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01A -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01A
KR19980025001A KR1019970048970A KR19970048970A KR19980025001A KR 19980025001 A KR19980025001 A KR 19980025001A KR 1019970048970 A KR1019970048970 A KR 1019970048970A KR 19970048970 A KR19970048970 A KR 19970048970A KR 19980025001 A KR19980025001 A KR 1998002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age medium
data
information service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야 가이세
도루 스기야마
세이지로 야스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2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77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 H04H20/81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combined with telephone network over which the broadcast is continuousl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5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receiv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6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play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items expressed in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8Subscrip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정보서비스 수신측의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지않고, 기억매체에의 정보 기록을 정리하여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다.
메모리카드(9)가 장착되었을 때, 메모리카드(9)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카드관리정보를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17a)에 의해 판독한다. 문자다중 방송시대를 맞이하여, 영상신호 처리장치(3)에 의해 수신한 데이타를 메모리카드(9)에 기록할 필요가 생긴 경우, 정보필터장치(l6)가 카드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에 관련하는 특정한 데이타를 영상신호 처리장치(3)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데이타 추출처리수단(17b)의 지시에 근거하여 추출하며, 이 추출한 데이타를 데이타 기록수단(17c)에 의해 메모리카드(9)에 기록한다.

Description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정보서비스 제공장치 및 기억매체
본 발명은 방송파를 이용한 다중 방송이나 인터넷에 의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및 정보서비스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화회선을 통신매체로서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가 성행되고 있다. 양방향 서비스에는 자택에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이나, 문자데이타에 의해 정보교환을 하는 퍼스널 컴퓨터 통신등이 실시되고 있다. 앞으로는,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요구하면, 선택한 프로그램을 수신자별로 제공하는 비디오·온·디멘드 등의 서비스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자택에서도 세계적규모의 네트워크인 인터넷에 참가할 수 있게 된다. 인터넷에 참가함으로써 전자메일이나 WWW (World Wide Web)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교환이 세계적인 규모로 실현된다. WWW 시스템은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이라고 하는 언어로 쓰여진 데이타를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전송한다. 전송된 데이타는 예컨대 Mosaic 등의 WWW 브라우저에 의해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WWW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 정보제공, 광고등도 실시되고 있다.
더욱이, TV 방송파를 이용한 정보제공서비스인 문자다중 방송도 행하여지고 있다. 방송파에 의한 문자다중 방송과 전화회선에 의해 데이타를 방송국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양방향 서비스도 실시되려고 하고 있다. 또한, 문자다중 방송보다도 더 인터렉티브성을 높인 인터텍스트라 불리우는 서비스도 개시될 예정이다.
도 12는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국(A)과 제2 국(B)은 서로 전화회선(C)을 통해 데이타통신을 하고 있다. 또한 제1 국(A)은 안테나(8)에 의해 TV 방송파를 수신하며, 이 TV 방송파에 다중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제 l 국(A)은 정보처리 단말장치(1), 아날로그모뎀(2) 및 영상신호 처리장치(3)로 구성된다. 또한, 제2 국(B)은 모뎀(4), 정보처리장치의 일종인 서버장치(5), 보조기억장치(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네트워크 I/F)(7)로 구성된다.
서버장치(5)는 정보처리 단말장치(1)에서 요구된 지시에 대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하는 컴퓨터이다. 또한, 네트워크I/F(7)를 통해 광역네트워크, 이른바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넷은 세계적규모의 네트워크로서, 무수한 컴퓨터가 접속되어 있다. 서버장치(5)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인출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이들 제1 국(A)과 제2 국(B) 사이에서의 데이타통신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국(A)은 예컨대, 일반가정에서 퍼스널컴퓨터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또한, 제2 국(B)은 이른바 인터넷 프로바이더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1 국(A)은 제2 국(B)과 데이타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제2 국(B)과 계약을 체결하여, 서버장치(5)에 액세스하기 위한 계정 및 제2 국(B)의 전화번호를 얻게 된다.
계약을 완료한 제1 국(A)이 통신을 할 경우에 관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2 국(B)에 대하여 회선접속요구를 신청하여 전화회선(C)에 의한 접속을 행한다(도 13중의 191). 이것은 모뎀(2)과 모뎀(4) 사이의 접속이다.
이어서 정보처리 단말장치(l)와 서버장치(5)사이의 소프트웨어적인 접속을 확립한다. 소프트웨어적인 접속에는, 데이타 링크층으로서 PPP(도 l3중의 l92), 네트워크층 및 트랜스포트층으로서 이른바 TCP / 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도 13중의 193, l94)를 사용한다. 또한 PPP에 대해서는, The Point-to-Point protocol(ppp), W.Simpson 외, Network Working Group, RFC1661 등에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국(A)과 제2 국(B)사이에서 접속이 확립하면, 제1 국(A)에서, 예컨대 WWW 시스템상에 제공되어 있는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WWW 시스템을 실현하는 프로토콜은 http (도 13중의 195), OSI 참조모델의 세션층, 프레젠테이션층, 애플리케이션층에 상당한다. 또한 http에 있어서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 /1.0 , T . Berners-Lee 외, HTTP Working Group, INTERNET-DRAFT, September 4, 1995 등에 나타나 있다.
한편, 지상파방송을 이용한 정보서비스에 관해서 설명한다. 지상파 TV방송을 이용한 정보서비스에서는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다중하고 있다.
도 l4는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부를 확대한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라인번호와 그 파형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 라인번호 10∼20은 수직의 귀선소거기간(歸線消去期間)이고 TV 화면상에는 표시되지 않는 것이다. 이 중, 라인번호 17∼20에 있어서는 방송국측의 운용시에 이용되고 있다. 라인번호 14∼16에 있어서는 데이타방송용으로 할당되어 있어 문자나 도형의 데이타가 전송되고 있다. 이것은 문자다중 방송이라고 불리고 있다. 더욱이, 라인번호10∼13을 이용하여 현행의 문자다중 방송보다도 인터랙티브성을 높인 서비스도 계획되어 있다.
이어서 정보처리단말장치(1)에서의 이용자조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정보처리 단말장치(1) 및 영상신호 처리장치(3)의 종래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 단말장치(1)는 정보처리장치(11), 표시장치(l2), 보조기억장치(13) 및 보조입력장치(14)를 구비하고, 표시장치(l2), 보조기억장치(l3) 및 보조입력장치(l4)가, 각각 정보처리장치(1l)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뎀(2)도 정보처리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정보처리장치(11)는 보조기억장치(l3)에 저장되어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기본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용자는 보조입력장치(14)에 의해 WWW 시스템의 브라우저, 예컨대 미국일리노이대학에서 개발된 Mosaic을 실행한다. 정보처리장치11는 보조기억장치(l3)에 저장되어 있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판독하여 표시장치(12)에 표시한다. 이어서 보조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터넷 상의 정보를 식별하는 어드레스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한다. 정보처리장치(11)는 서버장치(5)에 대하여 지정된 URL의 정보를 판독하도록 요구한다. 그렇게 하면 서버장치(5)는 지정된 URL의 정보를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여 정보처리장치(11)에 반송한다.
