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329A -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329A
KR19980025329A KR1019980013226A KR19980013226A KR19980025329A KR 19980025329 A KR19980025329 A KR 19980025329A KR 1019980013226 A KR1019980013226 A KR 1019980013226A KR 19980013226 A KR19980013226 A KR 19980013226A KR 19980025329 A KR19980025329 A KR 1998002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vinyl
plastic bag
pieces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364B1 (ko
Inventor
박세준
Original Assignee
박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준 filed Critical 박세준
Priority to KR101998001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3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 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비닐봉투 투입장치(2)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의 상단에 개, 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잔밥투입장치(3)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의 직하방 벤츄리에 설치되는 정량공급장치(4)와; 상기한 정량공급장치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비닐봉투 절단장치(5)와;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 중에서 비닐조각만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송시키는 비닐제거장치(6) 및; 상기한 비닐제거장치의 상부롤러와 인접 설치되어서 비닐제거장치의 걸림고리에 걸리거나 비닐제거장치의 벨트면에 이송되는 비닐조각들을 털어서 탈리시키는 브러쉬롤러(7)와;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와 브러쉬롤러(7)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탈리된 비닐조각들을 이송콘베어(9)쪽으로 이송시키는 세목스크린(8)과; 상기한 비닐제거장치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중에서 협잡물만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10)과; 상기한 진동스크린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진동스크린을 통과한 선별된 음식물쓰레기들을 버켓콘베어쪽으로 유도하는 경사진 집하조(11)와; 상기한 집하조로 유도된 음식물쓰레기들의 재처리를 위하여 상향 이송시키는 버켓콘베어(12)들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는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 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면서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면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비닐조각과 각종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매립이나 소각되는 각종 음식물쓰레기와 분뇨의 자원을 재활용하여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쓰레기와 분뇨를 혼합 처리하여 퇴비화 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음, 식료회사나 단체 급식소, 또는 대형 식당등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쓰레기와, 분뇨탱크로부터 수거되는 인분이나 축분 등의 분뇨를 서로 혼합 처리하여서 유기질이 풍부한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오, 폐수를 자동으로 정화시키는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설치되어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협잡물들을 선별하고, 또한 이들 음식물쓰레기를 담은 비닐봉투를 절단 및 제거하여서 양질의 퇴비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폐비닐의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형태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산업화, 문명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대기나 토양, 수질의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산업쓰레기와 각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쓰레기들은 거의 대부분이 매립에 의존하고 있어서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토양의 오염과 침출수의 처리문제, 지역 토착민의 님비현상등으로 많은 사회적인 문제점을 낳고 있으며, 그나마 대단위 매립장의 포화상태로 인하여서 정부시책으로 각 시, 도마다 쓰레기소각장을 설치하고 있으나 쓰레기를 소각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에 의하여서 인체에 각종 암을 유발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각종 식품회사나 음료회사, 단체급식소, 대형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들은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최종적으로 건조시키면 유기질이 풍부한 퇴비로 충분히 재활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일반쓰레기와 함께 매립하는 경우가 허다하였고, 위와 같은 폐슬러지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발생하는 량에 따라서 대형의 건조 및 소각로를 각 단위 사업장마다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폐슬러지를 처리하는데 초기에 시설투자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오, 폐수로 인하여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그러므로 폐슬러지 발생량이 적은 중, 소규모의 음식물 회사나 대형 요식업소에서는 매일 발생되는 폐슬러지들을 일반쓰레기와 함께 섞어서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여서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차량으로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살펴보면 비닐봉투속에 음식물쓰레기와 각종 협잡물들이 포함되어 있고, 음식물쓰레기에는 다량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퇴비화시키는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고,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시키려면 먼저 비닐봉투와 협잡물들을 제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장실의 인분이나 각종 축사로부터 발생되는 축분등은 유기질이 풍부하여서 양질의 퇴비로 재활용할 수가 있으나 기존의 처리방식들은 분뇨처리를 전담하는 회사에서 분뇨 탱크로리로 수거하여서 기존의 설비된 오, 폐수정화시설을 통하여서 정화처리하므로 퇴비로 재활용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분뇨의 정화처리에 많은 량의 화공약품을 투입하므로써, 하천의 수질 오염과 분뇨처리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발명특허출원 제97-22853호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위와 같은 형태의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은 각종 업소나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쓰레기와 분뇨를 혼합처리하여서 퇴비화시키는 우수한 처리시스템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처리장치들이 결합되어서 하나의 처리시스템을 이루는 것으로써, 사용상 몇가지 보완하여야 할 사항이 발생하였다.
