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236Y1 - 쓰레기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236Y1
KR200240236Y1 KR2020010012848U KR20010012848U KR200240236Y1 KR 200240236 Y1 KR200240236 Y1 KR 200240236Y1 KR 2020010012848 U KR2020010012848 U KR 2020010012848U KR 20010012848 U KR20010012848 U KR 20010012848U KR 200240236 Y1 KR200240236 Y1 KR 200240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ake
housing
drive chai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덕
Original Assignee
나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덕 filed Critical 나경덕
Priority to KR2020010012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236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 내부에 구동체인(40)에 부착되어 함께 연동되는 인출갈퀴(20)와, 구동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 (41)(42)이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은 하부에 토사질 쓰레기를 유입 및 유출하는 컨베이어(12)가 구동되는 인출갈퀴(20)와 교차통과하도록 구성된 개구부(13)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의 일부는 단턱(14)을 형성하여 인출갈퀴(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별된 쓰레기가 단턱(14)을 넘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일부는 개구되어 선별된 쓰레기의 배출구(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여 토사질 쓰레기 중에 포함된 경량성 잔쓰레기는 매우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Description

쓰레기 선별장치{A Disinfection Cleansing Of The Womanly Makeup}
본 고안은 쓰레기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에 함유된 경량성 잔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쓰레기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매립지는 쓰레기 운반효율을 감안하여 대개의 경우 대도시 인근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시의 팽창에 의하여 각종의 쓰레기가 혼합되어 매립된 쓰레기 매립지는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 주택단지나 공장지대 또는 공원 등으로 용도가 바뀌게 되며, 이 경우 무작위로 매립된 쓰레기를 굴착하여 그 처리를 위한 종류별 선별작업이 불가피하다.
종래의 쓰레기 선별장치는 통상 쓰레기 투입기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 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토사 쓰레기가 토사분리기를 통해 우선적으로 선별되고, 계속하여 재활용 쓰레기분리기 및 기타 분리기를 통하여 재활용 쓰레기 및 폐기 쓰레기로 분리된다.
그런데, 종래의 쓰레기 선별장치는 비닐과 같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쓰레기가 송풍기 및 재활용 쓰레기 분리기를 통하여 선별처리되는 관계로, 재활용 쓰레기 배출기와 폐기 쓰레기 배출기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와 폐기 쓰레기의 선별정도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로 본 고안자에 의한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1147호(이하, '선행기술'로 칭함)를 들 수 있다.
이 선행기술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같이, 구동체인(40)에 부착되어 함께 연동되는 강선브러쉬(22)와 수지브러쉬(26)로 이루어지는 인출갈퀴(20) 및 상기 구동체인(4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드럼(30)을 통하여 토사에 포함된 경량성 잔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도 토사에 포함된 경량성 잔쓰레기는 효과적으로 선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사분리기를 통하여 선별된 토사질의 쓰레기 중에 포함된 비닐이나 나무 재질의 경량성 잔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쓰레기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대한 내부구조도.
도 2는 종래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대한 내부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하우징 12 : 컨베이어
13 : 개구부 14 : 단턱
15 : 배출구 20 : 인출갈퀴
21 : 제거부재 40 : 구동체인
41,42 : 구동스프로킷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는 하우징(11) 내부에 구동체인(40)에 부착되어 함께 연동되는 인출갈퀴(20)와, 상기 구동체인(40)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41)(42)이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은 하부에 토사질 쓰레기를 유입 및 유출하는 컨베이어(12)가 구동하는 인출갈퀴(20)와 교차통과하도록 구성된 개구부(13)가 형성되며, 일부는 단턱(14)을 형성하여 인출갈퀴(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별된 쓰레기가 단턱(14)을 넘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일부는 개구되어 선별된 쓰레기의 배출구(15)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선행기술은 강선브러쉬(22)와 비교적 굵은 직경(3.0mm 정도)의 수지브러쉬(26)로 이루어지는 인출갈퀴(20) 등을 통하여 경량성 잔쓰레기를 다량 함유한 토사질 쓰레기 중 비교적 부피가 큰 경량성 잔쓰레기는 매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한 쓰레기 선별장치를 통과한 토사질 쓰레기에도 부피가 작은 경량성 잔쓰레기는 상당량 포함되어 있으며, 본 고안은 이러한 경량성 잔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대한 측면방향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11) 내부에 구동체인(40)에 부착되어 함께 연동되는 인출갈퀴(20)와, 상기 구동체인(40)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41)(4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1) 하부는 토사질 쓰레기를 유입 및 유출하는 컨베이어(12)가 구동하는 인출갈퀴(20)와 교차통과하도록 구성된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11)의 중간부위 저부는 굴곡되어 단턱(14)을 형성하고, 이 단턱(14)은 인출갈퀴(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아울러 상기 하우징(11)의 일부는 개구되어 분리된 경량성 잔쓰레기의 배출구(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갈퀴(20)는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열구성되어 구동체인(40)에 부착되며, 이 인출갈퀴(20)의 재질은 직경 1.5-2.5mm의 수지브러쉬이다. 수지브러쉬의 직경이 이 보다 작을 경우에는 경량성 잔쓰레기의 제거 효율이 저하되며, 이 보다 클 경우에는 분리된 경량성 잔쓰레기에 토사질이 상당량 포함될 수 있다. 이 수지브러쉬는 파형으로 굴곡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필요에 따라, 하우징(11)의 내부에 인출갈퀴(20)에 부착된 경량성 잔쓰레기를 제거시키는 쓰레기 제거부재(2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경량성 쓰레기를 다량 함유한 토사질 쓰레기는 컨베이어(12)로 이송되어 본 고안의 장치의 개구부(13)로 유입된다. 이 유입된 토사질 쓰레기는 회전구동되는 인출갈퀴(20)와 교차하게 되며,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열된 인출갈퀴(20)의 연속적인 작용에 의하여 토사질 쓰레기에 포함된 경량성 잔쓰레기는 분리되어 단턱(14)을 넘어 배출구(15)로 배출된다. 인출갈퀴(20)에 부착된 일부 경량성 잔쓰레기는 쓰레기 제거부재(21)와 접촉하여 인출갈퀴(20)와 분리되어 배출구(15)로 떨어지게 된다. 경량성 잔쓰레기가 제거된 토사질 쓰레기는 컨베이어(12)에 의하여 본 고안의 장치 밖으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의하여 토사질 쓰레기 중에 포함된 경량성 잔쓰레기는 매우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여 선별되는 토사질 쓰레기의 양은 0.85M/s이며, 선별된 토사질 쓰레기 중의 이물질 함유량은 1-4중량% 정도에 불과하다.

