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763A -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수신된 데이타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수신된 데이타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63A
KR19980024763A KR1019970047739A KR19970047739A KR19980024763A KR 19980024763 A KR19980024763 A KR 19980024763A KR 1019970047739 A KR1019970047739 A KR 1019970047739A KR 19970047739 A KR19970047739 A KR 19970047739A KR 19980024763 A KR19980024763 A KR 19980024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number
transmission
newly received
new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526B1 (ko
Inventor
히데키 나루사와
Original Assignee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주) filed Critical 가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2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기억부(4)는 수신된 데이터 및 이들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연속적으로 기억한다. 제어부(3)는 동일한 호출 판단부(5), 전송 번호 비교부(6) 및 재전송 데이터 검출부(7) 각각을 동작시킴으로써,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들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중 하나의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 각각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된 경우 또한 이들 전송 번호간의 차가 X이하인 경우, 관심을 가진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고 판단하는 반면, 전송 번호가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2이상만큼 새로운 경우 또는 전송 번호가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된 경우 또한 이들 전송 번호간의 차가 X보다 큰 경우, 데이터 누락이 존재한다라고 판단한다.

Description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수신된 데이터 판단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송 번호를 데이터에 부가하여 데이터가 전송 시스템 사이트로부터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각각에 전송될 때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번호를 토대로 재전송 데이터 및 데이터 누락(omission)을 검출하는 설비를 구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형의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전송 시스템 사이트에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각각에 전송될 때, 전송 번호의 할당은 하나하나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마다 실행되고 데이터는 관계된 데이터에 부가되는 전송 번호와 더불어 전송된다. 게다가, 이미 전송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 시스템에서 다시 전송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일단 데이터에 부가되는 전송 번호와 동일한 전송 번호가 데이터에 부가되고 나서 데이터는 재전송된다. 이와 같은 전송 번호가 관계된 데이터에 부가되도록 하고 이에 부가된 전송 번호를 갖는 전송 번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대해선, 예를 들어 전세계적으로 일반적인 표준으로서의 FLEX 또는 유럽 표준으로서의 ERMES에 따라서 설계된 시스템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형의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 신호가 새로운 데이터 및 상술된 바와 같이 상호 혼합된 재전송 데이터와 더불어 수신되기 때문에, 전송 번호를 토대로 한 수신 제어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송 번호는 이에 따라서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검출된다.
(2) 수신된 데이터는 전송 번호 순서로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3) 새롭게 수신되는 전송 번호 및 상기 전송 번호를 따르기 위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술된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M개의(M은 정수이다) 전송 번호 및 상기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를 따르기 위하여 수신되는 상기 새로운 M개의 데이터 각각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현재 수신되는 전송 번호 및 수신된 데이터와 내용면에서 각각 동일한 전송 번호 및 이 전송 번호를 따르는 수신된 데이터가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 및 가장 새로운 M개의 수신된 데이터 각각에 존재할 때, 현재 수신된 데이터는 재전송 데이터로서 간주되어 이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가 실행되지 않는다.
(4)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술된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검출되고 2이상일 때, 전송 데이터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실패했다는 경보가 제공된다(이하부터, 간단히 데이터 누락(data omission)이라 함). 즉, 어떤 전송 번호가 스킵(skip)될 때, 데이터 누락이 존재한다라고 판단하고 나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사실을 통지받는다.
상술된 발명의 일예인 JP-A-267825/1995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서술하고 있다.
현재, 상술된 종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임의의 하나의 전송 번호보다 오래된 전송 번호를 갖는 재전송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술된 경보 각각이 적절하게 발부되지 않는다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는 상세한 예를 고려하면서 후술될 것이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수신되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전송 번호중에서 가장 새로운 M개의(이 예에서 M=4) 전송 번호는 다음과 같다라고 가정한다.
153, 152, 151, 150
그리고나서, 이 조건하에서 전송 번호 148을 갖는 재전송 데이터가 수신된다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전송 번호 148가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수신되는 데이터는 재전송 데이터일지라도 전부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로서 취급되어, 전송 데이터가 새롭게 수신되었다는 경보가 발부된다.
게다가, 수신된 데이터가 전부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 148를 기억 수단에 기록함으로써,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는 다음과 같다.