즉, 상기한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쓰레기수거자동차가 수거한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여서 비닐봉투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시키는 정량공급장치와, 상기 정량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비닐봉투절단장치와, 상기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들을 이송콘베어로 이송하면서 이송콘베어의 끝단에서 절단된 비닐봉투만을 제거하는 비닐제거장치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시키고, 원활한 미생물처리를 위해서는 처리시스템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중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담은 비닐봉투나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병종류나 병뚜껑 등의 각종 협잡물들을 필히 제거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들 해당부위 장치들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봉투나 병종류, 병뚜껑 등의 각종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으므로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나 사료화시키는데 문제점이 있었고, 처리된 음식물퇴비에 협잡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재활용이 불가능하여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재활용 할 수가 없으므로 땅에 매립하여서 환경오염을 가속화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발명특허출원 제97-52268호와 같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를 개발하였다.
위와 같은 형태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는 각종 업소나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쓰레기와, 이 음식물쓰레기를 담은 비닐봉투 및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 등의 이물질들을 선별하여 처리하는 우수한 처리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처리장치들이 결합되어서 하나의 처리시스템을 이루는 것이지만 실제로 처리시스템의 설치와 사용상에 몇가지 보완하여야 할 사항이 발생하였다.
즉, 비닐봉투 절단장치에서 절단된 비닐조각들과 음식물쓰레기가 이송콘베어를 타고 이송되면서 대각선으로 설치된 비닐제거장치상의 걸림고리에 의하여 절단된 비닐봉투 조각이 걸려서 함께 회전되고, 따라서 걸림고리에 걸려진 비닐봉투 조각들이 브러쉬롤러에 의하여 탈리되면서 직하방에 설치된 세목콘베어에 의하여 탈수되면서 이송콘베어로 낙하되어 소각장으로 이송되고;
선별된 협잡물들은 진동과 경사를 활용한 진동스크린에 의하여 분리되어 이송콘베어의 끝부분 직하방의 이송콘베어에 낙하되어 소각장치로 이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형태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는 이송콘베어 상단에서 대각선으로 회전하는 비닐제거장치의 걸림고리 사이 또는 이송콘베어의 바닥면에 붙은 비닐조각이 그대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흘러갈 수 있어서 절단된 비닐조각들을 완전히 분리시키는데 많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걸림고리의 끝부분이 송곳처럼 날카로워야 하지만 위와 같은 구조는 사용시 쉽게 마모되므로서, 걸림고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과, 회전력에 의한 협잡물의 충격에 따라 걸림고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는 기존의 개발된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쓰레기수거자동차가 수거한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여서 비닐봉투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와, 상기 정량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비닐봉투 절단장치와, 상기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조각들 중에서 절단된 비닐조각만을 제거하는 비닐제거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면서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면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비닐조각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는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비닐봉투 투입장치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의 상단에 개, 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잔밥투입장치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의 직하방 벤츄리에 설치되어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와; 상기한 정량공급장치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정량 공급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비닐봉투 절단장치와;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조각들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송시키면서 절단된 비닐조각만을 제거하는 비닐제거장치 및; 상기한 비닐제거장치의 상부롤러와 인접 설치되어서 비닐제거장치의 걸림고리에 걸리거나 비닐제거장치의 벨트면에 이송되는 비닐조각들을 털어서 탈리시키는 브러쉬롤러와; 상기한 비닐제거장치와 브러쉬롤러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탈리된 비닐조각들을 이송콘베어쪽으로 이송시키는 세목스크린과; 상기한 비닐제거장치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중에서 비닐조각이 분리된 음식물쓰레기들을 선별하여서 협잡물만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과; 상기한 진동스크린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진동스크린을 통과한 선별된 음식물쓰레기들을 버켓콘베어쪽으로 유도하는 경사진 집하조와; 상기한 집하조로 유도된 음식물쓰레기들의 재처리를 위하여 상향 이송시키는 버켓콘베어들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상기한 도 2 의 정량공급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 는 상기한 도 1 의 비닐봉투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 는 도 1 의 비닐봉투 절단장치와 비닐제거장치 및 진동스크린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2 : 비닐봉투 투입장치 3 : 잔밥투입장치