Claims (5)

  1. 하우징(11) 내부에 구동체인(40)에 부착되어 함께 연동되는 인출갈퀴(20)와, 구동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킷(41)(42)이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은 하부에 토사질 쓰레기를 유입 및 유출하는 컨베이어(12)가 구동되는 인출갈퀴(20)와 교차통과하도록 구성된 개구부(13)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의 일부는 단턱(14)을 형성하여 인출갈퀴(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별된 쓰레기가 단턱(14)을 넘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일부는 개구되어 선별된 쓰레기의 배출구(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갈퀴(20)는 직경 1.5 - 2.5 mm의 수지브러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갈퀴(20)는 파형으로 굴곡된 수지브러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갈퀴(20)는 구동체인(4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배열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인출갈퀴(20)에 부착된 경량성 잔쓰레기를 제거시키는 쓰레기 제거부재(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KR2020010012848U 2001-05-03 2001-05-03 쓰레기 선별장치 KR200240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48U KR200240236Y1 (ko) 2001-05-03 2001-05-03 쓰레기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48U KR200240236Y1 (ko) 2001-05-03 2001-05-03 쓰레기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236Y1 true KR200240236Y1 (ko) 2001-10-12

Family

ID=7310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848U KR200240236Y1 (ko) 2001-05-03 2001-05-03 쓰레기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2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88B1 (ko) * 2002-08-12 2004-11-17 주식회사 포스벨 비위생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KR100801898B1 (ko) 2007-10-29 2008-02-12 주식회사 포스벨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CN115193709A (zh) * 2022-06-17 2022-10-18 东莞理工学院 一种盾构渣土回收处理装置以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88B1 (ko) * 2002-08-12 2004-11-17 주식회사 포스벨 비위생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KR100801898B1 (ko) 2007-10-29 2008-02-12 주식회사 포스벨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CN115193709A (zh) * 2022-06-17 2022-10-18 东莞理工学院 一种盾构渣土回收处理装置以及方法
CN115193709B (zh) * 2022-06-17 2023-10-03 东莞理工学院 一种盾构渣土回收处理装置以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0789A1 (en) Garbage disposal system
JP4003923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処理装置とその分別処理方法
KR10051600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의 이물질 선별구조
US701775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small rubbish and organic matters from garbage for collection
CN102219316A (zh) 垃圾的水处理系统
KR102111034B1 (ko) 준설토 처리 장치
KR200240236Y1 (ko) 쓰레기 선별장치
CN2336865Y (zh) 生活垃圾湿式破碎水选装置
KR100428378B1 (ko)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101804978B1 (ko) 협잡물이 포함된 침사물을 처리하기 위한 일체형 침사물 분리방법 및 일체형 침사물 분리장치
KR101121601B1 (ko) 재생원료 이물질 분리기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CN2416370Y (zh) 生活垃圾倾倒自动粗分及去除有害气体灰尘装置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396041Y1 (ko) 폐비닐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352002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및 협잡물 제거장치
KR200332864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1126007B1 (ko) 쓰레기로부터 작은 폐기물과 유기물질의 분리
KR100489505B1 (ko) 폐기물선별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처리기
KR100352003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제거장치
CN110561649B (zh) 垃圾处理回收系统
KR20130090851A (ko) 침사물 감량화 방법 및 침사물 감량화 처리 시스템
KR20150008351A (ko) 침사물 처리 방법 및 침사물 처리장치
KR200256320Y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KR100923281B1 (ko) 재생 원료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