서버장치(5)로부터 반송되는 정보는 하이퍼링크구조, 즉 HTML (예컨대 HyperText Markup Language -- HTML / 2.0, T . Berners-Lee 외, HTML Working Group, INTERNET-DRAFT, August 8, 1995에 표시되어 있다)형식의 정보이다. HTML 형식의 정보는 정보단말장치(ll)상에서 동작하는 Mosaic에 의해 정형되어 그래픽 데이타로서 표시장치(l2)에 표시된다.
한편, 영상신호 처리장치(3)는 동기분리장치(同期分理裝置)(31), 파형등화장치(波形等化裝置)(32) 및 데이타취입 에러정정장치(33)를 갖추고 있다.
안테나(8)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는 동기분리장치(31) 및 파형등화장치(32)에 각각 제공된다. 동기분리장치(31)는 영상신호에서 동기분리를 행하여 라인번호를 결정하는 타이밍신호 등을 발생한다. 파형등화장치(32)는 영상신호에서 고스트(다중상)제거를 한 후, 도면 l4에 나타낸 수직동기신호부에 중첩되어 있는 데이타의 추출을 동기분리장치(3l)가 생성한 타이밍신호에 따른 타이밍으로 행한다. 데이타취입 에러정정장치(33)는 파형등화장치(32)에 의해 추출된 데이타를 에러정정을 한 후에 정보처리장치(11)에 제공한다. 이용자가 문자다중 방송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는, 정보처리장치(l1)가 데이타취입 에러정정장치(33)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에 부합하는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장치(12)에 예컨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용자는 인터넷 및 문자다중 방송을 통해 방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문자다중 방송에서는 정치, 경제, 주식, 스포츠, 교통, 날씨등의 여러가지의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하여 얻은 정보, 표시장치(12)에 표시할 뿐만이 아니라, 메모리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시킬 수 있으면 편리하여, 매우 요망되고 있다.
그렇지만, 메모리카드등의 기억매체가 갖는 한정된 기억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취득가능한 방대한 정보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메모리카드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용자가 방대한 정보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기억매체에 기록시키는 지시조작을 행하도록 하면 그 작업은 대단히 번잡하고 번거롭게 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모리카드등의 기억매체에 저장해 놓은 전자메일의 데이타등과 같은 임의의 데이타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터넷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자메일의 데이타 등을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는 복잡한 지시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취급이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가 용이하게 전자메일의 데이타등을 송신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는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억매체에 대하여 기록가능하게 한 경우에, 취득가능한 방대한 정보중에서 기억매체에 기록하여야되는 정보를 선택지시하여야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부담이 증대하여 버린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는, 기억매체에 저장해 놓은 임의의 데이타를 정보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갖게 한 경우, 데이타송신을 위해서는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행해여진 것으로서, 제1 목적은 정보서비스 수신측의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지않고 기억매체에의 정보기록을 정리하여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및 정보서비스 제공장치와, 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목적은 기억매체에 저장해 놓은 데이타의 송신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어, 정보서비스 수신측의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지않고 정보송신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와, 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l은 본 발명의 제 l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
도 2는 도 l에 나타내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적용에 적합한 메모리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
도 3은 도 2의 메모리부의 메모리 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l의 정보처리장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
도 6은 도 5의 정보처리장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
도 8은 도 7의 정보처리장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전자메일의 송신프로토콜의 일례로서 POP3를 사용한 경우의 소프트웨어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시트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
도 11은 도 10의 정보처리장치 및 문자방송 제어장치의 각각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서버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l2에 나타내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의 OSI 참조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l4는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부를 확대한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l5는 도 l2의 정보처리 단말장치의 종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문자다중 방송을 통해 수신한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영상신호 처리장치
9 : 메모리카드
l2 : 표시장치
13 : 보조기억장치
14 : 보조입력장치
15 :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l6, 21 : 정보필터장치
17, 19, 20, 22 : 정보처리장치
17a :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
l7b : 데이타 추출처리수단
17c : 데이타 기록수단
19a : 데이타 취득금지수단
20a : 메일판독수단
20b : 메일송신 처리수단
22a : 선택송신 요구수단
18 : 시계장치
23 : 문자프로그램 메모리
24 : 문자방송신호 형성장치
25 : 다중화장치
26 : 문자방송 제어장치
26a : 선택송신요구 접수수단
26b : 요구데이타 추출수단
26c : 요구데이타 송신제어수단
9l : 인터페이스부
92 : 메모리부
93 : 제어부
93a : 카드관리 정보갱신 금지수단
100, 200, 300, 400 :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l01, 201, 301, 401 : 정보처리 단말장치
500 : 정보서비스 제공장치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예컨대, 메모리카드등의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관리 정보 판독수단등의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정보(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 처리장치등의 주정보 취득수단과, 이 주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주정보중에서, 상기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는 특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필터장치 및 데이타 추출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특정정보 추출수단과, 이 특정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정정보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타기록수단 등의 기록수단을 구비하여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예컨대, 메모리카드등의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 등의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소정의 정보서비스제공자를 통하여 다른 단말으로의 정보 전송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주정보(예컨대 전자메일의 데이타, 하이퍼텍스트 및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메일판독수단 등의 주정보판독수단과, 이 주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주정보를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로 송신하기 위한 메일송신 처리수단등의 주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예컨대 메모리카드등의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등의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이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서 판독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를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하는 선택송신 요구수단등의 키코드통지수단과, 이 키코드 통지수단에 의한 키코드의 통지에 따라서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 등의 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예컨대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정보필터장치로 이루어지는 주정보 취득수단과, 이 주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주정보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예컨대 데이타 기록수단등의 기록수단을 갖추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 l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l에 기재된 발명,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또는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하여, 시계동작(時計動作)을 행하여 날짜를 제시하기 위한 시계장치 등의 시계수단과,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유효기한이 표시되고 있고, 또한 이 유효기한을 상기 시계수단이 제시하는 