4 : 정량공급장치 5 : 비닐봉투 절단장치 6 : 비닐제거장치
7 : 브러쉬롤러 8 : 세목스크린 9 : 이송콘베어
10 : 진동스크린 11 : 집하조 12 : 버켓콘베어
13 : 케이싱 14, 15 : 회전롤러 16 : 임페라
17 : 스퍼기어 18 : 구동모터 19 : 격판
20 : 돌기 21 : 흡입구 22 : 모터
23 : 스퍼기어 24 : 축 25 : 큰 칼날
26 : 작은 칼날 27 : 개폐구 28 : 하부롤러
29 : 상부롤러 30 : 이송벨트 31 : 걸림고리
32 : 상단분사구 33 : 하단분사구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1 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를 표시하며; 상기한 음식물쓰레기와 협잡물제거장치(1)는 각종 비닐봉투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여서 비닐조각과 음식물쓰레기를 선별,처리하는 음식물처리장치와; 상기한 음식물처리장치와 인접 설치되고, 각종 분뇨를 투입하여서 선별,처리하는 분뇨처리장치와; 상기한 음식물처리장치와 분뇨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오, 폐수를 정화시키는 폐수정화장치와; 상기한 음식물처리장치와 분뇨처리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폐비닐이나 분뇨에서 선별된 각종 협잡물들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장치들로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처리시스템상에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와 협잡물제거장치(1)는 쓰레기수거자동차(A)가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서 투입하는 비닐봉투 투입장치(2)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2)의 상단에 개, 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잔밥투입장치(3)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2)의 직하방 벤츄리에 설치되어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4) 및; 상기한 정량공급장치(4)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정량 공급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비닐봉투 절단장치(5)와;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조각들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송시키면서 절단된 비닐조각만을 제거하는 비닐제거장치(6)와;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의 상부롤러와 인접 설치되어서 비닐제거장치(6)의 걸림고리에 걸리거나 비닐제거장치(6)의 이송벨트에 무작위로 이송되는 비닐조각들을 털어서 탈리시키는 브러쉬롤러(7)와;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와 브러쉬롤러(7)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탈리된 비닐조각들을 이송콘베어(9)쪽으로 이송시키는 세목스크린(8)과;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중에서 협잡물만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10)과; 상기한 진동스크린(10)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진동스크린(10)을 통과한 선별된 음식물쓰레기들을 후술하는 버켓콘베어(12)쪽으로 유도하는 경사진 집하조(11)와; 상기한 집하조(11)로 유도된 음식물쓰레기들의 재처리를 위하여 상향 이송시키는 버켓콘베어(12)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비닐통부 투입장치(2)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수거자동차(A)가 수거한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키는 것이고, 상기한 잔밥투입장치(3)는 대형용기에 담겨진 수거된 잔밥을 한꺼번에 투입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2)와 잔밥투입장치(3)는 호퍼의 상단에 개, 폐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2)의 직하방 벤츄리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3 에서,
상기한 정량공급장치(4)는 두 개의 칸으로 구획된 케이싱(13)과, 상기한 케이싱(13)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회전롤러(14, 15)와, 상기한 회전롤러(14,15)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다수의 임페라(16)들과, 상기한 회전롤러(14,15)들의 축을 구동하는 다수의 스퍼기어(17)와, 상기한 스퍼기어(17)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싱(13)은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격판(19)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회전롤러(14,15)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임페라(16)의 구성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페라(16)의 외부면에 다수의 돌기(20)를 형성하여서 음식물쓰레기를 담은 비닐봉투들을 보다 확실히 파지하여서 직하방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정량공급장치(4)의 케이싱(13)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3)의 상단부가 벤츄리보다 큰 만곡면으로 된 흡입구(21)를 형성하여서 케이싱(13)의 상단과 회전롤러(14,15)의 임페라(16) 사이에 비닐봉투가 끼어서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비닐봉투 절단장치(5)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2)와 스퍼기어(23)로 구동되는 축(24)상에 직경이 큰 칼날(25)과 직경이 작은 칼날(26)을 교호로 형성하고, 상기한 칼날(25,26)들의 앞쪽에는 개폐구(27)를 