 통전표시기의 평면도
도 12는 부스 바에 물린 통전표시기를 제거할 때의 예시도
도 13은 종래 통전표시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헤드
3 : 슬라이더 4 : 괘정키
5 : 헤드 위치키 6 : 레버
7 ; 해정구 8 : 복귀스프링
9 : 해정조작기구 100 :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
103 : 해정레버 104 : 접이식 포크
도 1에서, 발전소, 변전소, 배전소 등의 전원단자와 부하단자를 연결하고 있는 부스 바에 통전표시기를 장착 또는 분리할 때 사용하는 장착구(A)는 프레임(1)과 헤드(2), 슬라이더(3)와 그 괘정키(4), 헤드 위치키(5)와 슬라이더 조작용 레버(6), 해정구(7)와 슬라이더용 복귀스프링(8) 및 해정조작기구(9),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100), 그리고 통전표시기의 이면에 부착하는 집전기능을 갖는 클립(20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은 헤드(2) 이후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단부는 헤드(2)용 축공(11)을 중심으로 주면이 진원호상으로 된 힌지(12) 한 쌍으로 이뤄지고, 하단부에는 접속관(13)이 부착되어 있다.
힌지(12)의 주면상에는 괘정키(4)가 슬라이더(3)를 잠근 상태로 안정시키는 헤드 위치키(5)의 횡핀에 걸리는 횡키홈(14a)과 헤드(2)가 수평에서 90°선회한 자세에서도 그 같은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종키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횡키홈(14a)과 종키홈(14b)은 서로 90°방향에 위치한다.
또, 접속관(13)의 주벽에서 원주를 등분한 지점에는 후술하는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의 선단을 끼워서 나사(16)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5)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의 내측에서 대략 중간 높이에는 줄공(18)이 천공된 횡막대(17) 하나가 설치되어 있고, 그 줄공(18)에는 해정조작기구(9)의 견인줄(91)이 관통한 가운데 횡막대(17) 위쪽 견인줄 부위에는 해정구(7)를 해정대기 위치에서 머물게 하는 길다란 복귀스프링(92)이 끼워져 있으며, 횡막대(17)의 아래쪽 견인줄(91) 부분은 접속관(13)을 관통한 후 도시하지 아니한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로 향한다.
헤드(2)는 통전표시기를 장전하여 부스 바의 방향에 따라 수평,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방향을 전환시켜 장착하기 쉽게 하는 것으로, 좌우측면에는 상기 힌지(12)에 부합하는 모양의 힌지좌(21)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좌(21)의 중심에는 상기 축공(11)에 중심이 일치하는 축공(22)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힌지좌(21)에서 상기 횡키홈(14a)과 같은 위치에는 횡키홈(14a) 또는 종키홈(14b)에 일치할 때 헤드 위치키(5)에 의해서 잠가지는 키홈(23)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2)의 상면에는 슬라이더(3)가 진퇴하는 방향의 앞뒤가 트인 슬라이더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홈(24)의 중앙 바닥에는 슬라이더용 괘정키(4)를 들어 앉힐 키홈(25)도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홈(24)의 양옆에는 슬라이더(3)의 행정을 제한하는 행정홈(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행정홈(24a)은 상기 슬라이더홈(24)과 상통한다.
그래서 이것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장축의 슬라이더홈(24)에 단축의 행정홈(24a)이 직교한 형상으로서 +자형이며, 각 행정홈(24a)의 앞벽에는 슬라이더홈(24)과 평행하게 천공한 스프링공(26)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축공(22)의 우측, 다시 말해 슬라이더(3)의 대기위치 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는 헤드 위치키(5)가 들어가 앉을 키홈(27)도 형성되어 있다.
이 키홈(27)은 헤드 위치키(5)와 닮은꼴이지만 그 안에서 헤드 위치키(5)가 전후로 이동하여 그 횡핀(51)이 상기 키홈(23)에 걸려 잠기거나 거기서 벗어나 쉽게 해정될 수 있도록 전후 폭에 약간의 여유를 둔다.
헤드(2)의 후미에는 슬라이더 조작용 레버(6)를 축설치하기 위한 레버홈(28)과 해정구(7)가 들어가 앉을 해정구홈(29)도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홈(28)을 좌우로 관통한 축공(22a)은 축(b)이 꽂힌 자리다.
도면부호 (2a)는 헤드 덮개, (d)는 헤드 고정나사를 표시한다.