148, 153, 152, 151
그리고나서, 전송 번호 154를 갖는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가장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종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 148이기 때문에, 데이터 누락이 147에서 154의 범위의 전송 번호의 데이터를 수신시에 발생한다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종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임의의 하나의 전송 번호와 부합하지 않는 전송 번호를 갖는 재전송 데이터가 기억 수단에 기억될 때, 관심을 가진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는 것은 검출되지 않고 또한 재전송 데이터는 새로운 전송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새로운 전송 데이터가 수시될 때, 수신시의 데이터 누락에 대한 잘못된 경보가 발부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관계된 상술된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의 소정 번호들중 임의의 하나의 번호보다 오래된 전송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황에서 조차도 재전송 데이터를 적절하게 검출하고 수신시의 전송 데이터의 누락을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하나하나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마다 전송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가하고 상기 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하여 동일한 전송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가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의해 성취되는데,
상기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송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된 데이터 및 이들의 전송 번호를 연속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 보다 오래된 경우와,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X(X는 임의의 설정값)와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과,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된 경우와,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가 상기 X보다 큰 경우 데이터 누락이 수신시에 상기 데이터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 및,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전송 데이터라는 판단이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되지 않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 둘다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를 실행하고 데이터 누락이 존재한다라는 판단이 상기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누락에 대한 경보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따르면,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임의의 하나의 전송 번호보다 오래된 전송 번호를 갖는 데이터가 수신될 때 조차, 관심을 가진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일 때 이 사실이 검출되기 때문에 재전송 데이터는 적절하게 검출되고 전송 데이터의 누락 또는 적절하게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그외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를 따른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2 : 무선 선택부
3 : 제어부4 : 데이터 기억부
5 : 동일한 호출 판단부6 : 전송 번호 비교부
7 : 재전송된 데이터 검출부8 : 표시부
9 : 경보 수단10 : ID-R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시호를 복조하는 무선부(2)와, 매 전송 데이터마다 상기 수신부(2)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자신의 전송 번호를 포함)를 관리하여 수신하는 데이터 기억부(4)와, 상기 무선부(2)에 의해 새롭게 수신되는 데이터(자신의 전송 번호를 포함함)가 과거에 수신되는 데이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일한 호출 판단부(5)와, 누락이 수신된 전송 번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전송 번호 비교부(6)와, 새롭게 수신되는 데이터가 전송 데이터인지를 검출하는 재전송 데이터 검출부(7)와, 데이터, 전송 번호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8)와, 진동기, 스피커 LED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수단(9)과, 자기 선택 호출 번호, 임의 설정값 M개의 및 X를 기억하는 ID-ROM(10)과, 상술된 이들 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를 구비한다.
현재, 동일한 호출 판단부(5)는 무선부(2)에 의해 새롭게 수신되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는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 및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를 비교하고 무선부(2)에 의해 새롭게 수신되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들 중 하나의 데이터 및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하나의 전송 번호 각각과 부합할 때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고 판단하여 이점을 제어부(3)에 통지한다.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전송 데이터라는 것을 제어부(3)가 통지받을 때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경보는 경보 수단(9)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다. 상술된 ID-ROM(10)에 기억되는 설정값(M)이 제어부(3)에 의해 데이터 기억부(4)에 설정된다.
전송 번호 비교부(6)는 누락이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와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전송 번호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제어부(3)는 상기 검출부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가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a)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는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클 때(즉, 보다 새로울 때) 그리고 연속성이 두 개의 전송 번호들간에서 얻어질 때, 제어부(3)는 누락이 전송 번호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받는다. 이 경우에, 제어부(3)에 의한 제어를 토대로,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 둘다는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며,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경보는 경보 수단(9)에 의해 실행되고 동시에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표시부(8)상에 표시된다.
b)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클 때, 그리고 연속성이 두 개의 전송 번호들간에서 얻어질 때, 제어부(3)는 누락이 전송 번호에 존재한다는 것을 통지받는다. 이 경우에, 제어부(3)에 의한 제어를 토대로,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 둘다는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며,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경보는 경보 수단(9)에 의해 실행되고 동시에 상기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표지부(8)상에 표시된다. 그 후에, 제어부(3)에 의한 제어를 토대로 데이터 누락을 보고하는 경보는 경보 수단(9)에 의해 실행되고 동시에 누락된 전송 번호는 표시부(8)상에 표시된다.
c)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기억부(4)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작을 때(즉, 보다 오래될 때), 전송 번호를 토대로 한 데이터 누락의 존재 및 부재의판단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데이터누락이 존재하는지는 전송 데이터 검출부(7)에서의 처리에 맡겨진다.