형성하여서 상기한 칼날(25,26)들과 개폐구(27) 사이에 협잡물이 통과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칼날(25,26)들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고장시 칼날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한 칼날(25,26)들의 형상은 십자형이나 일자형 또는 톱날과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비닐봉투 절단장치(5)는 상기한 정량공급장치(4)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정량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일정한 길이로 예컨데, 40∼50 mm 씩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음식물쓰레기의 협잡물들의 규격은 술병과 같은 경우에는 직경이 80mm 내외로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협잡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칼날의 마모나 파손도 방지해야 하므로 절단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병종류들이 밀려서 이들 칼날들의 사이를 통과하여 밑으로 떨어지도록 하고, 또한 칼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도 1, 5 에서,
상기한 비닐봉투 절단장치(5)의 직하방에는 절단된 음식물쓰레기가 자연낙하되고, 물 분사구들을 통하여 진동스크린으로 이송하고, 비닐봉투 조각은 경사지게 상향 이송하여서 제거하는 비닐제거장치(6)를 일정각도 예컨데, 45°정도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는 비닐봉투 절단장치(5)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하부롤러(28)와, 상기한 하부롤러(28) 보다 경사진 윗쪽에 설치되어서 모터로 구동되는 상부롤러(29)와, 상기한 상, 하부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회전하는 이송벨트(30)와, 상기한 이송벨트(30)상에 다열 종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걸림고리(31)와, 상기한 상부롤러(29)와 인접 설치되어서 상기한 걸림고리(31)에 걸려 올려진 비닐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상단분사구(32)와, 상기한 이송벨트(30)의 중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걸림고리(31)에 걸려 올려진 비닐조각과 음식물쓰레기들을 세척하는 하단분사구(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이송벨트(30)의 재질은 고무와 합성섬유를 직조하여 된 신축성이 강한 벨트로서, 이들 이송벨트(30)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열 종대로 된 걸림고리(31)를 착탈 가능하도록 배열 고정하며, 이들은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가스에 부식되지 않는 재질이나 또는, 코팅이나 피막처리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이송벨트(3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걸림고리(31)는 이송벨트(30)를 따라서 상, 하부롤러(28,29)상에 회전하면서 이송벨트(30)상에서 이송되어 오는 음식물쓰레기의 비닐조각을 찍거나 걸어 올려서 상단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단분사구(32)와, 하단분사구(33)에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서 이송벨트(30) 면이나 걸림고리(31)에 걸려진 비닐조각과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하는 작업이 이루어 진다.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는 경사각도를 크게 하거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비닐조각만을 제외한 모든 음식물쓰레기는 미끄러져서 직하방에 있는 진동스크린(10)으로 자연낙하 되고,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상에 있는 음식물쓰레기와 비닐조각들의 미끄러짐과 낙하를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하단에서 하단분사구(33)로 물줄기를 쏘아 주도록 하였고, 상단에 설치된 상단분사구(32)로 비닐조각의 이면을 세척하는 효과와 일자형 걸림고리(31)에 걸려진 비닐조각을 분리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는 설치되는 장소의 경사각도와 여건에 따라서 본인의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97-52268호와 같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의 이송콘베어상에 설치하여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는 설치되는 장소와 여건에 따라서 비닐제거장치(6)의 경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장소에서는 본 발명의 진동스크린(10) 대신에 별도의 이송콘베어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콘베어의 우측 끝단에 본 발명의 비닐제거장치(6)를 설치하여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비닐조각만을 찍어 올려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는 상기한 비닐봉투와 음식물쓰레기 및 협잡물을 분리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비닐의 붙어있는 음식물쓰레기를 깨끗이 세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비닐조각만을 별도로 이송하는 콘베어을 설치하면 비닐조각들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브러쉬롤러(7)는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의 상부롤러(29)와 인접 설치되어서 비닐제거장치(6)의 걸림고리(31)에 걸리거나 비닐제거장치(6)의 이송벨트(30)면에 무작위로 이송되는 비닐조각들을 털어서 탈리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와 브러쉬롤러(7)의 직하방에는 탈리된 비닐조각들을 이송콘베어(9)쪽으로 이송시키는 세목스크린(8)을 선택적으로 설치하며;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의 하부롤러(28)의 직하방에는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중에서 비닐조각이 분리된 음식물쓰레기들을 선별하여서 협잡물들 만을 선별하여서 이송콘베어(9)쪽으로 진동스크린(10)을 설치하였다.