날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 기억매체에의 특정정보의 기록이나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주정보의 송신을 금지하기 위한 예컨대 데이타취득 금지수단등의 금지처리수단을 구비하여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은, 자기가 입수가능한 다수의 주정보(예컨대 문자프로그램데이타)를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를, 상기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로부터 소정의 키코드가 통지된 것에 따라서, 이 통지된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특정정보를 상기 입수가능한 다수의 주정보중에서 추출하기 위한 예컨대 요구데이타 추출수단등의 특정정보 추출수단과, 이 특정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정정보만을 상기 키코드의 통지원(通知元)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향하여 송신하는 요구데이타 송신제어수단, 문자 방송신호 형성장치 및 다중화장치로 이루어지는 특정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은, 장착할 곳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허용하는 정보서비스의 형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리정보를, 적어도 소정의 해제지시가 내려지지않는 한은 재기록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기억함과 동시에,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의해 임의의 주정보를 판독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억영역을 설치하여 기억매체를 구성하였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된 기억매체에는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정보중에서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특정정보만이 기록되어진다. 따라서, 얻고 싶은 정보에 대응하는 키코드가 설정된 기억매체를 상기 발명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장착하면, 얻고 싶은 정보를 기억매체에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정보에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의 정보 전송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가 판독되어 자동적으로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로 송신된다. 따라서,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의 정보 전송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된 관리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전자메일의 데이타등을 기억시킨 뒤에 상기 발명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장착하면, 상기 전자메일의 데이타의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된 기억매체에는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를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로 통지하였을 때에 이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만이 기록된다. 따라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와 함께 정보서비스 수신시스템을 구성해 두고, 얻고 싶은 정보에 대응하는 키코드가 설정된 기억매체를 상기 발명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장착하면, 얻고 싶은 정보를 기억매체에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된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유효기한을 시계수단이 제시하는 현재의 날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억매체에의 특정정보의 기록이나 기억매체에 기억된 주정보의 송신이 금지된다. 따라서, 기억매체마다 그 기억매체를 이용한 정보서비스의 이용기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로부터 소정의 키코드가 통지되면, 이 통지된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특정정보가 입수가능한 다수의 주정보중에서 추출되며, 이 추출된 특정정보만이 상기 키코드의 통지원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향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와 함께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구성해 두면, 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대하여 요구하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의해 임의의 주정보를 판독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억영역에서는 주정보를 판독 및 기록을 임의로 행할 수 있지만, 장착할 곳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허용하는 정보서비스의 형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리정보는, 적어도 소정의 해제지시가 내려지지않는 한은 재기록이 금지된다. 따라서, 상기 기억매체를 이용한 정보서비스의 이용을, 예컨대 정보서비스 제공자등의 특정자가 관리하여 불법 정보서비스의 이용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한, 도 15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면중, l00으로 나타내는 것이 본 실시예에 관계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이다. 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100)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 및 정보처리 단말장치(101)로 이루어진다.
정보처리 단말장치(101)는 예컨대 서버가 설치된 국(도시하지 않음: 도 12에 있어서의 제2 국(B)에 상당)에 접속된 전화회선(C)을 통해 상기 서버가 설치된 국과 통신을 하기 위한 모뎀(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장치(3)에는 TV 지상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8)가 접속되어 있다.
영상신호 처리장치(3)는 동기분리장치(31), 파형등화장치(32) 및 데이타취입 에러정정장치(33)를 갖추고 있다.
동기분리장치(31)는 안테나(8)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동기분리를 행하여, 라인번호를 결정하는 타이밍신호 등을 발생한다. 그리고 동기분리장치(31)는 발생한 타이밍신호 등을 파형등화장치(32)에 제공한다.
파형등화장치(32)는 안테나(8)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고스트제거를 한 후, 도 14에 나타낸 수직동기신호부에 중첩되어 있는 데이타의 추출을 동기분리장치(31)로부터 제공되는 타이밍신호에 따른 타이밍으로 행한다. 그리고 파형등화장치(32)는 추출한 데이타를 데이타취입 에러정정장치(33)에 제공한다.
데이타취입 에러정정장치(33)는 파형등화장치(32)에 의해 제공된 데이타에 대하여 에러정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데이타취입 에러정정장치(33)는 에러정정을 행한 후에 데이타를 정보처리 단말장치(101)에 제공한다.
정보처리 단말장치(101)는 표시장치(12), 보조기억장치(13), 보조입력장치(1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 정보필터장치(16) 및 정보처리장치(17)를 구비하고 있으며, 표시장치(12), 보조기억장치(13), 보조입력장치(1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 및 정보필터장치(16)가 각각 정보처리장치(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뎀(2)도 정보처리장치(17)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장치(12)는 예컨대 CRT나 LCD 등을 구비하여, 정보처리장치(l7)의 제어하에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해야 할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보조기억장치(13)는 정보처리장치(17)의 기본제어를 위한 OS 등의 정보를 기억해 두기위한 것이다.
보조입력장치(14)는 예컨대 키보드나 터치패널등으로, 이용자가 정보처리장치(l7)에 대하여 각종의 지시입력을 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100)에 대하여 착탈자유자재인 메모리카드(9)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이 메모리카드(9)에의 정보 기록이나 메모리카드(9)로부터의 정보 판독을 정보처리장치(l7)의 제어하에 행하는 것이다.
정보필터장치(16)에는 영상신호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가 제공된다. 정보필터장치(l6)는 이 영상신호 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중에서 정보처리장치(17)로부터 통지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것을 추출하여 정보처리장치(17)에 제공하는 것이다.
정보처리장치(17)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회로(主制御回路)로서 갖는 것으로, 각종의 정보제공서비스를 액세스하여 제공되는 데이타를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정보처리장치(17)는 각종 정보제공서비스등을 제공받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수단에 추가하여,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 (l7a), 데이타 추출처리수단(l7b) 및 데이타 기록수단(17c)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17a)은 메모리카드(9)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카드관리정보를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카드(9)로부터 판독하는 것이다. 데이타 추출처리수단(17b)은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17a)이 메모리카드(9)로부터 판독한 카드관리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추출하기 위해 정보필터장치(16)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데이타기록수단(17c)은 모뎀(2) 또는 정보필터장치(16)를 통해 얻은 데이타를 메모리카드(9)에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l00)의 적용에 적절한 메모리카드(9)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9)는 인터페이스부(91), 메모리부(92) 및 제어부(93)를 가지고 있으며, 인터페이스부(91) 및 메모리부(92)는 각각 제어부(93)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91)는 메모리카드인터페이스(15)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데이타의 주고받음을 제어부(93)의 제어하에 행하는 것이다.
