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725U - 2중척식 샤아프펜슬 - Google Patents

2중척식 샤아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25U
KR19980024725U KR2019970000380U KR19970000380U KR19980024725U KR 19980024725 U KR19980024725 U KR 19980024725U KR 2019970000380 U KR2019970000380 U KR 2019970000380U KR 19970000380 U KR19970000380 U KR 19970000380U KR 19980024725 U KR19980024725 U KR 199800247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eraser rubber
support body
chuck
penc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2259Y1 (ko
Inventor
요시히데 미츠야
쇼우지 안자이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양행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24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지우개 고무가 부착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지우개고무의 움직임에 따라 필심탱크가 회전해서 앞쪽척과 뒷쪽척에 협지된 필심이 비틀려 부러지거나 또는 필심을 보충할 때 지우개고무의 소모에 따른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던 것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심보유지지용 앞쪽척(11)과 필심조출용 뒷쪽척(5)을 갖춘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뒷쪽척에 접속된 필심탱크(4)의 뒷부위 외측에 외통(1)에 대해 회전을 저지되지만 축방향으로서의 이동은 할 수 있도록 어뎁터(3)가 설치되고서, 이 어뎁터(3)의 뒷부위에 어뎁터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도록 설치된 지지본체(13, 17)로 이루어진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2,16)가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2중척식 샤아프펜슬
제 1도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에서의 회전식 지우개고무 조출기구가 뽑아내어진 상태에서 도시된 샤아프펜슬 뒷부위의 종단면도,
제 3도는 제 1도의 외통만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 4도는 제 1도에서의 어뎁터를 정면도롤 나타냄과 더불어 외통 내측의 리브가 어뎁터에 끼워 맞춰진 상태를 점선으로 나타낸 도면,
제 5도는 제 4도의 A-A선 횡단면도,
제 6도는 제 1도에서의 지우개고무 조출기구의 요부사시도,
제 7도는 제 6도의 분해 사시도,
제 8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 9도는 제8도의 지우개고무 쟈켓의 변형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제 10도는 제 8도의 외통 후단부의 변형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제 11도는 제 8도의 지우개고무 지지기구의 변형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통,2 ; 선구,
3 ; 어뎁터4 ; 필심탱크,
5 ; 뒤쪽척,6 ; 척링,
7 ; 탄성원통형상체8 ; 뒷쪽스프링,
9 ; 이음부재,10 ; 앞쪽스프링
11 ; 앞쪽척,12 ; 회전식 지우개고무 조출기구,
13 ; 지지본체, 14 ; 안내원통,
15 ; 지우개고무 받침대,16 ; 지우개고무 지지기구,
17 ; 지지본체,18 ; 지우개고무 쟈켓,
19 ; 녹크캡
[고안의 목적]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
본 고안은 척링이 느슨하게 끼워져 필심을 일정량씩 조출시키는 뒷쪽척과 필심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앞쪽척을 갖춘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우개고무 조출기구가 뒷쪽부위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기술]
종래의 이러한 종류 2중척식 샤아프펜슬로서는 주로 필심의 손실을 줄일 목적으로 여러 가지가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서는 2개의 척에 의해 필심이 협지되어 있는 경우, 한쪽의 척이 어떤 이유로 회전하게 되면 양쪽의 척에 협지되어져 있는 필심이 비틀려져 파손되고 말게 된다. 이러한 경우 파손된 필심이 앞쪽척과 뒤쪽척 사이에 들어가 필심의 조출을 방해한다거나 파손된 후에 필심이 조출되어 앞의 필심을 밀어낼 때 앞쪽의 필심의 파손부와 뒷쪽필심의 파손부가 어긋나게 되어 필심을 조출시킬 수가 없게 되는 일이 있었다.