슬라이더(3)는 대기위치에 머물다가 레버(6)를 일으켜 세울 때 전진하여 그 선단부가 헤드(2)의 앞쪽으로 튀어나와 통전표시기의 탄성클램프에 끼워 물릴 수 있게 하고 사용 후에는 대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서, 중간 이후의 양측면에는 동형의 스토퍼(31)가 대칭을 이루고, 스토퍼(31)와 같은 선상의 저면에는 괘정키(4)에 걸리는 잠금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괘정키(4)는 키홈(25)에 삽입되어 전진한 슬라이더(3)를 걸어 잠그는 것으로, 선단에는 헤드(2)에 헐겁게 축설치하기 위한 축공(41)이 천공되어 있고, 후단 상면에는 슬라이더(3)의 잠금홈(32)을 거는 키(42)가, 그리고 그 바로 앞쪽 저면에는 해정구(7)의 선단부(72) 또는 돌기(73)에 의해 슬라이더(3)의 괘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돌기(43)가 각각 일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위치키(5)는 헤드(2)가 수평일 때와 수평에서 90도 선회하여 수직상태로 되었을 때 각 위치에서 헤드(2)가 움직이지 못하게 잠그는 것으로, 후단에 상기 횡키홈(14a)과 키홈(23) 및 종키홈(14b)과 키홈(23)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횡핀(51)이 형성되고, 횡핀(51) 앞쪽의 수직부(52)는 그 앞면을 복귀스프링(53)의 후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레버(6)는 슬라이더(3)를 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축공(61) 앞쪽의 선단부(62)가 슬라이더(3)를 미는 부분이다.
축공(61)은 헤드(2)의 축공(22a)에 끼운 축(b)에 지지되어 레버운동을 하게 된다.
해정구(7)는 헤드(2)가 수평 또는 수직자세일 때를 막론하고 전진한 슬라이더(3)를 잠근 괘정키(4)가 움직이지 못하게 가두고, 동시에 괘정키(4)를 해정하여 슬라이더(3)를 대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선단에 가로로 천공된 축공(71)의 앞쪽 선단부(72)는 헤드(2)가 수직자세로 전환되었을 때 괘정키(4)가움직이지 못하게 막는 부분이고, 축공(71)의 위쪽에 형성된 돌기(73)는 헤드(2)가 수평일 때 괘정키(4)의 돌기(43) 밑을 받쳐서 괘정상태가 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후단에는 해정조작기구(9)의 견인줄(91)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핀(74)이 부착되어 있다.
선단부(72)의 중앙과 돌기(73)의 정점은 축공(7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 반경상에 있어서 헤드(2)가 어떤 자세로 있든지 간에 불문하고 괘정키(4)의 돌기(43) 밑을 걸 수 있게 한다.
슬라이더용 복귀스프링(8)은 상기 스프링공(26)마다 하나씩 끼우고 스프링공(26)의 외측단을 나사마개(81)로 막아서 외측으로 무단히 빠지는 것을 막는다.
이렇게 스프링공(26)에 끼워진 복귀스프링(8)의 후단은 슬라이더(3)의 스토퍼(31) 앞면을 탄력적으로 밀어 슬라이더(3)로 하여금 언제나 대기위치로 쏠리게 한다.
해정조작기구(9)는 전진한 슬라이더(3)를 잠근 괘정구(4)의 돌기(43) 밑을 떠받치고 있는 해정구(7)를 하향 레버운동시켜 돌기(43)에 대한 밑받침 역할을 그치게 함으로써 해정된 슬라이더(3)가 복귀(후퇴)하도록 돕는 것으로, 해정구(7)의 핀(74)과 도시하지 아니한 해정레버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견인줄(91)과, 횡막대(17)와 상기 핀(74) 사이에는 견인줄(91) 부분에 끼워진 채로 팽창성 탄력을 발휘하여 해정구(7)로 하여금 항상 복귀방향으로 쏠리게 압력을 가하는복귀스프링(92), 줄잠금구(93) 및 조임나사(9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완성한 통전표시기 장착구(A)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 이르기까지의 조립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
먼저, 키홈(25)에 괘정키(4)를 삽입하고 그 축공(41)을 키홈(25) 앞쪽의 축공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c)을 꽂는다.
이어서 슬라이더홈(24)과 행정홈(24a)에 슬라이더(3)를 들어 앉히고, 스프링공(26)에 복귀스프링(8)을 끼운 다음에 스프링공(26)의 외측단을 나사마개(81)로 틀어막는다.