상기한 진동스크린(10)은 낙하된 음식물쓰레기와 협잡물들은 진동에 의하여 일정규모 이하의 크기로 된 음식물쓰레기는 진동스크린(10)의 진동에 의하여 직하방에 설치된 집하조(11)에 낙하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병이나 신발짝, 플라스틱용기, 식기, 수저 등의 협잡물은 진동스크린(10)을 타고 흘러서 끝부분의 직하방에 있는 소각처리장으로 가는 이송콘베어(9)로 낙하되어 소각장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진동스크린(10)의 직하방에는 상기 진동스크린(10)을 통과한 선별된 음식물쓰레기들을 버켓콘베어(12)쪽으로 유도하는 경사진 집하조(11)를 설치하며; 상기한 집하조(11)로 유도된 음식물쓰레기들은 각종 처리장치를 통하여 재처리 할 수 있도록 상향 이송시키는 버켓콘베어(12)를 설치하고;
상기한 이송콘베어(9)에 모여진 각종 협잡물과 비닐조각들은 소각장치(도시안됨)에서 소각처리되거나 별도의 선별장치를 통하여 비닐조각만을 선별하여서 재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브러쉬롤러(7)는 이송벨트(30)의 회전속도 보다 브러쉬롤러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서 일자형 걸림고리(31)에 잔류하는 비닐조각을 쳐내거나 비닐조각이 브러쉬롤러(7)에 감기지 않도록 직경의 크기를 조절하면 되고, 이와 같은 장치에서 분리된 폐비닐은 깨끗이 세척되어 재활용이나 소각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1)는 소각장으로 가는 이송콘베어(9)가 지하에 설치되고, 소각장치나 비닐 및 협잡물 집하장은 지상에 설치되므로서, 비닐이나 협잡물 이송콘베어(9)의 경사각도를 이용하면 비닐에 있던 수분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목스크린(8)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1)는 쓰레기수거자동차(A)가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본 발명의 비닐봉투 투입장치(2)와, 잔밥투입장치(3)에 투입하고,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공급장치(4)에 의하여 일정량 만큼씩 직하방으로 공급하며, 상기 정량공급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를 비닐봉투 절단장치(5)에서 일정한 길이와 형태로 절단시킨 다음,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들 중에서 비닐조각은 비닐제거장치(6)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들 중에서 음식물쓰레기는 진동스크린(8)에서 분리시키며,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와 진동스크린(8)에서 분리된 비닐조각과 협잡물들을 이송콘베어(9)로 이송하여서 재처리 하고, 상기한 진동스크린(8)에서 분리된 음식물쓰레기는 직하방의 집하조(11)를 통하여 버켓콘베어(12)로 이송하여서 각종 처리장치를 통하여 재처리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항상 일정한 량 만큼의 음식물쓰레기를 직하방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할 수가 있게 되고,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중에서 폐비닐조각과 각종 협잡물만을 선별하여서 재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1)는 각종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폐비닐이나 각종 협잡물들을 선별하여서 음식물슬러지들은 재처리장치를 통하여 재처리 하고, 폐비닐이나 각종 협잡물들은 이송콘베어로 이송하여 소각장치에서 완벽히 소각 처리하거나 별도의 선별장치를 통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므로서, 음식물쓰레기와 분뇨로부터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제거하고, 매립이나 소각되는 각종 음식물쓰레기와 분뇨의 자원을 재활용하여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1)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여서 음식물쓰레기를 담은 폐비닐이나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들을 선별하여서 소각 처리하므로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비닐조각들을 완벽히 분리시킬 수 있고, 이송콘베어(9)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의 갈구리 형태의 걸림고리 대신에 일자형의 걸림고리(31)를 사용하므로서 걸림고리(31)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장소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인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음식물쓰레기의 매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사회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음식물쓰레기와 분뇨를 함께 처리하여서 발효를 촉진시켜서 유기질이 풍부한 양질의 퇴비로 재활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음식물쓰레기와 분뇨를 퇴비화 시킬 때 발생하는 오, 폐수를 허용기준치에 적합하게 정화 처리할 수가 있고, 음식물쓰레기와 분뇨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폐비닐과 각종 협잡물들을 완벽히 제거하여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제반 특,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비닐봉투에 담겨진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비닐봉투 투입장치(2)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2)의 상단에 개, 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잔밥투입장치(3)와; 상기한 비닐봉투 투입장치(2)의 직하방 벤츄리에 