메모리부(92)는 예컨대 FlashROM이나 NandEEPROM 등의 물리디바이스를 이용한 것으로써, 카드관리정보나 모뎀(2) 또는 정보필터장치(l6)를 통해 얻은 데이타를 기억해 두기위한 것이다. 이 메모리부(9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메모리 맵이 설정되어 있다. 즉 메모리부(92)에는 카드관리정보를 기억한 영역과, 모뎀(2) 또는 정보필터장치(l6)를 통해 얻은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모뎀(2) 또는 정보필터장치(16)를 통해 얻은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은 더욱이, 복수의 데이타를 각각 기록하는 영역과 각 데이타의 헤더(기록일시, 데이타사이즈 혹은 데이타명칭)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분리된다.
제어부(93)는 인터페이스부(91)에 의해 모아진 데이타를 메모리부(92)에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거나, 메모리부(9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스부(91)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93)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회로로서 가지고 있고, 상기와 같은 메모리카드의 제어부에 있어서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제어수단에 추가하여, 카드관리 정보갱신 금지수단(93a)을 갖추고 있다.
카드관리 정보갱신 금지수단(93a)은 특정한 갱신금지해제지시가 내려지지 않는 한은 메모리부(92)에 유지되고 있는 카드관리정보의 갱신을 하지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 카드관리 정보갱신 금지수단(93a)에 의해 메모리부(92)는 통상상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관리정보를 기억한 영역은 재기록금지영역으로, 또한 모뎀(2) 또는 정보필터장치(16)를 통해 얻은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은 재기록허가영역으로 되고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l00)의 동작을 도 4에 나타내는 정보처리장치(l7)의 처리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대기상태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7)는 메모리카드(9)가 장착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스텝 ST1). 그리고 메모리카드가 장착되면 정보처리장치(17)는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17a)에 의해 그 장착된 메모리카드(9)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카드관리정보중에서 카드타입의 정보를 판독한다(스텝 ST2).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카드(9)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카드관리정보는 메모리전체의 용량, 제조회사명(혹은 판매회사명이나 서비스제공회사명등), 키워드 및 카드타입의 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컨대,
Capacity :4 M
Vender :○○○ 상사
Keyword :정치
Type :데이타
와 같은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키워드는 그 메모리카드(9)에 기록하는 것을 허가하는 데이타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대, 키워드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정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기록할 수 있는 데이타는 정치에 관련하는 데이타이다. 키워드로서는 정치 이외에, 예컨대 스포츠 날씨 여행 교통정보 전화번호 HTTP 프로토콜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이외에도, 임의의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서비스 제공자가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개개로 설정한 프로그램코드를 키워드로서 사용하면, 기록할 수 있는 데이타를 프로그램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카드타입은 그 메모리카드(9)의 용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대, 카드타입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타가 설정되어 있으면, 임의의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카드타입으로서는 데이타 이외에, 예컨대 전자메일 화상 사진 음악 영상등이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이외에도, 임의의 카드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정보처리장치(17)는 스텝 ST2에서 카드타입을 판독한 후, 그 판독한 카드타입이 데이타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ST3). 그리고 카드타입이 데이타이면, 정보처리장치(17)는 메모리카드(9)에서 키워드의 정보를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l7a)에 의해 판독하며(단계 ST4), 이 판독한 키워드를 정보필터장치(16)에 통지하여 데이타추출의 실시를 데이타 추출처리수단(17b)에 의해 지시한다(단계 ST5).
이것을 수신하여 정보필터장치(16)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수신데이타)에서, 통지된 키워드에 관련하는 것을 추출하여 정보처리장치(l7)에 제공한다. 또한 이 정보필터장치(16)에서의 데이타의 추출처리는 키워드에 대응하게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열을 수신데이타중에서 검색하여, 해당문자열을 일정비율이상 포함하는 데이타를 추출하는 등과 같은 주지(周知)의 처리이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l7)는 데이타 기록수단(17c)에 의해, 정보필터장치(16)에서 추출된 데이타만을 메모리카드(9)에 기록한다(단계 ST6). 또한 메모리카드(9)에 있어서는, 제어부(93)가 정보처리장치(17)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정보처리장치(17)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메모리부(92)의 기록 허가영역에 문자데이타상태로 기록한다.
또한, 장착된 메모리카드(9)의 카드타입이 데이타이외이었던 경우는, 정보처리장치(17)는 카드타입에 따른 주지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T7).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카드타입이 사진이었다고 한다면, 메모리카드(9)에 기억된 사진데이타에 대하여 신장처리를 행한 후에 표시장치(l2)에 사진을 표시시키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드타입으로서 데이타가 설정된 메모리카드(9)가 장착된 경우에는, 그 메모리카드(9)에 설정된 키워드에 관련하는 데이타만이 문자다중 방송으로 제공되는 데이타중에서 자동적으로 추출되어 메모리카드(9)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얻고 싶은 데이타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메모리카드(9)를 본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l00)에 장착하면, 번잡한 지시조작을 전혀 할 필요없이 원하는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역으로 서비스 제공자측면에서 본다면, 본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100)의 이용자, 즉 고객이 메모리카드(9)에 인출할 수 있는 데이타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메모리카드(9)의 판매요금이나 대여요금에 정보서비스 이용요금을 추가하여 둠으로써, 문자다중 방송을 이용한 정보서비스를 유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정보서비스를 유료화할 경우, 메모리카드(9)에 있어서의 카드관리정보가 개찬(改竄)되어 버리면, 불법으로 데이타가 인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메모리카드(9)의 제어부(93)에서는 카드관리 정보갱신 금지수단(93a)에 의해서, 메모리부(92)에 있어서의 카드관리정보의 기억영역을 재기록금지로 하고있기 때문에, 카드관리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불법으로 데이타가 인출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판독전용의 메모리영역(ROM 영역)을 별도로 설치하여, 이 ROM 영역에 카드관리정보를 저장해 둠으로써 카드관리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93)의 카드관리 정보갱신 금지수단(93a)은 통상은 메모리부(92)에 있어서의 카드관리정보의 기억영역의 재기록을 금지하고 있지만, 특정한 갱신금지해제지시(예컨대 암증코드의 입력등)가 내려진 경우에는 카드관리정보의 재기록금지를 해제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가 메모리카드(9)를 회수하여 카드관리정보를 재기록한 뒤에 다시 판매나 대여를 하는 등의 서비스 제공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15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면중, 200으로 나타내는 것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이다. 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200)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 및 정보처리 단말장치(201)로 이루어진다.
