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480B1 -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480B1
KR102103480B1 KR1020190036867A KR20190036867A KR102103480B1 KR 102103480 B1 KR102103480 B1 KR 102103480B1 KR 1020190036867 A KR1020190036867 A KR 1020190036867A KR 20190036867 A KR20190036867 A KR 20190036867A KR 102103480 B1 KR102103480 B1 KR 10210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ron
chain
hopper
pair
apr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3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2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7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9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oad-carrying surfaces using platforms or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를 갖고, 하면을 개방면으로 하며, 상기 포장봉투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일측면에 갖는 호퍼; 및 상기 개방면의 하부에서 무한회전을 하면서 운반 진행 및 회귀 진행을 번갈아 수행하고, 상기 운반 진행 시에는 호퍼 내 포장봉투를 이끌고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되 수평 방향으로 이끌다가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이끌며, 상기 운반 진행에서 상기 회귀 진행으로 변경될 때 상기 포장봉투가 낙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에이프런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에이프런 컨베이어는, 서로 평행한 자세로 떨어져 위치하는 한 쌍의 외측 체인; 상기 외측 체인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한 쌍의 외측 체인에 결합된 양단을 갖는 복수의 에이프런 판; 및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운반 진행 시에 상부로 돌출한 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에이프런 판에 마련된 받침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STE QUANTITATIVELY}
본 발명은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를 호퍼로부터 후속 처리를 위한 장치로 정량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생긴 각종 폐기물은 일반적으로 종량제 비닐봉투와 같은 포장봉투에 담겨 버려지고 있다. 그리고 폐기물이 담진 포장봉투는 차량에 의해 수거되어 별도의 폐기물 처리장소로 이동되고, 이후, 파쇄를 비롯한 여러 후속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매립되거나 소각되거나 보일러 등과 같은 장치의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
폐기물 처리장소로 이동된 포장봉투는 가장 먼저 호퍼로 투입되고, 이후 호퍼로부터 후속 처리를 위한 장치로 공급되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 제10-0774992호(쓰레기 봉투 파봉 정량공급기)에서는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호퍼에 투입된 후 컨베이어에 의해 파쇄 장치로 공급된다. 또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1534145호(파봉 장치)에서는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호퍼에 투입된 후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선별 장치(폐기물과 포장봉투를 선별하기 위한 것)로 공급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214880호(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트와 협잡물제거장치) 및 등록특허 제10-0263364호(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트와 협잡물제거장치)에서는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호퍼에 투입된 후 정량공급장치를 거쳐 절단장치로 공급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774992호(쓰레기 봉투 파봉 정량공급기) 등록특허 제10-1534145호(파봉 장치) 등록특허 제10-0214880호(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트와 협잡물제거장치) 등록특허 제10-0263364호(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트와 협잡물제거장치)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폐기물 처리 장소에 설치된 호퍼에 투입된 후 위 호퍼로부터 후속 처리 장치로 공급될 때에는 정량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후속 처리 장치가 포장봉투의 과다 유입으로 인해 정지해 버리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아예 고장나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를 호퍼로부터 후속 처리 장치로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를 갖고, 하면을 개방면으로 하며, 상기 포장봉투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일측면에 갖는 호퍼; 및 상기 개방면의 하부에서 무한회전을 하면서 운반 진행 및 회귀 진행을 번갈아 수행하고, 상기 운반 진행 시에는 호퍼 내 포장봉투를 이끌고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되 수평 방향으로 이끌다가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이끌며, 상기 운반 진행에서 상기 회귀 진행으로 변경될 때 상기 포장봉투가 낙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에이프런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에이프런 컨베이어는, 서로 평행한 자세로 떨어져 위치하는 한 쌍의 외측 체인; 상기 외측 체인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한 쌍의 외측 체인에 결합된 양단을 갖는 복수의 에이프런 판; 및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운반 진행 시에 상부로 돌출한 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에이프런 판에 마련된 받침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외측 체인의 이격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이프런 판의 일단 및 이 일단으로부터 상기 외측 체인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된 에이프런 판의 반대단에는 원호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외측 체인의 이격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호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두 에이프런 판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마련된 원호부와 나머지 하나의 반대단에 마련된 원호부는 서로 겹치게 위치한다.