[고안이 해결할려는 과제]
따라서 필기자가 무심코 뒤쪽척에 필심탱크를 매개로 접속되어져 있는 녹크부배 또는 지우개고무 홀더를 회전시킨다던지,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때 필심탱크와 함께 뒷쪽척도 회전시켜지게 되면, 앞쪽척에 협지된 필심의 앞쪽부분과 뒷쪽척에 협지되어 보유지지된 필심의 뒷쪽부분이 비틀려져 파손되고 말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지우개고무부착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척이 축방향으로 이동은 하지만 회전은 할 수 없도록 외통과 필심탱크에 고착시킨 어댑터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어댑터와 지우개고무 지지본체에 회전저지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필심이 비틀려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는, 복잡한 내부구조상의 관점에서 샤아프펜슬의 외통 뒷쪽부위내에 지우개고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가 없어서, 실제로는 극히 작은 것 밖에 부착시킬 수가 없었고, 이는 결국 남겨지는 이른바 손실분이 적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심보유지지용 척과 필심조출용 척을 구비한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서 한층 더 그러하였다.
한편 재우개고무로 글씨가 지워진다는 것은, 지우개고무가 필기면을 마찰해서 긁게 되면 고무부스러기가 만들어지게 되면서 그에 부착되는 필심가루가 흡착되어 에워싸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우개고무는 소모가 심해서 사용하게 되면 곧 닳아 없어지게 되고 말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2중척식 샤아프펜슬의 복잡한 구조와 이와 같은 지우개고무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안출된 것으로, 지우개고무의 사용에 따라 형상이 변하더라도 지우개고무 조출기구를 카세트형식으로 해서 간단히 뽑아낼 수가 있고, 또 지우개고무의 마찰에 대응해서 지우개고무를 적당한 길이로 돌출시킬 수도 있도록 된 구조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샤아프펜슬용 지우개고무의 크기나 형상 등이 여러 가지로 다르다던가 또는 제조상 규격에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뒷쪽부분에 지우개고무를 비교적 간단히 부착시킬 수가 있고, 또 필심의 교체나 본충이 쉽고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구나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때에도 지우개고무의 회전이 필심탱크를 매개로 뒷쪽척에 전달되어 뒷쪽척이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앞쪽 및 뒷쪽척에 협지된 필심이 비틀려 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외통과 필심탱크의 직경이 달라 그들 사이에 큰 간극이 만들어져 필심이 끼인다거나 또는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때 필심탱크가 흔들린다거나 하는 일이 있게 되나, 본 고안은 외통과 필심탱크 사이에 스페이서 기능도 갖게 되는 어뎁터가 설치되어 그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상과 같은 목적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 2중척식 샤아프펜슬은 필심보유지지용 앞쪽척과 필심조출용 뒷쪽척을 구비하게 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뒷쪽척에 접속된 필심탱크의 후단부 외측에 외통에 대해 회전은 저지되지만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된 어뎁터와, 이 어뎁터의 뒷쪽부위에 이 어뎁터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도록 설치된 지지본체로 이루어진 회전식 지우개고무 조출기구가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은, 필심보유지지용 앞쪽척과 필심조출용 뒷쪽척을 구비한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뒷쪽척에 접속된 필심탱크의 후단부 외측에 외통에 대해 회전은 저지되지만 축방향 이동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어뎁터와, 이 어뎁터의 뒤쪽부위에 어뎁터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도록 설치된 지지본체로 이루어진 지우개고무 지지기구가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 ∼ 제 7도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2중척식 샤아프펜슬 및 그 부품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외통(1)의 앞끝부위에는 선구(2)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 외통(1)내에는 필심탱크(4)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서, 이 필심탱크(4)의 후단부에는 뒤에 설명되 듯이 외통(1)에 대해 회전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 어뎁터(3)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필심탱크(4)의 앞끝부위에는 필심을 조출하기 위한 뒷쪽척(5)이 압입되어 고정설치되고, 이 뒷쪽척(5)의 선단부에는 척링(6)이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또 이 척링(6)의 뒷끝과 닿아서는 탄성원통형상체(7)가 설치되고서, 이 탄성원통형상체(7)와 필심탱크(4)의 앞끝 사이에는 뒷쪽스프링(8)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탄성원통형상체(7)는 앞끝에 안쪽을 향한 플랜지(7a)를 갖고서 이 플랜지(7a)의 안쪽에 탄성체로서 뒷쪽스프링(8)이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이 뒷쪽스프링(8)이 외통(1)에 대해 필심탱크(4) 등을 뒷쪽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원통형상체(7)의 외측에는 이음부재(9)가 걸림구조에 의해 설치되고서, 이 이음부재(9)의 작은 직경부 앞끝과 선구(2)의 내벽부 사이에는 앞쪽스프링(10)이 설치되어 이음부재(9)를 뒷쪽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음부재(9)의 작은 직경 단차부의 선단부에는 필심보유지지용 앞쪽척(11)이 압입으로 고정되어져 있는 바, 이 앞쪽척(11)은 선구(2)에 일체로 조립되어져 앞쪽척(11)이 전진한 상태에서는 필심이 떨어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필심을 보유지지하지만, 필심에 조금이라도 하중이 가해지면 필심이 이동할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쪽척(11)이 선구(2)의 앞끝에서 돌출된 부분에는 스토퍼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쪽척(11)은 이 앞쪽척(11)이 후퇴한 상태에서는 필기압에 견뎌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지지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제 1도에서 참조부호 12는 뒤에 설명되는 필심탱크(4)의 뒷쪽에 설치되는 카세트 형태의 회전식 지우개고무 조출기구를 나타낸다.
