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161A -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161A
KR20020009161A KR1020000042598A KR20000042598A KR20020009161A KR 20020009161 A KR20020009161 A KR 20020009161A KR 1020000042598 A KR1020000042598 A KR 1020000042598A KR 20000042598 A KR20000042598 A KR 20000042598A KR 20020009161 A KR20020009161 A KR 2002000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ood waste
fixed blade
clearan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00004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9161A/ko
Publication of KR2002000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 또는 사료화하기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를 파봉하여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쇄통체(1) 내부에 회동칼날(3)과 고정칼날부재(5)가 장치된 공지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칼날(3)을 600∼1700 r.p.m으로 회전되게 장치하며, 상기 고정칼날부재(5)는 1차고정칼날(5a)과 2차고정칼날(5b)과 3차고정칼날(5c)을 상하로 배열장치하고 클리어런스(C1)(C2)(C3)를 C1>C2>C2의 등식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가 1차, 2차, 3차에 걸쳐 절단되므로 완전한 파봉이 이루어져 담겨진 내용물이 전량 인출되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CRACKING BAG FOR A PRECESS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 또는 사료화하기 위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를 파봉하여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는 그대로 폐기처분할 경우 악취 및 병균발생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토질 및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호기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처리한 후 퇴비 또는 사료로써 재활용하는 수단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이러한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수단은 수집된 음식물쓰레기를 선별한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파쇄공정과, 파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공정과,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을 접종하는 처리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는 음식물쓰레기가 선별적으로 수거되어야 하는 것으로, 일반가정이나 소형음식점등에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는 비닐봉투에 담겨진 상태로 수거된다.
때문에 음식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일차공정으로서 비닐봉투에 담겨진 음식쓰레기를 인출하여야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비닐봉투를 파봉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은 회동식 칼날에 의한 방법이 통용되어 왔으나, 비닐봉투의 파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비닐봉투내의 음식물쓰레기가 완전제거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즉, 상기한 종래의 파봉방법은 수거된 비닐봉투가 회동되는 칼날에 의하여 절개된후 다음공정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비닐봉투가 단순히 파봉될 뿐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 아니라, 다음공정인 파쇄 및 절단공정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비닐봉투의 잔유물이 그대로 다음공정으로 유입되어 최종처리된 제품에 비닐입자가 함유되므로 사료나 퇴비로 활용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회동칼날 사이에 비닐봉투가 위치되면 파봉되지 못한 상태로 다음공정으로 이동될 뿐 아니라, 칼날과 칼날 사이에 비닐봉투가 적체되면 전체적으로 과부하가 걸려 고장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를 파봉하여 비닐봉투와 음식쓰레기가 완전 분리되도록 하므로서 작업효율이 상승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잇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닐봉투의 조각이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양질의 퇴비 및 사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닐봉투가 단게적으로 파쇄되게 하므로서 기게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기계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파쇄통체 3 : 회동칼날 5 : 고정칼날부재
5a : 1차고정칼날 5b : 2차고정칼날 5c : 3차고정칼날
C1, C2, C3 : 클리어런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를 파봉하기 위하여 통체 내부에 회동칼날과 고정칼날이 장치된 공지의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은 1차, 2차, 3차 칼날을 상하로 배열 장치하고 하부로 향할수록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작도록 각각의 칼날을 장치하며, 1차 칼날의 대향된 방향에 보조칼날을 고정장치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체 내부에 투입된 비닐봉투가 r.p.m 600∼1700의 속도로 회전되는 회동칼날과 1차, 2차, 3차 칼날에 의하여 파쇄되므로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가 전량 인출되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외형이 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었을 경우에도 각각의 칼날에 의하여 연차적으로 절단되므로 기계 전체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투입구(a)가 형성된 파쇄통체(1)를 설치하며 모타(M)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동축(2)을 파쇄통체(1) 내부에 장치하고 다수개의 회동칼날(3)을 회동축(2)에 고정설치한다.