상기 에이프런 판의 일단에 마련된 원호부는 그 에이프런 판의 반대단에 마련된 원호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이프런 컨베이어는, 상기 외측 체인과 평행한 자세로 상기 한 쌍의 외측 체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각 에이프런 판과 결합한 내측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호퍼 내부로부터 후속 장치(파쇄기, 이송컨베이어 등)로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측 체인이 무한회전을 하는 동안 서로 이웃한 에이프런 판 간에 항상 틈이 없는 상태가 유지되고, 그러면서도 에이프런 판들은 외측 체인과 함께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에이프런 판을 동일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편리함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이프런 판 중앙부위의 처짐 없이 에이프런 판의 좌우 폭을 원하는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좌측 체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좌측을 후방, 우측을 전방으로 하고, 후방에서 잔방을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을 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0)와,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er)(130)를 포함한다.
위 호퍼(110)는 앞면(116a), 이 앞면(116a)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뒷면(116b), 앞뒷면(116a, 116b)의 좌단을 연결하는 좌측면(116c) 및 앞뒷면(116a, 116b)의 우단을 연결하는 우측면(미도시)을 네 측면으로 한다. 그리고 호퍼(110)는 상단에 투입구(112)를 갖는데, 이 투입구(112)로는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미도시)가 투입된다. 또한, 호퍼(110)의 하면(118)은 개방면으로 이루어진다.
호퍼(110)의 앞면(116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직립한 수직 부위와, 이 수직 부위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위를 향하는 상향 경사 부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향 경사 부위의 앞단에는 포장봉투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4)가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호퍼(110)의 앞면(116a)은 위와 달리 상향 경사 부위 없이 수직 부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배출구(114)가 수직 부위의 하단에 마련된다.
위 에이프런 컨베이어(130)는 호퍼(110)의 개방면(118) 아래에 설치되어 호퍼(110) 내 포장봉투를 후속 장치(예컨대, 파쇄기, 이송컨베이어 등)로 정량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측 체인(132a, 132b), 복수의 에이프런 판(136) 및 복수의 받침판(138)을 포함한다.
위 한 쌍의 외측 체인(132a, 132b)은 서로 평행한 자세를 취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여 동시에 무한회전을 하는 왼쪽 외측 체인(132a) 및 오른쪽 외측 체인(132b)으로 구성된다.
왼쪽 외측 체인(132a)은 호퍼(110)의 좌측면(116c) 아래에 위치하되, 좌측면(116c)보다 약간 더 왼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왼쪽 외측 체인(132a)은 좌측 체인 커버(150)로 덮여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위 좌측 체인 커버(150)는 호퍼(110)의 좌측면(116c)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좌측 체인 커버(150)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는 수평 부위와, 이 수평 부위로부터 전방으로 가면서 위를 향하는 상향 경사 부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평 부위에서 상향 경사 부위로 전환되는 좌측 체인 커버(150)의 부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태의 상하측 가이더(152, 154)가 마련되어 있다.
왼쪽 외측 체인(132a)은 위 좌측 체인 커버(150)의 수평 부위를 따라 전진하다가 위 상측 가이더(152)와 접촉한 후 좌측 체인 커버(150)의 상향 경사 부위를 따라 전진한다. 이후, 왼쪽 외측 체인(132a)은 좌측 체인 커버(150)의 상향 경사 부위를 따라 후진하다가 위 하측 가이더(152)와 접촉한 후 좌측 체인 커버(150)의 수평 부위를 따라 후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외측 체인(132a)과 접촉하는 상하측 가이더(152)의 하면에는 왼쪽 외측 체인(132a)이 삽입되기 위한 홈(1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왼쪽 외측 체인(132a)의 전후진은 홈(156) 내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홈(156) 내에서 제한되어, 왼쪽 외측 체인(132a)의 전후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측 가이더(152)의 하면은 위 홈(156) 없이 매끈하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오른쪽 외측 체인(132b)은 호퍼(110)의 우측면(미도시) 아래에 위치하되, 우측면보다 약간 더 우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오른쪽 외측 체인(132b)은 우측 체인 커버(미도시)로 덮여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위 우측 체인 커버는 호퍼(110)의 우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체인 커버는 좌측 체인 커버(15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에 오른쪽 외측 체인(132b)은 왼쪽 외측 체인(132a)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호퍼(110)의 배출구(114) 아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44a)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축(144a)의 좌우단은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100)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되어 있고, 위 좌우단 중 어느 하나는 위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144a)에는 한 쌍의 구동 스프로켓(142a)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중 하나(142a)에는 왼쪽 외측 체인(132a)이 걸리고, 나머지(142a)에는 오른쪽 외측 체인(132b)이 걸린다. 따라서 구동 모터가 작동하면 구동축(144a)과 함께 두 구동 스프로켓(142a)이 회전하고, 그러면 두 외측 체인(132a, 132b)이 동시에 도 1에서처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호퍼(110)의 뒷면(116b) 아래에는 종동축(144b)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이 종동축(144b)의 좌우단은 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축(144b)에는 한 쌍의 종동 스프로켓(142b)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중 하나(142b)에는 왼쪽 외측 체인(132a)이 걸려 있고, 나머지(142b)에는 오른쪽 외측 체인(132b)이 걸려 있다.