그런데 필심탱크(4)의 뒷쪽부위에는 앞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어뎁터(3)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어뎁터(3)는 제 4도에서 볼 수 있듯이 외주부위에 4개의 외측 리브(3a)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들 외측리브(3a)의 앞끝은 뒤에 설명되는 외통(1)의 내측리브(1a)와 리브끼리 끼워 맞춰질 때 안내역할을 하도록 예각부(3a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각부(3aa)는 뒤에 설명되는 외통(1)의 내측리브(1a)와 리브끼리 끼워 맞춰질 때 안내하는 기능을 하도록 된 것으로서, 조립할 때 방향성을 고려치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되나다.
다른 한편으로 어뎁터(3)의 내측 중간부위에는 뒤에 설명되는 지지본체(13)의 위치결정용 스토퍼로서의 환상돌기(3b)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 환상돌기(3b)의 뒷쪽에는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내측리브(3c)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내측리브(3c)의 뒷끝에도 안내용 예각부(3cc)가 갖춰져 있는바, 이 예각부(3cc)는 지지본체(13)의 외측리브(13b)와 끼워 맞춰질 때의 안내용으로 앞에서 설명된 예각부(3aa)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 어뎁터(3)의 앞끝 및 뒷끝 내측에는 필심을 보충할 때 필심이 안내되기 쉽도록 모따기부(3d)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그 내측 중간부위에 형성된 환상돌기(3b)에도 마찬가지고 필심이 안내되기 쉽도록 종단면이 뒷쪽을 향해 내려가도록 된 경사면(3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어뎁터(3)의 외측리브(3a)에 대응해서 외통(1)에 대해 어뎁터(3)가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제 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통(1)의 내주부에도 마찬가지로 4개의 리브(1a)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제 4도의 점선부분이 바로 외통(1)의 리브(1a)가 어뎁터(3)의 외측리브(3a)에 끼워져 걸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외통(1)의 내측리브(1a)는 제 3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샤아프펜슬의 녹크스트로크를 고려해서 길이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뎁터(3)의 환상돌기(3b)에서 뒷쪽을 향해 형성된 내측리브(3c; 제 2도)에 끼워지기 위해 지우개고무 조출기구(12)를 구성하는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에도 외측리브(13b)가 형성되어 있다(제 6도, 제 7도).