이렇게 하면 복귀스프링(8)이 후단이 스토퍼(31)의 앞을 항상 뒤쪽으로 밀기 때문에 슬라이더(3)는 대기위치에 머문다.
그리고 헤드(2) 위에 헤드 덮개(2a)를 덮고 나사로 체결하여 지금까지의 헤드(2) 내장물을 안정시킨다.
다음으로, 수직부(52)의 앞면에 복귀스프링(53)을 댄 헤드 위치키(5)를 키홈(27)에 끼워 정위치시키고, 레버홈(28)에는 레버(6)를 삽입하고 프레임(1)의 축공(11)으로 축(a)을 끼워서 레버(6)의 축공(61)을 관통시켜 축설치한다.
그리고 해정구(7)는 해정구홈(29)에 삽입하고 헤드(2)의 축공(22a)에서 축공(71)을 관통하도록 축(b)을 끼운다.
이것을 헤드뭉치라고 하며, 이 헤드뭉치를 프레임(1)에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힌지좌(21)쪽을 힌지(12) 사이로 끼워서 축공(11)과 (22)의중심을 맞춘 다음에 축(a)을 끼워서 헤드뭉치가 힌지(12)상에서 축(a)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형태로 조립하는 것이다.
그런 후에 프레임(1) 상단부의 힌지(12)상에 천공한 나사공(12a)에 헤드 고정나사(d)를 꽂아 조임으로서 헤드 고정나사(d)의 선단이 힌지좌(21)면을 압착하여 헤드(2)가 수평 또는 수평에서 90도 선회하여 수직상태로 되었을 때 각 위치에서 헤드(2)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잠그는 헤드 위치키(5)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줄잠금구(93) 위로 인출된 견인줄(91)을 횡막대(17)의 줄공(18)에 올려 끼워 위로 뺀 다음에 복귀스프링(92)을 끼운 채로 그 선단을 해정구(7)의 핀(74)에 얽어맨다.
도 3의 대기위치에서는 슬라이더(3)는 복귀스프링(8)에 의해 후퇴해 있고, 레버(6)는 아래로 내려져 있으며, 헤드 위치키(5)의 횡핀(51)은 횡키홈(14a)과 키홈(23) 사이에 걸려서 헤드뭉치의 무단 선회를 저지하고 있다.
이때, 헤드 고정나사(d)도 조여서 헤드뭉치의 무단 선회를 저지하는 횡핀(51)의 역할을 보조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레버(6)를 위로 꺾게 되면 그 선단부(62)가 슬라이더(3)의 스토퍼(31) 뒤를 민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는 복귀스프링(8)을 압축하면서 슬라이더홈(24)에서 미끄러져 앞으로 나아가고, 그러다가 잠금홈(32)의 선단이 괘정키(4)의 키(42)에 걸린다.
이렇게 되면 앞으로 전진한 슬라이더(3)는 그 자체의 힘으로는 도저히 후진하여 대기위치로 복귀할 수가 없으며, 슬라이더(3)를 진출시킨 후에는 도 5와 같이 레버(6)를 아래로 꺾어서 접는다.
도 6은 접속관(13)에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100)를 연결하고, 헤드(2) 앞으로 노출된 슬라이더(3)의 전반부에 통전표시기(B)를 장전하여 활선상태의 횡형 부스 바(C)에 끼우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괘정키(4)의 돌기(43)는 해정구(7)의 돌기(73)에 닿아 괘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7은 헤드뭉치를 90°선회하여 통전표시기(B)를 장전하고 환선상태의 종형 부스 바(C')에 끼우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는 괘정키(4)의 돌기(43)가 해정구(7)의 선단부(72)에 의해 저지 당하여 슬라이더(3)에 대한 괘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착구(A)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전표시기(B)에 대하여 간략하게 부연한다.
이 통전표시기(B)는 이면에 부착된 ㄷ형 클립(200)의 외측판(201) 상하에 홈(202)을 내어 역ㄷ형 클램프(203)를 장착하고, 스프링(204)을 끼운 상하 보울트(205)로 외측판(201)상에서 클램프(20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고정한 것이다.
클립(200) 안으로 들어간 클램프(203)의 선단과 내측판(206)간의 거리는 부스 바(C)(C')의 두께보다는 작기 때문에 이대로는 부스 바(C)(C')에 장착할 수가 없고 클램프(203)를 부스 바(C)(C')의 두께 이상으로 벌려야 한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클램프 벌림공구(D)이다. 클램프 벌림공구(D)는 폭이 부스 바(C)(C')의 두께 이상 가고, 두께는 내측판(206)과 클램프(203) 선단간의 거리보다는 훨씬 작아서 그리로 집어넣기 쉽고 손에 쥐기도 편한 납작한 기역자형이다.