설치되어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4)와; 상기한 정량공급장치(4)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정량 공급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비닐봉투 절단장치(5)와;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비닐봉투들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송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는 역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절단된 비닐조각만을 걸림고리로 걸어서 제거하는 비닐제거장치(6) 및;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의 상부롤러와 인접 설치되어서 비닐제거장치(6)상에 이송되는 비닐조각들을 털어서 탈리시키는 브러쉬롤러(7)와;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와 브러쉬롤러(7)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탈리된 비닐조각들을 이송콘베어(9)쪽으로 이송시키는 세목스크린(8)과;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절단된 음식물쓰레기 중에서 협잡물만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10)과; 상기한 진동스크린(10)의 직하방에 설치되어서 진동스크린(10)을 통과한 선별된 음식물쓰레기들을 버켓콘베어(12)쪽으로 유도하는 경사진 집하조(11)와; 상기한 집하조(11)로 유도된 음식물쓰레기를 다음공정에서 처리하도록 상향 이송시키는 버켓콘베어(12)들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량공급장치(4)는 두 개의 칸으로 구획된 케이싱(13)과, 상기한 케이싱(13)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음식물쓰레기를 정량 공급하는 회전롤러(14, 15)들과, 상기한 회전롤러(14,15)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다수의 임페라(16)들과, 상기한 회전롤러(14,15)들의 축을 구동하는 다수의 스퍼기어(17)와, 상기한 스퍼기어(17)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로 구성되고;
    상기한 회전롤러(14,15)상에 설치된 임페라(16)의 외부면에 다수의 돌기(20)를 형성하여서 음식물쓰레기를 담은 비닐봉투를 파지하여서 직하방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정량공급장치(4)의 케이싱(13)은 상단부에 벤츄리보다 큰 만곡면의 흡입구(21)를 형성하여서 케이싱(13)의 상단과 회전롤러(14,15)의 임페라(16) 사이에 비닐봉투가 끼여서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특징인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닐봉투 절단장치(5)는 모터(22)와 스퍼기어(23)로 구동되는 축(24)상에 직경이 큰 칼날(25)과 직경이 작은 칼날(26)을 교호로 형성하고, 상기한 칼날(25,26)들의 앞쪽에는 개폐구(27)를 형성하여서 상기한 칼날(25,26)들과 개폐구(27) 사이에 협잡물이 통과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칼날(25,26)들은 십자형이나 일자형 또는 톱날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닐제거장치(6)는 비닐봉투 절단장치(5)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하부롤러(28)와, 상기한 하부롤러(28) 보다 경사진 윗쪽에 설치되어서 모터로 구동되는 상부롤러(29)와, 상기한 상, 하부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회전되는 이송벨트(30)와, 상기한 이송벨트(30)상에 다열 종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걸림고리(31)와, 상기한 상부롤러(29)와 인접 설치되어서 상기한 걸림고리(31)에 걸려 올려진 비닐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상단분사구(32)와, 상기한 이송벨트(30)의 중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걸림고리(31)에 걸려 올려진 비닐조각과 음식물쓰레기들을 세척하는 하단분사구(33)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19980013226A 1998-04-14 1998-04-14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026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226A KR100263364B1 (ko) 1998-04-14 1998-04-14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226A KR100263364B1 (ko) 1998-04-14 1998-04-14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329A true KR19980025329A (ko) 1998-07-06
KR100263364B1 KR100263364B1 (ko) 2000-08-01

Family

ID=1953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226A KR100263364B1 (ko) 1998-04-14 1998-04-14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3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302A (ko) * 2001-07-06 2001-08-22 홍순걸 음식물 찌꺼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20009161A (ko) * 2000-07-25 2002-02-01 이상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KR100352002B1 (ko) * 2000-06-28 2002-09-11 박세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및 협잡물 제거장치