그리고 환상돌기(3b)의 종단면이 뒷쪽을 향해 내려가는 경사면(3e)에 대응해서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 앞끝 외측에도 모따기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본체(13)의 내경과 어뎁터(3)의 환상돌기(3b)의 내경 및 필심탱크(4)의 내경이 거의 같도록 형성되어 필심이 통과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지우개 조출기구(13)에 대해 그 요부가 도시된 제 6도 및 제 7도를 가지고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본체(13)에 설치된 안내원통(14; 제 1도)의 내주면에는 나선수단으로서의 나선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 제 2도)에는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4개의 외측리브(13b)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고서, 이들 외측리브(13b)의 앞끝에는 안내용 맞)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외측리브(13b)의 뒷쪽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1쌍의 슬릿(13c)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슬릿(13c)에 지우개고무를 지지하는 지우개고무 받침대(13)의 걸림돌기(15)가 자유로이 왕복 이동하도록 끼워 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본체(13)의 외면에 깍여져 형성된 돌출편(13e)이 형성되어 안 내원통(14)의 프랜지(14a)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를 축방향으로는 자유로이 이동하지만 회전은 저지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는, 어뎁터(3)의 뒷부위 내면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내측리브(3c; 제 2도)와 이 내측리브(3c)와 끼워 맞춰지도록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 외면에 형성된 외측리브(13b)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필기를 할 때 후단 녹크부(13f)를 눌러 녹크하면 앞쪽스프링(10)이 뒷쪽스프링(8)보다 약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앞쪽스프링(10)이 먼저 압축되게 되고, 그에 따라 앞쪽척(11)이 전진하게 되어 개방시켜지게 되므로 뒷쪽으로 부터 필심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다음 이음부재(9)의 경사턱부위가 선구(2)의 내측에 형성된 계단부에 닿게되면 그다음 부터는 뒷쪽스프링(8)이 압축되어 필심탱크(4)와 함께 뒷쪽척(5)이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뒷쪽척(5)이 전진하는 도중 척링(6)이 이음부재(9) 내측에 형성된 계단부에 닿아 뒷쪽척(5)이 개방되게 되면 필심이 자체 무게로 전진해서 보유지지되게 된다. 그후 녹크를 해제하면 뒷쪽척(5)이 처음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시 녹크하게 되면 뒷쪽척(5)이 전진해서 필심을 보유지지한 상태로 이음부재(9)내를 전진해서 필심을 송출하게 된다.
다시 필심은 앞쪽척(11)내를 전진해서 이에 보유지지되어 앞끝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한편 필기도중 필심이 마모된 경우에는 재차 뒷끝의 녹크부(13f)를 녹크해서 필심을 송출시키면 되는데, 필심의 길이가 짧아진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녹크조작을 되풀이 함으로써 필심탱크(4)내의 새로운 필심을 내보내 이 새로운 필심으로 마모된 필심을 밀어내게 되면 다시 계속해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심이 앞쪽척(11)에서 너무 길게 돌출된 경우에는, 녹크부(13f)를 눌러 척을 조금만 벌어지게 하고 나서 필심의 앞끝을 누르면 필심이 되돌려지기 때문에 필심의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필기중에 오기를 한 경우에는, 외통(1)을 잡고서 안내원통(14)을 회전시키면, 지우개고무 조출기구(12)의 지지본체(13)와 어뎁터(3) 사이가 외측리브(13b)와 내측리브(3c)의 리브끼리 끼워 맞춰진 구조에 따라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우개고무 받침대(15)가 안내원통(14)의 나선홈(14b) 에 안내됨과 더불어 지지본체(13)에 형성된 길이방향 슬릿(13c)에 규제되어 상승해서 지우개고무를 돌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때에는 지우개고무에는 상당한 회전력이 가해지지만 어뎁터(3)와 지지본체(13) 및 어뎁터(3)와 외통(1) 사이에는 모두 리브끼리 끼워 맞춰지는 구조로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우개고무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필심탱크(4)에 접속된 뒷쪽척(5)에 전해져 앞쪽척(11)과 함께 때문혀져 있는 필심을 비틀게 됨으로써 부러지게 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이때 어뎁터(3)는 스페이어로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필심탱크(4)가 흔들려 지우기가 어렵게되는 불편도 없게 된다. 한편 사용후 지우개고무를 안내원통(14)내에 수납시킬려면, 앞에서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원통(14)을 회전시키면 된다.