또한, 상기 파쇄통체(1)의 일측하방에 지지부재(4)를 고정설치하고 1차칼날(5a)과 2차칼날(5b)과 3차 칼날(5c)이 상하로 배열된 고정칼날부재(5)를 지지부재(4)에 고정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1차칼날(5a)의 끝단부와 회동칼날(3)의 끝단부 사이의 틈새인 클리어런스(clearance) (C1)를 300mm로 형성하고 상기 2차칼날(5b)의 끝단부와 회동칼날(3)의 끝단부 사이의 클리어런스(C2)를 200mm로 형성하고 상기 3차칼날(5c)의 끝단부와 회동칼날(3)의 끝단부 사이의 클리어런스(C3)를 100m로 형성하였다.
상기 클리어런스(C1)(C2)(C3)는 그 치수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음식물쓰레기의 용량이나 성분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각의 클리어런스(C1)(C2)(C3)는 그 치수를 클리어런스(C1)>클리어런스(C2) : 클리어런스(C3)의 등식에 따라 하방으로 향할수록 작은 치수로 구성하며, 각각의 치수비율 C1:C2:C3 = 3:2: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칼날(5a)의 대향된 위치에 지지부재(4a)에 고정된 보조칼날(6)을 장치하며, 보조칼날(6)의 클리어런스(C4)는 상기 클리어런스(C3)와 동일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쇄통체(1)의 하방에 유출구(7)를 관통되게 형성하며, 유출구(7)의 하방에 이송콘베어(8)를 좌우길이 방향으로 설치한다.
미설명부호 9a는 회동축에 고정된 풀리, 9b는 모터에 장치된 폴리, 10은 벨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가 투입구(a)를 통하여 파쇄통체(1) 내부로 유입되면, 모타(M)에 의하여 고정칼날부재(5)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칼날(3)에 따라 각각의 클리어런스(C1)(C2)(C3)에 통과되는 동안 파봉 및 절단되는 것이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고정칼날(5a)과 회동칼날(3) 사이의 클리어런스(C1)에 위치된 비닐봉투는 각각의 칼날에 의하여 절결되어 내부의 음식물쓰레기가 인출되며, 계속하여 2차 고정칼날(5b)과 회동칼날 사이의 클리어런스(C2)로 이동되어 상기 1차 고정칼날(5a)에 의하여 절단되지 못하였거나, 절단입자가 큰 물질이 재차 절단되며, 클리어런스(C3)에서 재차 절단되는 것으로, 1, 2, 3차의 절단이 이루어지므로 비닐봉투가 작은 크기로 절단되어 내부의 음식물쓰레기가 전량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1차, 2차 클리어런스(C1)(C2)에 통과되는 동안 절단된 비닐봉투와 음식물쓰레기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의 유출구(7)를 통하여 이송콘베이어(8)에 적재된후 다음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1차, 2차 고정칼날(5a)(5b)의 대향된 위치에 보조칼날(6)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칼날(6)에 의하여 파쇄통체(1)의 상하부가 적재실(1a)과 유출실(1b)로 구획될 뿐 아니라, 클리어런스(C1)(C2)에 통과된 회동칼날(3)에 비닐봉투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에 보조칼날(6)에 의하여 적재실(1a)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클리어런스(C4)에 통과되는 동안 재차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칼날(3)의 회전속도는 600r.p.m 미만이 되면 지나치게 저속으로 회전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절단이 잘 이루어지지않고 1700r.p.m을 초과하게 되면 기계에 무리가 가해지므로 600∼1700r.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칼날부재(50)를 1차칼날(50a)과 2차칼날(50b)로 장치하고 클리어런스(C10)과 클리어런스(C20)을 300mm와 100mm로 각각 형성한 것으로서, 보다 적은 칼날의 갯수로써 파봉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를 파봉함에 있어서, 1차와 2차, 3차에 걸쳐 연차적으로 비닐봉투가 절단되므로 비닐봉투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가 전량 인출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1차고정 칼날과 2차고정 칼날과 3차고정칼날의 클리어런스를 점차 작게 구성하므로서 기계 전체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경한 재질의 이물질이 파쇄통체 내부에 투입되었을 경우, 1차고정 칼날과 2차고정 칼날과 3차고정칼날의 클리어런스 사이에 연차적으로 통과되면서 충격이 분산되므로 칼날 및 전체장치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이 완료된 비닐봉투와 음식물쓰레기는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바로 유출되므로 작업시간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 뿐 아니라, 물품의 절단 및 파쇄가 요구되는 모든 산업장치에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진 비닐봉투를 파봉하기 위하여, 파쇄통체(1) 내부에 회동칼날(3)과 고정칼날부재(5)가 장치된 공지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칼날을 600∼1700rpm으로 회전되도록 장치하며, 상기 고정칼날부재(5)를 1차고정칼날(5a)과 2차고정칼날(5b)과 3차고절칼날(5C)을 상하로 배열장치하고 1차고정칼날(5a)과 회동칼날(3)의 클리어런스(C1) 보다 2차고정칼날(5b)과 회동칼날(3)의 클리어런스(C2)를 작게 형성하고, 3차고정칼날(5C)과 회동칼날(3)의 클리어런스(C3)를 상기 