정보처리 단말장치(201)에는 예컨대 서버가 설치된 국(도시하지 않음: 도 12에 있어서의 제2 국(B)에 상당)에 접속된 전화회선(C)을 통해 상기 서버가 설치된 국과 통신을 하기 위한 모뎀(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장치(3)에는 TV 지상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8)가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20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100)에 있어서의 정보처리 단말장치(101)대신에 정보처리 단말장치(201)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정보처리 단말장치(201)는 표시장치(l2), 보조기억장치(13), 보조입력장치(1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 정보필터장치(16), 시계장치(18) 및 정보처리장치(l9)를 갖추고 있고, 표시장치(l2), 보조기억장치(13), 보조입력장치(1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l5), 정보필터장치(16) 및 시계장치(l8)가 각각 정보처리장치(1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뎀(2)도 정보처리장치(19)에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 단말장치(20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처리 단말장치(l01)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17)대신에 정보처리장치(19)를 설치함과 동시에, 시계장치(l8)를 새롭게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표시장치(l2)는 예컨대 CRT나 LCD 등을 갖추어 정보처리장치(19)의 제어하에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해야 할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보조기억장치(13)는 정보처리장치(19)의 기본제어를 위한 OS 등의 정보를 기억해 두기 위한 것이다.
보조입력장치(14)는 예컨대 키보드나 터치패널등으로, 이용자가 정보처리장치(19)에 대하여 각종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100)에 대하여 착탈식 메모리카드(9)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이 메모리카드(9)에의 정보 기록이나 메모리카드(9)로부터의 정보 판독을 정보처리장치(l9)의 제어하에 행하는 것이다.
정보필터장치(16)에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가 제공된다. 정보필터장치(16)는 이 영상신호 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중에서 정보처리장치(19)로부터 통지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것을 추출하여 정보처리장치(19)에 제공하는 것이다.
시계장치(l8)는 시계동작을 행하여 현재의 일시를 정보처리장치(19)에 대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정보처리장치(19)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회로로서 갖는 것으로, 각종 정보제공서비스를 액세스하여 제공되는 데이타를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정보처리장치(l9)는 각종 정보제공서비스 등을 제공받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수단에 추가하여,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l7a), 데이타 추출처리수단(17b), 데이타 기록수단(17c) 및 데이타 취득금지수단(19a)을 갖추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19)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l7)에 있어서의 각 처리수단에 추가하여, 데이타 취득금지수단(19a)을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타 취득금지수단(l9a)은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l7a)이 메모리카드(9)로부터 판독한 카드관리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카드기한을 시계장치(18)가 나타내는 일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타 추출처리수단(17b)에 의한 데이타의 추출처리를 금지하는 것이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200)의 동작을 도 6에 나타내는 정보처리장치(19)의 처리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정보처리장치(l9)는 스텝 ST1 내지 스텝 ST3 및 스텝 ST7의 처리를 상기 제 l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17)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그리고, 스텝 ST3에 있어서 카드타입이 데이타라고 판단한 경우에 정보처리장치(19)는 메모리카드(9)로부터 카드기한의 정보를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17a)에 의해 판독한다 (스텝 STl1). 계속해서 정보처리장치(19)는 데이타 취득금지수단(l9a)에 의해서, 스텝 STl1에서 얻은 카드기한과 시계장치(18)가 제시하는 현재일시와의 비교를 행하여 기한마감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단계 ST12).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메모리카드(9)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카드관리정보에는 메모리전체의 용량, 제조회사명(혹은 판매회사명이나 서비스제공회사명등), 키워드 및 카드타입의 각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카드기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예컨대,
Capacity :4M
Vender :○○○ 상사
Keyword :정치
Type :데이타
Expire :1996-12
와 같은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카드기한은 상기 메모리카드(9)에의 데이타 기록을 허가하는 기한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술의 예에서는 서기 1996년 12월 말일까지 데이타의 기록을 허가한다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카드기한은 날 또는 시간 레벨로 설정하여도 좋다. 혹은 특정한 기간을, 예컨대 10월 9일∼12월 22일이나 10월 중순과 같은 형태로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시계장치(l8)가 제시하는 현재일시가 스텝 STl1에서 얻은 카드기한을 아직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 정보처리장치(19)는 스텝 STl2에서 기한마감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이후에서는 스텝 ST4 내지 스텝 ST6의 처리를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17)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그러나, 시계장치(18)가 제시하는 현재일시가 스텝 STll에서 얻은 카드기한을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9)는 스텝 ST12에서 기한마감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때에 정보처리장치(19)는 스텝 ST4 내지 스텝 ST6의 처리를 행하지않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즉 정보처리장치(l9)는 메모리카드(9)에의 데이타 기록을 거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장착된 메모리카드(9)가 미리 설정된 유효기한 외의 것이면, 그 메모리카드(9)에의 데이타 기록을 거부하기 때문에, 서비스제공을 일정기간에 한해서 행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주요부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15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면중, 300으로 나타내는 것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이다. 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300)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 및 정보처리 단말장치(30l)로 이루어진다.
정보처리 단말장치(301)에는 예컨대 서버가 설치된 국(도시하지 않음: 도 12에 있어서의 제2 국(B)에 상당)에 접속된 전화회선(C)을 통해 상기 서버가 설치된 국과 통신을 하기 위한 모뎀(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장치(3)에는 TV 지상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8)가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30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l00)에 있어서의 정보처리 단말장치(101) 대신에 정보처리 단말장치(301)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정보처리 단말장치(301)는 표시장치(l2), 보조기억장치(l3), 보조입력장치(1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 정보필터장치(16) 및 정보처리장치(20)를 갖추고 있고, 표시장치(l2), 보조기억장치(13), 보조입력장치(l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 및 정보필터장치(l6)가 각각 정보처리장치(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뎀(2)도 정보처리장치(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 단말장치(30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처리 단말장치(10l)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17) 대신에 정보처리장치(20)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표시장치(l2)는 예컨대 CRT나 LCD 등을 갖추어, 정보처리장치(20)의 제어하에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해야 할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보조기억장치(13)는 정보처리장치(20)의 기본제어를 위한 OS 등의 정보를 기억해 두기위한 것이다.
보조입력장치(14)는 예컨대 키보드나 터치패널등으로, 이용자가 정보처리장치(20)에 대하여 각종의 지시입력을 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300)에 대하여 착탈자유자재인 메모리카드(9)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이 메모리카드(9)에의 정보 기록이나 메모리카드(9)로부터의 정보 판독을 정보처리장치(20)의 제어하에 행하는 것이다.
정보필터장치(16)에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가 제공된다. 정보필터장치(l6)는 이 영상신호 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중에서 정보처리장치(20)로부터 통지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것을 추출하여 정보처리장치(20)에 제공하는 것이다.