다음에는 필기도중 필심이 모두 소모되어 새로운 필심을 필심탱크(4)내에로 보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필심탱크(4)의 뒷부위에 설치된 어뎁터(3)로부터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를 뽑아낸다. 이때 지우개고무 조출기구(12)가 전체로서 일체로 조립되어 유니트화 된 이른 바 카세트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어뎁터(3)와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가 단지 길이방향의 리브끼리 끼워 맞춰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우개고무에 닿기 않고 안내원통(14)을 잡고서 간단히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어뎁터(3)의 안내용 경사면(3d, 3e)에 의해 외통(1) 뒷쪽의 개구부로부터 어뎁터(3)를 거쳐 필심탱크(4)내로 필심을 쉽게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제 8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2중척식 샤아프펜슬을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앞쪽의 2중척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이 제 2실시예에서는 외통(1)의 뒷부위에 회전식 지우개고무 조출기구(12) 대신 지우개고무 지기구(16)가 부착되어 있는 바, 이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는 앞에서 설명된 제 1실시예에서의 외측리브(13b)와 마찬가지로 외측리브를 갖춘 다리부위(17a)보충 가진 원통형상의 지지본체(17)와 이 지지본체(17)의 상부내에 설치된 바닥을 가진 지우개고무 쟈켓(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지우개고무 쟈켓(18)에 부착된 지우개고무를 덮기 위해 외통(1)과 지지본체(17) 사이에 녹크캡(19)이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샤아프펜슬에서는 필기를 위해 필심을 조출시키는 것은 제 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후단녹크로 행하게 된다.
그리고 지우개고무의 사용은 녹크캡(19)을 벗기고서 하게 되나, 지우개고무가 마모되어 짧아진 경우에는 지지본체(17)로부터 쟈켓(18)과 함께 지우개고무를 뽑아내어 쟈켓(18)의 분할홈(18a)을 벌려 지우개고무를 잡아당겨 뽑아내고 나서 손을 떼면 분할홈(18a)에 되돌려져 지우개고무를 다시 협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지지본체(17)에 부착시켜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를 일체로 해서 샤아프펜슬에서 조립하면 된다. 또 예비필심의 보충은 녹크캡(19)을 벗겨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9)의 상단부를 잡고서 뽑아내면 지우개고무에다 손을 닿게 하여 지우개고무를 뽑아내지 않고 카세트로서 간단히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제 9도는 제 8도에 도시된 지우개고무 쟈켓의 변형례를 부분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의 쟈켓(18')은 바닥이 없는 C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쟈켓(18')을 쓰게 되면 제 1도 등에 도시된 회전식 지우개고무 조출기구의 지우개고무에 비해 부품수가 적어져 굵기가 굵은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 8도에 도시된 바닥을 갖는 지우개고무 쟈켓(18)을 쓰는 경우에 비해 보다 길이가 긴 지우개고무를 쓸 수가 있게 된다. 즉, 쟈켓(18')이 바닥이 없기때문에 쟈켓(18')이 지지본체(17)의 상단부에 그치지 않고 걸려지게 됨으로써 지우개고무가 지지본체(18)의 깊은 곳까지 삽입될 수가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지우개고무가 마모되면 쟈켓과 지우개고무를 뽑아내어 쟈켓(18')의 절결부(18'a)를 벌려 지우개고무를 필요한 길이만큼 돌출시킨 다음 지지본체(17)에다 되돌려 놓으면 된다.
제 10도는 제 8도에 도시된 외통(1)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외통(1)의 후단부에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를 뽑아내기 쉽도록 마주보는 1쌍의 홈(1b)을 다시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필심을 필심탱크(4)내에다 보충할 때 지지본체(17)을 보다 깊이 손가락으로 잡기가 쉬워져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를 뽑아내기가 한결 더 간단해지는 잇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녹크캡(19)을 벗겨낼려면, 녹크캡(19)이 벗겨지기 전에 어뎁터(3)로부터 지지본체(17)가 벗겨지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 녹크캡(19)과 지지본체(17)의 끼움이 상기 어뎁터(3)와 지지본체(17)의 끼움보다 약하도록 해놓을 필요가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녹크캡(19)과 지지본체(17)의 끼움강도가 100g∼400g이 되도록 하면서, 어뎁터(3)와 지지본체(17)의 끼움강도를 800g∼1000g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어뎁터(3)와 필심탱크(4)의 끼움강도가 2000g이상이 되도록 하면 녹크캡(19) 또는 지지본체(17)와 역회전으로 인한 끼움이 되지 않게 됨은 물론이다.