재전송 데이터 검출부(7)는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부터 무선부(2)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 번호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는 값이 임의의 설정값 X보다 큰지에 따라서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현재 시간의 첫 번째 시간동안 전송되는 데이터인지 또는 재전송 데이터인지를 검출한다. 상술된 ID-ROM(10)에 기억되는 임의의 설정값 X는 제어부(3)에 의한 제어를 통해서 데이터 기억부(4)에 설정된다.
재전송 데이터 검출부(7)에 의해 실행되는 재전송 데이터를 판단하는 처리가 다음과 같이 상술될 것이다.
a)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는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부터 무선부(2)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 번호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는 값이 설정값 X보다 클 때, 데이터 누락이 발생한다고 판단하고 제어부(3)는 누락된 전송 번호를 통지받는다. 이 경우에, 제어부(3)에 의한 제어를 토대로,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 둘다는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경보는 경보 수단(9)에 의해 실행되고 동시에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 둘다는 표시부(8)상에 표시된다. 그 후에, 제어부(3)에 의한 제어를 토대로, 데이터 누락을 보고하는 경보는 경보 수단(9)에 의해 실행되고 동시에 누락된 전송 번호는 표시부(8)상에 표시된다.
b)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부터 무선부(2)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 번호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는 값이 설정값 X보다 작을 때,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제어부(3)는 이 사실을 통지받는다.
이 경우에, 제어부(3)는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는 모든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와 비교하여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중 하나와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나서, 만일 그렇다면,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경보 수단(9)에 의한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가 실행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만일 그렇지 않다면,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고 판단하지만, 제1 호출을 실행할 때 수신되지 않는 데이다. 그리고나서, 제어부(3)에 의한 제어를 토대로,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며,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경보가 경보 수단(9)에 의해 실행되고 동시에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표시부(8)상에 표시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다음 새로운 전송 번호의 수신동안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서 취급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부(3)에 의해 이 처리가 실행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재전송 데이터를 위한 판단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이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가 전송 번호와 함께 데이터를 수신할 때(단계 101), 이에 따라서 수신되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이미 수신된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중 하나와 동일한지가 판단된다(단계 102). 만일 그렇다면,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는 실행되지 않는다(단계 103).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와의 비교를 토대로 한 재전송 데이터에 대한 판단이 우선적으로 실행되는 이유는 신속하게 판단되는 것을 우선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체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만일 그렇치 않다면,,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 A가 이미 수신된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 B보다 큰지가 판단된다(단계 104).
그리고나서, 전송 번호 A가 전송 번호 B보다 클 때, 전송 번호 A 및 B간에서 연속성이 얻어진다(단계 105). 만일 그렇다면,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 B의 가장 새로운 데이터에 인접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가 실행된다(단계 106). 다른 한편, 만일 그렇치 않다면, 수신되는 않는 데이터가 전송 번호 B의데이터 및 전송 번호 A의 데이터간에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판단된다. 그리고나면, 우선적으로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가 실행되고(단계 108)나서데이터 누락에 대한 경보가 실행된다(단계 110).
다른 한편, 전송 번호 A가 전송 번호 B보다 작을 때, 전송 번호 B로부터 전송 번호 A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는 값이 설정값 X(단계 107)보다 크게 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나서, (B-A)의 값이 설정값 X보다 클 때, 수신되지 않는 데이터가 전송 번호 B의 데이터 및 전송 번호 A의 데이터 간에 존재한다라고 판단한다. 다음에, 데이터 누락에 대한 경보가 실행된다(단계 110).
다른 한편, (B-A)의 값이 설정값 X보다 작을 때,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는 재전송 데이터라고 판단한다(단계 109). 그리고나서, 관심을 갖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와 동일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 각각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11). 그리고나서, 만일 그렇다면, 관심을 갖는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라고 확실하게 결론질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는 실행되지 않는다(단계 112).
다른 한편, 만일 그렇치 않다면,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제1데이터는 수신되지 않는다라고 판단하고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가 실행된다(단계 113). 그러나,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서 취급되지 않는다(단계 111).
내용 없음.