상기 에이프런 판들(136)은 외측 체인(132a, 132b)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외측 체인(132a, 132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좌우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왼쪽 외측 체인(132a)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의 연결편(134)이 마련되는데, 이 연결편(134)은 에이프런 판(136)의 좌단과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외측 체인(132a)에도 "ㄱ"자 형태의 연결편(134)이 마련되고, 이 연결편(134)은 에이프런 판(136)의 우단과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다.
위 받침판(138)은 에이프런 판(136)의 좌우 폭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면서 에이프런 판(13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받침판(138)은 에이프런 판(136)과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도 2에는 받침판(138)이 일자형 단면을 가지면서 좌우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위 나사 결합의 용이함을 위해 "ㄴ"자형 단면을 가지면서 좌우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이러한 받침판(138)은 에이프런 판(136)이 체인 커버(150)의 수평 부위를 따라 전진할 때 위쪽으로 돌출한 자세를 취하면서 호퍼(110) 내 포장봉투를 전방으로 이끈다. 그리고 받침판(138)은 에이프런 판(138)이 체인 커버(150)의 상향 경사 부위를 따라 전진할 때 위 포장봉투를 받쳐준다.
이상과 같은 에이프런 컨베이어(130)는, 한 쌍의 구동 스프로켓(142a)이 구동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회전할 때, 호퍼(110) 개방면(118)의 하부에서 일정한 방향(도 1의 시계 방향)으로 무한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무한회전 시, 에이프런 컨베이어(130)는 운반 진행 및 회귀 진행을 번갈아 수행한다.
여기서, 운반 진행은 종동 스프로켓(142b)으로부터 구동 스프로켓(142a) 쪽으로의 전진을 의미하고, 회귀 진행은 이와 반대로 구동 스프로켓(142a)으로부터 종동 스프로켓(142b) 쪽으로의 후진을 의미한다.
운반 진행 시, 호퍼(110) 내 포장봉투는 받침판(13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끌리다가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이끌리고, 이후 구동 스프로켓(142a)에서 운반 진행이 회귀 진행으로 바뀔 때 아래로 낙하하여 후속 장치(예컨대, 파쇄기, 이송컨베이어 등)로 공급된다. 그런데 위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이끌리는 포장봉투는 받침판(138)에 걸린 것에 한하므로(걸리지 못한 포장봉투는 후방으로 다시 굴러 내려옴), 포장봉투는 후속 장치로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각 에이프런 판(136)의 앞단에는 전방 원호부(136a)가, 뒷단에는 후방 원호부(136b)가 형성된다. 위 원호부(136a, 136b)는 원호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두 에이프런 판(136) 중 앞쪽 에이프런 판(136)의 후방 원호부(136b)와 뒷쪽 에이프런 판(136)의 전방 원호부(136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외측 체인(132a, 132b)이 무한회전을 하는 동안 서로 이웃한 에이프런 판(136) 간에는 항상 틈이 없는 상태가 유지되고, 그러면서도 서로 이웃한 에이프런 판(136) 간 각도 조절이 자유로와 에이프런 판들(136)은 외측 체인(132a, 132b)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곳에서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위 전후방 원호부(136a)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원호부(136b)는 전방 원호부(136a)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뒷쪽 에이프런 판(136)의 전방 원호부(136b)가 앞쪽 에이프런 판(136)의 후방 원호부(136b)를 덮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위와 반대로 전방 원호부(136a)가 후방 원호부(136b)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앞쪽 에이프런 판(136)의 후방 원호부(136b)가 뒷쪽 에이프런 판(136)의 전방 원호부(136a)를 덮게 된다.
