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042A - 주 배기 소음기 - Google Patents

주 배기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042A
KR19980022042A KR1019960041101A KR19960041101A KR19980022042A KR 19980022042 A KR19980022042 A KR 19980022042A KR 1019960041101 A KR1019960041101 A KR 1019960041101A KR 19960041101 A KR19960041101 A KR 19960041101A KR 19980022042 A KR19980022042 A KR 1998002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chamber
pipe
exhaust
exhaust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042A/ko
Publication of KR1998002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042A/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 저부에 고인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주 배기 소음기(main muffler)에 관한 것이다.
본 배기 소음기(10)는 전방의 접속 파이프(17)와 후방의 테일 파이프(20)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제 1 내지 제 3 챔버(14,15,16)로 한정하도록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플 플레이트(12,13)와, 상기 챔버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내부 파이프(18,19)와, 배기 가스가 냉각되면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4 내지 16)의 저부에 소음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테일파이프(20)에 대해 직각으로 접속된 가늘고 긴 드레인 파이프(2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내부 챔버와 테일 파이프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배기 가스가 냉각되면서 발생된 응축수가 배출되므로 소음기의 부식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 배기 소음기
본 발명은 주 배기 소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소음기 저부에 고인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주 배기 소음기(main muffler)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배기계는 각 실린더의 배기 가스를 모아 배기 파이프로 보내는 배기 매니폴드(1)와,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파이프(2)와, 상기 프론트 파이프의 후방에 체결되어 상기 배기 매니폴드(1)를 통해 배출된 배기 가스를 상기 프론트 파이프(2)로부터 도입하여 배기 가스 중의 유해한 가스를 산화 및 환원시키는 촉매 변환기(3)와, 상기 촉매 변환기의 후방에 미들 파이프(4)를 통해 체결된 부 배기 소음기(5)와, 상기 부 배기 소음기의 후방에 접속된 주 배기 소음기(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 배기 소음기(7)는 상기 부 배기 소음기(5)에 접속 되는 접속 파이프(6)와 후단의 테일 파이프(8)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차량 배기계에 있어서, 엔진의 실린더내에서 연료가 연소 되어 발생된 고온 고압의 배기 가스는 엔진측의 배기 매니폴드(1)와 프론트 파이프(2)를 거쳐 촉매 변환기(3)에서 배기 가스중의 유해 성분, 즉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질소산화물 등을 산화 및 환원 작용으로 무해한 이산화탄소, 물, 질소, 및 산소로 전환시키게 된다.
그 후 배기 가스는 부 배기 소음기(5)에서 일차로 압력과 소음이 감소된 후, 상기 주 배기 소음기(7)에 이르게 되고, 이곳에서 최종적으로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낮추어 배기 소음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엔진의 배기 가스 성분중에는 다량의 수증기를 함유하고, 이러한 수증기는 배기 가스의 배출 과정중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응축수로 되어 상기 주 배기 소음기의 저부에 고이게 되고, 결국 배기 소음기내의 배플 플레이트 및 내부 파이프 등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차량 사용자에게는 2 년 내지 3 년의 주기로 배기 소음기를 교환해야하는 비용 부담을 주고 제조자는 그 재질을 스테인레스계의 고가 재질로 대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기의 재질을 고가의 스테인레스계로 변경하는 대신에 배기 가스가 냉각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주 배기 소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 배기 소음기의 일예로서, 전방의 접속 파이프와 후방의 테일 파이프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제 1 내지 제 3 챔버로 한정하도록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챔버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내부 파이프를 포함하는 주 배기 소음기에 있어서, 배기 가스가 냉각되면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의 저부에 소음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테일 파이프에 대해 직각으로 접속된 가늘고 긴 드레인 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는 그 길이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테일 파이프내의 압력은 내부 챔버내의 압력보다 낮으므로, 그 압력차에 의해 소음기 저면에 고인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홀을 통해 흡인되어 상기 테일 파이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므로써 소음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배기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 배기 소음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부 배기 소음기 6,17 : 접속 파이프
7,10 : 주 배기 소음기 8,20 : 테일 파이프
11 : 하우징 12,13 : 배플 플레이트
14,15,16 : 챔버 18,19 : 내부 파이프
21 : 드레인 파이프 22 : 길이부
23 : 홀 W : 응축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 배기 소음기(10)는 전방의 접속 파이프(17)와 후방의 테일 파이프(20)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제 1 내지 제 3 챔버(14,15,16)로 한정하도록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플 플레이트(12,13)와, 상기 챔버를 서로 연통시기기 위해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내부 파이프(18,19)를 포함하고, 또한 배기 가스가 냉각되면서 발생된 응축수(W)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늘고 긴 드레인 파이프(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14)와 제2챔버(15)를 한정하고 있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12)는 상기 챔버(14,15)를 서로 연통시키는 상기 내부 파이프 (18)가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 2 챔버(15)와 제 3 챔버(]6)를 한정하고 있는 상기 다른 배플 플레이트(13)에는 2 개의 다른 내부 파이프(19)가 관통하여 배치되므로써 상기 제 2 챔버(15)와 제 3 챔버(16)를 연통시킨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파이프(21)는 상기 챔버(14 내지 16)의 저부에 소음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부(22)를 가지며 상기 테일 파이프(20)에 대해 직각으로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21)는 각 챔버(14 내지 16)의 저면에 고이는 응축수(W)를 흡입할 수 있도록 그 길이부(22)에 다수의 홀(2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주 배기 소음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부 배기 소음기를 거쳐 일차적으로 소음이 감소된 배기 가스는 접속 파이프(17)를 통해 주 배기 소음기(10)의 제1챔버(14)로 유입되고, 배플 플레이트(12,13)를 직각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파이프 (18,19)를 통해 차례로 제 2 챔버(15)와 제 3 챔버(16)로 유입되면서 온도와 압력이 감소되어 배기 소음이 감소된다.
다음, 상기 제 3 챔버(16)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상기 제 3 챔버로부터 외부로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20)를 통해 외기로 빠져 나간다.
한편, 배기 가스에 함유된 수증기가 냉각되면서 상기 챔버(14 내지16)의 바닥에 고인 응축수(W)는 상기 소직경의 드레인 파이프(21)에 의해 배출된다.
즉, 테일 파이프(20)내의 압력은 상기 챔버(14 내지 16)내의 압력 보다 낮으므로, 그 압력차에 의해 소음기 저면에 고인 응축수(W)가 상기 드레인 파이프(21)의 길이부(22)에 형성된 다수의 홀(23)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테일 파이프(2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 배기 소음기는 내부 챔버와 테일 파이프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가 냉각되면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시키므로 소음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주 배기 소음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디요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전방의 접속 파이프(17)와 후방의 테일 파이프(20)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제 1 내지 제 3 챔버(14,15,16)로 한정하도록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플 플레이트(12,13)와, 상기 챔버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내부 파이프(18,19)를 포함하는 주 배기 소음기에 있어서, 배기 가스가 냉각되면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4 내지 16)의 저부에 소음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테일 파이프(20)에 대해 직각으로 접속된 가늘고 긴 드레인 파이프(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 배기 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21)는 상기 챔버(14 내지 16)의 저면에 고이 응축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그 길이부(22)에 다수의 홀(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 배기 소음기.
KR1019960041101A 1996-09-20 1996-09-20 주 배기 소음기 KR19980022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101A KR19980022042A (ko) 1996-09-20 1996-09-20 주 배기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101A KR19980022042A (ko) 1996-09-20 1996-09-20 주 배기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042A true KR19980022042A (ko) 1998-06-25