정보처리장치(20)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회로로서 갖는 것으로, 각종 정보제공서비스를 액세스하여 제공되는 데이타를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정보처리장치(20)는 각종 정보제공서비스 등을 제공받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수단에 추가하여,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l7a), 데이타 추출처리수단(l7b), 데이타 기록수단(17c), 메일판독수단(20a) 및 메일송신 처리수단(20b)을 갖추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20)는 상기 제 l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17)에 있어서의 각 처리수단에 추가하여, 메일판독수단(20a) 및 메일송신 처리수단(20b)을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메일판독수단(20a)은 메모리카드(9)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메일송신 처리수단(20b)은 메일판독수단(20a)에 의해 판독된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300)의 동작을 도 8에 나타내는 정보처리장치(20)의 처리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정보처리장치(20)는 스텝 ST1 내지 스텝 ST6의 처리를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l7)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그러나, 스텝 ST3에 있어서 카드타입이 데이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 정보처리장치(20)는 스텝 ST7에 있어서 카드타입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데 앞서, 카드타입이 전자메일인가 아닌가의 판단을 한다(스텝 ST21). 그리고 카드타입이 전자메일도 아니면, 정보처리장치(20)는 스텝 ST7의 처리를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17)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한편, 카드타입이 전자메일이면, 정보처리장치(20)는 메모리카드(9)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메일판독수단(20a)에 의해 판독하며(스텝 ST22),이 판독한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모뎀(2) 및 회선(C)을 통해 소정의 서비스제공자(예컨대 인터넷 프로바이더)가 설치하는 서버를 향하여 규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신한다(스텝 ST23). 또한, 서비스제공자에게 접속하기 위한 전화번호나 계정은 정보처리장치(20)에 미리 설정해 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어드레스는 전자메일의 데이타와 함께 메모리카드(9)에 저장해 두는 것으로 한다.
TCP/IP 상에서 전자메일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토콜에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RFC 821을 참조)나 POP3( Post Office protocoI, RFC 1081, 1082를 참조)등이 있다. 또한, POP3를 이용한 경우의 소프트웨어 모델을 도 9에 나타낸다. 이것은 도 13에 나타낸 것에 대하여, OSI 참조모델의 세션층, 프레젠테이션층, 어플리케이션층에 상당하는 레이어(195)에 POP3가 추가된 것이다.
그리고 전자메일의 데이타의 송신이 완료되면 정보처리장치(20)는 그 송신이 완료된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메모리카드(9)에서 소거한다(스텝 ST24). 또한 스텝 ST23 및 스텝 ST24의 처리는 메일송신 처리수단(20b)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드타입으로서 전자메일이 설정된 메모리카드(9)가 장착된 경우에는, 그 메모리카드(9)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소정의 서비스제공자가 설치하는 서버를 향하여 자동적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임의의 수단(예컨대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기기를 이용하여)으로 전자메일의 데이타를 작성하여 메모리카드(9) (카드타입으로서 전자메일이 설정된 것)에 저장해 두고, 이 메모리카드(9)를 본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300)에 장착함으로써, 전자메일의 데이타 송신을 위한 복잡한 조작을 할 필요없이 전자메일의 데이타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주요부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15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정보서비스 시스템은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 및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를 주체로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는 예컨대 일반가정등에 설치되고,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는 예컨대 문자다중 방송제공업자에 설치된다.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 및 정보처리 단말장치(401)로 이루어진다.
정보처리 단말장치(40l)에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에 접속된 전화회선(C)을 통해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모템(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장치(3)에는 TV 지상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8)가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100)에 있어서의 정보처리 단말장치(101)대신에 정보처리 단말장치(40l)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정보처리 단말장치(401)는 표시장치(12), 보조기억장치(13), 보조입력장치 (l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 정보필터장치(2l) 및 정보처리장치(22)를 갖추고 있고, 표시장치(12), 보조기억장치(13), 보조입력장치(14),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5) 및 정보필터장치(21)가 각각 정보처리장치(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뎀(2)도 정보처리장치(22)에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 단말장치(40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처리 단말장치(10l)에 있어서의 정보필터장치(16)대신에 정보필터장치(21)를, 또한 정보처리장치(l7)대신에 정보처리장치(22)를 각각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표시장치(12)는 예컨대 CRT나 LCD 등을 갖추어, 정보처리장치(22)의 제어하에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해야 할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보조기억장치(l3)는 정보처리장치(22)의 기본제어를 위한 OS 등의 정보를 기억해 두기 위한 것이다.
보조입력장치(14)는 예컨대 키보드나 터치패널등으로, 이용자가 정보처리장치(22)에 대하여 각종의 지시입력을 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l5)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에 대하여 착탈식 메모리카드(9)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이 메모리카드(9)에의 정보 기록이나 메모리카드(9)로부터의 정보 판독을 정보처리장치(22)의 제어하에 행하는 것이다.
정보필터장치(21)에는 영상신호 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가 제공된다. 정보필터장치(21)는 후술하는 선택송신요구를 행한 것이 정보처리장치(22)로부터 통지된 경우에는, 자기장치로 보내는 데이타만을 영상신호 처리장치(3)가 출력하는 데이타중에서 추출하여 정보처리장치(22)에 제공한다.
정보처리장치(22)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회로로서 갖는 것으로, 각종 정보제공서비스를 액세스하여 제공되는 데이타를 이용자에 대하여 제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정보처리장치(22)는 각종 정보제공서비스 등을 제공받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수단에 추가하여, 카드관리 정보판독수단(l7a), 데이타 기록수단(17c) 및 선택송신 요구수단(22a)을 갖추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22)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l7)에 있어서 각 처리수단중의 데이타 추출처리수단(17b)을 배제함과 동시에, 선택송신 요구수단(22a)을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선택송신 요구수단(22a)은 장착된 메모리카드(9)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에 관련하는 데이타의 선택송신을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에 대하여 요구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한편,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는 문자프로그램메모리(23),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 다중화장치(25) 및 문자방송 제어장치(26)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문자프로그램메모리(23) 및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가 문자방송 제어장치(26)에 각각 접속되고, 다중화장치(25)는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문자방송 제어장치(26)에는 전화회선(C)을 통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모뎀(27)이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다중화장치(25)에는 텔레비젼 송출시스템(28) 및 텔레비젼 방송기(2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문자프로그램 메모리(23)는 도시하지않은 문자프로그램 작성장치등에 의해 작성된 문자다중방송용 데이타를 저장해 두기위한 것이다.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는 문자방송 제어장치(26)에 의해 문자프로그램 메모리(23)로부터 인출된 문자다중방송용 데이타를 텔레비젼 방송신호에 다중하기 위한 문자방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다중화장치(25)는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에 의해 형성된 문자방송신호를 텔레비젼 송출시스템(28)이 송출하여 텔레비젼 방송기(29)에 제공되는 텔레비젼 방송신호중의 영상신호를 수직귀선소거기간(垂直歸線消去期間)에 다중화하기 위한 것이다.