Claims (12)

  1.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하나하나 마다 전송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가하고 동일한 전송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송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연속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될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X(X는 임의 설정값)와 동일하거나 작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과,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될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상기 X보다 클 때 데이터 누락이 수신시에 상기 데이터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과,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라는 판단이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되지 않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를 실행하고 데이터 누락이 존재한다라는 판단이 상기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누락에 대해 경보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은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가장 새로운 M개의(M은 임의 설정값) 데이터중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하고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중 하나의 번호와 동일할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를 판단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은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2이상만큼 새로운 전송 번호일 때 데이터 누락이 수신시에 상기 데이터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M은 임의 설정값)중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한지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하나의 번호와 동일한지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에 의해 우선적으로 판단될 때만, 상기 수신된 전송 번호와 관계하는 상기 판단이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 또는 상기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은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되고 상기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X와 동일하거나 작을 때 관심을 갖는 상기 전송 번호와 동일한 상기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지를 판단하고 관심을 갖는 전송 번호와 동일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지 않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전송되는지 그리고 수신되는데 실패한 상기 재전송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심을 갖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되는 방식으로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해 경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관심을 갖는 전송 번호가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서 취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6.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하나하나 마다 전송 번호를 데이터에 부가하고 동일한 전송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연속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M은 임의의 설정값) 데이터중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하나의 전송 번호와 동일할 때 또는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될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X(X는 임의 설정값)와 동일하거나 작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과,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2이상 만큼 새로울 때 또는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되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상기 X보다 클 때 데이터 누락이 수신시에 상기 데이터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과,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라는 판단이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되지 않을 때 관심을 갖는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누락이 존재한다라는 판단이 상기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누락에 대해 경보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M은 임의 설정값) 데이터중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한지 그리고 상기 새로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하나의 전송 번호와 동일한지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에 의해 우선적으로 판단될 때에만 그리고 또한 관심을 가진 상기 데이터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라는 판단을 토대로 판단되지 않을 때에만,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와 관계하는 판단은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 또는 상기 데이터 누락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은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될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X와 동일하거나 작을 때 상기 관심을 가진 전송 번호와 동일한 상기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와 동일한 상기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지 않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전송되는지 그리고 상기 재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느지를 판단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심을 갖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제어하고 상기 관심을 갖는 전송 번호는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서 취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9.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하나하나 마다 전송 번호를 ㄷ데이터에 부가하고 동일한 전송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연속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경보하는 경보 수단과,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M은 임의의 설정값)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중 어떤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할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데이터의 상기 전송 번호들중 어떤 하나의 번호와 동일할 때 제1판단 신호를 출력하는 제1판단 수단과,
    상기 제1판단 신호가 상기 제1판단 수단으로부터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와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클 때 그리고 또한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버호와 연속할 때 제2판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2이상 만큼 새로울 때 제3판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작을 때 제4판단 신호를 출력하는 제2판단 수단과,
    상기 제4판단 신호를 수신시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를 계산하여 상기 차가 X(X는 임의의 설정값)이상일 때 제5판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가 상기 X이하일 때 제6판단 신호를 출력하는 제3판단 수단과,
    상기 제1판단 신호를 수신시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한 경보는 실행되지 않고 상기 제2판단 신호를 수신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상기 경보는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제3판단 신호를 수신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상기 경보는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도록 하며, 그후에, 데이터 누락이 존재하는지를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보고받고 상기 누락된 전송 번호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도록하며, 그리고 상기 제5판단 신호를 수신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상기 경보는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도록 하며, 그후에 데이터 누락이 존재하는지를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보고 받으며, 그리고 상기 제6판단 신호를 수신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모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와 각각 비교되고 나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모든 데이터중 어떤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할 때 또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전송 번호들중 어떤 하나의 전송 번호와 동일할 때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경보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모든 데이터중 어떤 데이터와도 동일하지 않고 상기 새롭게 수시된 데이터의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전송 번호들중 어떤 전송 번호와도 동일하지 않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수신을 보고하는 상기 경보는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는 결코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서 취급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10.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하나하나 마다 전송 번호를 전송 데이터에 부가하고 동일한 전송 번호를 재전송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재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재전송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연속적으로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M은 임의의 설정값) 데이터중 어떤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하나의 전송 번호와 동일할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될 때 그리고 또한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X(X는 임의 설정값)와 동일하거나 작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이미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2이상 만큼 새로울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되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상기 X보다 클 때 데이터 누락이 수신시에 상기 데이터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라는 판단이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수단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번호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를 실행하고 데이터 누락이 존재한다라고 판단될 때 상기 데이터 누락에 대한 경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송 데이터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M은 임의 설정값) 데이터중 임의의 하나의 데이터와 동일한지 또는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M개의 전송 번호들중 임의의 하나의 전송 번호와 동일한지가 우선적으로 판단될 때, 그리고 상기 관심을 갖는 데이터가 상기 재전송 데이터라는 판단을 토대로 판단되지 않을때에만,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와 관계하는 상기 재전송 데이터 판단 또는 상기 누락 데이터 판단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송 데이터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보다 오래될 때 그리고 상기 새롭게 수신된 전송 번호 및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간의 차가 X와 동일하거나 작을 때 상기 관심을 가진 전송 번호와 동일한 상기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와 동일한 상기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지 않을 때 상기 새롭게 수신된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전송되는지 그리고 상기 재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실패하는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관심을 갖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의 전송 번호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고 상기 데이터 수신에 대한 경보가 실행되고 상기 관심을 갖는 전송 번호는 상기 가장 새로운 전송 번호로서 취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송 데이터 제어 방법.