제 11도는 제 8도에서의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의 변형례를 부분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이 예에 따르면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를 구성하는 지지본체(17)의 상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녹크캡(19)의 부착위치가 상기 각 실시예와는 달라지게 된다. 즉, 본 변형례에서는 외통(1)에서 돌출되어 지지본체(17)의 옆쪽으로 뻗은 플랜지(17a)의 상부면에 녹크캡(19)의 하단 가장자리가 올려놓아져 부착되게 된다. 한편 제 8도, 제 9도 및 제 11도에서도 제 10도에서와 같이 분할홈(1b)을 형성시켜도 좋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필심을 보충할 때 녹크캡(19)을 벗기지 않고 외통(1)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본체(17)를 손가락으로 잡고서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를 쉽게 외통(1)에서 잡아뽑을 수가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본체(17)의 플랜지(17a)에 손가락이 걸려져 보다 더 뽑아내기가 쉬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본체(13, 17)와 어뎁터(3) 및 어뎁터(3)와 외통(1)의 각 회전저지를 위한 구조로서 각각 4개의 외측리브와 내측리브가 끼워 맞춰지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리브의 숫자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회전저지 구조도 그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횡단면 다각형상부끼리 끼워맞춰지도록 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효과가 있게 된다. 즉,
a. 지우개고무 조출기구 또는 보유지지기구가 일체로 조립되어 유니트화 또는 카세트화 되고, 더구나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때 지우개고무를 지면에 강하게 눌러 사용하더라도 지우개고무가 돌지가 않게 되고, 또 필심탱크에 접속된 뒷쪽척도 회전하지가 않아 필심이 부러지지 않게 된다.
b. 지우개고무는 탄성체여서 필심을 보충할 때 오래된 것이 부서지거나 또는 사용에 따라 마모되어 짧아지더라도 지우개고무형상의 변화에 관계없이 뽑아내기가 쉽고, 필심가루가 묻어 더럽혀진 지우개고무자체에 손가락을 닿게 하지 않고서도 지우개고무를 일체로 뽑아낼 수 가 있게 된다.
c. 지우개고무의 소모정도에 맞춰 지우개고무를 돌출시킬 수가 있어서 잔류하는 고무의 허실이 적어지게 된다.
d. 외통과 필심탱크 사이에 회전저지기능과 스페이서기능을 겸하는 어뎁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때 과대한 압력이 지우개고무에 가해지더라도 필심탱크가 흔들리지 않고 잘못되어 외통과 필심탱크 사이에 필심이 들어가 끼이는 일이 없게 된다.
e. 지우개고무가 어뎁터에 직접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지우개고무가 빠져 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내주에 지우개고무를 받치기 위한 단차부, 즉 직경을 달리하는 부분이 필요없게 되어 필심을 보충할 때 필심이 걸리는 일이 없게 된다.
f. 어떤 실시형태에 따르더라도 어뎁터와 지우개고무본체의 조립이 양호한 지우개고무기구가 회전조출식기구이던 또는 단순한 지지기구이던 어떤 샤아프펜슬 본체에도 공통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라인에 있어 범용성을 갖게 된다.