문자방송 제어장치(26)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회로로서 구비한 것으로, 문자프로그램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다중방송용 데이타를 적당히 인출하여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에 제공함으로써 문자다중 방송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문자방송 제어장치(26)는 문자다중 방송을 실현하기 위한 주지의 일반적인 처리수단에 추가하여, 선택송신요구 접수수단(26a), 요구데이타 추출수단(26b) 및 요구데이타 송신제어수단(26c)을 갖추고 있다.
이 중 선택송신요구 접수수단(26a)은 전화회선(C)을 통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에서 이루어지는 선택송신요구의 접수를 행하는 것이다. 요구데이타 추출수단(26b)은 선택송신요구와 동시에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로부터 통지된 키워드에 관련하는 데이타를 문자프로그램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중에서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요구데이타송신 제어수단(26c)은 요구데이타 추출수단(26b)에 의해 추출된 데이타에 선택송신요구를 행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의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로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의 동작을 도 ll에 나타내는 정보처리장치(22) 및 문자방송 제어장치(26)의 처리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정보처리장치(22)는 스텝 STl 내지 스텝 ST4 및 스텝 ST7의 처리를 상기 제 l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17)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그리고, 스텝 ST4에 있어서 키워드를 판독한 후에 정보처리장치(22)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에 대하여 선택송신을 요구한다 (스텝 ST31). 구체적으로는, 미리 설정된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의 전화번호를 모뎀(2)을 통해 자동 다이얼하여 도 l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회선(C)을 통한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간의 통신로를 확립한 후에, 서비스수신자의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나 서비스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코드등)나 스텝 ST4에서 판독한 키워드를 소정의 순서로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에 제공한다. 또한 스텝 ST3l에서 정보처리장치(22)는 자기에게 보내어지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의 출력을 정보필터장치(21)에 대하여 지시한다. 또한 이상의 처리는 선택송신 요구수단(22a)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에 있어서 문자방송 제어장치(26)는 대기상태에 있어서 선택송신요구가 발생하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스텝 ST41).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로부터 선택송신요구가 이루어지면, 문자방송 제어장치(26)는 선택송신요구 접수수단(26a)에 의해 그 선택송신요구를 접수한 다음(스텝 ST42) 요구데이타 추출수단(26b)에 의해 선택송신요구에 있어서 통지된 키워드에 관련하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를 문자프로그램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중에서 추출한다(스텝 ST43).
그리고 문자방송 제어장치(26)는 스텝 ST43에서 추출한 문자프로그램 데이타를 문자다중 방송으로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요구데이타송신 제어수단(26c)에 의해 행한다 (스텝 ST44). 즉, 문자방송제어장치(26)는 스텝 ST43에서 추출한 문자프로그램 데이타를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에 제공하지만, 이때, 선택송신의 요구원(要求元)인 식별정보를 어드레스정보로서 부가해 놓는다. 이리하여 어드레스정보가 부가된 문자프로그램 데이타는 문자방송 신호형성장치(24)에서 문자방송신호로 변환된 후에, 텔레비젼송출 시스템(28)이 송출하여 텔레비젼 방송기(29)에 제공되는 텔레비젼 방송신호중의 영상신호가 수직귀선소거기간에 다중화장치(25)에 의해 다중화된다. 그리고, 음성신호 및 문자방송신호가 다중화된 후의 영상신호는 텔레비젼 방송기(29)에 의해 각각 변조등이 행하여진 뒤에 안테나(30)에서 TV 방송파로서 방출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30)에서 방출된 TV 방송파가 안테나(8)로 수신되면, 안테나(8)의 출력신호에서 영상신호 처리장치(3)에 의해 문자방송신호가 추출되어 문자프로그램 데이타가 재생되며, 이 문자프로그램 데이타가 정보필터장치(21)에 제공된다. 이 때 정보필터장치(21)에는 자기에게로 보내어지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를 추출하는 것이 정보처리장치(22)에 의해 지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자기의 식별정보가 어드레스정보로서 부가된 문자프로그램 데이타가 제공되면, 이 문자프로그램 데이타를 정보처리장치(22)에 제공한다.
그런데 정보처리장치(22)는 스텝 ST31에서 선택송신요구를 한 후에는 자기에게로 보내어지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T32).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기에게로 보내어지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가 정보필터장치(21)로부터 제공되면, 정보처리장치(22)는 그 정보필터장치(21)로부터 제공되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를 메모리카드(9)에 기록한다 (스텝 ST33).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량의 문자프로그램 데이타에서 키워드에 관련하는 것을 추출하는 기능을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쪽에 설치해 둘 필요가 없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의 구성을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400)도 정보필터장치(21)를 갖추고 있지만, 이 정보필터장치(21)는 문자프로그램 데이타에 부가된 어드레스정보를 감시하여 자기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어드레스정보를 검출한다고 하는 단순한 처리를 행하면 좋으므로,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필터장치(16)와 같이, 다량의 문자프로그램 데이타에서 키워드에 관련하는 것을 추출한다고 하는 복잡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한 구성이어서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메모리카드(9)는 메모리부(92)의 일부영역을 카드관리정보의 기억영역에 설정하여, 제어부(92)에 의해 카드관리정보의 재기록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카드관리정보의 재기록을 금지하기 위한 수단은 메모리카드(9)에 설치하지않고,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쪽에 카드관리정보의 재기록이 지시되더라도 이것을 무시하도록 하는 수단을 갖추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기억매체에 기억된 카드관리정보는 특정한 재기록금지 해제지시가 내려지지 않는 한은 재기록을 금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카드관리정보를 자유롭게 재기록가능하게 해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카드관리정보에 있어서의 키워드를 원하는 것으로 설정하여 그 키워드에 관련하는 데이타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기억매체로서 메모리카드를 이용하고 있지만, 플로피디스크 등과 같은 다른 기억매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전자메일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예컨대 하이퍼텍스트나 화상 데이타등을 대상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 및 상기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2 실시예와 같은 기한관리를 동시에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500)는 요구된 데이타를 문자다중 방송을 통해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전화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정보를 받기 위한 주정보 취득수단과, 이 주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주정보중에서 상기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특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특정정보 추출수단과, 이 특정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정정보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갖추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의 정보 전송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주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주정보 판독수단과, 이 주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주정보를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로 송신하기 위한 주정보 송신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이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를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하는 키코드 통지수단과, 이 키코드 통지수단에 의한 키코드의 통지에 따라서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정보를 받기위한 주정보 취득수단과, 이 주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주정보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갖추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또는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하여, 시계동작을 행하여 날짜를 제시하기 위한 시계수단과,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유효기한이 표시되고 있고, 또한 이 유효기한을 상기 시계수단이 제시하는 날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 기억매체에의 특정정보의 기록이나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주정보의 송신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처리수단을 갖추어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장치들에 의해, 정보서비스 수신측인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없이, 기억매체에의 정보 기록을 정리하여 효율적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로 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가 입수가능한 다수의 주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를, 상기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서 소정의 키코드가 통지된 것에 따라서, 이 통지된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특정정보를 상기 입수가능한 다수의 주정보중에서 추출하기 위한 특정정보 추출수단과, 이 특정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정정보만을 상기 키코드의 통지원(通知元)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향하여 송신하는 특정정보 송신수단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정보서비스 수신측의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없이, 기억매체에의 정보 기록을 정리하여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로 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되는 곳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허용하는 정보서비스의 형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리정보를, 적어도 소정의 해제지시가 이루어지지 않은 한은 재기록 불가능하게 기억함과 동시에,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의해 임의의 주정보를 판독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억영역을 설치하여 기억매체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정보서비스 수신측의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는일 없이 기억매체에의 정보 기록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의 적용에 적합한 기억매체로 된다.