클리어런스(C3)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고정칼날부재(5)의 대향된 위치에 보조칼날(6)을 고정되게 장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파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부재(50)를 1차고정칼날(50a)과 2차고정칼날(50b)와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00042598A 2000-07-25 2000-07-25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KR20020009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598A KR20020009161A (ko) 2000-07-25 2000-07-25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598A KR20020009161A (ko) 2000-07-25 2000-07-25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154U Division KR200217940Y1 (ko) 2000-07-25 2000-07-25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161A true KR20020009161A (ko) 2002-02-01

Family

ID=1967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598A KR20020009161A (ko) 2000-07-25 2000-07-25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91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87A (ko) * 2002-08-03 2004-02-11 주식회사 거성 쓰레기 봉투 파쇄장치
CN108639480A (zh) * 2018-06-21 2018-10-12 耐德三井造船(重庆)环境装备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一级破袋系统
KR101999982B1 (ko) 2019-05-17 2019-10-01 강성호 재활용 봉투 파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107A (ko) * 1991-12-31 1993-07-20 강효근 팩 커팅 머시인
KR930019525A (ko) * 1992-03-23 1993-10-18 더크 제이. 베네만 쓰레기 백 개방장치 및 그 개방방법
KR19980025329A (ko) * 1998-04-14 1998-07-06 박세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20000013333A (ko) * 1998-08-07 2000-03-06 허구갑 폐기물수거용 봉지의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107A (ko) * 1991-12-31 1993-07-20 강효근 팩 커팅 머시인
KR930019525A (ko) * 1992-03-23 1993-10-18 더크 제이. 베네만 쓰레기 백 개방장치 및 그 개방방법
KR19980025329A (ko) * 1998-04-14 1998-07-06 박세준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KR20000013333A (ko) * 1998-08-07 2000-03-06 허구갑 폐기물수거용 봉지의 분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87A (ko) * 2002-08-03 2004-02-11 주식회사 거성 쓰레기 봉투 파쇄장치
CN108639480A (zh) * 2018-06-21 2018-10-12 耐德三井造船(重庆)环境装备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一级破袋系统
CN108639480B (zh) * 2018-06-21 2024-02-09 重庆耐德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一级破袋系统
KR101999982B1 (ko) 2019-05-17 2019-10-01 강성호 재활용 봉투 파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528B1 (ko) 이종 물질들을 포함하는 용기들을 개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156248B (zh) 一种废纸干浆生产线
CA265105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waste material
JP2009262120A (ja) 破砕機
KR200384273Y1 (ko) 음식물쓰레기의 파봉 파쇄 장치
KR200217940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KR2002000916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파봉장치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JP2001038237A (ja) 回転式破砕選別機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WI711486B (zh) 破碎裝置
CN102319605B (zh) 一种垃圾破袋机
CN2587510Y (zh) 垃圾分拣破碎机
KR200382019Y1 (ko) 음식물 분쇄기
KR20000063347A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및 협잡물 파쇄장치
CN209465136U (zh) 一种复合式垃圾破碎机
KR200239415Y1 (ko) 음식폐기물의 파쇄, 선별장치
KR20080027016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0285197B1 (ko) 남은음식물사료화공정과그장치
KR20180026082A (ko) 음식물처리장치
JP3097822B2 (ja) 袋詰め固形廃棄物用破袋機
KR200164717Y1 (ko) 야채쓰레기처리장치
CN214487227U (zh) 一种包装纸边角料回收搅碎装置
CN208839747U (zh) 生活垃圾破袋打散装置
CN209832308U (zh) 一种塑料高效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