Claims (13)

  1. 필심보유지지용 앞쪽척과 필심조출용 뒷쪽척을 갖춘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뒷쪽척(5)에 접속된 필심탱크(4)의 뒷부위 외측에 외통(1)에 대해 회전은 저지되지만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할 수 있도록 어뎁터(3)가 설치되고서, 이 어뎁터(3)의 뒷부위에 어뎁터(3)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도록 설치된 지지본체(13)로 이루어진 회전식 지우개 고무 조출기구(12)가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지우개고무 조출기구(12)가, 내측에 나선수단(14b)이 형성된 안내원통(14)과, 지우개고무를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나선수단(14b) 에 안내되어지는 지우개고무 받침대(15), 이 지우개고무 받침대(15)의 걸림돌기(15a)가 규제되어 안내되는 슬릿(13d)이 형성된 지지본체(13)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와 상기 어뎁터(3)의 내측에 이 어뎁터(3)에 대해 착탈될 수는 있으나 회전을 할 수 없도록 하는 회전저지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지수단이 상기 어뎁터(3)의 내주부와 상기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 외주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리브(3c, 13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3)의 내벽에 위치결정용 스토퍼부로서 환상돌기(3b)가 형성되고서, 이 환상돌기(3b)의 종단면이 뒷쪽을 향해 내려앉는 경사면(3e) 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3)의 앞끝과 뒷끝 및 상기 지지본체(13)의 다리부위(13a)가 각각 모따기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6. 필심보유지지용 앞쪽척과 필심조출용 뒷쪽척을 갖춘 2중척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뒷쪽척(5)에 접속된 필심탱크(4)의 뒷부위 외측에 외통(1)에 대해 회전은 저지되지만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할 수 있도록 어뎁터(3)가 설치되고서, 이 어뎁터(3)의 뒷부위에 어뎁터(3)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도록 설치된 지지본체(17)로 이루어진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가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가 지우개고무의 소모에 대응해서 지우개고무를 돌출시키기 위한 지우개고무 쟈켓(1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3)가 내벽에 위치결정용 스토퍼로서의 환상돌조(3b)가 형성되고서 이 환상돌기(3b)의 뒷쪽면이 뒷쪽을 향해 내려앉는 경사면(3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3)의 내주부와 상기 지지본체(17)의 다리부위(17a) 외측에 각각 복수의 리브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3)의 앞끝과 뒷끝 및 상기 지지본체(17)의 다리부위(17)에 각각 모따기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의 후단부에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를 뽑아내기 위한 분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가 지지본체(17)의 뒷쪽부위에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녹크캡(19)을 구비하면서, 이 녹크캡(19)과 지지본체(17)의 끼움이 상기 어뎁터(3)와 지지본체(17)의 끼움보다 약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우개고무 지지기구(16)를 구성하는 지지본체(17)의 상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녹크캡(19)이 갖춰지면서, 이 녹크캡(19)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외통(1)에서 돌출되어져 지지본체(17)의 옆쪽으로 뻗은 플랜지(17a)의 상부면에 올려놓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아프펜슬.
KR2019970000380U 1996-10-07 1997-01-14 2중척식 샤아프펜슬 KR20014225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82868 1996-10-07
JP28286896 1996-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25U true KR19980024725U (ko) 1998-07-25
KR200142259Y1 KR200142259Y1 (ko) 1999-06-01

Family

ID=1765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380U KR200142259Y1 (ko) 1996-10-07 1997-01-14 2중척식 샤아프펜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42259Y1 (ko)
CN (1) CN2284141Y (ko)
TW (1) TW32826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8772B2 (ja) * 2001-12-14 2007-11-14 株式会社壽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7283754A (ja) * 2006-03-20 2007-11-01 Kotobuki & Co Ltd 芯カートリッジ及び芯カートリッジが組み込まれる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28266U (en) 1998-03-11
CN2284141Y (zh) 1998-06-17
KR200142259Y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875Y1 (ko)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KR100339817B1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JP3882272B2 (ja) シャ−プペンシル
JP3885315B2 (ja) シャ−プペンシル
KR100350835B1 (ko) 측방녹크식 볼펜
KR19980024725U (ko) 2중척식 샤아프펜슬
US5984550A (en) Writing device
JPH0226698Y2 (ko)
KR200162605Y1 (ko) 2중척식 샤아프펜슬
KR100507891B1 (ko) 이중척식 샤프펜슬
EP0850784A2 (en) Container with means for selectively extending and retracting a substantially stick-shaped object
JPH10211021A (ja)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
JP3761504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860003286Y1 (ko) 샤아프 펜슬
JPH0131133Y2 (ko)
JPH11227384A (ja)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S6323180Y2 (ko)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H11188990A (ja) シャ−プペンシル
KR860003284Y1 (ko) 샤아프 펜슬
JPS5811300Y2 (ja) カ−トリッジ式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JP260579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H0140711Y2 (ko)
KR200215741Y1 (ko) 필기구의 뒷마개 부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