Claims (12)

  1.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주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주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주정보중에서, 상기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특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특정정보 추출수단과;
    상기 특정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정정보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2. 착탈식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의 정보 전송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주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주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주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주정보를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하기 위한 주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주정보는 전자메일의 데이타, 하이퍼텍스트 및 화상데이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4.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그 기억매체에 미리 저장된 관리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관리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키코드를 소정의 정보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하는 키코드 통지수단과;
    상기 키코드 통지수단에 의한 키코드의 통지에 따라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주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주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주정보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시계동작을 행하여 날짜를 제시하기 위한 시계수단과,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유효기한이 표시되어 있고, 또한 이 유효기한을 상기 시계수단이 제시하는 날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 기억매체에의 특정정보의 기록이나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주정보의 송신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시계동작을 행하여 날짜를 제시하기 위한 시계수단과,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유효기한이 표시되어 있고, 또한 이 유효기한을 상기 시계수단이 제시하는 날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 기억매체에의 특정정보의 기록이나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주정보의 송신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시계동작을 행하여 날짜를 제시하기 위한 시계수단과,
    관리정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관리정보에 유효기한이 표시되어 있고, 또한 이 유효기한을 상기 시계수단이 제시하는 날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 기억매체에의 특정정보의 기록이나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주정보의 송신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는 정보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프로그램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는 정보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프로그램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는 정보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프로그램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수신장치.
  11. 자기가 입수가능한 다수의 주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로부터 소정의 키코드가 통지됨에 따라서, 이 통지된 키코드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특정정보를 상기 입수가능한 다수의 주정보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특정정보 추출수단과,
    상기 특정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정정보만을 상기 키코드의 통지원인 정보서비스 수신장치를 향하여 송신하는 특정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서비스 제공장치.
  12. 장착처의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허용하는 정보서비스의 형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리정보를, 적어도 소정의 해제지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은 재기록 불가능하게 기억함과 동시에, 정보서비스 수신장치에 의해 임의의 주정보를 판독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억영역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KR1019970048970A 1996-09-27 1997-09-26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및 기억매체 KR19980025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6731 1996-09-27
JP8256731A JPH10107747A (ja) 1996-09-27 1996-09-27 情報サービス受信装置、情報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記憶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01A true KR19980025001A (ko) 1998-07-06

Family

ID=1729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970A KR19980025001A (ko) 1996-09-27 1997-09-26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25061B1 (ko)
EP (1) EP0833261A2 (ko)
JP (1) JPH10107747A (ko)
KR (1) KR19980025001A (ko)
TW (1) TW355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295B2 (ja) 1999-03-17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US6903779B2 (en) * 2001-05-16 2005-06-07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lated components of a media stream that has been transmitted over a computer network
GR1004588B (el) * 2002-11-08 2004-06-07 ΦΑΣΤ ΕΛΛΑΣ Ανώνυμη Εμπορική Εισαγωγική Εξαγωγική Εταιρεία Η/Υ Αποκωδικοποιητης δεδομενων τηλεοπτικου σηματος
US7739596B2 (en) 2007-04-06 2010-06-1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with media
US8413892B2 (en) 2007-12-24 2013-04-09 Dynamics Inc. Payment cards and devices with displays, chips, RFIDs, magnetic emulators, magnetic encoders, and other components
KR102207114B1 (ko) * 2014-06-12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의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7145A (en) * 1993-09-01 1999-03-23 Sandisk Corporation Removable mother/daughter peripheral card
JPH0897784A (ja) 1994-09-21 1996-04-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検索システム
US5813010A (en) * 1995-04-14 1998-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with parenta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25061B1 (en) 2002-07-23
JPH10107747A (ja) 1998-04-24
TW355765B (en) 1999-04-11
EP0833261A2 (en) 199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5727B2 (ja) テレビ番組の視聴データ取得方法および装置
JP4162722B2 (ja) テレビ番組およびその他のデータの伝送および受信
US6487543B1 (en) Media-integrating system, terminal device, recording medium and broadcasting method for use in the media-integrating system
US7076522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EP1111922A2 (en) Providing multiple levels of interactive television service using triggers and trigger filters
US8065701B2 (en) Information broadcasting method,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and receiv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ther than program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CA2389247A1 (en) Television system for accumulation-oriented broadcast information display system, distribution sys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JP2002373152A (ja) クッキー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データ表示装置
EP0776131B1 (en) Two-way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two-way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4019210A1 (ja) 通信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提供装置およびデータ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1325507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および方法
CN100403781C (zh) 电视接收机、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JP2002016889A (ja) 予約録画装置、録画予約システムおよび予約録画方法
KR19980025001A (ko)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및 기억매체
CN102036118B (zh) 内容广播设备和接收设备及方法以及内容广播系统
JP4362252B2 (ja) 関連情報配信方法、関連情報提供方法、識別情報提供方法、関連情報配信システム、関連情報提供装置、識別情報提供装置、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WO2008090799A1 (ja) テレビ情報処理装置、テレビ番組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ウェブ・テレビ連携方法
KR100793622B1 (ko)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관리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정보 모듈
JP4219568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オンライン取引支援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01366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3483812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26459B2 (ja) データ中継装置、データ中継方法、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情報処理方法、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333332A (ja) 画像情報供給システム
JP4227773B2 (ja) Tv番組録画配信システム、tv番組録画配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3607429B2 (ja) 情報サービス受信装置および情報サービス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