KR1019970047739A 1996-09-19 1997-09-19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수신된 데이터 판단 방법 KR100256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8214 1996-09-19
JP8248214A JP3056090B2 (ja) 1996-09-19 1996-09-19 無線選択呼出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63A true KR19980024763A (ko) 1998-07-06
KR100256526B1 KR100256526B1 (ko) 2000-05-15

Family

ID=1717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739A KR100256526B1 (ko) 1996-09-19 1997-09-19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수신된 데이터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26109A (ko)
EP (1) EP0831441B1 (ko)
JP (1) JP3056090B2 (ko)
KR (1) KR100256526B1 (ko)
DE (1) DE6973246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906B1 (ko) * 1997-12-15 2002-04-22 윤종용 호출메시지재전송을위한무선호출시스템과무선호출수신기및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237A (ja) 1998-12-04 2000-06-23 Nec Shizuoka Ltd 無線通信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378099B1 (en) * 1999-01-29 2002-04-23 Qualcomm Incorporated Blind frame identif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212362B1 (en) * 1999-02-23 2001-04-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retransmission of missed messages in a wireless messag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5604A (en) * 1985-11-27 1993-02-09 Seiko Corp. And Seiko Epson Corp. Message indicating icon mechanism
JPH03267825A (ja) * 1990-03-16 1991-11-28 Nec Corp 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159331A (en) * 1990-06-06 1992-10-27 Seiko Corp. And Seiko Epson Corp. Missing radio page message detection
GB2253503B (en) * 1990-11-30 1994-05-25 Nec Corp Radio pager with a data display device
JPH04216220A (ja) * 1990-12-17 1992-08-06 Nec Commun Syst Ltd 無線呼び出しシステム
JP2765246B2 (ja) * 1991-01-24 1998-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ページ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5315635A (en) * 1992-09-30 1994-05-24 Motorola, Inc. Reliable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906B1 (ko) * 1997-12-15 2002-04-22 윤종용 호출메시지재전송을위한무선호출시스템과무선호출수신기및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98755A (ja) 1998-04-14
EP0831441B1 (en) 2005-02-09
JP3056090B2 (ja) 2000-06-26
EP0831441A1 (en) 1998-03-25
DE69732462T2 (de) 2006-01-05
KR100256526B1 (ko) 2000-05-15
US5926109A (en) 1999-07-20
DE69732462D1 (de)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69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ed diversity reception of a radio signal
KR880002163B1 (ko) 수신기용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US5574439A (en) Paging receiver which displays canned and general messages
WO1991019367A1 (en) Out of range detector
KR100256526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수신된 데이터 판단 방법
KR100293068B1 (ko) 우선순위선정된메시지관리용제어기를갖는무선표시페이저
JP2551317B2 (ja) 無線選択呼出方式
KR0181123B1 (ko) 무선호출기에서 동작모드를 시간별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모드전환하는 방법
US5872518A (en) Wireless selective calling receiver with a method and a system for releasing a frequency channel lock
KR970004431A (ko) 무선 페이저
JPH11337655A (ja) 地震警報監視制御処理装置
JP2778565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6445923B1 (en) Selective wireless paging receiver and radio frequency searching method therefor
GB2253503A (en) Radio pager with data display device
WO1990006634A1 (en) Power con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ion of a predetermined signal
JP2968738B2 (ja) 個別選択呼出受信システムおよび個別選択呼出受信方法
US5768701A (en) Intermittent receiving control apparatus of a selective calling receiver
US5841782A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errored messages
JPH0595344A (ja) 障害検出方式
JP2981007B2 (ja) 防災監視装置の端末アドレス確認方式
JPH07272177A (ja) 火災受信機
US5969635A (en) Radio paging receiver in which announcement of a call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form of a received signal
KR940017305A (ko) 오류메시지 저장방지기능을 갖는 무선호출수신방법 및 그 장치
JPH0821151B2 (ja) 防災監視装置
JPS62189828A (ja) 個別選択呼出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