Family

ID=6652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101A KR19980022042A (ko) 1996-09-20 1996-09-20 주 배기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0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717A (ko) * 2000-12-04 2002-06-12 이계안 머플러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0812839B1 (ko) * 2006-12-14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제거 장치
CN110159402A (zh) * 2019-06-28 2019-08-2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中间管及后处理总成
KR20190142992A (ko) * 2018-06-19 201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한 머플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717A (ko) * 2000-12-04 2002-06-12 이계안 머플러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0812839B1 (ko) * 2006-12-14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머플러의 응축수 제거 장치
KR20190142992A (ko) * 2018-06-19 201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한 머플러
CN110159402A (zh) * 2019-06-28 2019-08-2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中间管及后处理总成
CN110159402B (zh) * 2019-06-28 2024-01-1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中间管及后处理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8435A (en) Silencer combined with catalytic conver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modular diaphragm elements for said silencer
KR19980022042A (ko) 주 배기 소음기
KR100333958B1 (ko) 소음기
KR19980022047A (ko) 주 배기 소음기
KR100276242B1 (ko) 소음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0203150B1 (ko) 서브 소음제거 구조를 갖춘 차량의 머플러
KR19980060226U (ko)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KR100276246B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508164B1 (ko) 가변 머플러의 연결구조
KR20000055101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368639B1 (ko) 유연 연료를 사용하는 브이6 엔진용 배기 소음기
KR100318070B1 (ko) 소음 저감형 배기 매니폴드 커버
KR0130986Y1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0337503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배기 매니폴드 조립체
KR200233529Y1 (ko) 튜닝머플러
KR19980043316U (ko) 자동차용 배기가스 배출 장치
KR19980053953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99800438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SU1262067A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19980011609U (ko) 차량 배기가스 정화용 배기시스템의 촉매설치구조
KR19980061333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9980029120A (ko) 자동차 머플러(Muffler)의 배수구조
KR19980020735U (ko) 배기 매니폴드
KR19980011608U (ko) 차량 배기가스 정화용 배기시스템의 촉매설치구조
KR19980040167A (ko) 자동차용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