그림과 같이 클램프 벌림공구(D)를 클립(200)의 내측판(206)과 클램프(203)의 선단 사이에 넣고 90°로 틀면 클램프(203)가 외측판(201) 쪽으로 밀려난다.
이때, 클램프(203)와 외측판(201)의 외면 사이에 틈(207)이 생기고, 이 틈(207)은 슬라이더(3)를 끼워 넣기에 충분할 정도로 넓다.
이렇게 벌어진 틈(207)에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헤드(2) 앞으로 진출한 슬라이더(3)의 전반부에 끼운 후 통전표시기(B)가 슬라이더(3)에 안전하게 장전되고 나면 클램프 벌림공구(D)를 뺀다.
그러면 클램프(203)가 스프링(204)의 팽창압력에 밀려 슬라이더(3)를 탄력적으로 문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는 장착구(A)와 통전표시기(B)가 일시적이나마 일체감을 갖는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활선상태의 횡형 또는 종형 부스 바(C)(C')에 각기 화살표 방향으로 통전표시기(B) 일체형 클립(200)을 끝까지 들이민다.
도 9에서는 프레임(1)의 하단에 설치한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100)에 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100)는 부스 바(C)(C')가 작업자가 가까이 가기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린 경우, 안전한 곳에서 그곳까지 장착구(A)를 편하게 접근시킬 수 있게 한 일종의 절연성 장대다.
장대이면서도 몇 가지 편리한 기구가 결합된 것으로, 관막대(101)의 하단에는 조작부(102)가 부착되어 있다.
조작부(102)는 상단부에 상기 견인줄(91)의 후단을 연결하여 당기기 위한 해정레버(103)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에는 활선상태의 부스 바(C)(C')에 장전된 통전표시기(B)를 철수할 때 편리한 접이식 포크(104)가 부착되어 있다.
관막대(101)는 상단을 접속관(13)에 끼운 후 나사(16)로 조여서 고정하고, 조작부(102)는 관막대(101)의 후단에 끼운 후 나사(105)로 조여서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부스 바(C)(C')에 통전표시기(B)를 장착한 후 그 클립(200)에서 장착구(A)를 철수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9에서 볼 때 수평자세인 해정레버(103)를 방아쇠를 당기듯이 아래로 당기면 견인줄(91)이 당겨지면서 해정구(7)를 끌어당긴다.
견인줄(91)에 이끌려 당겨진 해정구(7)는 도 10과 같이 아래로 비스듬히 기울면서 지금까지 괘정키(4)의 돌기(43) 밑을 떠받쳤던 돌기(73)(도 6의 경우) 또는 선단부(72)(도 7의 경우)가 그 돌기(43)로부터 뒤쪽으로 물러난다.
이렇게 돌기(73) 또는 선단부(72)가 물러나는 순간 의지력이 사라진 괘정키(4)는 축(c)울 중심으로 해정구(7)가 기우는 쪽으로 기울어진다.
여기에 복귀스프링(8)의 팽창력이 가세하여 슬라이더(3)를 복귀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 더욱 빠르게 기울기 때문에 잠금홈(32)에서 괘정키(4)의 키(42)가 벗겨진다.
잠금홈(32)이 키(42)에서 벗어난 슬라이더(3)는 자유상태로 바뀌고, 이때부터 클램프(203)와 외측판(201) 외면 사이의 틈(207)에 물렸던 슬라이더(3)의 전반부가 빠져 나와 대기위치로 복귀하고, 슬라이더(3)가 복귀하는 대로 장착구(A)를 철수하면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가 복귀할 때 순간적으로 클램프(203)가 스프링(204)의 팽창압력에 밀리면서 클립(200)의 내측판(206)과 클램프(203)의 선단 사이에 위치시킨 부스 바(C)(C')를 탄력적으로 물게 된다.
한편, 해정레버(103)를 당김에 따라 아래로 비스듬히 기울어졌던 해정구(7)는 해정레버(103)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는 순간 복귀스프링(92)의 팽창력에 의해 위로 밀려서 대기위치인 수평자세로 복귀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로서, 환봉형 부스 바(C")에 적합한 클램프(203')를 나타낸 것이다.
