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198U -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198U
KR19980026198U KR2019960039058U KR19960039058U KR19980026198U KR 19980026198 U KR19980026198 U KR 19980026198U KR 2019960039058 U KR2019960039058 U KR 2019960039058U KR 19960039058 U KR19960039058 U KR 19960039058U KR 19980026198 U KR19980026198 U KR 199800261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stant
load
spring
rear whee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종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9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198U/ko
Publication of KR19980026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19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 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적재화물의 중량에 따라 현가장치의 스프링상수를 변화시켜 항상 균일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도록 메인스프링(21)의 양측과 차체(23) 사이에 유공압튜브(4)를 구비하고, 하중센서(1)부터 신호를 받아 유공압튜브(4)의 유공압양을 조절하는 실린더(3)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로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하므로서 적재화물의 중량변화에 따라 현가장치의 전체적인 스프링상수를 조절하므로 항상 최상의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화물의 중량이 변동되어도 차체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차체와 바퀴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서포트스프링을 삭제하므로 자동차가 경량화 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본 고안은 스프링 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적재화물의 중량에 따라 현가장치의 스프링상수를 변화시켜 항상 균일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스프링 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바퀴와 차체사이에 현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륜 현가장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도 1은 대형트럭과 같이 적재화물의 중량이 큰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하는 것으로 양단이 차체(23)에 힌지 결합된 메인스프링(21)과, 적재화물로 인하여 상기 메인스프링(21)이 압축되었을 때 차체(23)에 구비된 스프링지지부(24)에 의하여 양단이 지지되고 메인스프링(21)과 함께 차축(26)에 고정되는 서포트스프링(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스프링(21)과 서포트스프링(22)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쇽업소바(25) 축과 차체(23)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는 공차시와 같이 적재화물이 가벼울 때에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메인스프링(21)에만 적용한다.
그리고 적재화물의 중량이 증가하면 서포트스프링(22)의 양단이 차체(23)의 스프링지지부(24)에 지지되어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메인스프링(21)과 서포트스프링(22)에 동시에 작용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서포트스프링(22)은 적재화물의 중량이 일정하중 이상일 때만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일정하중 이하일 때에는 불필요한 구성품이다.
또한 적재화물의 중량이 일정하중 이상이어서 서포트스프링(22)의 양단이 스프링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때는 차체(23)의 중심이 낮은 상태여서 지면의 돌출물로 인하여 전달되는 충격이 클 경우 바퀴가 차체(23)에 접하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차체(23)와 타이어가 손상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재하중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현가장치의 스프링 상수를 변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후륜 현가장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중센서
2: 작동부
3: 실린더
4: 유공압튜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메인스프링의 양측과 차체 사이에 유공압튜브를 구비하고, 하중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공압튜브의 유공압양을 조절하는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가장치의 스프링상수를 적재화물의 중량에 비례하여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공압튜브(4)를 메인스프링(21)의 양측과 차체(23)에 고정된 지지부 사이에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공압튜브(4)에 적재화물의 중량에 따라 유공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재화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하중센서(1)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공압튜브(4)의 유공압양을 조절하여 유공압튜브(4)의 스프링상수를 조절하는 실린더(3)를 동작시키는 작동부(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2)는 유압모터로 구성된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메인스프링(21)과 차체(23)사이에 유공압튜브(4)를 구비한 본 고안을 제공하므로서 자동차가 화물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나 화물의 중량이 가벼울 때는 이를 하중센서(1)가 감지하여 작동부(2)에 신호를 보낸다.
하중센서(1)로부터 신호를 받은 작동부(2)는 실린더(3)를 동작시켜 유공압튜브(4)의 유공압을 감소시켜 유공압튜브(4)의 스프링 상수를 최소화한다.
그러므로 공차시에는 현가장치의 전체적인 스프링상수가 메인스프링(21)의 스프링상수만 작용하여 지면에서 차체(23)로 미세하게 전달되는 충격까지도 흡수한다.
그리고 적재화물의 중량이 증가하면 하중센서(1)가 이를 감지하여 작동부(2)에 신호를 보내어 실린더(3)를 동작시켜 유공압튜브(4)의 유공압을 조절하여 스프링상수를 증가시키므로 현가장치의 전체적인 스프링상수를 증가시켜 차체(23)의 높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적재화물의 중량에 알맞은 스프링상수를 유지하므로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승차감이 뛰어나다.
이상과 같이 적재화물의 중량변화에 따라 현가장치의 전체적인 스프링상수를 조절하므로 항상 최상의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화물의 중량이 변동되어도 차체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차체와 바퀴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서포트스프링을 삭제하므로 자동차가 경량화 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대형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스프링(21)의 양측과 차체(23) 사이에 유공압튜브(4)를 구비하고, 하중센서(1)부터 신호를 받아 유공압튜브(4)의 유공압양을 조절하는 실린더(3)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2)는 유압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KR2019960039058U 1996-11-08 1996-11-08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KR199800261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058U KR19980026198U (ko) 1996-11-08 1996-11-08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058U KR19980026198U (ko) 1996-11-08 1996-11-08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198U true KR19980026198U (ko) 1998-08-05

Family

ID=5398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058U KR19980026198U (ko) 1996-11-08 1996-11-08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1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283B1 (ko) * 2002-07-23 2004-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축식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283B1 (ko) * 2002-07-23 2004-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축식 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9728B1 (en) Active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7850195B2 (en) Tandem suspension for steerable axles
US5588665A (en)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lever arm
US4174855A (en) Wheeled vehicle axle suspension system
KR0185449B1 (ko) 상용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26198U (ko) 스프링상수 가변형 후륜 현가장치
JP2946856B2 (ja) 自動車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CA2583991C (en) Tandem suspension for steerable axles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20151B1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CA1080259A (en) Wheeled vehicle axle suspension system
JPH04300710A (ja) ストラットアッパマウント装置
KR100211571B1 (ko) 다이어프램을 갖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100192281B1 (ko) 대형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구조
KR19990004996A (ko) 캐빈 서스펜션 구조
KR19980022202A (ko) 차량의 차고 유지 장치
KR970000629A (ko) 자동차의 피칭 (pitching) 방지장치
KR19980016976U (ko) 차량의 수평유지용 현가장치
KR19980054331U (ko) 차축 현가 장치
KR20020036321A (ko) 상용차의 전륜 현가장치
KR19990031629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80049049A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