위와 같이 전후방 원호부(136a)의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모든 에이프런 판(136)을 동일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위 전후방 원호부(136a, 136b)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되, 앞쪽 에이프런 판(136)의 전후방 원호부(136a, 136b)보다 뒷쪽 에이프런 판(136)의 전후방 원호부(136a, 136b)부를 더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앞쪽 에이프런 판(136)과 뒷쪽 에이프런 판(136)을 다르게 제조한 후 서로 번갈아가며 배열하여야 하는 약간의 불편함이 있기는 하나, 외측 체인(132a, 132b)이 무한회전을 하는 동안 서로 이웃한 에이프런 판(136) 간에 항상 틈이 없는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에이프런 판들(136)이 외측 체인(132a, 132b)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곳에서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는 그대로 누릴 수 있다.
한편, 에이프런 컨베이어(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내측 체인(13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체인들(132c)은 한 쌍의 외측 체인(132a, 132b)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내측 체인들(132c)에도 외측 체인들(132a, 132b)에서와 마찬가지로 "ㄱ"자 형태의 연결편(134)이 마련되는데, 이 연결편(134)은 에이프런 판(136)과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다. 따라서 내측 체인들(132c)은 외측 체인들(132a, 132b)과 평행한 자세를 취하면서 외측 체인들(132a, 132b)과 함께 진행하게 된다. 내측 체인들(132c)이 추가로 마련될 경우에는, 구동축(144a)에 내측 체인들(132c)이 감기기 위한 한 쌍의 구동 스프로켓(142a)이 더 마련되고, 종동축(144b)에도 내측 체인들(132c)이 감기기 위한 한 쌍의 종동 스프로켓(142b)이 더 마련된다.
이와 같은 내측 체인들(132c)은 에이프런 판(136)의 중앙 부위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에이프런 판(136)의 좌우 폭을 원하는만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발휘된다. 즉, 외측 체인들(132a, 132b)만을 둔 상태에서 에이프런 판(136)의 좌우 폭을 늘리면 에이프런 판(136)의 자중 및 보장봉투의 무게로 인해 에이프런 판(136)의 중앙부위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내측 체인(132c)까지 추가로 마련되면 이러한 현상이 없이 에이프런 판(136)의 좌우 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에이프런 판(136)의 좌우 폭을 늘리면 호퍼(110)의 좌측면(116c)과 우측면(미도시) 간 거리도 늘릴 수 있으므로, 결국,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100)의 처리 용량 증가를 꾀할 수 있다.
앞서서는 2개의 내측 체인(132c)이 마련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내측 체인(132c)의 개수는 에이프런 판(136)의 좌우 폭 설계에 따라 2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110 : 호퍼
112 : 투입구 114 : 배출구
116a, 116b, 116c : 측면 118 : 하면(개방면)
130 : 에이프런 컨베이어 132a, 132b : 외측 체인
132c : 내측 체인 134 : 연결편
136 : 에이프런 판 136a, 136b : 원호부
138 : 받침판 142a : 구동 스프로켓
142b : 종동 스프로켓 144a : 구동축
144b : 종동축 150 : 체인 커버
152, 154 : 가이더 156 : 홈

Claims (4)

  1. 폐기물이 담긴 포장봉투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를 갖고, 하면을 개방면으로 하며, 상기 포장봉투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일측면에 갖는 호퍼; 및
    상기 개방면의 하부에서 무한회전을 하면서 운반 진행 및 회귀 진행을 번갈아 수행하고, 상기 운반 진행 시에는 호퍼 내 포장봉투를 이끌고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되 수평 방향으로 이끌다가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이끌며, 상기 운반 진행에서 상기 회귀 진행으로 변경될 때 상기 포장봉투가 낙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에이프런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에이프런 컨베이어는,
    서로 평행한 자세로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호퍼에 결합된 한 쌍의 체인 커버로 각각 덮여 있으며, 상기 운반 진행 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체인 커버에 마련된 상측 가이더와 접촉한 후 상기 상향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외측 체인;
    상기 외측 체인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한 쌍의 외측 체인에 결합된 양단을 갖는 복수의 에이프런 판;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운반 진행 시에 상부로 돌출한 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에이프런 판에 마련된 받침판; 및
    상기 외측 체인과 평행한 자세로 상기 각 에이프런 판과 결합하여 상기 외측 체인과 함께 진행하고, 상기 각 에이프런 판의 중앙 부위에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외측 체인 사이에 마련된 내측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 체인의 이격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이프런 판의 일단의 전체 구간 및 이 일단으로부터 상기 외측 체인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된 에이프런 판의 반대단의 전체 구간에는 원호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외측 체인의 이격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호부가 마련되고, 서로 이웃하는 두 에이프런 판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마련된 원호부와 나머지 하나의 반대단에 마련된 원호부는 서로 겹치게 위치하는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 판의 일단에 마련된 원호부는 그 에이프런 판의 반대단에 마련된 원호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4. 삭제