이 클램프(203')는 선단에 환봉형 부스 바(C")에 적합한 호상면(208)을 부여하고, 부스 바(C")를 물렸을 때 거기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클립(200)이 이탈하지 못하게 억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앞걸림턱(209)을 부여한 점이 색다르다.
도 12는 접이식 포크(104)를 직각으로 펴서 부스 바(C)(C')(C")에 장착된 통전표시기(B)의 목(210)에 끼운 다음에 옆으로 비틀어 부스 바(C)(C')(C")에서 클립(200)이 미끄러지면서 벗겨지는 준비작업을 예시한 것이다.
이처럼 장대형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100)의 포크(104)를 이용하면 활선상태의 부스 바(C)(C')(C")에서 통전표시기(B)를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전표시기용 장착구는 발전소, 변전소, 배전소 등에서 단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활선상태에서도 부스 바에 통전표시기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착구에 설치된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에 의해 역시 단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활선상태에서도 부스 바에 장착된 통전표시기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철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상단부는 헤드(2)용 축공(11)을 중심으로 주면이 진원호상으로 된 힌지(12) 한 쌍으로 이뤄지고 하단부에는 접속관(13)을 가지며, 힌지(12)의 주면상에는 헤드 위치키(5)의 횡핀에 걸리는 횡키홈(14a)과 수평에서 90°선회한 헤드 잠금용 종키홈(14b)을 형성한 프레임(1)과;
    좌우측면에 형성된 상기 힌지용 힌지좌(21), 상기 축공(11)에 상응하도록 힌지좌(21)의 중심에 형성된 축공(22), 상기 횡키홈(14a)과 같은 위치에 횡키홈(14a) 또는 종키홈(14b)와 일치할 때 헤드 위치키(5)의 횡핀(51)에 의해 잠가지도록 힌지좌(21)상에 형성한 키홈(23), 상면에 형성된 앞뒤가 트인 슬라이더홈(24), 슬라이더홈(24)의 중앙 바닥에 형성된 괘정키용 키홈(25), 슬라이더홈(24)의 양옆에 형성된 슬라이더(3)의 행정제한용 행정홈(24a), 행정홈(24a)의 앞벽에 슬라이더홈(24)과 평행하게 천공된 스프링공(26), 힌지좌(21)의 영역내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키홈(27), 후미에 형성된 레버홈(28)과 해정구홈(29) 및 레버용 축공(22a)과 헤드 덮개(2a)로 이루어진 헤드(2)와;
    후반부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형성된 스토퍼(31)와 저면에 형성된 잠금홈(32)을 가진 상기 슬라이더홈(24) 및 행정홈(24a)에 삽입되는 슬라이더(3)와;
    선단에 천공된 축공(41), 후단 상면에서 돌출된 슬라이더 잠금용 키(42), 후단부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더의 괘정상태 유지용 돌기(43)를 가진 상기 키홈(25)에 삽입되는 괘정키(4)와;
    후단에 상기 횡키홈(14a)과 키홈(23) 및 종키홈(14b)과 키홈(23)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횡핀(51)이 형성되고, 상기 횡핀(51) 앞쪽의 수직부(52)의 앞면에 복귀스프링(53)의 후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의 역할을 하도록 한 헤드 위치키(5)와;
    축공(61) 앞쪽의 선단부(62)가 슬라이더(3)를 미는 부분이고, 축공(61)은 헤드(2)의 축공(22a)에 끼운 축(b)에 지지되어 레버운동에 의해 슬라이더(3)를 전진되도록 한 레버(6)와;
    선단에 천공된 축공(7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는 반경의 범위 내에 괘정키(4)의 돌기(43)를 지지하는 선단부(72)와 돌기(73)를 형성하고, 후단에는 해정조작기구(9)의 견인줄(91) 선단을 얽어매는 핀(74)을 가진 상기 해정구홈(29)에 삽입되어 축(a)에 지지되도록 한 해정구(7)와;
    상기 스프링공(26)에 끼워서 슬라이더(3)를 복귀방향으로 쏠리게 하는 슬라이더용 복귀스프링(8) 및 이 복귀스프링(8)의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스프링공(26)의 외측단을 막는 나사마개(81)와;
    해정구(7) 당김용 견인줄(91)과, 횡막대(17)와 상기 핀(74) 사이의 견인줄 부분에 끼워져 해정구(7)를 항상 복귀방향으로 쏠리게 하는 복귀스프링(92)과 줄잠금구(93) 및 조임나사(94)를 가진 프레임(1)상에 설치하는 해정조작기구(9)와;
    상단은 상기 프레임(1)의 접속관(13)에 연결하고 하단은 조작부(102)와 연결하는 관막대(101)와, 상단부에 상기 견인줄(91)의 후단을 연결하여 당기는 해정레버(103)가 장착되고 하단에는 활선상태의 부스 바를 물고 있는 통전표시기(B) 분리용 접이식 포크(104)를 부착한 절연성 장착 및 해정보조기구(100)와;