KR20030041376A (ko) * 2001-11-19 2003-05-27 (주)청강벤처 업소용 음식물쓰레기 오수분리 감량 처리장치
KR100418742B1 (ko) * 2001-11-05 2004-02-18 오세헌 음식물쓰레기중 철금속 및 비닐 선별장치
KR100760395B1 (ko) * 2007-04-12 2007-09-19 주식회사 포스벨 음식물쓰레기 분리기
CN113864787A (zh) * 2021-09-24 2021-12-31 河南中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生活垃圾热源多级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362B1 (ko) * 1999-08-07 2001-09-22 나경덕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352003B1 (ko) * 2000-06-28 2002-09-11 박세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제거장치
KR100396018B1 (ko) * 2001-06-28 2003-08-25 고장길 폐기물 수용봉투 파대기
KR100674009B1 (ko) * 2006-10-17 2007-01-24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00025B1 (ko) 2007-06-27 2009-06-01 엔백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효율을향상시키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KR101010679B1 (ko) * 2009-02-27 2011-01-24 이상웅 로터리필터 및 이 로터리필터가 적용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1068092B1 (ko) 2011-07-11 2011-09-27 정문식 음식물 쓰레기 비닐봉투 자동 분리기
KR200470474Y1 (ko) 2013-09-11 2013-12-20 석영민 음식물 쓰레기 비닐봉투 자동 분리기
KR102103480B1 (ko) 2019-03-29 2020-04-22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002B1 (ko) * 2000-06-28 2002-09-11 박세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및 협잡물 제거장치
KR20020009161A (ko) * 2000-07-25 2002-02-01 이상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KR20010079302A (ko) * 2001-07-06 2001-08-22 홍순걸 음식물 찌꺼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418742B1 (ko) * 2001-11-05 2004-02-18 오세헌 음식물쓰레기중 철금속 및 비닐 선별장치
KR20030041376A (ko) * 2001-11-19 2003-05-27 (주)청강벤처 업소용 음식물쓰레기 오수분리 감량 처리장치
KR100760395B1 (ko) * 2007-04-12 2007-09-19 주식회사 포스벨 음식물쓰레기 분리기
CN113864787A (zh) * 2021-09-24 2021-12-31 河南中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生活垃圾热源多级处理装置
CN113864787B (zh) * 2021-09-24 2023-11-07 河南中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生活垃圾热源多级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364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364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1128249B1 (ko) 쓰레기봉투 피어싱 및 쓰레기 분류 장치
KR20170010837A (ko) 폐기물 혼합물의 분리 및 퇴비화를 포함한, 상기 혼합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설
KR101850975B1 (ko) 이물질 선별 및 분진 배출방지 기능을 구비한 퇴비선별시스템
JP2001104931A (ja) 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KR100214880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0479527B1 (ko)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100258431B1 (ko)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의 퇴비화 시스템(system for making sastes of night soil and foostusfs into fertilizer)
KR100215585B1 (ko)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 시키는 처리시스템
CN2336865Y (zh) 生活垃圾湿式破碎水选装置
JP2003291144A (ja) 廃petボトルの再生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100366222B1 (ko) 쓰레기 선별효율 증진을 위한 칼날이 장착된 회전 드럼형 장치
KR20030013889A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CN110549516A (zh) 一种回收的中空日化包装瓶的自动分解及材质分选系统
KR200222015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장치
KR100352002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및 협잡물 제거장치
KR200255183Y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CN203725485U (zh) 一种有机混合物预分类系统
JP2002282831A (ja) 生ゴミ等混合物の異質混入物分離装置
KR100352003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제거장치
CN103817139B (zh) 一种有机混合物预分类系统
KR2001002761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240236Y1 (ko) 쓰레기 선별장치
CN114833175B (zh) 一种生活垃圾分选装置
KR102138929B1 (ko) 폐비닐 재활용을 위한 유기물 제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