KR1020190036867A 2019-03-29 2019-03-29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KR10210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867A KR102103480B1 (ko) 2019-03-29 2019-03-29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867A KR102103480B1 (ko) 2019-03-29 2019-03-29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480B1 true KR102103480B1 (ko) 2020-04-22

Family

ID=7047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867A KR102103480B1 (ko) 2019-03-29 2019-03-29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15B1 (ko) * 2022-09-07 2023-06-28 하종덕 에이프론 피더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696A (ja) * 1993-09-24 1995-04-04 Iwauchi:Kk 嵩張る廃棄物の押潰処理装置
KR100214880B1 (ko) 1997-10-13 1999-08-02 임정남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0263364B1 (ko) 1998-04-14 2000-08-01 박세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0774992B1 (ko) 2007-03-20 2007-11-08 주식회사 포스벨 쓰레기 봉투 파봉 정량공급기
KR100787246B1 (ko) * 2007-07-04 2007-12-21 최연삼 칩 컨베이어
JP2009227416A (ja) * 2008-03-24 2009-10-08 Kobelco Eco-Solutions Co Ltd 廃棄物搬送用コンベア及びこれを備え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1534145B1 (ko) 2015-02-17 2015-07-10 (주)조은이엔티 파봉 장치
JP2016023052A (ja) *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廃棄物搬送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598018B1 (ko) * 2015-08-24 2016-02-26 곽찬원 소각재 이송컨베이어장치
KR101920735B1 (ko) * 2018-03-15 2018-11-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조목 스크린용 레이크 클리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696A (ja) * 1993-09-24 1995-04-04 Iwauchi:Kk 嵩張る廃棄物の押潰処理装置
KR100214880B1 (ko) 1997-10-13 1999-08-02 임정남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0263364B1 (ko) 1998-04-14 2000-08-01 박세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100774992B1 (ko) 2007-03-20 2007-11-08 주식회사 포스벨 쓰레기 봉투 파봉 정량공급기
KR100787246B1 (ko) * 2007-07-04 2007-12-21 최연삼 칩 컨베이어
JP2009227416A (ja) * 2008-03-24 2009-10-08 Kobelco Eco-Solutions Co Ltd 廃棄物搬送用コンベア及びこれを備え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
JP2016023052A (ja) *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廃棄物搬送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534145B1 (ko) 2015-02-17 2015-07-10 (주)조은이엔티 파봉 장치
KR101598018B1 (ko) * 2015-08-24 2016-02-26 곽찬원 소각재 이송컨베이어장치
KR101920735B1 (ko) * 2018-03-15 2018-11-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조목 스크린용 레이크 클리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15B1 (ko) * 2022-09-07 2023-06-28 하종덕 에이프론 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6299A (en) Coin loader
US4119227A (en) Automatic, continuously operable bag opening apparatus
KR102103480B1 (ko) 폐기물 정량 공급 장치
US4061278A (en) Arrangement for comminuting and/or shredding of paper and synthetic materials
JP5279118B2 (ja) 開梱機
CN108792026A (zh) 一种电池壳排列装箱机
JPH09239342A (ja) ゴミの減量方法および減量装置
US3651938A (en) Automatic article segregation
JP2004255257A (ja) 瓶、缶、その他のゴミ類・収容袋分離装置
US4149637A (en) Apparatus for size-grading objects
US3400805A (en) Belt-type automatic bunk feeder
JP2621966B2 (ja) 収集ごみ分離装置
US2719624A (en) Article handling and orienting machine
US2964164A (en) Elevating conveyor
US2515166A (en) Discharge hopper
US355876A (en) lesne-ub
CN219487920U (zh) 一种上料设备
JPH0515792A (ja) 粉砕装置
JP2686006B2 (ja) パトローネリサイク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整列装置
US860128A (en) Feeder or conveyer.
CN219296638U (zh) 一种汤圆加工用包馅机
CN213133927U (zh) 一种双轴筛分机
KR101981208B1 (ko) 재활용물 선별용 이송장치
US1253875A (en) Wild-pea mill.
US1448760A (en) Ore-stream h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