    외측판(201)의 상하에 홈(202)을 내어 역ㄷ형 클램프(203)를 장착하고, 스프링(204)을 끼운 상하 보울트(205)로 외측판(201)에 클램프(203)를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고정하여 상기 클램프(203)의 선단과 내측판(206)의 사이에 횡형 또는 종형 부스 바(C)(C')를 물릴 수 있도록 통전표시기(B)의 이면에 부착한 ㄷ형 클립(20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를 선단에 환봉형 부스 바(C")에 적합한 호상면(208)을 부여하고, 부스 바(C")를 물렸을 때 이탈하지 못하게 억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앞걸림턱(209)을 부여한 클램프(203')를 가진 ㄷ형 클립(20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KR10-2001-0047120A 2001-08-04 2001-08-04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KR10039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120A KR100397226B1 (ko) 2001-08-04 2001-08-04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120A KR100397226B1 (ko) 2001-08-04 2001-08-04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744U Division KR200253948Y1 (ko) 2001-08-04 2001-08-04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715A KR20030012715A (ko) 2003-02-12
KR100397226B1 true KR100397226B1 (ko) 2003-09-13

Family

ID=2771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120A KR100397226B1 (ko) 2001-08-04 2001-08-04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8553A (zh) * 2012-04-18 2013-10-30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变电运行设备绝缘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2267A (ja) * 1991-02-18 1992-09-17 Nec Corp ペン型アナログ信号レベル測定器
KR940005053U (ko) * 1992-08-28 1994-03-16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청소기의 통전 검사장치
KR19980027016U (ko) * 1996-11-14 1998-08-05 지경택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KR19990001713A (ko) * 1997-06-17 1999-01-15 윤종용 내전압 검사장치 및 자동 검사방법
JPH1189059A (ja) * 1997-09-02 1999-03-30 Erudore Corp 改良バスバーとそのための新規なトルク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2267A (ja) * 1991-02-18 1992-09-17 Nec Corp ペン型アナログ信号レベル測定器
KR940005053U (ko) * 1992-08-28 1994-03-16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청소기의 통전 검사장치
KR19980027016U (ko) * 1996-11-14 1998-08-05 지경택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KR19990001713A (ko) * 1997-06-17 1999-01-15 윤종용 내전압 검사장치 및 자동 검사방법
JPH1189059A (ja) * 1997-09-02 1999-03-30 Erudore Corp 改良バスバーとそのための新規なトルク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715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049196A1 (de) Mobile Vorrichtung mit einer Einrichtung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und mit elektrischen Verbrauchen, die in einem mit der Einrichtung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verbundenen Energieverteilungsnetz angeordnet sind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CN1722336B (zh) 两个电器件固定装置的锁紧机构和具有该机构的电器件
KR100397226B1 (ko)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KR200253948Y1 (ko)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KR101577641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 장치 구조
CN212992771U (zh) 一种便于快速拆分电气柜
JP2968150B2 (ja) 母線接続装置
KR101542530B1 (ko)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CN111128578B (zh) 一种高压配电柜用的安全锁扣
KR100872144B1 (ko) 분배전반 보호용 전신주의 배전함
KR100835397B1 (ko) 록킹장치가 구비된 보호계전기
JP5064293B2 (ja) バイパスケーブル活線着脱工具
CN213754361U (zh) 一种带自保护功能的发电机控制面板总成
CN217378673U (zh) 一种变电检修用警示性强的警示装置
EP2421020B1 (en) Electrical fuse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CN218300743U (zh) 用于环网柜的接地锁合安全保护装置
CN219892788U (zh) 一种电气设备检修防护装置
CN212848249U (zh) 一种断路器防护锁装置
CN220300060U (zh) 一种电梯检修用锁紧机构
CN214590773U (zh) 一种用于电力调度的监控装置
CN214795148U (zh) 一种变电站电子围栏试验装置
CN220933981U (zh) 一种断路器的安装结构
CN213691954U (zh) 一种户外智能型跌落熔断器
CN212085259U (zh) 一种接地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